KR102596812B1 -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multi-step structure by selectively measuring of moisture - Google Patents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multi-step structure by selectively measuring of mois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812B1
KR102596812B1 KR1020230023173A KR20230023173A KR102596812B1 KR 102596812 B1 KR102596812 B1 KR 102596812B1 KR 1020230023173 A KR1020230023173 A KR 1020230023173A KR 20230023173 A KR20230023173 A KR 20230023173A KR 102596812 B1 KR102596812 B1 KR 102596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unit
barrier
retaining wall
cu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문선
이종필
고동욱
Original Assignee
조문선
이종필
고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선, 이종필, 고동욱 filed Critical 조문선
Priority to KR102023002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8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812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절도면에 제공되어 절토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배리어 유닛; 배리어 유닛의 하부에 소정의 공극이 형성되어, 소정의 공극으로 시멘트를 선택적으로 주입시켜 지내력을 선택적으로 강화시키는 인텐션 유닛; 및 절토면 하부의 원지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원지반 주변의 수분을 선택적으로 감지하여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which includes a barrier unit provided on the cut surface to form a wall that selectively covers the cut surface; An intention unit in which a predetermined por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arrier unit and selectively strengthens the bearing capacity by selectively injecting cement into the predetermined pore; and a sensing unit that is selectively disposed on the original ground below the cut surface and selectively senses moisture around the original ground to selectively calculat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Description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multi-step structure by selectively measuring of moisture}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multi-step structure by selectively measuring of moisture}

본 발명은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토압력에 의해 절토면의 유실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옹벽에 있어서, 최소한의 절취와 자립식 구조를 형성하고, 원지반 근입부 주변에 센서를 적용하여 수분 및 수위를 측정하여 필요한 위치까지 그라우팅이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More specifically, in the retaining wall installed to prevent the loss and collapse of the cut surface due to earth pressure, a self-supporting structure with minimal cutting is formed, and a sensor is applied around the entrance to the original ground to measure moisture and water level to determine the necessary This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systems for applying grouting to the right location.

옹벽(retaining wall)은 제방의 한 쪽 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주 없이 세워진 벽을 말한다.A retaining wall is a wall built without supports to support the load on one side of an embankment or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embankment.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만든 벽체로, 경사를 가파르게 했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한 것이다.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 옹벽을 설치하는데, 블록 쌓기와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 및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등 여러 형식이 있다.A retaining wall is a wall made to prevent soil from collapsing by resisting earth pressure, and is intended to prevent ground collapse that occurs when the slope becomes steep. Retaining walls are installed when piling up soil, carving out mountains, or filling up the coast. There are several types, including block stacking, gravity concrete retaining walls, and special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s.

옹벽을 설계하고 시공하는데 있어서, 옹벽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적용해야 하며, 국토해양부에서 제정한 건설공사기준에 옹벽 설계, 시공시 반드시 지켜야할 설계기준 및 시방서가 명시되어 있음에도 실제 현장에서는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시공 단가를 낮추기 위해 저가 보강재나 부실 설계, 시공에 의해 옹벽의 품질이 저하되고 유지관리 및 안전 확보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When designing and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aining wall must be well understood and applied. Even though the construction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specify desig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that must be observed when designing and constructing retaining walls, they are not observed in actual sites. There are cases.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the quality of retaining walls is deteriorating due to low-cost reinforcement materials or poor design and construction, and problems are occurring in terms of maintenance and safety.

이에 따라 옹벽이 붕괴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며 주된 원인으로는 전반 활동 검토 미비, 기초 지반 지지력 부족, 뒤채움흙 다짐 불량, 배수시설 미비, 부적절한 뒤채움흙 및 배수재 사용, 전면벽체 시공 불량 등이 있다.As a result, the retaining wall may collapse or be damaged, and the main causes include insufficient review of overall activities, insufficient foundation support, poor backfill soil compaction, insufficient drainage facilities, inappropriate use of backfill soil and drainage materials, and poor front wall construction.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자립식 패널옹벽 시공방법 및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자립식 패널옹벽 구조물 (등록번호 제10-2015564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 example of a prior patent document related to this, there is a “self-supporting pane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a self-supporting panel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above construction method (Registration No. 10-201556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자립식 패널옹벽 시공방법 및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자립식 패널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절토부 사면 붕괴를 방지하도록 말뚝지지체(다수개의 H-파일 조합구조)가 시공되도록 하되, 말뚝지지체는 패널옹벽의 전체 높이 대비 60% 이상 깊게 매립되도록 형성되어 옹벽패널의 고정 지지력이 크게 향상되도록 형성되고, 패널옹벽은 상하부 밀착면에 각각 암수 요철형 전단키 및 전단키홈이 형성되어 기초블럭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옹벽패널이 별도의 가시설 부재 없이 순차적으로 자립하면서 적층 조립되도록 형성되며, 말뚝지지체와 수평으로 기립 또는 자립한 패널옹벽은 강선형 보강재로 하여금 조인트 결속되어 구속력과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t relates to a self-supporting pane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a self-supporting panel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ed by a construction method, and a pile support (multiple H-pile combination structure) is constructed to prevent slope collapse in the cut area. However, the pile support is formed to be buried deeper than 60% of the total height of the panel retaining wall, so that the fixed support capacity of the retaining wall panel is greatly improved. The panel retaining wall is formed with male and female uneven shear keys and shear key grooves on the upper and lower contact surfaces, respectively. Based on the foundation block,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re formed to stand on their own sequentially without any additional temporary facilities and are stacked and assembled. The panel retaining wall, which stands or stands horizontally with the pile support, is jointed with steel wire-type reinforcement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and fixation force. It is characterized by making it possible.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자립식 메인 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등록번호 제10-1683611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of a patent document, there is “Retaining wall using a self-supporting main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Registration No. 10-16836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자립식 메인 패널이 배치되어 있으며, 앵커가 사면 방향으로 자립식 메인 패널을 관통하여 지반에 매립 고정되어 긴장 정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자립식 메인 패널은, 바닥판과 연직판과 사면의 경사진 표면에 밀착되는 경사배면을 가지는 사면밀착부를 포함하고, 연직판의 배면과 사면 사이에 뒷채움재가 채워져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이 제공되며, 더 나아가 이러한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a plurality of self-supporting main panels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n anchor penetrates the self-supporting main panel in the slope direction and is embedded and fixed in the ground to be tensioned; The self-supporting main panel includes a bottom plate, a vertical plate, and a slope adhesion portion having an inclined back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ope, and a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filled with backfill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slope surface. is provided, and further, a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retaining wall is provided.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사면의 계단식 절토부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 (등록번호 제10-1821606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of a patent document, there is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stepped cut on a slope (Registration No. 10-18216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계단식 사면의 절토부 맨 상층에 시공된 패널의 고정수단 설치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정빔을 패널 후방에 세우고 그 고정빔에 패널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패널 설치를 위해 용지 경계 범위를 침범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사면의 계단식 절토부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면의 계단식 절토부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을 깎아 절토하되 용지경계를 침범하지 않도록 절토면을 시공하는 단계; 절토면 전방의 지반에 너비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빔을 세워 각 고정빔의 일부를 하방으로 매립시키는 단계; 고정빔 전방에 패널을 세워 시공하는 단계; 연결수단을 이용해 패널을 고정빔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사면과 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흙을 채워 고정빔을 매립시키는 단계; 시공된 사면의 옹벽 구조물 하방을 절토하여 단차진 사면을 계단식으로 시공하는 단계; 사면에 보강재를 매립시키는 단계; 사면 전방에 패널을 세우고, 보강재를 패널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in order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fixing means for the panel constructed on the top layer of the cut section of the stepped slope, a fixing beam is erected at the rear of the panel and the panel is connected to the fixing beam for panel installation. This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a stepped cut on a slop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at prevents encroachment on the site boundary.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a stepped cut on a slope, the ground is cut and cut so as not to infringe on the site boundary. Constructing a cut surface; A step of erecting a plurality of fixed beam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ground in front of the cut surface and burying a portion of each fixed beam downward; Constructing a panel in front of a fixed beam; Connecting and fixing the panel to the fixed beam using a connecting means; Burying the fixed beam by filling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lope and the panel with soil; A step of cutting the lower part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constructed slope and constructing the stepped slope in a stepped manner; Embedding reinforcement in the slope; Including the step of erecting a panel in front of the slope and connecting and fixing reinforcement to the panel,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자립식 옹벽구조 (등록번호 제10-2018567호, 이하 특허문헌4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of a patent document,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Registration No. 10-201856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4)” exists.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매입되며 각각의 사이에는 토류판이 적층 설치되는 복수의 파일부재; 파일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패널부재; 일단은 파일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패널부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파일부재 및 토류판과 패널부재 간 간격에 타설되는 뒷채움재;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a plurality of pile members are buried i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earth plates are stacked between each pile member; Panel membe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from pile members; A connecting member that has one end coupled to the pile memb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panel member; It includes backfilling material poured into the gap between the pile member and earth plate and the panel member.

