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424B1 -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424B1
KR102391424B1 KR1020210089285A KR20210089285A KR102391424B1 KR 102391424 B1 KR102391424 B1 KR 102391424B1 KR 1020210089285 A KR1020210089285 A KR 1020210089285A KR 20210089285 A KR20210089285 A KR 20210089285A KR 102391424 B1 KR102391424 B1 KR 102391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s
block
reinforcing bar
block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곤
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담
Priority to KR102021008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69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ndscaping structure using expanded polystyrene (EPS) blocks, in which a stack structure of the EPS blocks has one surface on which a wall structure is formed, and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The landscap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PS block stack part formed by stacking first EPS blocks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ixation blocks which are spaced in front of the inclined surface, which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interfaces between the stacked first EPS blocks and to which coupling bolts are coupled; coupling members each of which couples a first lower EPS block, among the first EPS blocks forming the interfaces, to the fixation block by being combined with the coupling bolts; and a landscaping wall structure constructed by using concrete, including the fixation blocks therein, and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PS block stack part.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landscaping aesthetics.

Description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및 그의 시공 방법{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EPS(Expanded Poly-Styrene) 블록의 적층 구조체의 일면에 조경 벽체를 갖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dscap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having a landscape wall on one side of a laminated structure of expanded poly-styrene (EPS) blocks.

PS(Expanded Poly-Styrene) 블록은 초경량성, 친환경성, 내압축성, 시공성 및 자립성이 우수하여 토목 공법에 많이 활용되는 자재이다.PS (Expanded Poly-Styrene) block is a material widely used in civil engineering methods because of its excellent lightness, eco-friendliness, compression resistance, constructability and independence.

EPS 블록은 연약 지반이나 경사지 등의 상부 하중에 의한 침하나 측방 유동에 의한 구조물 변위가 우려되는 현장에 사용됨으로써 하중이나 토압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EPS blocks can be used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load or earth pressure by being used at sites where there is concern about structure displacement due to subsidence or lateral flow due to upper load such as soft ground or slopes.

예시적으로, EPS 블록은 연약 지반 또는 경사지의 성토, 옹벽의 뒷채움 또는 석가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석가산은 돌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산의 모양을 만든 구조물을 의미하며, EPS 블록은 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경량 성토 공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EPS block may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oft ground or slope filling, backfilling of retaining walls, or Mt. Here, Seokgasan refers to a structure artificially created in the shape of a mountain using stones, and the EPS block can be used to apply a lightweight fill method to form the mountain body.

이 중, 경사지나 석가산의 경우, 경사면을 보호하며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 벽체를 시공할 필요가 있다. Among them, in the case of a slope or Mt. Seokga,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landscaping wall to protect the slope and have landscaping beauty.

이 경우, 쇼크리트 시공과 같은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공법으로 조경 벽체가 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andscaping wall can be constructed by a method using concrete, such as for construction of shockcrete.

이때, 조경 벽체와 EPS 블록의 일체화가 필요하다.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landscaping wall and the EPS block.

그러나, EPS 블록은 재질의 특성 상 콘트리트 공법으로 시공되는 조경 벽체와 일체화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the EPS block has difficulty in integrating with the landscaping wall constructed by the concrete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EPS 블록의 적층으로 구성되는 EPS 블록 적층체의 경사면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조경 벽체가 쉽게 일체화될 수 있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ndscaping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which a landscaping wall constructed using concrete on the slope of an EPS block laminate composed of a stack of EPS blocks can be easily integrated.

