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964A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0964A KR20190080964A KR1020197018460A KR20197018460A KR20190080964A KR 20190080964 A KR20190080964 A KR 20190080964A KR 1020197018460 A KR1020197018460 A KR 1020197018460A KR 20197018460 A KR20197018460 A KR 20197018460A KR 20190080964 A KR20190080964 A KR 201900809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x
- reception
- start timing
- period
- drxshortcycletim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150014328 RAN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6 process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52/023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according to average transmission signal activ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 H04W72/04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과,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수단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의 셀룰러 시스템 중 1개인 3GPP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무선 단말의 소비 전력의 삭감을 위해, 무선 단말의 간헐 수신(DRX : Discontinuous Reception)의 기능이 서포트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2). LTE에서는, DRX cycle이라고 불리는 수신 기간(On-Duration)과 그것에 이어지는 비수신 기간(Opportunity for DRX)으로 구성되는 기간이 정의되고, 이들 기간을 반복함으로써 DRX를 실현한다.
무선 단말은, On-duration에서는 하향 제어 채널(PDCCH :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항상 수신할 필요가 있고, Opportunity for DRX에서는 PDCCH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무선 단말이 On-Duration 기간 중에 데이터 수신에 실패하여서 On-Duration 기간 이후에 당해 데이터가 재송(再送)될 경우에는, PDCCH를 수신하는 기간을 연장한다.
여기에서, DRX 동작 중의 무선 단말이 PDCCH를 수신하는 기간을 Active Time이라 부르고, On-Duration은 Active Time의 최소값이다. 또한 무선 단말마다, Opportunity for DRX의 길이가 다른 「ShortDRX」와 「LongDRX」라는 2개의 DRX 상태(레벨)가 설정 가능하다. LTE에서는, ShortDRX 상태의 무선 단말이 일정 기간 데이터 수신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 LongDRX 상태로 천이하는 DRX 상태 제어(DRX state control)를 행한다. 또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상태 천이하는 판정에, 타이머(drxShortCycleTimer)를 이용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적합한 DRX 상태(레벨)를 설정할 수 있어서, 무선 단말의 소비 전력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LTE를 고기능화한 셀룰러 시스템으로서, LTE-Advanced의 표준화가 행해지고 있다. LTE-Advanced의 기능 중 하나로, 무선 단말마다의 피크 데이터 레이트를 향상시키는 기능으로서, 복수의 구성 캐리어(Component Carrier : CC)를 하나의 무선 단말에 대하여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 CA)이 있다(비특허문헌 3). 여기에서, CC란, LTE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과 무선 단말 사이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주파수 블록이다. CA를 행할 경우, 1개의 트랜스포트 블록(MAC층으로부터 PHY층으로의 데이터 전송 단위)은 1개의 CC에서 송수신되고, 신호 처리는 CC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데이터의 재송이 필요하여 HARQ를 행할 경우에는, 첫회 송신에 이용한 CC와 재송에서 이용하는 CC는 동일하다.
현재, 3GPP 표준화에서는, CA시의 무선 단말의 DRX에 대한 의논이 행해지고 있으며, Carrier Aggregation(CA)하는 모든 CC에 대하여 같은 DRX configuration(DRX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실제의 DRX 제어(Active Time 제어나 DRX 상태 제어)로서는, (A) CA하는 CC간에서 협조하여 제어를 행하는 방법(비특허문헌 5)이나, (B) 각 CC에서 독립적으로 제어를 행하는 방법(비특허문헌 6)이 제안되어 있다. (A) CC간에서 협조하여 제어를 행하는 방법에서는, 모든 CC에서의 Active Time을 마지막까지 데이터 수신이 행해졌던 CC에 맞추고, DRX 상태 제어는 CC간 공통적으로 행해진다. 한편, (B) 각 CC에서 독립적으로 제어를 행하는 방법에서는, 각 CC의 Active Time은 각 CC에서의 데이터 수신 상황에 의거하여 정해지고, DRX 상태 제어도 각 CC에서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도 24를 이용하여 (A) CA하는 CC간에서 협조하여 제어를 행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이 도면은, 어떤 무선 단말에 CA하는 CC로서 CC1∼CC3이 할당되어 있고, 무선 단말은 이들 모든 CC에서의 DL 데이터 수신의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CC에서의 DRX 파라미터는 같으며, 각 DRX cycle의 시작은 CC간에서 동기하고 있다. CC1에 있어서의 1번째의 DRX cycle에 주목하면, On-Duration 중에 DL 데이터를 수신했지만 바르게 복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재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Active Time을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재송 데이터를 바르게 복호할 수 있었을 경우, PDCCH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는 비수신 기간(Opportunity for DRX)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동(同)타이밍의 DRX cycle에 있어서의 CC2와 CC3에서의 동작에 주목하면, CC2에서는 데이터 수신이 없고, CC3에서는 CC1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수신을 행하고 있다. 이때, CC2, CC3 각각 개별로 보면, CC2에서는 Active Time을 On-Duration보다 연장할 필요가 없고, CC3에서는 Active Time을 연장하지만 CC1보다 짧아도 된다.
