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892A - 국수 자동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국수 자동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892A
KR20190081892A KR1020170184734A KR20170184734A KR20190081892A KR 20190081892 A KR20190081892 A KR 20190081892A KR 1020170184734 A KR1020170184734 A KR 1020170184734A KR 20170184734 A KR20170184734 A KR 20170184734A KR 20190081892 A KR20190081892 A KR 20190081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
unit
supply unit
heat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508B1 (ko
Inventor
장두권
Original Assignee
(주)광동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동플랜트 filed Critical (주)광동플랜트
Priority to KR102017018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5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수 자동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국수가 수용되는 국수호퍼 및 상기 국수호퍼로부터 국수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국수공급부, 가열본체 및 상기 가열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국수공급부의 이송수단을을 통해 국수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용기를 포함하는 국수가공부, 상기 가열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용기에서 가공된 국수를 전달받아 세척하는 국수세척부, 상기 국수가공부 및 국수세척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일측에서 타측으로 용기를 이송하여 상기 국수세척부로부터 반출되는 국수를 전달받는 용기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물공급부는 온수공급부 및 냉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온수공급부는 상기 국수가공부에 온수를 공급하며, 상기 냉수공급부는 상기 국수세척부에 냉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미가공된 국수를 조리하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이다.

Description

국수 자동 조리 장치{Automatic noodle cooker}
본 발명은 국수 자동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면의 공급부터 삶는 과정과 용기에 담는 것까지 자동화하여 많은 사용자들에게 빠른 시간에 가공된 면을 제공할 수 있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이다.
국수는 일반적으로 면이라고 불리며, 밀, 메밀 및 감자 등의 재료를 통해 반죽을 하고, 반죽을 가늘고 길게 뽑은 식품을 통칭한다. 이러한 국수는 만드는 방법이나 재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만들어진 국수는 국물에 말거나 비벼 먹는 등 여러 조리법을 통해 사람들이 맛 볼 수 있게 제공되고 있다.
이때 이와 같은 국수를 사람들이 섭취하기 위해서는, 먼저 끓는 물에 건조된 면을 넣고 삶은 뒤에 기호에 맞게끔 양념이나 국수를 부어내는 작업을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조리자가 주문을 받으면 즉석으로 수기로 상기한 과정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이 모든 조리를 사람이 직접 수행함에 따라, 사람들이 국수를 먹기 위해서는 조리자가 항상 대기하고 있어야 하며, 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경우에는 한정적 인원으로 조리할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 상호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169호("면종류 음식용 자판기")에서는 조리자가 현장에 있지 않아도 국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자판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판기 상에서 면종류 음식물 판매와 냉온수 배출 기능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사용자가 자판기에서 국수를 구매하여 즉석에서 스스로 조리하도록 할 수 있게끔 제공된다. 하지만 위와 같이 기술은 결과적으로 소비자가 직접 조리해야 하기에, 국수 제공 과정을 자동화한 것이라 보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국수 조리 과정을 보다 연속적으로 자동화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7572호("국수 조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장치본체(1), 덮개부(2), 국물준비대(3), 국물공급수단(4), 조리대(5) 및 제어반(6)으로 구성되어 국수를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게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기술은 건조된 면을 삶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상기 국물공급수단(4)에서 물이 공급되고 조리대(5)에서 면을 삶도록 사용을 한다고 가정하여도, 면수를 배출하고 삶아진 면을 헹굴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지 않았기에 올바른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169호("면종류 음식용 자판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7572호("국수 조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가공 전의 국수를 공급하고, 국수를 삶는 과정과, 삶아진 국수를 세척하는 과정이 모두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하면서 연속적으로 조리가 가능한 국수 자동 조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국수 자동 조리 장치는, 내부에 국수가 수용되는 국수호퍼 및 상기 국수호퍼로부터 국수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국수공급부; 가열본체 및 상기 가열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국수공급부의 이송수단을 통해 국수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용기를 포함하는 국수가공부; 상기 가열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용기에서 가공된 국수를 전달받아 세척하는 국수세척부; 상기 국수가공부 및 국수세척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일측에서 타측으로 용기를 이송하여 상기 국수세척부로부터 반출되는 국수를 전달받는 용기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물공급부는 온수공급부 및 냉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온수공급부는 상기 국수가공부에 온수를 공급하며, 상기 냉수공급부는 상기 국수세척부에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국수공급부는 상기 이송수단의 일단에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이송된 국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국수가공부는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가열본체의 상면 일부가 개구되어 배출구로부터 국수가 반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수공급부는 상기 배출구 및 가열본체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 및 가열본체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국수공급부는 상기 