본 발명의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는, EPS 블록들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며, 경사면을 갖는 EPS 블록 적층부; 상기 경사면의 앞쪽에 이격되고, 적층된 상기 EPS 블록들 사이의 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계면을 형성하는 상기 EPS 블록들 중 하부의 제1 EPS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 및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며, 상기 고정 블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EPS 블록 적층부의 상기 경사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조경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고정 블록을 향하는 수평판과 아래를 향하는 수직판을 가지며, 상기 수평판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관통구를 가지고, 상기 수직판은 상기 수평판의 저면이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과 접하도록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지지 형강; 양단이 아래를 향하도록 꺾인 ㄷ형 철근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형강을 하부에 수용하면서 양단이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 형강을 고정하는 고정 철근; 및 수평 철근과 아래를 향하는 수직 철근이 연결되며, 상기 수평 철근의 단부는 상기 고정 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 철근은 상기 고정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삽입되는 체결 철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landscape structure using the EPS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by stacking the EPS blocks, the EPS block stacking unit having a slope; a fixing block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inclined surface and configur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stacked EPS blocks;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a lower first EPS block and the fixing block among the EPS blocks forming the interface; and a landscape wall constructed using concrete, including the fixing block therein, and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PS block stacking unit; having a vertical plate facing toward Inserted support section; a fixed reinforcing bar consisting of a C-shaped reinforcing bar bent so that both ends face down, and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while accommodating the support section in the lower portion to fix the support section; And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and a downward vertical reinforcing bar are connected, the end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passes through the fixed through-hole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fastening reinforcing bar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그리고, 본 발명의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의 시공 방법은, 미리 설계된 면적의 지반의 상부에 미리 설정된 볼륨과 일측의 경사면을 갖도록 EPS 블록들을 적층함으로써 EPS 블록 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EPS 블록 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수직으로 적층되어 계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EPS 블록들 중 하부의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체결 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수평 철근이 경사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단계; 고정 블록을 상기 계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수평 철근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경사면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과 상기 경사면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고정 블록을 내부에 포함하는 조경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에 의해 상기 조경 벽체가 상기 EPS 블록 적층부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landscape structure using the EPS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n EPS block stack by stacking the EPS blocks to have a preset volume and a slope on one side on the top of the ground of a pre-designed area; In the step of forming the EPS block stacking part, a fastening member is config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rst EPS block among a pair of vertically stacked EPS blocks forming an interface, and the fastening member has horizontal reinforcing bars exposed on an inclined surface configured to be; fastening the fixing block and the fastening member by arranging the fixing block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terface and combining it with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nstalling a formwork to form a space including the fixing block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clined surface; and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inclined surface to form a landscape wall including the fixed block therein, wherein the landscape wall is laminated with the EPS block by fastening the fixed block and the fasten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bined with wealth.

본 발명은 EPS 블록들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는 EPS 블록 적층부의 경사면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조경 벽체가 EPS 블록에 구성된 체결 부재와 조경 벽체 내의 고정 블록 간의 체결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dscape wall constructed using concrete on the slope of the EPS block stacking part constituted by the stacking of EPS blocks can be integrated by fastening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constituted of the EPS block and the fixed block in the landscape wall.

그러므로, 본 발명은 EPS 블록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의 경사면에 조경 벽체를 쉽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effect of easily and safely constructing the landscape wall on the slope of the landscape structure using the EPS block.

또한, 본 발명의 EPS 블록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조경 벽체의 외면이 다양한 문양을 갖도록 시공될 수 있으므로 조경미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andscape structure using the EPS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landscape wall constructed using concrete has various patterns,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andscape beauty.

도 1은 본 발명의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에 해당하는 석가산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2는 EPS 블록 적층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도.
도 6은 콘크리트 타설 전 거푸집과 고정 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이 분리되는 것을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고정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도 3의 A에 해당하는 확대 단면도.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t. Seokga corresponding to a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PS block stacking uni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andscape structure using the EPS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ure 3;
5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rmwork and the fixing block are installed before concrete pourin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formwork is separated after pouring concrete.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 of FIG. 3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blo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may be

본 발명의 EPS 블록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는 연약 지반 또는 경사지의 성토, 옹벽의 뒷채움 또는 석가산 등을 위한 EPS 블록 적층부의 경사면에 조경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실시될 수 있다.The landscaping structure using the EPS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construct a landscaping wall on the slope of the EPS block stack for soft ground or sloping soil, backfilling of retaining walls, or Seokgasan.

본 발명에서 조경 벽체는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쇼크리트 시공에 의해 경사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경 벽체는 거푸집을 이용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dscaping wall may be formed to cover the slope by concrete construction using concret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dscape wall can be formed by pouring concrete using a formwork.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에 해당하는 석가산을 예시한 측단면도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t. Seokga corresponding to a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석가산(10)은 시공되기 전, 지반(100)의 터파기, 터파기된 지반(100) 상에 버팀 콘크리트층(102) 타설 및 철근 배설 후 기초 콘크리트층(104) 타설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후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콘크리트층(104)의 상부에 방수층(도시되지 않음)이 시공될 수 있다.In Figure 1, Seokgasan (10) before construction, excavation of the ground (100), pouring the support concrete layer (102) on the excavated ground (100) and pouring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104) after the reinforcing bar is sequentially poured It can be formed after proceeding to If necessary, a waterproofing lay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op of the concrete layer 104 .

석가산(10)은 EPS 블록(600)을 이용한 경량 성토 공법으로 형성된 산체(300)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석가산(10)의 산체(300)는 EPS 블록(600)에 의해 형성되는 석가산(10)의 골격으로 이해될 수 있다.Seokgasan 10 may have a mountain body 300 formed by a lightweight filling method using the EPS block 600 . The mountain body 300 of the above-mentioned Seokgasan 10 may be understood as a skeleton of the Seokgasan 10 formed by the EPS block 600 .