등록번호 제10-2015564호Registration number 10-2015564 등록번호 제10-1683611호Registration number 10-1683611 등록번호 제10-1821606호Registration number 10-1821606 등록번호 제10-2018567호Registration number 10-2018567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자립식 패널 옹벽 구조를 형성하여 지반 보강 효과를 얻고자 한다.First, we want to achieve a ground reinforcement effect by forming a self-supporting panel retaining wall structure.

둘째, 패널 옹벽의 배면 강제를 이용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배면에 완충 작용의 효과를 얻고자 한다.Second, the purpose is to prevent corrosion and achieve a buffering effect on the back side by using reinforcement on the back side of the panel retaining wall.

셋째, 원지반 근입부 주변의 수분을 감지하여 지반 환경에 따라서 필요한 위치까지 그라우팅을 적용하고자 한다.Third, we want to detect moisture around the base of the ground and apply grouting to the required location depending on the ground environment.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to be solved.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절토면에 제공되어 절토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배리어 유닛(barrier unit); 상기 배리어 유닛의 하부에 소정의 공극이 형성되어, 상기 소정의 공극으로 시멘트를 선택적으로 주입시켜 지내력을 선택적으로 강화시키는 인텐션 유닛(intention unit); 및 상기 절토면 하부의 원지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원지반 주변의 수분을 선택적으로 감지하여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센싱 유닛(sens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rier unit provided on a cut surface to form a wall that selectively covers the cut surface; An intention unit in which a predetermined por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arrier unit and selectively strengthens the bearing capacity by selectively injecting cement into the predetermined pore; and a sensing unit selectively disposed on the original ground below the cut surface and selectively detecting moisture around the original ground to selectively calculat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배리어 유닛은, 상기 절토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토면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1배리어부; 및 상기 절토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토면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2배리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rrier unit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rrier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cut surface and selectivel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cut surface; and a second barrier portion disposed below the cut surface and selectively covering the lower part of the cut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배리어 유닛은, 상기 제1배리어부와 상기 제2배리어부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1배리어부의 하부와 상기 제2배리어부의 상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팅(connect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rrier unit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provided between the first barrier part and the second barrier part, and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rrier part and the second barrier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that allows the upper portions of the second barrier portion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배리어 유닛은, 상기 제2배리어부는 상기 제1배리어부보다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배리어부와 상기 제2배리어부는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절토면을 다단으로 커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barrier unit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arrier par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barrier part, and the first barrier part and the second barrier unit The barrier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predetermined step to cover the cut surface in multiple stages.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원지반에 인입되어, 상기 원지반 주변의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는 상기 센싱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nsing body part that is introduced into the original ground and forms a body for detecting moisture around the original ground. It can be characterized as: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센싱 바디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원지반에 존재하는 상기 수분에 노출되면 상기 수분을 감지하여 상기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복수 개의 수분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provid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ensing body portion and detects the moisture when exposed to the moisture present in the original ground.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oisture sensing units that detect and selectively obtain th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수분 센싱부는, 단위 면적당 노출되는 상기 수분의 양이 미리 결정된 높이 이상이 되면, 가변 저항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oisture sensing unit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variable resistance is selectively formed when the amount of moisture exposed per unit area exceeds a predetermined height. You can do this.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센싱 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분 센싱부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가변 저항에 따라서 전압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브랜치 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nsing body, and selectively adjusts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variable resistance formed from the moisture sensing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ovided branch pin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인텐션 유닛은, 상기 센싱 유닛으로부터 산출된 상기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공극으로 주입되는 상기 시멘트를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선택적으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tention unit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performs th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based on th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The cement injected into the pores may be selectively injected to a preset height.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상기 제1배리어부 또는 상기 제2배리어부 후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절토면으로부터 침투된 침투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버퍼 유닛(buffer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ffer that is selectively placed on the rear of the first barrier or the second barrier to selectively block infiltrating water from the cut surface.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buffer unit.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자립식 패널 옹벽 구조의 하부에 소정의 공극이 형성되고 소정의 공극을 시멘트 밀크 주입을 통하여 용벽 시스템이 자립할 수 있도록 지반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First, a predetermined voi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lf-supporting panel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the ground can be reinforced so that the retaining wall system can stand on its own by injecting cement milk into the predetermined void.

둘째, 배리어 유닛의 후면에 가해지는 힘을 분사하고 버퍼 유닛을 배치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완충 작용의 효과를 얻게 된다.Second, the force applied to the rear of the barrier unit is sprayed and a buffer unit is placed to prevent corrosion and achieve a buffering effect.