이송수단 및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이송수단의 하측에 배치되되 타단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면서 일단에서 타단 사이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된 격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국수공급부는, 상기 이송수단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이송수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국수호퍼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이송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국수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는 상기 국수호퍼의 하단의 국수배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인입홈 및 상기 배출구로 국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상기 가열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중심샤프트를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열용기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본체는 공급되는 국수가 상기 가열용기 내부에 인입되도록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되, 상면의 일부와 타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과 대향하는 하면이 상기 국수세척부의 상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수가공부는, 상기 가열본체의 상면 개구부의 타 방향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프레스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공급부는 상기 프레스부와 연결되는 제1냉수관 및 상기 국수세척부와 연결되는 제2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국수가공부는 상기 가열본체의 내측 하면과 상기 가열용기의 하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국수세척부는 상부가 상기 국수가공부와 연결되는 세척본체 및 상기 세척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국수가공부로부터 낙하된 국수를 전달받는 세척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드럼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전후방향을 관통하여 샤프트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본체, 상기 회전본체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국수인입홈, 상기 국수인입홈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국수반출홈 및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국수인입홈과 대칭되는 회전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배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척드럼은 상기 제1배수홈의 타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배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국수 자동 조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종래의 조리자가 국수를 삶거나 건져내거나 헹구는 작업 등을 모두 자동화하였기 때문에, 조리자가 현장에 없어도 소비자가 원하는 시점에 국수를 제공받을 수 있어 보다 편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가열용기(221)를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국수를 조리함과 더불어서, 국수가공부 및 국수세척부가 연속적으로 조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시간의 절감이 이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혁신적이면서 경제적인 국수 자동 조리 장치를 소비자들에게 공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면종류 음식용 자판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국수 조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공급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공급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공급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가공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가공부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공급부와 국수가공부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공급부와 국수가공부의 일부를 분해한 전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내부 투영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세척부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세척부의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세척부의 작동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전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3은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전체 사시도를, 도 4는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국수 자동 조리 장치는 국수공급부(100), 국수가공부(200), 국수세척부(300), 물공급부(400) 및 용기이송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국수공급부(100)는 국수호퍼(110) 및 이송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국수호퍼(110)는 삶지 않은 상태의 국수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측으로 국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120)은 상기 국수호퍼(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공급된 국수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타측은 상기 국수가공부(200)로 향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송수단(120)의 타측에는 보다 세밀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배출구(130)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상기 국수공급부(100)로부터 이송된 국수가 인입되면, 내부에서 상기 국수를 삶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별도의 가열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가열수단은 저항가열, 아크가열, 유도가열 등의 전열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직접 열로 가열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기레인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국수가공부(200)에는 전기 전도성이 높은 물질이 내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공간에 물공급부(400)가 연결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된 물은 가열되어 섭씨 80~100도 사이로 유지될 수 있으며, 국수가 인입되면 일정시간 동안 삶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삶아진 국수는 상기 국수세척부(300)로 배출된다.