EPS 블록들(600)로 산체(300)를 형성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A method of forming the body 300 from the EPS blocks 600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EPS 블록들(6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미리 설정된 면적을 커버하도록 인접한 EPS 블록들이 접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고 반복하여 다층으로 적층됨으로써 미리 설계된 볼륨의 산체(300)를 구성한다.The EPS blocks 600 are horizontally arranged so that adjacent EPS block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ver a preset area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are repeatedly stacked in multiple layers to form a pre-designed volume body 300 .

수평으로 인접하거나 수직으로 인접한 EPS 블록들(600)은 고정핀(610)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Horizontally adjacent or vertically adjacent EPS blocks 600 may be fastened using a fixing pin (610).

고정핀(610)은 양단이 꺾인 ㄷ 형의 철근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각 고정핀(610)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인접한 EPS 블록들(600)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누름에 의해 양단이 인접한 EPS 블록들(600)에 삽입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The fixing pin 610 may be understood as using a C-shaped reinforcing bar with both ends bent. Illustratively, each fixing pin 610 may be installed by being disposed to span horizontally or vertically adjacent EPS blocks 600 and being inserted at both ends into adjacent EPS blocks 600 by pressing.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인접한 EPS 블록들(6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핀(610)에 의해이 체결될 수 있다.Horizontally or vertically adjacent EPS blocks 600 may be fastened by one or a plurality of fixing pins 610 .

상기와 같이 조립된 EPS 블록들(600)에 의해 구성된 산체(300)의 상부와 측면은 미리 설정된 두께로 흙을 성토함으로써 마무리될 수 있다.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mountain body 300 constituted by the EPS blocks 600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inished by filling the soil to a preset thickness.

석가산의 산체(300)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산체(300)의 경사면은 조경을 위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경사면에 조경 벽체(200)가 형성될 수 있다.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ntain body 300 of Mt. Seokga. The slope of the mountain body 300 may be provided for landscaping, and the landscaping wall 200 may be formed on the slope.

조경 벽체(200)의 하부의 지반(100)은 석가산(10)의 산체(300)를 위한 것보다 더 깊게 터파기 될 수 있다. 조경 벽체(200) 하부의 터파기, 버팀 콘크리트층(102) 타설 및 기초 콘크리트층(104)은 예시된 것일 뿐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조경 벽체(200)의 하부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ground 100 of the lower part of the landscaping wall 200 may be dug deeper than for the mountain body 300 of Mt. Seokga (10). The excava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landscaping wall 200, the pouring of the supporting concrete layer 102 and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104 are merely examples, and the lower structure of the landscaping wall 20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본 발명의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의 실시예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a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본 발명의 실시예는 EPS 블록 적층부(300), 고정 블록(220), 체결 부재(700) 및 조경 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 the fixing block 220 , the fastening member 700 and the landscaping wall 200 .

EPS 블록 적층부(300)는 도 1 및 도 2의 적층된 블록들(600)에 의해 형성된 석가산(10)의 산체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이하 EPS 블록 적층부(300)는 산체와 동일한 인용부호 "30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corresponds to the body of the Seokgasan 10 formed by the stacked blocks 600 of FIGS. 1 and 2 . Therefore, hereinafter,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 "300" as the sanche.

EPS 블록 적층부(300)는 미리 설계된 면적의 지반의 상부에 미리 설정된 볼륨과 일측의 경사면을 갖도록 EPS 블록들(600)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며, 일측에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is configured by stacking the EPS blocks 600 to have a preset volume and an inclined surface on one side on the top of the ground of a pre-designed area, and is configur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on one side.

EPS 블록 적층부(300)에서, 경사면은 적층된 EPS 블록들(600)이 노출되는 측면을 의미하며, 경사면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수직 등의 기울기를 갖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을 위하여 수직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한 경사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조경 벽체(200)도 수직 등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 the inclined surface means the side to which the stacked EPS blocks 600 are exposed, and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to have a vertical or the like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as having a vertically inclined surface for explanation. The landscaping wall 200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above-described inclined surface may also be formed to have a vertical inclination.

상기와 같이 EPS 블록 적층부(30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수직으로 적층되어 계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EPS 블록들(600a, 600b) 중 하부의 EPS 블록(600a)의 상면에 체결 부재(7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체결 부재(700)는 후술하는 수평 철근(744)이 경사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In the step of forming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member 7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PS block 600a at the bottom of the pair of EPS blocks 600a and 600b that are vertically stacked to form the interface ) is formed. And, the fastening member 700 is configured such that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744 to be described later is exposed to the inclined surface.

그 후, 고정 블록(220)이 체결 부재(700)와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블록(220)은 체결 부재(700)와 체결을 위해서 체결 볼트(222)를 구비한다. 즉, 체결 볼트(222)가 결합된 고정 블록(220)이 한 쌍의 EPS 블록들(600a, 600b)의 계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체결 볼트(222)와 체결 부재(700)의 수평 철근(744)을 결합함으로써 고정 블록(220)과 체결 부재(700)가 체결될 수 있다.After that, the fixing block 220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700 . The fixing block 220 includes a fastening bolt 222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member 700 . That is, the fixing block 220 to which the fastening bolt 222 is coupled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terface of the pair of EPS blocks 600a and 600b, and the fastening bolt 222 and the fastening member 700 are horizontal. By combining the reinforcing bar 744, the fixing block 220 and the fastening member 700 may be fastened.