셋째, 원지반 근입부 주변의 수분을 감지하여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산출하고,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에 따라서 시멘트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Third, moisture around the base of the base is detected to calculat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and cement can be selectively inject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배리어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제1배리어부와 제2배리어부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센싱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센싱 유닛의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수분 센싱부의 수위 높이에 따라 저항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수분 센싱부에 고유 주소가 할당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제1브릿지부와 제1서포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커넥팅 유닛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인텐션 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버퍼 유닛의 사시도 및 제1그리드부와 제1메쉬부에 가해지는 힘의 분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arrier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arrier portion and the second barrier portion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nsing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sensing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change in resistance depending on the water level height of the moisture sensing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unique address assigned to the moisture sensing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bridge portion and a first supporting portion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an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ntion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ffer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distribution of force applied to the first grid portion and the first mesh portion. This is a front view.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several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 want to do i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배리어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제1배리어부와 제2배리어부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센싱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센싱 유닛의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수분 센싱부의 수위 높이에 따라 저항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수분 센싱부에 고유 주소가 할당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제1브릿지부와 제1서포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커넥팅 유닛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인텐션 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버퍼 유닛의 사시도 및 제1그리드부와 제1메쉬부에 가해지는 힘의 분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arrier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arrier portion and the second barrier portion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nsing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sensing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change in resistance depending on the water level height of the moisture sensing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unique address assigned to the moisture sensing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bridge portion and a first supporting portion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an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ntion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ffer unit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distribution of force applied to the first grid portion and the first mesh portion. This is a front view.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평지나 경사면을 만들기 위해서 흙을 깎아 내리는 절토 작업 후 토압력에 의해 지반의 붕괴를 막기 위해 옹벽(retaining wall)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최소한의 절취와 자립식 구조를 형성하며, 지표면을 기준으로 수위를 감지하고 목적에 따라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센서를 장착하여 필요한 위치까지만 그라우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retaining wall to prevent the ground from collapsing due to soil pressure after cutting the soil to create a flat surface or slope. In doing so, it forms a self-supporting structure with minimal cutting, and is equipped with a sensor to detect the water level based on the ground surface and adjust the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purpose, so that grouting can be applied only to the required location.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유닛(barrier unit, 100), 센싱 유닛(sensing unit, 200), 커넥팅 유닛(connecting unit, 300), 인텐션 유닛(intension unit, 400) 및 버퍼 유닛(buffer unit, 500)을 포함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rier unit (100), a sensing unit (200), and a connecting wall system. It includes a connecting unit (300), an intention unit (400), and a buffer unit (500).

배리어 유닛(100)은 절토면에 제공되어 절토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The barrier unit 100 is provided on the cut surface to form a wall that selectively covers the cut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배리어 유닛(100)의 경우, 제1배리어부(110)와 제2배리어부(120)로 구성된다.In the case of the barrier unit 100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posed of a first barrier part 110 and a second barrier part 120.

먼저, 제1배리어부(110)은 절토면의 상부에 제공되어 절토면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First, the first barrier portion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ut surface to form a wall that selectively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cut surface.

제2배리어부(120)은 제1배리어부(110)의 하부에 제공되어 절토면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barrier part 12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rrier part 110 to form a wall that selectively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cut surface.

제1배리어부(110)과 제2배리어부(120) 각각은 경사진 절토면의 앞부분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지반을 보강함으로써 절토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Each of the first barrier part 110 and the second barrier part 120 is arranged perpendicularly to the front of the inclined cut surface to reinforce the ground and ensure the stability of the cut surface.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리어부(110)과 제2배리어부(120)에서 제2배리어부(120)은 제1배리어부(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제1배리어부(110)과 제2배리어부(120)이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여 절토면을 다단으로 커버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in the first barrier part 110 and the second barrier part 120, the second barrier part 120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first barrier part 110 and forms the first barrier part 110. (110) and the second barrier portion 120 form a predetermined step to cover the cut surface in multiple steps.

제1배리어부(110)과 제2배리어부(120)을 다단으로 형성시킴에 따라서 절토면을 최소한으로 절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By forming the first barrier portion 110 and the second barrier portion 120 in multiple stages, an effect occurs in which the cut surface can be cut to a minimum.

아울러, 제1배리어부(110)과 제2배리어부(120)을 설치할 때, 후술하게 될 제1커버부(114)와 제1파일링부(111) 사이에 양질의 토사, 모래, 소일과 같은 채움 토사 또는 시멘트(soil cement), 콘크리트 등으로 빈 공간을 완전하게 충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first barrier part 110 and the second barrier part 120, high-quality soil, sand, and soil are placed between the first cover part 114 and the first piling part 1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desirable to completely fill the empty space with soil, cement, concrete, etc.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제1배리어부(11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일링(piling)부(111), 제1그리드(grid)부(112), 제1메쉬(mesh)부(113), 제1커버(cover)부(114), 제1브릿지(bridge)부(115), 및 제1서포팅(supporting)부(116)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first barrier part 110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first piling part 111, the first piling part 111, 1 grid part 112, first mesh part 113, first cover part 114, first bridge part 115, and first supporting It includes part 116.

먼저, 제1파일링부(111)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면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하게 삽입 형성되어 벽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First, in the case of the first piling portion 111, as shown in FIG. 3,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that are vertically inser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cut surface to form the skeleton of the wall.

제1파일링부(111)는 강재 말뚝의 일종으로, H형강(H-section steel pile) 또는 엄지말뚝이라 불리는 것으로, 플랜지의 폭이 긴 H자 모양의 형강을 뜻한다.The first piling part 111 is a type of steel pile, called an H-section steel pile or thumb pile, and refers to an H-shaped section steel with a long flange.

제1파일링부(111)는 절토면에서 소정의 심도까지 근입하면서 근입 과정에서 수직하게 삽입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The first piling part 111 must be confirmed to be inserted vertically during the digging process while digging from the cut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제1그리드부(112)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일링부(111)의 소정의 간격으로부터 복수 개의 철근이 격자 형태로서 선택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irst grid portion 112,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selectively and fixedly arranged in a grid form at predetermined intervals of the first piling portion 111.

제1그리드부(112)는 제1파일링부(111)의 소정의 간격에 각각에 상호 체결되어 어느 일 제1그리드부(112)는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어느 타 제1그리드부(112)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The first grid parts 112 are mutually fastened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of the first piling part 111, so that one first grid part 112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first grid part 112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all be placed horizontally.

제1그리드부(11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철근은 횡연결 철근으로서, 휨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nstituting the first grid portion 112 are transversely connected reinforcing bar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bars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member axis to resist bending moment.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제공되는 제1그리드부(112)의 양 끝단은 제1파일링부(111)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여 제1파일링부(1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For example, both ends of the first grid part 112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supported by the first piling part 111 to prevent it from deviating from the first piling part 111.

또한, 제1그리드부(112)의 후면은 절토면에 밀착되어, 절토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고 절토면의 측압을 지지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rear of the first grid portion 1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 surface, preventing soil loss from the cut surface and supporting the lateral pressure of the cut surface.

여기서 말하는 측압은 절토면의 토사로 인해 발생하는 토압이나, 절토면 주변 지반의 지하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압에 의하여 작용하는 힘을 뜻한다.The lateral pressure referred to here refers to the force exerted by the earth pressure generated by the soil on the cut surface or the water pressure generated by groundwater in the ground around the cut surface.

아울러, 제1그리드부(112)의 복수 개의 철근이 교차하는 지점은 용접으로 이음되어 격자 형태를 유지하여 복수 개의 철근의 결속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of the first grid portion 112 intersect are connected by welding to maintain the grid shape to strengthen the cohesion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제1메쉬부(113)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리드부(112)의 후면에서 복수 개의 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제1그리드부(112)를 선택적으로 보강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irst mesh part 113,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at the rear of the first grid part 112 to selectively reinforce the first grid part 112. am.

제1메쉬부(113)는 제1그리드부(112)의 후면 또는 배면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격자 셀을 구비하여 제1그리드부(112)에 가해지는 토압 또는 측압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mesh part 113 is provided on the rear or rear surface of the first grid part 112 and has a plurality of grid cells to distribute earth pressure or lateral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grid part 112.

예컨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리드부(112)와 절토면이 대면하게 될 경우, 제1그리드부(112)의 어느 한 구역으로 토압이 쏠리게 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first grid portion 112 and the cut surface face each oth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earth pressure is concentrated on one area of the first grid portion 112.

