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838A -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838A
KR20190081838A KR1020170184654A KR20170184654A KR20190081838A KR 20190081838 A KR20190081838 A KR 20190081838A KR 1020170184654 A KR1020170184654 A KR 1020170184654A KR 20170184654 A KR20170184654 A KR 20170184654A KR 20190081838 A KR20190081838 A KR 20190081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server
dri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184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838A/ko
Publication of KR2019008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은,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상기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에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NECTED CAR}
본 발명은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차량 간에 차량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와 IT 기술을 융합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자동차. 커넥티드 카는 다른 차량이나 교통 및 통신 기반 시설(infrastructure)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위험 경고, 실시간 내비게이션, 원격 차량 제어 및 관리 서비스뿐만 아니라 전자 우편(e-mail),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까지 제공한다. 향후에는 자율 주행이나 자동차의 자동 충전, 그리고 운전자의 건강 상태나 혈중 알코올 농도를 파악하여 운전 가능 여부를 점검하는 서비스를 추가하는 방향으로 진화될 전망이다.
차량 내 진보된 장비가 장착되면서 차량의 기능적인 면에서는 많은 연구가 되고 있지만, 차량을 운행하는 운행자의 주관적인 운행 태도 등에 대해서는 파악이 어려운 관계로, 본인 차량 이외의 다른 차량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차량 간에 차량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은,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상기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에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는, 상기 제2 차량을 운행하는 운행자 정보, 상기 제2 차량의 운행 정보, 상기 제2 차량의 탑승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자 정보는, 상기 제2 차량을 운행하는 운행자의 질병 이력 정보, 운전 과실 정보, 운전 면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제2 차량의 출발지 정보, 도착지 정보, 상기 제2 차량의 운행 경로 상의 도로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 환경 정보는, 상기 제2 차량 내 탑승 인원 정보, 아기 탑승 유무 정보, 차량내 온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정보가 상기 제1 차량의 운행에 위험 요소로 작용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차량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운행 관련 정보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 운전 및 사고 예방의 유리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자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 환경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에서 "단말(device)”이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되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며, 출력장치를 통해 결과를 출력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Computer), 콘솔(Game Console),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Tablet) PC, 스마트 밴드(Smart Band)나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하드웨어라면 단말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프로그램"이란, 차량 단말을 관리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야 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통상 원격지의 둘 이상의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서버를 통해 동기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개인용 컴퓨터나 콘솔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단말(서로 다른 종류의 단말도 포함한다)가 연동되거나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한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관리 프로그램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입력장치(Input Device)"란, 로컬 단말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조이스틱,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하드웨어 버튼 또는 스티어링 휠, 악기, 총, 장갑, 발판 등의 형태로 제조된 조작 전용 입력장치를 들 수 있다. 이외에도 단말에 탑재되거나 연동되는 각종 센서(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모션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감압 센서 등)나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Indoor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 확인 수단 또한 입력장치의 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출력장치(Output Device)"란, 단말의 연산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연산결과는 인간의 오감을 이용하여 인지될 수 있는 형태로 표시된다. 반드시 시각이나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후각적, 촉각적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피커나 모니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형적인 하드웨어가 상기 정의를 만족하지만, 이외에도 3D 프린터와 같이 촉각적 형태로 출력하거나, 진동이나 향기, 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 또한 출력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는 단말의 일 요소로서 단말에 포함될 수도 있고, 단말과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52가 3108) 및 제2 차량(39나2764)는 도로 상에 운행 중일 수 있다.