체결 부재(700)는 EPS 블록 적층부(300)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 중에 EPS 블록들(600)을 적층하면서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 부재(700)가 구성된 후 고정 블록(220)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그 후 조경 벽체(200)가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700 may be configured while stacking the EPS blocks 600 during the step of forming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and after the fastening member 700 is configured, the fixing block 22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and then the landscape wall 200 can be constructed.

체결 부재(700)는 상기와 같이 경사면에 노출되며 상하 적층에 의해 계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EPS 블록들(600a, 600b) 사이에 구성된다. 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계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EPS 블록들 중, 하부의 EPS 블록은 "600a"로 설명하고, 상부의 EPS 블록은 "600b"로 설명한다.The fastening member 700 is configured between a pair of EPS blocks 600a and 600b that are exposed to the inclined surface as described above and form an interface by stacking up and down. For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mong the pair of EPS blocks forming the interface, the lower EPS block will be described as "600a", and the upper EPS block will be described as "600b".

즉, 체결 부재(700)는 계면을 형성하는 상부와 하부의 EPS 블록들(600a, 600b) 중 하부의 EPS 블록(600b)와 고정 블록(220)을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체결 부재(700)는 고정 블록(220)의 체결 볼트(222)와 결합된다. That is, the fastening member 700 is configured to fasten the lower EPS block 600b and the fixing block 220 among the upper and lower EPS blocks 600a and 600b forming an interface. To this end, the fastening member 70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bolt 222 of the fixing block 220 .

그리고, 고정 블록(220)은 EPS 블록 적층부(300)의 경사면의 앞쪽에 이격되고, 적층된 EPS 블록들(600) 사이의 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체결 볼트(222)가 결합된다.And, the fixing block 220 is spaced apart in front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is configur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stacked EPS blocks 600, and the fastening bolt 222 is coupled. .

고정 블록(220)은 콘크리트 블록이나 가공석과 같이 볼륨을 갖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block 2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volume, such as a concrete block or a work stone.

고정 블록(220)은 체결 볼트(222)의 일단이 삽입 가능한 홈을 갖도록 구성되며, 체결 볼트(222)는 일단이 고정 블록(220)의 홈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block 220 is configured to have an insertable groove at one end of the fastening bolt 222 , and one end of the fastening bolt 222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groove of the fastening block 220 .

체결 볼트(222)는 앙카 볼트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 블록(220)의 홈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고착제가 체결 볼트(222)가 삽입된 고정 블록(220)의 홈에 채워질 수 있다.The fastening bolt 222 may be configured as an anchor bolt and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ove of the fixing block 220 . If necessary, a fixing agent may be filled in the groove of the fixing block 220 into which the fastening bolt 222 is inserted.

그리고, 조경 벽체(200)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며, 고정 블록(220)을 내부에 포함하고 EPS 블록 적층부(300)의 경사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landscaping wall 200 is constructed using concrete, and includes a fixing block 220 therein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

상기한 구성에서, 체결 부재(700)는 지지 형강(720), 고정 철근(730) 및 체결 철근(7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체결 부재의 구성은 도 5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astening member 7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ing section steel 720 , a fixed reinforcing bar 730 , and a fastening reinforcing bar 740 .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5 .

지지 형강(720)은 고정 블록(220)을 향하는 수직판(724)과 아래를 향하는 수평판(722)이 연결된 ㄱ형 형강으로 구성된다. 수평판(722)은 수직판(724)으로부터 고정 블록(220)을 향하여 연장된 폭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관통구(726)를 가지고, 수직판(724)은 수평판(722)의 저면이 EPS 블록(600a)의 상면과 접하도록 EPS 블록(600a)의 상면에 수직으로 삽입된다.The support beam 720 is composed of a vertical plate 724 facing the fixing block 220 and a horizontal plate 722 facing downward is connected to the L-shaped steel. The horizontal plate 722 has a width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late 724 toward the fixing block 220 and at least one fixing through hole 726, and the vertical plate 724 has a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722 EPS. It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EPS block 600a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600a.

고정 철근(730)은 양단이 아래를 향하도록 꺾인 ㄷ 형 철근으로 구성된다. 고정 철근(730)은 지지 형강(720)을 양단 사이의 하부에 수용하면서 양단이 EPS 블록(600a)의 상면에 삽입됨으로써 지지 형강(72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The fixed reinforcing bar 730 is composed of a C-shaped reinforcing bar bent so that both ends face downward. The fixed reinforcing bar 730 is configured to fix the support section steel 720 by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EPS block 600a at both ends while receiving the support section steel 720 in the lower portion between both ends.