이때, 제1그리드부(112)의 후면에 제1그리드부(112)보다 작은 직경의 제1메쉬부(113)의 복수 개의 격자 셀에 의하여 토압이 분산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earth pressure can be distributed by a plurality of grid cells of the first mesh part 113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grid part 112 at the rear of the first grid part 112.

제1그리드부(112)와 제1메쉬부(113)의 기작에 의하여 절토면에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측압을 골고루 지지하여 지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By being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 surface by the mechanism of the first grid part 112 and the first mesh part 113, lateral pressure is evenly supported to prevent ground deformation.

제1그리드부(112)와 제1메쉬부(113)의 인장력에 의하여 지압력을 최대한 넓은 범위에 분포되도록 한다.The acupressure force is distributed over the widest possible range by the tensile force of the first grid portion 112 and the first mesh portion 113.

제1커버부(114)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일링부(111)의 전면에 제공되어 절토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irst cover part 114, as shown in FIG. 2, 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irst piling part 111 and has a plurality of structures to selectively support the cut surface and prevent the collapse of the cut surface.

제1커버부(114)는 절토면을 지지하고 붕괴를 방지하는 구성이므로, 그 성질은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first cover portion 114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ut surface and prevent collapse,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strength.

또한, 제1커버부(114)는 옹벽 시스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유일한 구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외면은 천연 색상 또는 천연 석재 등을 이용해서 다양한 질감을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 경관과의 이질감을 없앨 수 있게 되며, 제1커버부(114)의 각각의 사이즈에는 제한이 없다.Additionally, the first cover portion 114 may be the only componen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ly, since the exterior can express various textures using natural colors or natural stones,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sense of heterogeneit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size of each of the first cover parts 114.

아울러, 제1커버부(114)에는 침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ver part 114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permeating water to the outside.

제1브릿지부(115)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파일링부(111)의 전면에 수직하게 고정 배치되어 복수 개의 제1파일링부(111)를 일자로 연결하도록 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irst bridge part 115, as shown in FIG. 8, it is fixedly arranged vertical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irst piling parts 111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piling parts 111 in a straight line. It is a composition.

제1브릿지부(115)는 일렬로 수직하게 나열된 복수 개의 제1파일링부(111)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제1파일링부(111)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first bridge portion 115 is design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piling portions 111 vertically arranged in a row to each other and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first piling portions 111.

제1브릿지부(115)의 일측은 제1커버부(114)를 향해 돌출되며 후술하게 될 제1서포팅부(116)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한다.One side of the first bridge part 115 protrudes toward the first cover part 114 and provides a space where the first supporting part 1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seated.

제1브릿지부(115)의 타측은 제1파일링부(111)의 외측면에 밀착하여 고정 배치되도록 한다.The other side of the first bridge part 115 is fixedly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iling part 111.

제1서포팅부(116)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릿지로부터 제1커버부(114)를 향하여 수직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16, as shown in FIG. 8, it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first bridge toward the first cover part 114.

제1서포팅부(116)는 채움토사를 관통하여 제1파일링부(111)와 제1커버부(114) 사이에 제공되는 구성이다.The first supporting part 116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iling part 111 and the first covering part 114 through the filled soil.

제1서포팅부(116)는 제1커버부(114)와 제1파일링부(111)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제1커버부(114)와 제1파일링부(111)를 고정시켜 제1배리어부(110)을 전체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first supporting part 116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ing part 114 and the first piling part 111, thereby fixing the first covering part 114 and the first piling part 111 to form a first barrier part. It plays a role in reinforcing (110) as a whole.

또한, 제1서포팅부(116)의 내부의 중심부에는 제1 로크볼트가 구비된다.Additionally, a first lock bolt is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6.

제1로크볼트(116-1)는 제1서포팅부(116)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제1파일링부(111)와 제1커버부(114) 사이의 결속력을 강화시킬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lock bolt 116-1 reinforce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16 and strengthens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piling part 111 and the first cover part 114.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제2배리어부(12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파일링부(121), 제2그리드부(122), 제2메쉬부(123), 제2커버부(124), 제2브릿지부(125), 및 제2서포팅부(126)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barrier part 120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piling part 121 and the second grid part (122), a second mesh part 123, a second cover part 124, a second bridge part 125,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126.

먼저, 제2파일링부(121)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면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하게 삽입 형성되어 벽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First, in the case of the second piling portion 121, as shown in FIG. 3,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that are vertically inser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wer part of the cut surface to form the skeleton of the wall.

제2파일링부(121)는 강재 말뚝의 일종으로, H형강(H-section steel pile) 또는 엄지말뚝이라 불리는 것으로, 플랜지의 폭이 긴 H자 모양의 형강을 뜻한다.The second piling part 121 is a type of steel pile, called an H-section steel pile or thumb pile, and refers to an H-shaped section steel with a long flange.

제2파일링부(121)는 절토면에서 소정의 심도까지 근입하면서 근입 과정에서 수직하게 삽입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The second piling part 121 must be confirmed to be inserted vertically during the digging process while digging from the cut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제2그리드부(122)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파일링부(121)의 소정의 간격으로부터 복수 개의 철근이 격자 형태로서 선택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econd grid unit 122,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selectively and fixedly arranged in a grid form at predetermined intervals of the second piling unit 121.

제2그리드부(122)는 제2파일링부(121)의 소정의 간격에 각각에 상호 체결되어 어느 일 제2그리드부(122)는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어느 타 제2그리드부(122)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The second grid parts 122 are mutually fastened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of the second piling part 121, so that one second grid part 122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econd grid part 122 shall be placed horizontally.

제2그리드부(12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철근은 횡연결 철근으로서, 휨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nstituting the second grid portion 122 are horizontally connected reinforcing bar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bars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member axis to resist bending moment.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제공되는 제2그리드부(122)의 양 끝단은 제2파일링부(121)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여 제2파일링부(1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For example, both ends of the second grid part 122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supported by the second piling part 121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piling part 121.

또한, 제2그리드부(122)의 후면은 절토면에 밀착되어, 절토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고 절토면의 측압을 지지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rear of the second grid portion 1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 surface, preventing soil loss from the cut surface and supporting the lateral pressure of the cut surface.

여기서 말하는 측압은 절토면의 토사로 인해 발생하는 토압이나, 절토면 주변 지반의 지하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압에 의하여 작용하는 힘을 뜻한다.The lateral pressure referred to here refers to the force exerted by the earth pressure generated by the soil on the cut surface or the water pressure generated by groundwater in the ground around the cut surface.

아울러, 제2그리드부(122)의 복수 개의 철근이 교차하는 지점은 용접으로 이음되어 격자 형태를 유지하여 복수 개의 철근의 결속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of the second grid portion 122 intersect are connected by welding to maintain the grid shape to strengthen the cohesion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제2메쉬부(123)의 경우, 제2그리드부(122)의 후면에서 복수 개의 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제2그리드부(122)를 선택적으로 보강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econd mesh part 123, a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in a grid form at the rear of the second grid part 122 to selectively reinforce the second grid part 122.

제2메쉬부(123)는 제2그리드부(122)의 후면 또는 배면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격자 셀을 구비하여 제2그리드부(122)에 가해지는 토압 또는 측압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cond mesh part 123 is provided on the back or rear surface of the second grid part 122 and has a plurality of grid cells to distribute earth pressure or lateral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grid part 122.

예컨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그리드부(122)와 절토면이 대면하게 될 경우, 제2그리드부(122)의 어느 한 구역으로 토압이 쏠리게 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second grid portion 122 and the cut surface face each oth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earth pressure is concentrated on one area of the second grid portion 122.

