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521A -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521A
KR20190081521A KR1020170184124A KR20170184124A KR20190081521A KR 20190081521 A KR20190081521 A KR 20190081521A KR 1020170184124 A KR1020170184124 A KR 1020170184124A KR 20170184124 A KR20170184124 A KR 20170184124A KR 20190081521 A KR20190081521 A KR 20190081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inorganic
organic
electrochromic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예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8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521A/ko
Publication of KR2019008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5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electrodeposition, e.g. electrolytic deposi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on or close to an electro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은, 유기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계 박막 및 상기 박막 내에 분산되고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계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의 형성 방법은,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계 나노입자와 유기계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기판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및 그 제조 방법{ORGARNIC-INORGANIC HYBRIDE ELECTROCHROMIC THIN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윈도우는 건물 외부에서 들어오는 태양 빛을 조절하고 실내외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창호이다. 건축물의 온실가스 저감, 건축물 에너지 효율 향상 등과 같은 환경 규제 및 법규와 환경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증가로 인하여 재조명되고 있다. 스마트 윈도우는 사용되는 물질, 구동력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눠지는데, 그 종류로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분극 입자 배향형 소자(SPD; suspended particle device), 전기변색(EC; electrochromic), 열변색(TC; thermochromic), 발열유리(heatable glass) 등이 있다. 여러 종류의 스마트 윈도우 중, 전기변색은 전기 에너지를 통한 산화/환원 반응으로 색이 변하는 기술이다. 전기 에너지와 산화/환원 반응을 통하여 소자의 구동이 이루어지므로 전기변색소자는 일반적으로 전극|전기변색물질|전해질|전기변색물질(이온저장물질)|전극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기화학 반응에 의하여 색이 변하는 대표적인 전기변색 물질로는 환원변색 물질인 WO3와 산화변색 물질인 NiO가 있다.
대표적인 전기변색 물질인 WO3와 NiO는 금속 산화물로, 유리 기판(투명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기판) 위에 코팅된 박막을 얻기 위한 여러 방법 중 스퍼터 장비를 이용한 진공증착법을 사용할 경우에 가장 균일한 박막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진공증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수적이며, 적절한 수준의 전기변색소자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금속산화물이 수백 nm 수준으로 코팅되어야 한다. 이 경우, 기존의 창호를 대체할 수 있는 유리 기판에의 활용에는 문제가 없으나, 기 설치되어 있는 유리 창호에 시공할 수 있는 필름형 전기변색소자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두께의 전기변색박막은 유연성이 떨어져 적용이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은, 유기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계 박막 및 상기 박막 내에 분산되고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계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계 고분자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및 이온 교환 고분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은 WO3 및 NiO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의 형성 방법은,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계 나노입자와 유기계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기판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계 고분자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및 이온 교환 고분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은 WO3 및 NiO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스프레이법, 도포법, 또는 스핀 코팅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이 균일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은 우수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의 코팅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은, 유기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계 박막 및 상기 박막 내에 분산되고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계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계 고분자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및 이온 교환 고분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은 WO3 및 NiO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기변색을 할 수 있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는 전기변색 기능을 하며, 상기 유기계 고분자 물질은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의 연결성과 부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변색물질의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또, 기존의 젤전해질-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전기변색 소자의 계면 저항보다 젤전해질-무기계 나노입자/유기계 고분자 물질 구조의 계면 저항이 감소하여 전해질과 변색 박막 사이의 계면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변색효율이 개선된 전기변색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의 형성 방법은,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계 나노입자와 유기계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기판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용액에서 유기계 고분자 물질이 다량으로 함유될 경우 전기변색 효율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계 고분자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및 이온 교환 고분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은 WO3 및 NiO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스프레이법, 도포법, 또는 스핀 코팅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유기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계 박막; 및
    상기 박막 내에 분산되고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고분자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및 이온 교환 고분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은 WO3 및 NiO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3.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계 나노입자와 유기계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기판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의 형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고분자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및 이온 교환 고분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은 WO3 및 NiO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의 형성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스프레이법, 도포법, 또는 스핀 코팅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의 형성 방법.
KR1020170184124A 2017-12-29 2017-12-29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81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24A KR20190081521A (ko) 2017-12-29 2017-12-29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24A KR20190081521A (ko) 2017-12-29 2017-12-29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21A true KR20190081521A (ko) 2019-07-09

Family

ID=6726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124A KR20190081521A (ko) 2017-12-29 2017-12-29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5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2897B (zh) 基于ZnO纳米管的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Alesanco et al. Plastic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viologen-modified TiO2 films prepared at low temperature
Hong et al. A red-to-gray poly (3-methylthiophene) electrochromic device using a zinc hexacyanoferrate/PEDOT: PSS composite counter electrode
CN103135306A (zh) 具有复合电致变色材料的电致变色组件
CN104130769A (zh) 一种电致变色功能材料及电致变色器件
CN109143715B (zh) 一种基于功能性水凝胶的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698717A (zh) 凝胶状的聚合物电解质以及基于导电聚合物的固态电致变色器件的制备方法
JP4110762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特性を有する酸化タングステン微粒子の製造方法
CN103186004A (zh) 具有纳米电致变色材料结构的电致变色装置
TW201421503A (zh) 具有電化學電容特性之變色薄膜及其用途
Liao et al. Molybdate hexacyanoferrate (MoOHCF) thin film: a brownish red Prussian blue analog for electrochromic window application
Jeong et al. All-solid-state electrochromic device using polymer electrolytes with a wet-coated electrochromic layer
Kim et al. Contrast, switching speed, and durability of V2O5–TiO2 film-based electrochromic windows
Zhang et al. The electrochromic properties of the film enhanced by forming WO3 and PANI core–shell structure
KR20190081521A (ko) 유무기 복합 전기변색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CN111308822B (zh) 一种双功能电致变色储能器件及其制作方法
Wang et al. Electrochromic properties of rhodium oxide films prepared by a sol–gel method
CN107382092A (zh) 具有纳米镶嵌结构的TiO2 /WO3 复合电致变色薄膜及其制备方法
Lavi et al. Enhanced tungstate electrochromism via formation of transparent conductive networks
Luo et al. The research on the high quality TiO2, MoO3-doped WO3 electrochromic film
CN115245797A (zh) 一种双温度响应型离子液体微乳液凝胶的制备及其在热电双响应智能窗中的应用
CN111142301B (zh) 一种高性能的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CN110967887B (zh) 电致变色薄膜及其制备方法
CN207123693U (zh) 一种基于铁氰化铟和三氧化钨薄膜的电池/智能窗双功能器件
Hong et al. Stability-enhanced indium hexacyanoferrate electrodes: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in situ EQCM analysis in nonaqueous electrolytes and application to a WO3 electrochrom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