그리고, 체결 철근(740)은 수평 철근(744)과 아래를 향하는 수직 철근(742)이 연결된 ㄱ형 철근으로 구성된다. 수평 철근(744)은 수평으로 연장되어서 단부가 체결 볼트(222)와 결합되고, 수직 철근(742)은 지지 형강(720)의 고정 관통구(726)를 관통하여 EPS 블록(600a)의 상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And, the fastening reinforcing bar 740 is composed of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744 and a downward-facing vertical reinforcing bar 742 are connected to the L-shaped reinforcing bar.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744 extends horizontally so that the end is coupled with the fastening bolt 222,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742 penetrates the fixed through-hole 726 of the support beam 72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PS block 600a. configured to be inserted.

체결 철근(740)의 수평 철근(744)의 단부가 체결 볼트(222)의 단부와 마주하게 된다. 수평 철근(744)의 단부와 체결 볼트(222)의 단부는 맞닿도록 배치된 후 용접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선이음될 수 있다.The end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744 of the fastening reinforcing bar 740 faces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222 . The end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744 and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222 may be line-joined by being coupled by welding after being disposed to abut.

체결 부재(700)의 지지 형강(720), 고정 철근(730) 및 체결 철근(740)이 EPS 블록(600a)에 고정되기 위하여, EPS 블록(600a)의 상면에는 지지 형강(720)의 수직판(724)이 삽입 및 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지지 채널(610), 체결 철근(740)의 수직 철근(742)이 삽입되는 체결 홈(630) 및 고정 철근(730)의 양단이 삽입되는 고정 홈(620)들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support section steel 720, the fixed reinforcing bar 730, and the fastening rebar 740 of the fastening member 700 to be fixed to the EPS block 600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PS block 600a, a vertical plate of the support section steel 720 A support channel 610 of a predetermined length into which 724 is inserted and fixed, a fastening groove 630 into whic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742 of the fastening reinforcing bar 740 is inserted, and a fixed groove into which both ends of the fixed reinforcing bar 730 are inserted ( 620) may be formed.

상술한 체결 부재(700)와 고정 블록(220)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와 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체결 부재(700)와 고정 블록(220)은 EPS 블록들(600)이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각 층의 계면마다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member 700 and the fixing block 220 may be installed positions and number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700 and the fixing block 220 is EPS blocks (600) It can be configured for each interface of each layer formed by this lamination.

상술한 바에 의해, 고정 블록(220)은 체결 부재(700)에 의해 EPS 블록 적층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block 220 may be coupled to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by the fastening member 700 .

상기한 고정 블록(220)은 조경 벽체(200)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고정 블록(220)은 조경 벽체(200)와 EPS 블록 적층부(300)을 결합하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The fixing block 220 is located inside the landscape wall 200 . Therefore, the fixing block 220 may act as a medium for coupling the landscape wall 200 and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

상기와 같이 고정 블록(220)이 체결 부재(700)에 의해 EPS 블록 적층부(300)와 결합된 후 도 6과 같이 거푸집(400)이 설치될 수 있다. 거푸집(400)은 EPS 블록 적층부(300)의 경사면과 이격된 위치에 고정 블록(220)을 포함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fter the fixing block 220 is coupled to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by the fastening member 700 as described above, the formwork 400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6 . The formwork 400 may be installed to form a space including the fixing block 2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

거푸집(400)을 시공하는 경우, 철망(230)이 거푸집(400)과 EPS 블록 적층부(300)의 경사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When constructing the formwork 400 , the wire mesh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ormwork 40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

즉, 도 6과 같이, 철망(230)은 고정 블록(220)을 체결 부재(700)에 결합한 후 설치될 수 있으며, 거푸집(400)은 철망(230)이 설치된 후 설치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6 , the wire mesh 230 may be installed after coupling the fixing block 220 to the fastening member 700 , and the formwork 400 may be installed after the wire mesh 230 is installed.

철망(230)은 통상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조경 벽체(200)를 시공하는 경우 철망(230)도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wire mesh 230 may be understood as for ordinary concrete pouring, and when the landscape wall 200 is vertically constructed, the wire mesh 230 may also be installed vertically.

그리고, 고정 블록(220)은 위치의 고정을 위하여 철망(230)과 더 결합될 수 있다. And, the fixing block 22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wire mesh 230 for fixing the position.

도 6과 같이, 고정 블록(222)이 EPS 블록(600a)과 체결되고 철망(230) 및 거푸집(400)이 설치된 후, 거푸집(400)과 EPS 블록 적층부(300)의 경사면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조경 벽체(200)가 형성될 수 있다.6, after the fixing block 222 is fastened with the EPS block 600a and the wire mesh 230 and the formwork 400 are installed, the concrete is placed between the formwork 400 and the slope of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By pouring, the landscape wall 200 may be formed.