이때, 제2그리드부(122)의 후면에 제2그리드부(122)보다 작은 직경의 제2메쉬부(123)의 복수 개의 격자 셀에 의하여 토압이 분산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earth pressure can be distributed by a plurality of grid cells of the second mesh part 123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grid part 122 at the rear of the second grid part 122.

제2그리드부(122)와 제2메쉬부(123)의 기작에 의하여 절토면에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측압을 골고루 지지하여 지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By being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 surface through the mechanism of the second grid part 122 and the second mesh part 123, the lateral pressure is evenly supported to prevent ground deformation.

제2그리드부(122)와 제2메쉬부(123)의 인장력에 의하여 지압력을 최대한 넓은 범위에 분포되도록 한다.The acupressure force is distributed over the widest possible range by the tensile force of the second grid portion 122 and the second mesh portion 123.

아울러, 제1배리어부(110)과 제2배리어부(120)은 각각 절토면의 상부와 하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므로 제1배리어부(110)과 제2배리어부(120)에 가해지는 측압 역시 상이하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제1그리드부(112)와 제2그리드부(122)의 직경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그리드부(112)의 제2그리드부(122)의 직경에 따라서 제1메쉬부(113)와 제2메쉬부(123)의 직경 역시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barrier part 110 and the second barrier part 120 are selectively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ut surface, respectively, the lateral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barrier part 110 and the second barrier part 120 are also different. It happens frequentl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rid portion 112 and the second grid portion 122 have different diameters, and the first mesh portion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grid portion 122 of the first grid portion 112. The diameters of (113) and the second mesh portion (123) are also provided selectively.

제2커버부(124)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파일링부(121)의 전면에 제공되어 절토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econd cover part 124, as shown in FIG. 2, 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piling part 121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structures to selectively support the cut surface and prevent the collapse of the cut surface.

제2커버부(124)는 절토면을 지지하고 붕괴를 방지하는 구성이므로, 그 성질은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second cover portion 124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ut surface and prevent collapse,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strength.

또한, 제2커버부(124)는 옹벽 시스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유일한 구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외면은 천연 색상 또는 천연 석재 등을 이용해서 다양한 질감을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 경관과의 이질감을 없앨 수 있게 되며, 제2커버부(124)의 각각의 사이즈에는 제한이 없다.Additionally, the second cover portion 124 may be the only componen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retaining wall system. Therefore, since the exterior can express various textures using natural colors or natural stones,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sense of heterogeneit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size of each second cover portion 124.

아울러, 제2커버부(124)에는 침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ver part 124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permeating water to the outside.

제2브릿지부(125)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파일링부(121)의 전면에 수직하게 고정 배치되어 복수 개의 제2파일링부(121)를 일자로 연결하도록 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econd bridge part 125, as shown in FIG. 8, it is fixed and arranged perpendicular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ling parts 121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econd piling parts 121 in a straight line. It is a composition.

제2브릿지부(125)는 일렬로 수직하게 나열된 복수 개의 제2파일링부(121)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제2파일링부(121)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second bridge portion 125 is design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econd piling portions 121 vertically arranged in a row to each other and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ling portions 121.

제2브릿지부(125)의 일측은 제2커버부(124)를 향해 돌출되며 후술하게 될 제2서포팅부(126)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한다.One side of the second bridge portion 125 protrudes toward the second cover portion 124 and provides a space where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2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seated.

제2브릿지부(125)의 타측은 제2파일링부(121)의 외측면에 밀착하여 고정 배치되도록 한다.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ridge part 125 is fixedly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iling part 121.

제2서포팅부(126)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릿지로부터 제2커버부(124)를 향하여 수직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126, as shown in FIG. 8, it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second bridge toward the second cover part 124.

제2서포팅부(126)는 채움 토사를 관통하여 제2파일링부(121)와 제2커버부(124) 사이에 제공되는 구성이다.The second supporting part 126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iling part 121 and the second covering part 124 through the filled soil.

제2서포팅부(126)는 제2커버부(124)와 제2파일링부(121)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제2커버부(124)와 제2파일링부(121)를 고정시켜 제2배리어부(120)을 전체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second supporting part 126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vering part 124 and the second piling part 121, thereby fixing the second covering part 124 and the second piling part 121 to form a second barrier part. It plays a role in reinforcing (120) as a whole.

또한, 제2서포팅부(126)의 내부의 중심부에는 제2 로크볼트가 구비된다.Additionally, a second lock bolt is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26.

제2로크볼트(126-1)는 제2서포팅부(126)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제2파일링부(121)와 제2커버부(124) 사이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lock bolt 126-1 reinforce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126 and strengthens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econd piling part 121 and the second cover part 124.

커넥팅 유닛(300)의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리어부(110)과 제2배리어부(120)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제1배리어부(110)의 하부와 제1배리어부(110)의 상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unit 300, as shown in FIG. 9, it is sel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rrier part 110 and the second barrier part 12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rrier part 110 and the first barrier part 120.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upper portions of the barrier portion 11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커넥팅 유닛(300)은 절토면의 상부에 배치된 제1배리어부(110)과 절토면의 하부에 배치된 제2배리어부(120)의 단차가 형성될 때 제1배리어부(110)과 제2배리어부(120)의 중첩 부위에 형성되어 제1배리어부(110)와 제2배리어부(120)을 상호 연결시켜 다단 구조를 강화시키는 구성이다.The connecting unit 300 connects the first barrier portion 110 and the second barrier when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arrier portion 11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t surface and the second barrier portion 120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ut surface. It is formed at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portion 120 and connects the first barrier portion 110 and the second barrier portion 120 to each other to strengthen the multi-stage structure.

커넥팅 유닛(300)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철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connecting unit 300 are preferably made of reinforcing bars.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커넥팅 유닛(300)의 경우, 제1리인포싱(reinforcing)부(310), 제2리인포싱부(320), 홀딩(holding)부(330), 픽싱(fixing)부(340)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unit 300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inforcing unit 310, the second reinforcing unit 320, It includes a holding part 330 and a fixing part 340.

제1리인포싱부(310)의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일링부(111)의 하단부와 제2파일링부(121)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소정의 단차를 보강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irst reinforcing part 310, as shown in FIG. 9,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ling part 11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iling part 121 to reinforce a predetermined step. am.

제1리인포싱부(310)는 제1파일링부(111)와 제2파일링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절토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배리어부(110)의 하부의 안정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reinforcing part 31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iling part 111 and the second piling part 121 and has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stability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rrier part 11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ut surface. Perform.

제2리인포싱부(320)의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인포싱부(310)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소정의 단차를 보강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econd re-inforcing unit 320, as shown in Figure 9, it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inforcing unit 310 and has a plurality of structures to reinforce a predetermined step.

제2리인포싱부(320)는 제1리인포싱부(310)에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다단 구조가 형성되는 구역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second re-inforcing unit 320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inforcing unit 310 and thus serves to strengthen the area where the multi-stage structure is formed.

홀딩부(330)는 제2리인포싱부(320)의 하부에 제공되어 제2리인포싱부(320)의 이동 및 탈거를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구성이다.The holding part 33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einforcing part 320 to selectively prevent movement and removal of the second reinforcing part 320.