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은 Wi-Fi,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등록사업소에서 운영하는 서버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차량 간에 통신 연결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각 차량의 식별 정보가 요구되는 바, 현재 국내에서 외관상 차량을 식별하는 대중적인 방법으로 차량번호를 사용하고 있는바, 각 차량은 카메라 등과 같은 이미지 획득 센서를 통해서 타 차량을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차량은 카메라를 기본으로 구비하거나, 차량과 연결된 스마트폰 등을 거치함으로써 카메라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도로가 어두운 경우에는 카메라를 통해 타 차량을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외선 이미지 센서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1 차량에서는 제2 차량에 관한 정보나 제2 차량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차량 내 다양한 요소에서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의 예시로는 전면 유리 디스플레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룸미러, 사이드미러, 대시보드 등 다양한 출력부에서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량에서 제1 차량의 브레이크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차량에서는 브레이크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설정된 상태인 경우, 제1 차량의 운행자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설정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제1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운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 차량에서 제1 차량에 특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량의 후미등이 동작되지 않거나, 제1 차량의 주유구가 개방되어 있는 등의 경우, 제2 차량으로부터 해당 메시지를 제1 차량에서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스텔스 차량과 같이 어두운 도로에서 라이트를 켜지 않는 차량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상당히 유리할 것으로 기대가 되는 기능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티드 카 제어 시스템은 제1 차량(100), 제2 차량(200), 네트워크(300) 및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량(100) 및 제2 차량(200)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버(4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차량(100) 및 제2 차량(200)은 사용자(이하, 운행자 또는 탑승자로 지칭될 수 있음)의 입력에 따라 서버(4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차량 관련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제1 차량(100) 및 제2 차량(200)은 서버(400)로부터 다양한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100) 및 제2 차량(200)은 서버(400)에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4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차량(100) 및 제2 차량(200)에게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서버(400)는 제1 차량(100) 및 제2 차량(200)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10에서,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를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제1 차량은 제2 차량을 임의로 선택하거나 특정 차량으로 지정할 수 있다. 지정하는 과정에서 제1 차량의 운전자는 터치 또는 음성 입력으로 제2 차량을 지정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상기 서버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모두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제1 차량에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의 예시로는 전면 유리 디스플레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룸미러, 사이드미러, 대시보드 등 다양한 출력부에서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의 정보를 단순히 출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2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차량의 운행 관련 정보를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고(S410),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상기 서버를 통해 수신한 다음(S420), 상기 제1 차량에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S430) 외에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정보가 상기 제1 차량의 운행에 위험 요소로 작용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차량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운행 관련 정보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제1 차량의 앞에서 운행하는 제2 차량의 운전자가 연속으로 4시간 운행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더 연장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자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자 정보(500)는 운전자 질병 이력 정보(510), 운전 과실 정보(520), 운전 면허 정보(5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질병 이력 정보(510)는 서버에 저장된 운전자의 질병 이력 정보를 지칭하며, 개인 정보일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동의를 받거나 공개할 필요가 있는 정보임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운행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질병을 가진 자에게는 운전할 면허를 발급하지 않지만, 면허 발급 또는 갱신 당시에는 질병이 없었다가 이후에 질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서버에서는 운전자의 질병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의료기관의 서버 등과 연결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운전 과실 정보(520)는 운전자의 운전 관련 과실 정보를 지칭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도로에서의 속도 위반, 신호 위반 횟수나 그 정도, 위협 운전 단속 유무 등 도로교통법 상 위법하다고 판정받은 과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과실 정보(520)는 경찰서 서버 등에 연결하여 획득할 수 있다.