조경 벽체(200)는 고정 블록(220)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형성된다.The landscape wall 200 is formed to include the fixing block 220 therein.

도 7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조경 벽체(200)를 형성한 후 거푸집(400)을 제거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formwork 400 is removed after the landscaping wall 200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만약, 쇼크리트 시공에 의해 조경 벽체(200)를 시공하는 경우, 체결 부재(700)에 의해 고정 블록(222)이 EPS 블록(600a)과 체결되고, EPS 블록 적층부(300)의 경사면에 철망(230)이 설치되며, 그 후 EPS 블록 적층부(300)의 경사면에 쇼크리트가 분사됨으로써 조경 벽체(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쇼크리트는 철망(230)과 고정 블록(222)이 노출되지 않을 충분한 두께로 조경 벽체(200)가 형성될 수 있는 양으로 분사됨이 바람직하다.If, when constructing the landscaping wall 200 by the shockcrete construction, the fixing block 222 is fastened to the EPS block 600a by the fastening member 700, and the wire mesh on the slope of the EPS block stacking part 300 230 is installed, and then the landscaping wall 200 may be formed by spraying shockcrete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 At this time, the shockcrete is preferably sprayed in an amount that can form the landscaping wall 200 to a sufficient thickness that the wire mesh 230 and the fixing block 222 are not exposed.

상기와 같이 조경 벽체(200)가 시공될 수 있으며, 조경 벽체(200)는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 조경을 위한 문양이나 패턴을 가질 수 있다.The landscaping wall 200 may b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landscaping wall 200 may have a pattern or pattern for landscaping on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거푸집(400)은 문양이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쪽으로 볼록한 문양이나 패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ormwork 4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onvex pattern or pattern toward which concrete is poured to form a pattern or pattern.

그러므로, 거푸집(400)을 제거하면 거푸집(400)의 문양이나 패턴이 조경 벽체(200)의 외부 노출 면에 표현될 수 있다. 이때, 문양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조경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그리드 형상, 사선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ormwork 400 is removed, the pattern or pattern of the formwork 400 may be expressed on the externally exposed surface of the landscaping wall 200 . In this case, the pattern may be variously formed in a grid shape, an oblique shape, etc. for improving the landscape beaut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 블록(220)과 체결 볼트(222)는 도 8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lock 220 and the fastening bolt 222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8 .

도 8에서, 고정 블록(220)은 체결 볼트(222)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볼트(222)는 양단에 나사가 형성되고 관통구에 삽입된 후 양단에 체결되는 너트들(224)에 의해서 고정 블록(220)에 결합되며 일단이 체결 철근(740)의 수평 철근(744)과 결합된다.In FIG. 8 , the fixing block 2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222 can pass. Then, the fastening bolt 222 is coupled to the fixing block 220 by nuts 224 fastened at both ends after screws are formed at both ends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one end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 744) is combined.

이때, 체결 철근(740)의 수평 철근(744)의 단부가 체결 볼트(222)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후 용접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선이음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744 of the fastening reinforcing bar 74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222 and then joined by welding by being joined.

고정 블록은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예시하고 있으나, 체결 철근(740)의 수평 철근(744)의 단부에 결합 가능한 다양한 구성을 갖도록 실시될 수 있다.The fixing block is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8 , but may be implemented to have various configurations that can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744 of the fastening reinforcement 740 .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EPS 블록 적층부(300)의 경사면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조경 벽체(200)가 EPS 블록에 구성된 체결 부재(700)와 조경 벽체(200) 내의 고정 블록(220) 간의 체결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block in the landscaping wall 200 constructed using concrete on the slope of the EPS block stacking unit 3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fastening member 700 and the landscaping wall 200 composed of the EPS block. It can be integrated by fastening between 220 .

그러므로, 본 발명은 EPS 블록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의 경사면에 조경 벽체를 쉽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effect of easily and safely constructing the landscape wall on the slope of the landscape structure using the EPS block.

또한, 본 발명의 EPS 블록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조경 벽체의 외면이 다양한 문양을 갖도록 시공될 수 있으므로 조경미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andscape structure using the EPS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landscape wall constructed using concrete has various patterns,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andscape beauty.