픽싱부(340)의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일링부(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제1리인포싱부(310)가 관통하여 제1리인포싱부(310)가 제1파일링부(1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ixing unit 340, as shown in FIG. 9, it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first filing unit 111 and the first reinforcing unit 310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reinforcing unit 310.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filing unit 111.

인텐션 유닛(400)의 경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리어부(110) 또는 제2배리어부(120)의 하부에 소정의 공극(401)이 형성되며 소정의 공극(401)에 시멘트(402)를 선택적으로 주입시켜 지내력을 선택적으로 강화시키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intention unit 400, as shown in FIG. 10, a predetermined gap 401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rrier unit 110 or the second barrier unit 120, and a predetermined gap 401 i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gap 401. It is a configuration that selectively strengthens the bearing capacity by selectively injecting cement 402.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공극(401)은 제1파일링부(111)와 제2파일링부(121)에 형성되는 천공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소정의 공극(401)에 홀천공 그라우팅 시멘트 밀크 주입을 진행하여 기존 콘크리트 타설 대비 고강도의 밀실한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predetermined air gap 401 referred to herein can be defined as a perforation formed in the first piling part 111 and the second piling part 121, and hole-perforation grouting cement milk injection is performed into the predetermined air gap 401. It ensures high-strength, tight injection compared to existing concrete pouring.

즉, 인텐션 유닛(400)은 지반 보강의 효과를 얻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intention unit 400 obtains the effect of ground reinforcement.

버퍼 유닛(500)의 경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리어부(110) 또는 제2배리어부(120)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절토면으로부터 침수된 침투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buffer unit 500, as shown in FIG. 11, it is selective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barrier part 110 or the second barrier part 120 to selectively block infiltrating water from the cut surface. am.

여기서 말하는 침투수는 토사로 스며들게 되는 강우수, 지표수, 지하수로 정의될 수 있다. 침투수는 옹벽의 토사나 지반에 스며들게 되는데 옹벽의 배수 및 차수 시설이 불량일 경우에 옹벽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버퍼 유닛(500)을 설치하여 이를 차단하도록 한다.Infiltration water referred to here can be defined as rainfall,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that seeps into soil. The seepage water seeps into the soil or ground of the retaining wall. If the drainage and water blocking facilities of the retaining wall are poor, the problem of the retaining wall collapsing occurs, so a buffer unit 500 is installed to block this.

또한, 버퍼 유닛(500)은 제1그리드부(112)와 제1메쉬부(113)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절토면의 토압에 대한 완충 구조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buffer unit 500 is selectively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id portion 112 and the first mesh portion 113 to selectively form a buffering structure against the earth pressure of the cut surface.

버퍼 유닛(500)은 토목 섬유로 구성되어 침투수가 제1커버부(114)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철근이나 와이어로 재질로 이루어진 제1그리드부(112)와 제1메쉬부(113)의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buffer unit 500 is made of geotextiles and not only blocks the infiltration water from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ver part 114, but also includes a first grid part 112 and a first mesh part 113 made of reinforcing bars or wires. It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corrosion.

아울러, 인텐션 유닛(400)을 설치하기 위하여 원지반 근입부에 센싱 유닛(2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intention unit 4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unit 200 is provided near the original ground base.

센싱 유닛(200)의 경우, 도 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면 하부의 원지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원지반 주면의 수분을 선택적으로 감지하여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ensing unit 200, as shown in FIGS. 1 and 4, it is selectively disposed on the original ground below the cut surface and selectively detects moisture on the main surface of the original ground to selectively calculat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센싱 유닛(200)은 원지반 근입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여기서 원지반은 지반을 깎기 이전의 지반 또는 절토면 하부의 지반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00 is provided near the original ground. Here, the original ground can be defined as the ground before cutting the ground or the ground below the cut surface.

센싱 유닛(200)은 인텐션 유닛(4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인텐션 유닛(400) 주변의 수분 및 수위를 선택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sensing unit 2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tention unit 400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measure moisture and water level around the intention unit 400.

센싱 유닛(200)을 통해서 인텐션 유닛(400)을 필요한 위치까지 그라우팅 적용할 수 있으며 정밀한 시공이 가능해진다.Through the sensing unit 200, the intention unit 400 can be grouted to the required position and precise construction is possible.

즉, 인텐션 유닛(400)은 센싱 유닛(200)으로부터 산출된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제공받아,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공급으로 주입되는 시멘트를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intention unit 400 receives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sensing unit 200, and allows the cement to be injected in a predetermined supply selectively at a preset height based on th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

미리 설정된 높이란 원지반의 수분 정도에 따라서 필요한 홀채움 높이로서 정의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홀채움으로 인한 추가 공정이나 구조적 안정성 저하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t height is defined as the hole-filling height required according to the moisture level of the original ground, and through this, additional processes or deterior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due to unnecessary hole-filling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아울러, 센싱 유닛(200)은 아두이노 기반의 센서로서 센싱 유닛의 작동에 상세한 기작은 이미 상용화된 것으로 자세한 기작은 생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200 is an Arduino-based sensor, and since the detailed operation mechanism of the sensing unit has already been commercialized, the detailed mechanism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센싱 유닛(200)의 경우, 센싱 바디(sensing body)부(210), 수분 센싱부(220), 브랜치 핀(branch pin)부(230), 및 레벨링 일드(leveling yield)부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sensing unit 200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body part 210, the moisture sensing part 220, and the branch pin pin) unit 230, and a leveling yield unit.

센싱 바디부(21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텐션 유닛(4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원지반 근입부 주변의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ensing body portion 210, as shown in FIG. 5, 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tention unit 400 and forms a body for detecting moisture around the proximal portion of the original ground.

센싱 바디부(210)는 원지반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하게 삽입됨에 따라서 수분 및 수분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body portion 210 is inserted vertically into the ground, and by being inserted vertically, it is possible to measure moisture and water level.

수분 센싱부(22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바디부(2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원지반에 존재하는 수분에 노출되면, 수분을 감지하여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moisture sensing unit 220, as shown in FIG. 5, it is selectively provided on one or the other side of the sensing body unit 210 and, when exposed to moisture existing in the original ground, detects moisture and provides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It is a configuration that is acquired selectively.

수분 센싱부(22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수분 또는 수분에 따른 수위를 측정하는 것으로, 단위 면적당 노출되는 수분의 양 또는 수위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높이 이상이 되면 가변 저항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A plurality of moisture sensing units 220 are provided to measure moisture or water level according to moisture, and a variable resistance is selectively formed when the water level or the amount of moisture exposed per unit area exceeds a predetermined height.

여기서 말하는 미리 결정된 높이는 수분 센싱부로부터 가변 저항이 형성되는 임계 높이로 정의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height mentioned here can be defined as the critical height at which variable resistance is formed from the moisture sensing unit.

수분 센싱부(2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높이가 l1, l2, l3일 경우, 각각의 수위에 따라서 발생되는 가변 저항은 R1, R2, R3가 되며, 각각의 가변 저항의 크기는 R1>R2,>R3 순으로 크기가 결정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moisture sensing unit 220 has a predetermined height l 1 , l 2 , l 3 according to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the variable resistance generated according to each water level is R 1 , R 2 and R 3 , and the size of each variable resistance is determined in the order of R 1 >R 2 and >R 3 .