상기 국수세척부(300)는 삶아진 국수가 국수가공부(200)로부터 공급되면, 상기 국수에 남아있는 전분 등을 세척함과 더불어 보다 탱글탱글한 면발을 만들기 위해서 냉수로 세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온수로 세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국수세척부(300)에서 반출된 국수는 용기에 담겨져 사용자에게 전달되거나 별도의 장치로 이송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용기이송부(500)가 용기를 상기 국수세척부(300) 아래로 이송하면, 상기 국수세척부(300)는 세척까지 완료된 국수를 용기에 내보내며, 국수가 담긴 용기는 다시 용기이송부(500)를 따라 이송된다. 그리고 국수가 담긴 용기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양념 등을 첨가하거나, 육수 및 고명 등을 올려 섭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국수가공부(200) 및 국수세척부(300)에서 배출되는 면수를 저장하는 면수저장탱크(60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들은 추후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5는 국수공급부의 사시도를, 도 6은 평면도를, 도 7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국수공급부(100)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국수호퍼(110) 및 이송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120)은 상기 국수호퍼(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국수호퍼(110)의 상면에는 개폐가능한 호퍼커버(11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리되지 않은 국수를 상기 국수호퍼(110) 상에 채워놓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120)의 경우에는 구동모터(121)와 연결되어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국수공급부(100)는 상기 이송수단(120)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이송수단(12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밀폐부(12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폐부(122)의 경우에는 상기 이송수단(120)의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이송수단(120)의 회전하는 벨트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국수공급부(100)는 상기 이송수단(120)의 일단에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국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30)와 상기 이송수단(120) 및 배출구(130)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30)는 상기 이송수단(120)의 일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수단은 타단에서 일단으로 국수를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수단(120)을 따라 이송된 국수는 상기 가이드부(140)로 낙하되며,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배출구(130)로 국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투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이송수단(120)의 하측에 배치되는 안착부(141) 및 상기 안착부(141)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격벽부(142, 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격벽부(142, 143)는 상기 안착부(141)에 안착된 국수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부(141)는 일단이 상기 이송수단(120)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타단이 상기 배출구(130)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41)의 일단 및 타단 사이는 하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141)에 안착된 국수는 중력으로 인해 상기 배출구(130)로 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전력이 저감되는 효과로 이어져 장치의 경제성이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이송수단(120) 및 밀폐부(122)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수단(120)은 회전하는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국수수용부(12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국수수용부(120a)는 일정량의 국수가 내장되도록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122)는 상기 국수수용부(120a)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국수호퍼(110)의 하단의 국수배출구와 연통되는 지점에는 인입홈(122a)이 형성되어, 국수가 상기 국수호퍼(110)로부터 인입홈(122a)을 지나 국수수용부(120a)에 내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이송수단(120)이 구동되기만 하여도 정량의 국수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정량의 국수를 공급하는 수단은 위의 수단을 포함하여 측정센서나 별도의 스크류피더 형성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122)는 상기 안착부(141)에 국수가 안착되도록 일단에 배출홈(12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국수호퍼(110)는 사용자의 수기가 아닌 별도의 공급관(112)을 통해 자동적으로 국수를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8은 국수가공부의 사시도를, 도 9는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상기 배출구(13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열본체(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본체(210)는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배출구(130)로부터 국수가 반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본체(210)의 상면의 일부는 상기 배출구(130)가 설치되는 지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공급부(400)는 온수공급부(410) 및 냉수공급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가열본체(210)는 온수공급부(410)와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수공급부(420)는 제1냉수관(421) 및 제2냉수관(4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냉수관(421)의 경우에는 상기 가열본체(2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냉수관(422)은 추후에 도시하지만 상기 국수세척부(300)에 연결되어 삶아진 면을 세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온수 및 냉수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작업자의 용도에 따라 냉수를 변경하거나 더불어 사용하는 것은 자명하므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0 및 도 11은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10은 국수공급부와 국수가공부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10은 국수공급부와 국수가공부의 일부를 분해한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국수공급부(100)는 상기 배출구(130) 및 가열본체(2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130) 및 가열본체(210)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수단(13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131)을 개폐하는 구동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가열본체(210)에 형성되거나 별도의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용기(221)가 상기 가열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용기(221)는 배출구(130)를 통해 인입된 국수가 안착되어져, 상기 가열본체(210)의 내부에 가열된 물을 통해 국수가 삶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국수가공부(200)는 상기 가열본체(210) 내부의 물을 가열하기 위해서 가열수단(24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수가공부(200)로부터 국수세척부(300)로 국수를 공급하도록 프레스부(230)와 상기 가열본체(210)의 내부의 수위를 유지하는 수위조절부(2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국수가공부(200)는 가열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중심샤프트(222)를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회전판(2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20)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열용기(221)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용기(221)의 상측에는 앞서 기재한 개폐수단(131) 및 프레스부(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수단(131)을 통해 하나의 가열용기(221)에 국수가 인입되면 상기 하나의 가열용기(221)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프레스부(230)에서 국수를 배출한 뒤에 다시 개폐수단(13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스부(230)는 상기 개폐수단(131)에서 회전방향의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연속적인 조리과정을 할 수 있는 장점이 포함된다.