Claims (15)

EPS 블록들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며, 경사면을 갖는 EPS 블록 적층부;
상기 경사면의 앞쪽에 이격되고, 적층된 상기 EPS 블록들 사이의 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계면을 형성하는 상기 EPS 블록들 중 하부의 제1 EPS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 및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블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EPS 블록 적층부의 상기 경사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조경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고정 블록을 향하는 수평판과 아래를 향하는 수직판을 가지며, 상기 수평판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관통구를 가지고, 상기 수직판은 상기 수평판의 저면이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과 접하도록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지지 형강;
양단이 아래를 향하도록 꺾인 ㄷ형 철근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형강을 하부에 수용하면서 양단이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 형강을 고정하는 고정 철근; 및
수평 철근과 아래를 향하는 수직 철근이 연결되며, 상기 수평 철근의 단부는 상기 고정 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 철근은 상기 고정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삽입되는 체결 철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Constructed by the stacking of EPS blocks, the EPS block stacking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a fixing block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inclined surface and configur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stacked EPS blocks;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a lower first EPS block and the fixing block among the EPS blocks forming the interface; and
It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and includes the fixed block therein, and a landscape wall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PS block lamination part;
The fastening member is
and a horizontal plate facing the fixing block and a vertical plate facing downward, the horizontal plate having at least one fixing through hole, and the vertical plate having a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a support beam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A fixed reinforcing bar consisting of a C-shaped reinforcing bar bent so that both ends face down, and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while accommodating the support section in the lower portion to fix the support section; and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and a downward-facing vertical reinforcing bar are connected,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penetrates the fixed through-hole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제1 항에 있어서,
체결 볼트가 상기 고정 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 부재의 상기 수평 철근은 상기 체결 볼트와 결합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A fastening bolt is coupled to the fixing block,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of the fastening member is a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coupled to the fastening bol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체결 볼트의 일단이 삽입 가능한 홈을 가지며,
상기 체결 볼트는 일단이 상기 홈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 블록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수평 철근과 결합되는 앙카 볼트로써 구성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block has a groove into which one end of the fastening bolt can be inserted,
The fastening bolt is coupled to the fixing block by being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ove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a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configured as an anchor bolt that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체결 볼트는 양단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후 양단에 체결되는 너트들에 의해서 상기 고정 블록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수평 철근과 결합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block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can pass,
The fastening bolt is a landscaping structure using EPS blocks in which screws are formed at both end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n coupled to the fixing block by nuts fastened at both ends,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와 상기 수평 철근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들이 맞닿도록 배치된 후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bolt a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are landscaping structures using EPS blocks that are coupled by welding after the opposite ends are arranged to abu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콘크리트 블록 또는 가공석으로써 구성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block is a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composed of concrete blocks or processed ston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 벽체의 타설을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망이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경사면 사이에 더 구성되며,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철망과 더 결합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A wire mesh installed vertically for pouring the landscape wall is further configured between the fixed block and the inclined surface,
The fixed block is a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that are further combined with the wire mesh.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EPS 블록은 상기 지지 형강의 상기 수직판이 삽입 및 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지지 채널, 상기 체결 철근의 상기 수직 철근이 삽입되는 체결 홈 및 상기 고정 철근의 양단이 삽입되는 고정 홈들이 상면에 형성된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PS block has a support channel of a predetermined length into which the vertical plate of the support section is inserted and fixed,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of the fastening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fixed grooves into which both ends of the fixed reinforcing bar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EPS 블록들이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각 층의 계면마다 구성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block and the fastening member is a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configured for each interface of each layer formed by stacking the EPS block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 벽체는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블록이 제1 EPS 블록과 체결된 후 설치되는 거푸집과 상기 경사면 사이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에 의해 상기 EPS 블록 적층부와 결합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landscape wall is formed by pouring the concrete between the formwork installed after the fixing block is fastened with the first EPS block by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EPS block by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block and the fastening member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combined with laminates.
미리 설계된 면적의 지반의 상부에 미리 설정된 볼륨과 일측의 경사면을 갖도록 EPS 블록들을 적층함으로써 EPS 블록 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EPS 블록 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수직으로 적층되어 계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EPS 블록들 중 하부의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체결 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수평 철근이 경사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단계;
고정 블록을 상기 계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수평 철근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경사면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과 상기 경사면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고정 블록을 내부에 포함하는 조경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에 의해 상기 조경 벽체가 상기 EPS 블록 적층부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시공 방법.
Forming an EPS block stacking unit by stacking EPS blocks to have a preset volume and a slope on one side on top of the ground of a pre-designed area;
In the step of forming the EPS block stacking unit, a fastening member is config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rst EPS block among a pair of vertically stacked EPS blocks forming an interface, and the fastening member has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exposed on an inclined surface configured to be;
fastening the fixing block and the fastening member by arranging the fixing block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terface and combining it with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nstalling a formwork to form a space including the fixing block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clined surface; and
Containing;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inclined surface to form a landscape wall including the fixed block therein;
A landscap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EPS blo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ndscaping wall is combined with the EPS block stacking unit by the fastening of the fixing block and the fastening memb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체결 볼트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 볼트를 통하여 상기 체결 부재의 상기 수평 철근과 결합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xing block is coupled with a fastening bolt, and a landsca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EPS blocks that are coupl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of the fastening member through the fastening bol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고정 블록을 향하는 수평판과 아래를 향하는 수직판을 가지며 상기 수평판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관통구를 갖는 지지 형강을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설치하며, 상기 수평판의 저면이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과 접하도록 상기 수직판을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수직으로 삽입하는 단계;
양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꺾인 ㄷ형 철근으로 구성되는 고정 철근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형강을 고정하며, 상기 고정 철근을 상기 지지 형강을 하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양단을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삽입하는 단계;
수평 철근과 아래를 향하는 수직 철근이 연결된 체결 철근을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삽입하며, 상기 수평 철근은 일단이 상기 경사면에 노출되며 상기 고정 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 철근은 상기 고정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EPS 블록의 상면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A support section having a horizontal plate facing the fixing block and a vertical plate facing downward and having at least one fixing through hole in the horizontal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is the first vertically inserting the vertical plate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PS block;
Fixing the support section using a fixed reinforcing bar composed of a C-shaped reinforcing bar bent so that both ends face downward, and inserting the both ends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while accommodating the fixed reinforcing bar in the lower portion ;
A fastening reinforcing bar connected with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and a downward-facing vertical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one end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exposed to the inclined surface and coupled to the fixed block,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is the fixed through-hole A landscap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EPS blocks, including; inserting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S block through th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 벽체의 타설을 위하여 수직으로 철망이 더 설치되고,
상기 철망에 상기 고정 블록이 더 결합되며,
상기 철망과 상기 고정 블록이 구성된 후 상기 거푸집 설치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이 수행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 wire mesh is further installed vertically for pouring the landscape wall,
The fixed block is further coupled to the wire mesh,
A landscap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EPS blocks in which the formwork installation and the concrete pouring are performed after the wire mesh and the fixing block are configure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EPS 블록들이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각 층의 계면마다 구성되는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xing block and the fastening member is a landscap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EPS blocks configured for each interface of each layer formed by stacking the EPS blocks.
KR1020210089285A 2021-07-07 2021-07-07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3914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285A KR102391424B1 (en) 2021-07-07 2021-07-07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285A KR102391424B1 (en) 2021-07-07 2021-07-07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424B1 true KR102391424B1 (en) 2022-04-27