예컨대, 수분 센싱부(220)가 물에 잠기는 높이에 따라서 잠기는 높이가 높으면 전도성이 좋아지고 저항이 낮아지며, 높이가 낮으면 전도성이 떨어지고 저항이 높아지게 된다.For example, depending on the height at which the moisture sensing unit 220 is submerged in water, if the submerged height is high, conductivity improves and resistance decreases, and if the height is low, conductivity decreases and resistance increases.

즉, 수분 센싱부(220)가 수분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높이가 클 경우, 저항이 낮아질수록 브랜치 핀부(23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높아지도록 한다. 이러한 저항에 따라서 수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moisture sensing unit 220 has a predetermined height due to moisture, the lower the resistance, the higher the output voltage from the branch pin unit 230. According to this resistance, the water level can be measured.

또한, 수분 센싱부(22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트레이스(221)로 구성되며 복수 개의 트레이스(221)는 파워 트레이스(221a)와 디텍팅 트레이스(221b)로 구성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oisture sensing unit 220, as shown in Figure 7,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ces 221, and the plurality of traces 221 are composed of a power trace 221a and a detecting trace 221b. .

복수 개의 파워 트레이스(221a)와 복수 개의 디텍팅 트레이스(221b)는 상호 교차적으로 배치되어, 두 개의 파워 트레이스(221a)마다 하나의 디텍팅 트레이스(221b)가 상호 연동되며, 평상시에 복수 개의 파워 트레이스(221a)와 복수 개의 디텍팅 트레이스(221b)는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수분에 노출됨에 따라서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power traces 221a and a plurality of detecting traces 221b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so that one detecting trace (221b) is interconnected for every two power traces 221a, and a plurality of power traces 221b are norm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race 221a and the plurality of detecting traces 221b are not connected, but are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y are exposed to moisture.

아울러, 수분 센싱부(220)의 복수 개의 트레이스(221) 각각에는 고유 주소 또는 고유 순번이 할당되도록 한다. 여기서 말하는 고유 주소는 문자, 숫자, 또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소 정보로서 정의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traces 221 of the moisture sensing unit 220 is assigned a unique address or unique sequence number. The unique address referred to here can be defined as address information consisting of letters, numbers, or a combination of letters and numbers.

복수 개의 트레이스(221) 각각에 고유 주소가 할당됨에 따라서, 수분이 노출되는 방향 또는 수위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As a unique address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races 221,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in which moisture is exposed or the direction of the water level can be calculated.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트레이스(221) 중 A1의 트레이스(221)로부터 가변 저항이 발생하면, 센싱 바디부(210)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위가 차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Z1으로부터 가변 저항이 발생하면, 센싱 바디부(210)를 기준으로 수위가 차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7, when variable resistance occurs from trace 221 of A1 among the plurality of traces 221, it can be seen that the water level rises from left to right with respect to the sensing body portion 210. , When variable resistance is generated from Z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ater level is rising based on the sensing body portion 210.

즉, 수분 센싱부(220)로부터 수위의 방향이나 물의 유동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the water level or the direction of water flow from the moisture sensing unit 220.

브랜치 핀부(23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바디부(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분 센싱부(220)로부터 형성되는 가변 저항에 따라서 전압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branch pin unit 230, as shown in FIG. 5, it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nsing body unit 210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provide voltage according to the variable resistance formed from the moisture sensing unit 220.

브랜치 핀부(230)는 아날로그 출력 핀(231), 전원 공급 핀(232), 접지 핀(233)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nch pin unit 230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analog output pin 231, a power supply pin 232, a ground pin 233, etc.

레벨링 일드부(240)의 경우, 수분 센싱부(220)로부터 획득된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토대로 수위 높이에 대한 정보를 전산적으로 산출하여 외부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leveling yield unit 240, information on the water level height is calculated computationally based on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oisture sensing unit 220 and provided to the outside or the manager.

레벨링 일드부(240)에서 제공되는 수위 높이 정보를 관리자 또는 외부로 전달하면 인텐션 유닛(400)의 소정의 공극(401)에 인입되는 시멘트(402)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By transmitting the water level and heigh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eveling yield unit 240 to the manager or the outside, the amount of cement 402 introduced into the predetermined void 401 of the intention unit 40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and the parentheses used in the patent claims are not used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elements, and the descriptions within the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elements. It has to be.

100: 배리어 유닛 110: 제1배리어부
111: 제1파일링부 112: 제1그리드부
113: 제1메쉬부 114: 제1커버부
115: 제1브릿지부 116: 제1서포팅부
116-1: 제1 로크볼트 120: 제2배리어부
121: 제2파일링부 122: 제2그리드부
123: 제2메쉬부 124: 제2커버부
125: 제2브릿지부 126: 제2서포팅부
126-1: 제2로크볼트 200: 센싱 유닛
210: 센싱 바디부 220: 수분 센싱부
230: 브랜치 핀부 240: 레벨링 일드부
300: 커넥팅 유닛 310: 제1리인포싱부
320: 제2리인포싱부 330: 홀딩부
340: 픽싱부 400: 인텐션 유닛
401: 소정의 공극 402: 시멘트
500: 버퍼 유닛
100: barrier unit 110: first barrier unit
111: first piling part 112: first grid part
113: first mesh part 114: first cover part
115: first bridge part 116: first supporting part
116-1: first lock bolt 120: second barrier part
121: second piling part 122: second grid part
123: second mesh part 124: second cover part
125: 2nd bridge part 126: 2nd supporting part
126-1: Second lock bolt 200: Sensing unit
210: sensing body part 220: moisture sensing part
230: Branch pin part 240: Leveling yield part
300: Connecting unit 310: First reinforcing unit
320: Second re-inforcing unit 330: Holding unit
340: Fixing unit 400: Intention unit
401: predetermined void 402: cement
500: buffer unit

Claims (10)