이를 보다 명료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개폐수단(131)에서는 국수가 가열본체(210)에 인입되며, 상기 개폐수단(131)에서 프레스부(230)로 회전하는 상태에서는 국수가 삶아지며, 상기 프레스부(230)에서는 삶아진 국수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가열용기(221)가 위의 과정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진행함에 따라 보다 연속적인 조리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12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내부 투영도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스부(230)는 하나의 가열용기(221)가 하측에 배치되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열용기(221)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병행하여 상기 프레스부(230)의 하측으로 대향하는 지점이 개방되어 상기 가열용기(221) 내 국수가 중력에 의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질 있다. 이때 상기 가열본체(210)의 하면 및 국수세척부(300)의 상면 사이에는 밸브가 형성되거나 도어 등을 통해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가열본체(210)의 내측 하면과 상기 가열용기(221)의 하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해당 틈을 통해 물이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본체(210)의 내부 및 가열용기(221)의 내부는 서로 동일한 수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위조절부(250)는 상기 가열본체(210) 내에 일정한 수위가 넘을 시에 면수저장탱크(600)로 보내도록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면수저장탱크(600)는 국수세척부(300)의 하측에 배치됨에 따라, 별도의 동력 없이도 상기 가열본체(210) 내에 수위가 높아지면 자연적으로 배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용기(221)는 내부에 별도의 스트레이너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면이 개방되되, 측면이 메쉬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국수세척부(300)는, 상부가 상기 국수가공부(200)와 연결되는 세척본체(310) 및 상기 세척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국수가공부(200)로부터 낙하된 국수를 전달받는 세척드럼(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척본체(310)의 상면은 상기 가열본체(210)의 하면과 연결될 수 있으며, 결합플랜지(311) 등을 통해 보다 수밀하게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본체(310) 및 가열본체(210) 사이에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개폐가능한 밸브나 도어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밸브나 도어는 상기 프레스부(230)의 동작과 함께 구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부(230)는 제1냉수관(421)이 연결되어져 국수 및 면수가 낙하될 때 냉수를 함께 분사하여 보다 1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13은 국수세척부의 사시도를, 도 14는 정단면도를, 도 15는 작동 예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드럼(320)은 전후방향을 관통하여 샤프트(S)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본체(3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본체(32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국수 인입홈(322) 및 국수 반출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국수인입홈(322)은 낙하되는 국수 및 면수를 받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S)를 중심으로 상기 국수인입홈(322)과 대칭되는 지점에는 배수홈(3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국수인입홈(322)에 국수 및 면수가 낙하되면, 국수는 상기 회전본체(321) 내 남아있으며, 면수는 배수홈(324)을 따라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되는 면수는 면수저장탱크(600)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수인입홈(322)의 일측에는 국수반출홈(3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세척된 국수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한다.
도 15-(a)의 경우에는 국수 및 면수가 상기 국수가공부(200)로부터 낙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배수홈(324)은 샤프트(S)를 중심으로 상기 국수인입홈(322)과 대칭되는 제1배수홈(324a) 및 상기 제1배수홈(324a)의 타측에 인접한 제2배수홈(32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국수인입홈(322)으로 국수 및 면수가 낙하하면, 상기 제1배수홈(324a)을 통해 면수가 우선적으로 빠져나간다. 그리고 도 15-(b)와 같이 상기 회전본체(32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본체(321)의 막힌 부분이 상측을 향하게 되고, 상기 제1배수홈(324a)의 타측에 인접한 제2배수홈(324b)이 하측을 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회전본체(321) 내부로 상기 제2냉수관(422)을 통해 냉수를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된 냉수는 상기 제2배수홈(324b)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척작업이 끝나면, 도 15-(c)와 같이 상기 회전본체(321)는 일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상기 국수반출홈(323)이 하측으로 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본체(321) 내 국수는 외부로 반출된다. 앞선 과정이 끝나면 상기 회전본체(321)는 다시 도 15-(a)와 같이 상기 국수인입홈(322)이 상측을 향하도록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S)는 이런 과정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하도록 스텝모터 등의 구동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은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16은 국수 자동 조리 장치의 전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기이송부(500)는 용기공급부(510) 및 이송수단(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공급부(510)는 복수의 용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마다 하나씩 배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출된 용기는 상기 이송수단(520)을 통해 상기 국수세척부(300)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 국수세척부(300)에 도달되기 이전에는 상기 국수세척부(300)에서 배출되는 면수 또는 냉수가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상기 이송수단(520)의 방수성이 높되 컨베이어 상에 홈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520)을 통해 상기 국수세척부(300)의 하측에 용기가 도달되면, 조리가 완료된 국수는 용기로 낙하될 수 있으며, 다시 이송수단(520)을 따라 섭취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확대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 등을 통해 상기 프레스부(23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1냉수관(421)에서는 냉수가 분사됨으로써 용기 내부를 세척함과 더불어 잔여국수가 용기(221) 상에 남아있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냉수, 온수(면수) 및 국수가 낙하되면 상기 세척드럼(320)에서는 먼저 낙하되는 냉수 및 온수를 배출하면서 또 다른 냉수를 주입하여 국수를 세척함으로써, 국수의 품질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그 하측에 배치된 용기에 상기 세척드럼(320)이 국수를 배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앞선 구성을 통해 보다 연속적인 국수 조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것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S : 샤프트