Family

ID=8139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285A KR102391424B1 (en) 2021-07-07 2021-07-07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42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471A (en) * 1993-07-23 1995-02-03 Taisei Kiso Sekkei Kk Suspended wall typ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in lightweight filling construction method
KR20050041796A (en) * 2003-10-31 2005-05-04 홍건영 Reinforced retainaing wall
KR20130043315A (en) * 2011-10-20 2013-04-30 주식회사 에코밸리 The landscape garden with a famous mountain using falls, rock, tree, plants and method constructing the garden therewith
KR102067923B1 (en) * 2019-01-04 2020-01-17 신동헌 an artificial hill structru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471A (en) * 1993-07-23 1995-02-03 Taisei Kiso Sekkei Kk Suspended wall typ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in lightweight filling construction method
KR20050041796A (en) * 2003-10-31 2005-05-04 홍건영 Reinforced retainaing wall
KR20130043315A (en) * 2011-10-20 2013-04-30 주식회사 에코밸리 The landscape garden with a famous mountain using falls, rock, tree, plants and method constructing the garden therewith
KR102067923B1 (en) * 2019-01-04 2020-01-17 신동헌 an artificial hill structru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121B1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US6416260B1 (en)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KR101640795B1 (en) Furlable earth retaining structure for provisional faciliti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5983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basic construction of buildings
US6050749A (en) Concrete masonry unit for reinforced retaining wall
KR101419863B1 (en) Pc panel needless of concrete forms using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step retaining wall for slope reinforcement
KR20160006924A (en) Concrerte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20190083466A (en)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24231B1 (en) Soil cement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101254145B1 (en) Gravity type concrete precast modular retaining wall utilizing shear key and connected steel ba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902791B1 (en)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steel pile and under ground structure therewith
KR102391424B1 (en)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046803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for using Anchoring
KR20080025219A (en) Underground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deck-plate and deck-plate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outer wall
KR102395328B1 (en) Embank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panel
KR102391434B1 (en)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30073577A (en) Sheet pile combined modular bridge abut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146757B1 (en) Stackable retaining wall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5068710A (en) Form block for wall, and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bterranean structure
KR102190522B1 (en) A constructure method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t
KR102399378B1 (en) Stone wall structure for artificial hill
KR101328027B1 (en) Cutting the ground area breast wall and slant safe-guard structure
KR100372313B1 (en) Process for Constructing Containg Wall with Blocks
KR200428941Y1 (en) Strut system of temporary retaining wall
KR19990021988U (en) Block for breast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