운전 면허 정보(530)는 운전자의 면허 관련 정보로서 운전 면허를 취득한지 얼마나 되었는지 뿐만 아니라, 자동차 보험 정보 등과 연계하여 사실상 추정된 운전 경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량의 운전자 질병 이력 정보(510), 운전 과실 정보(520), 운전 면허 정보(5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한 제1 차량에서는 해당 정보를 간략하게 표시하거나 제1 차량의 ECU(전자제어장치)에서 제1 차량의 운행 설정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 정보(600)는 제2 차량의 출발지 정보(610), 도착지 정보(620), 운행 경로 상의 도로 상황 정보(6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발지 정보(610)는 네비게이션 등에 설정된 정보이거나, 서버에서 GPS 등에 의해서 파악하고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도로 상의 CCTV에서 확인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도착지 정보(620)도 출발지 정보(610)와 같은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운행 경로 상의 도로 상황 정보(630)는 도로의 혼잡도, 사고 유무, 로드킬, 안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같은 방향으로 운행하는 경우, 제1 차량에서는 앞서 운행하는 제2 차량의 운행 경로 상의 도로 상황 정보는 유의미한 정보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반대 방향으로 운행하는 경우에도 제1 차량의 사고 예방에 유의미한 정보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 환경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 환경 정보(700)는 탑승 인원 정보(710), 아기 탑승 유무 정보(720), 차량내 온습도 정보(730)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 인원 정보(710)는 제2 차량에 탑승한 인원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인승 차량에 7명이 탑승할 경우, 도로 운행에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타 차량 운전자에게 사고 예방에 유의미한 정보가 될 수 있다. 탑승 인원 정보(710)는 제2 차량 자체의 무게 중량 센서 또는 자세 센서 등을 통해서 획득되는 정보일 수 있다.
아기 탑승 유무 정보(720)는 제2 차량에 아기가 타고 있는지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아기가 타고 있는 경우, 베이비 카시트 센서에서 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기 탑승 정보는 사고 발생시 구조 순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정보이다.
차량내 온습도 정보(730)는 제2 차량 내의 온도 또는 습도 정보이다. 제2 차량의 공조 장치에서 온습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더운 여름에 30도가 넘는 온도일 경우, 운행에 위험한 요소로 작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내용은 차량 자체에 스마트 컴퓨팅 장치가 구비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며,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과 연결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다.
한편, 소정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상기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에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는,
    상기 제2 차량을 운행하는 운행자 정보, 상기 제2 차량의 운행 정보, 상기 제2 차량의 탑승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행자 정보는,
    상기 제2 차량을 운행하는 운행자의 질병 이력 정보, 운전 과실 정보, 운전 면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제2 차량의 출발지 정보, 도착지 정보, 상기 제2 차량의 운행 경로 상의 도로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탑승 환경 정보는,
    상기 제2 차량 내 탑승 인원 정보, 아기 탑승 유무 정보, 차량내 온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정보가 상기 제1 차량의 운행에 위험 요소로 작용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차량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운행 관련 정보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KR1020170184654A 2017-12-29 2017-12-29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KR20190081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54A KR20190081838A (ko) 2017-12-29 2017-12-29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54A KR20190081838A (ko) 2017-12-29 2017-12-29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838A true KR20190081838A (ko) 2019-07-09

Family

ID=6726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654A KR20190081838A (ko) 2017-12-29 2017-12-29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8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956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39907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33096B1 (ko) 모바일 센서 플랫폼
US115684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ystem
US107897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motor vehicles
US74284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workload level of a driver
CN108538086A (zh) 辅助驾驶员进行道路车道变更
JP6491601B2 (ja) 車両内移動デバイス管理
US202101552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obil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9535566A (ja) 不測のインパルス変化衝突検出器
JP6827712B2 (ja) 制御装置、車載装置、映像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512114A (ja) 運転手の疲労を検出し、動的に緩和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727451B2 (en) Implementing and optimizing safety interventions
JP2014034255A (ja) 移動体、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061798B2 (ja) 運転操作管理装置
US202202892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obil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9131096A (ja) 車両制御支援システムおよび車両制御支援装置
US11460309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11161551A (zh) 用于检测、警报和响应紧急车辆的设备、系统和方法
JP4926182B2 (ja) 信号認識装置、信号認識方法、信号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7077602B2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危険情報提供方法
WO2021131474A1 (ja) 情報処理装置、移動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90081838A (ko) 커넥티드 카 제어 방법
WO2017141375A1 (ja) 危険予測装置、移動端末及び危険予測方法
WO2022124164A1 (ja) 注目対象共有装置、注目対象共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