100 : 국수공급부
110 : 국수호퍼 111 : 호퍼커버
112 : 공급관
120 : 이송수단 120a : 국수수용부
121 : 구동모터 122 : 밀폐부
122a : 인입홈 122b : 배출홈
130 : 배출구 131 : 개폐수단
140 : 가이드부
141 : 안착부 142,143 : 격벽부
200 : 국수가공부
210 : 가열본체 211 : 본체커버
220 : 회전판 221 : 가열용기
222 : 중심샤프트 230 : 프레스부
240 : 가열수단 250 : 수위조절부
300 : 국수세척부
310 : 세척본체
311 : 결합플랜지 312 : 구동모터
320 : 세척드럼
321 : 회전본체 322 : 국수인입홈
323 : 국수반출홈 324 : 배수홈
324a : 제1배수홈 324b : 제2배수홈
400 : 물공급부
410 : 온수공급부 420 : 냉수공급부
421 : 제1냉수관 422 : 제2냉수관
500 : 용기이송부
510 : 용기공급부 520 : 이송수단
600 : 면수저장탱크

Claims (13)

  1. 내부에 국수가 수용되는 국수호퍼(110) 및 상기 국수호퍼(110)로부터 국수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이송수단(120)을 포함하는 국수공급부(100);
    가열본체(210) 및 상기 가열본체(210)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국수공급부(100)의 이송수단(120)을 통해 국수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용기(221)를 포함하는 국수가공부(200);
    상기 가열본체(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용기(221)에서 가공된 국수를 전달받아 세척하는 국수세척부(300);
    상기 국수가공부(200) 및 국수세척부(30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400); 및
    일측에서 타측으로 용기를 이송하여 상기 국수세척부(300)로부터 반출되는 국수를 전달받는 용기이송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물공급부(400)는 온수공급부(410) 및 냉수공급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온수공급부(410)는 상기 국수가공부(200)에 온수를 공급하며,
    상기 냉수공급부(420)는 상기 국수세척부(300)에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공급부(100)는 상기 이송수단(120)의 일단에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이송된 국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상기 배출구(130)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가열본체(210)의 상면 일부가 개구되어 배출구(130)로부터 국수가 반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공급부(100)는 상기 배출구(130) 및 가열본체(2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130) 및 가열본체(210)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수단(131)을 더 포함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공급부(100)는 상기 이송수단(120) 및 배출구(130)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140)는, 일단이 상기 이송수단(120)의 하측에 배치되되 타단이 상기 배출구(130)와 연결되면서 일단 및 타단 사이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안착부(141) 및 상기 안착부(141)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된 격벽부(142, 143)를 포함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되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공급부(100)는, 상기 이송수단(120)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이송수단(12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밀폐부(1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120)은 상기 국수호퍼(110)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이송수단(1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국수수용부(120a)가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122)는 상기 국수호퍼(110)의 하단의 국수배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인입홈(122a) 및 상기 배출구(130)로 국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홈(12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상기 가열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중심샤프트(222)를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회전판(2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판(220)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열용기(221)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본체(210)는
    공급되는 국수가 상기 가열용기(221) 내부에 인입되도록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되,
    상면의 일부와 타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과 대향하는 하면이 상기 국수세척부(300)의 상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상기 가열본체(210)의 상면 개구부의 타 방향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프레스부(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공급부(420)는 상기 프레스부(230)와 연결되는 제1냉수관(421) 및 상기 국수세척부(300)와 연결되는 제2냉수관(4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가공부(200)는 상기 가열본체(210)의 내측 하면과 상기 가열용기(221)의 하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세척부(300)는
    상부가 상기 국수가공부(200)와 연결되는 세척본체(310) 및 상기 세척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국수가공부(200)로부터 낙하된 국수를 전달받는 세척드럼(320)을 포함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드럼(32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전후방향을 관통하여 샤프트(S)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S)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본체(321),
    상기 회전본체(321)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국수인입홈(322),
    상기 국수인입홈(322)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국수반출홈(323) 및
    상기 샤프트(S)를 중심으로 상기 국수인입홈(322)과 대칭되는 회전본체(3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배수홈(324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드럼(320)은 상기 제1배수홈(324a)의 타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배수홈(324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 자동 조리 장치.