절토면에 제공되어 절토면을 커버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배리어 유닛(barrier unit);
상기 배리어 유닛의 하부에 소정의 공극이 형성되어, 상기 소정의 공극으로 시멘트를 주입시켜 지내력을 강화시키는 인텐션 유닛(intention unit); 및
상기 절토면 하부의 원지반에 배치되어, 상기 원지반 주변의 수분을 감지하여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산출하는 센싱 유닛(sens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원지반에 인입되어, 상기 원지반 주변의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는 센싱 바디부; 및
상기 센싱 바디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제공되어 상기 원지반에 존재하는 상기 수분에 노출되면 상기 수분을 감지하여 상기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 개의 수분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센싱부는,
단위 면적당 노출되는 상기 수분의 양이 미리 결정된 높이 이상이 되면, 가변 저항이 형성되며,
상기 센싱 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분 센싱부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가변 저항에 따라서 전압이 제공되는 브랜치 핀부; 및
고유 주소가 할당되어, 수분이 노출되는 방향 또는 수위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복수 개의 트레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스는,
복수 개의 파워 트레이스와 복수 개의 디텍팅 트레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파워 트레이스와 상기 복수 개의 디텍팅 트레이스는 상호 교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파워 트레이스 중 두 개의 파워 트레이스마다 하나의 디텍팅 트레이스가 상호 연동되며, 수분 노출에 따라 상호 연결되고,
상기 수분 센싱부는,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스 중 좌측 트레이스로부터 가변 저항이 발생하며, 상기 센싱 바디부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위가 차오르는 것을 확인하여 수위의 방향이나 물의 유동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
A barrier unit provided on the cut surface to form a wall covering the cut surface;
An intention unit in which a predetermined por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arrier unit and strengthens the bearing force by injecting cement into the predetermined pore; and
It includes a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original ground below the cut surface and detecting moisture around the original ground to calculat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The sensing unit is,
A sensing body part that is introduced into the base ground and forms a body for detecting moisture around the base base; and
A plurality of moisture sensing units provid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ensing body unit to detect the moisture and obtain th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when exposed to the moisture present in the base ground,
The moisture sensing unit,
When the amount of moisture exposed per unit area exceeds a predetermined height, a variable resistance is formed,
a branch pin unit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sensing body unit and providing a voltage according to the variable resistance formed from the moisture sensing unit; and
Contains a plurality of traces to which unique addresses are assigned, yielding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of moisture exposure or water level,
The plurality of traces are,
It consists of multiple power traces and multiple detecting traces.
The plurality of power traces and the plurality of detecting traces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so that one detecting trace is interconnected for every two power traces among the plurality of power traces, and is interconnected according to moisture exposure,
The moisture sensing unit,
Variable resistance is generated from the left trace among the plurality of traces, and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the water level or water flow direction is obtained by confirming that the water level is rising from left to right based on the sensing body part.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possible multi-stag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유닛은,
상기 절토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토면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배리어부; 및
상기 절토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토면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배리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rrier unit is:
a first barrier portion disposed above the cut surface and covering the top of the cut surface; and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comprising a second barrier portion disposed below the cut surface and covering the lower part of the cut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유닛은,
상기 제1배리어부와 상기 제2배리어부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배리어부의 하부와 상기 제2배리어부의 상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팅(connect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rrier unit is: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first barrier part and the second barrier part, allowing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rri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arrier part to be interconnected. This is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level struct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유닛은,
상기 제2배리어부는 상기 제1배리어부보다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배리어부와 상기 제2배리어부는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절토면을 다단으로 커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rrier unit is:
The second barrier par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barrier part, and the first barrier part and the second barrier part form a predetermined step, so that the cut surface is covered in multiple stages,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This is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a multi-level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텐션 유닛은,
상기 센싱 유닛으로부터 산출된 상기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소정의 모이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공극으로 주입되는 상기 시멘트를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ntion unit is:
A multi-stage devic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th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injects the cement to be injected into the predetermined pore based on the predetermined moisture information to a preset height. Structure-based,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배리어부 또는 상기 제2배리어부 후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절토면으로부터 침투된 침투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버퍼 유닛(buffer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ystem:
A multi-stage capable of selective moisture measurement, further comprising a buffer unit selective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barrier portion or the second barrier portion to selectively block permeating water infiltrated from the cut surface. Structure-based,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KR1020230023173A 2023-02-21 2023-02-21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multi-step structure by selectively measuring of moisture KR1025968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173A KR102596812B1 (en) 2023-02-21 2023-02-21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multi-step structure by selectively measuring of mois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173A KR102596812B1 (en) 2023-02-21 2023-02-21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multi-step structure by selectively measuring of mois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812B1 true KR102596812B1 (en) 2023-11-01

Family

ID=8874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173A KR102596812B1 (en) 2023-02-21 2023-02-21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multi-step structure by selectively measuring of mois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812B1 (en)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592A (en) * 1996-09-13 1998-04-07 Taisei Corp Concrete retaining wall
KR20020002145A (en) * 2000-06-29 2002-01-09 성낙영 Block for Con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olidating Base for Containing Wall
KR20050012882A (en) * 2005-01-13 2005-02-02 황주연 Drainage structure of an incline area
KR100901993B1 (en) * 2008-02-25 2009-06-11 박태영 Retaining wall apparatus assembly using permanent anchor and concrete panel
KR20100027475A (en) * 2008-09-02 2010-03-11 (주)바이텍코리아 Device for measuring water content of soils
KR101032408B1 (en) * 2010-12-10 2011-05-03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cutting face through reinforcing execution and concrete block
KR101683611B1 (en) 2014-08-08 2016-12-07 (주)스마텍엔지니어링 Retaining Wall with Self-standing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KR20170107930A (en) * 2016-03-16 2017-09-26 시냅틱스 인코포레이티드 Moisture management
KR101821606B1 (en) 2017-04-06 2018-01-25 김만기 A stepped cutting posi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of a slop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90083466A (en) * 2018-01-04 2019-07-12 롯데건설 주식회사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15564B1 (en) 2019-07-10 2019-08-28 조영현 Panel-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h-pile and joint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18567B1 (en) 2018-12-26 2019-11-14 류현미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220060252A (en) * 2020-11-04 2022-05-11 김석환 Retaining grid system for sensing soil flow of inner space of slope cutting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592A (en) * 1996-09-13 1998-04-07 Taisei Corp Concrete retaining wall
KR20020002145A (en) * 2000-06-29 2002-01-09 성낙영 Block for Con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olidating Base for Containing Wall
KR20050012882A (en) * 2005-01-13 2005-02-02 황주연 Drainage structure of an incline area
KR100901993B1 (en) * 2008-02-25 2009-06-11 박태영 Retaining wall apparatus assembly using permanent anchor and concrete panel
KR20100027475A (en) * 2008-09-02 2010-03-11 (주)바이텍코리아 Device for measuring water content of soils
KR101032408B1 (en) * 2010-12-10 2011-05-03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cutting face through reinforcing execution and concrete block
KR101683611B1 (en) 2014-08-08 2016-12-07 (주)스마텍엔지니어링 Retaining Wall with Self-standing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KR20170107930A (en) * 2016-03-16 2017-09-26 시냅틱스 인코포레이티드 Moisture management
KR101821606B1 (en) 2017-04-06 2018-01-25 김만기 A stepped cutting posi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of a slop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90083466A (en) * 2018-01-04 2019-07-12 롯데건설 주식회사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18567B1 (en) 2018-12-26 2019-11-14 류현미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015564B1 (en) 2019-07-10 2019-08-28 조영현 Panel-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h-pile and joint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20060252A (en) * 2020-11-04 2022-05-11 김석환 Retaining grid system for sensing soil flow of inner space of slope cut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37379B2 (en)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US6089792A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US8789337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US6050749A (en) Concrete masonry unit for reinforced retaining wall
KR100886445B1 (en) Soil tank type land-side protection wall
KR102234513B1 (en)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US20030185634A1 (en) Synthetic deformed bars and retaining walls
CN211200426U (en) Anti-sliding supporting and retaining structure for miniature steel pipe pile retaining wall
KR101136240B1 (en) made of iron soil retaining plate and its support structure for form and retaining-wall vertical reinforcement
CN113417300A (en) Slope suppor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23290B1 (en) Abutment structure of bridge
US20030143038A1 (en) Multiple synthetic deformed bars and retaining walls
KR102490872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sile force of steel rod piles
KR102596812B1 (en)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ystem based on multi-step structure by selectively measuring of moisture
KR102617795B1 (en)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KR102116085B1 (en) A Eco-friendly retain wall structure
KR101117924B1 (en) Composite type steel temporary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570383B1 (en) System for retaining wall of self-supporting by using multi-step structure
KR102150531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223113Y1 (en) A structure preventing for bulging of retaining wall
WO1997034053A1 (en) Pre-cast concrete panel wall
US20140010599A1 (en) Retaining Module
KR102285192B1 (en) A Eco-friendly retain wall structure
CN212612541U (en) Slope toe reinforced structure
CN220550589U (en) Novel pile foundation joist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