KR1020170184734A 2017-12-29 2017-12-29 국수 자동 조리 장치 KR10200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734A KR102003508B1 (ko) 2017-12-29 2017-12-29 국수 자동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734A KR102003508B1 (ko) 2017-12-29 2017-12-29 국수 자동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892A true KR20190081892A (ko) 2019-07-09
KR102003508B1 KR102003508B1 (ko) 2019-07-25

Family

ID=6726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734A KR102003508B1 (ko) 2017-12-29 2017-12-29 국수 자동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5295A (zh) * 2020-10-29 2021-02-05 上海明略人工智能(集团)有限公司 用于制作打卤面的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169Y1 (ko) 2003-03-20 2003-06-18 신재익 면종류 음식용 자판기
JP2008012341A (ja) * 2003-03-07 2008-01-24 Maruzen Co Ltd ゆで麺機
KR200446893Y1 (ko) * 2008-01-15 2009-12-08 이숙현 삶은 면 냉각 용기
KR101277572B1 (ko) 2011-08-31 2013-06-21 박기순 국수 조리 시스템
KR20140048688A (ko) * 2012-10-16 2014-04-24 양선웅 국수 등 면을 삶는 자동 전자제어식 기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2341A (ja) * 2003-03-07 2008-01-24 Maruzen Co Ltd ゆで麺機
KR200316169Y1 (ko) 2003-03-20 2003-06-18 신재익 면종류 음식용 자판기
KR200446893Y1 (ko) * 2008-01-15 2009-12-08 이숙현 삶은 면 냉각 용기
KR101277572B1 (ko) 2011-08-31 2013-06-21 박기순 국수 조리 시스템
KR20140048688A (ko) * 2012-10-16 2014-04-24 양선웅 국수 등 면을 삶는 자동 전자제어식 기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5295A (zh) * 2020-10-29 2021-02-05 上海明略人工智能(集团)有限公司 用于制作打卤面的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508B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9634A1 (zh) 智能自动化烹饪及定量出料的装置
TWI437971B (zh) 結合飲水機功能之自動煮食裝置
WO2019085218A1 (zh) 一种智能炒菜机
CN209863343U (zh) 烹饪器具
CN107296477A (zh) 一种智能烹调设备
CN209883797U (zh) 一种自动烹饪机
CN107016797A (zh) 一种可烹饪粉、面类食物的自动贩卖机及其控制系统和贩卖方法
WO2019085206A1 (zh) 一种全自动炒菜机
KR102003508B1 (ko) 국수 자동 조리 장치
WO2019085215A1 (zh) 一种炒菜机
CN203802244U (zh) 食物烹煮装置
KR20180100806A (ko) 전자동 스마트 밥솥 시스템
KR20190127182A (ko) 압력용기 헹굼수단이 구비된 라면자판기의 온수공급장치
KR102190738B1 (ko) 무인 라면 조리 장치
KR102190739B1 (ko) 무인 라면 조리 장치
CN209879640U (zh) 现磨咖啡与智能货柜双轨自助售卖机
KR101430371B1 (ko) 즉석 조리 시스템
KR101318563B1 (ko) 죽 제조장치
CN109512268A (zh) 一种多功能智能煮饭器及控制方法
WO2022137230A1 (en) Fresh hummus maker and dispenser
KR101570021B1 (ko) 생면을 이용한 면요리 제조장치
JP2016063845A (ja) 全自動式炊飯器
CN210582218U (zh) 一种桶形炒饭装置及自助炒饭售卖机
CN210019073U (zh) 一种自动洗米装置
CN206612704U (zh) 食材清洗器及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