그러나, (A)의 방법에서는, 가장 긴 Active Time을 필요로 하는 CC1에 맞춰 CC2, CC3의 Active Time을 결정하기 때문에, CC1∼CC3의 모든 Active Time이 도면의 점선과 같이 된다. 여기에서, 도면 중의 음영 부분이 본래 그 CC에서 불필요하게 연장된 Active Time이 된다. 2번째, 3번째의 DRX cycle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2번째의 DRX cycle에서는 CC3에 맞추고, 3번째의 DRX cycle에서는 CC2에 맞춰, 각각 Active Time이 제어된다.
다음으로, 도 25를 이용하여 (B) 각 CC에서 독립적으로 제어를 행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도 24와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은 CC1∼CC3에 있어서의 DL 데이터 수신의 준비가 되어 있으며, 각 CC에서의 DRX 파라미터는 같고, 각 DRX cycle의 시작은 CC간에서 동기하고 있다. 또한, 무선 단말은, 우선 ShortDRX의 상태에 있고, 3회의 ShortDRX cycle에 걸쳐 데이터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 LongDRX의 상태로 이동하는 것으로 한다(drxShortCycleTimer의 길이가 ShortDRX cycle의 3회분).
1번째의 DRX cycle에 주목하면, 우선 모든 CC에서 독립적으로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 CC1과 CC3에서는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으며, 데이터 수신 완료 후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다시 초기값으로부터 스타트)시킨다. CC2에서는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타이머를 계속해서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CC 각각에서 drxShortCycleTimer를 동작시킨다. CC3은 가장 빨리 5번째의 DRX cycle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하여 LongDRX로 이동하고, CC1은 6번째의 DRX cycle에서 LongDRX로 이동한다. 한편, CC2에서는 6번째의 DRX cycle에 있어서도 여전히 ShortDRX인 채로 데이터 수신을 행하고 있다.
그 결과, 7번째와 8번째의 DRX cycle에서는 CC2만을 이용할 수 있고, CC1과 CC3은 LongDRX의 비수신 기간이기 때문에 이용할 수 없다. 또한, CC1과 CC3이 다시 이용 가능해지는 것은, LongDRX cycle의 다음의 On-Duration의 타이밍이다.
3GPP TS36.300v900(인터넷<URL>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36300.htm)
3GPP TS36.321v860(인터넷<URL>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36321.htm)
3GPP TR36.814v100(인터넷<URL>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36814.htm)
3GPP TR36.331v860(인터넷<URL>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36331.htm)
3GPP RAN2#67 기서(奇書),"DRX in LTE-A", Motorola(인터넷<URL>http://www.3gpp.org/ftp/tsg_ran/WG2_RL2/TSGR2_67/Docs/R2-094736.zip)
3GPP RAN2#67 기서, "Consideration on DRX", CATT(인터넷<URL>http://www.3gpp.org/ftp/tsg_ran/WG2_RL2/TSGR2_67/Docs/R2-094327.zip)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관련 기술의 분석을 부여한다.
우선, Carrier Aggregation(CA)시의 DRX 제어를 검토하는데 있어서 2개의 중요한 포인트가 있다. 1번째는, 무선 단말의 DRX 상태(ShortDRX인지, LongDRX인지를 나타내는 지표. DRX 레벨이라고도 부름)는, Component Carrier(CC)간에서 공통적으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CA시에 모든 CC에서 항상 데이터 수신되는 것은 아니고, CC간의 통신로 품질의 차이나 부하 분산 때문에 CC마다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는 차이가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DRX 상태는 CC마다의 데이터 수신 빈도가 아니라 무선 단말의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의거하여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2번째는, 각 DRX cycle에 있어서는, CC마다 Active Time을 결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데이터 수신의 가능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CC에 맞춰 On-Duration을 초과하여 Active Time을 연장하는 것을 피해, 무선 단말이 가능한 한 소비 전력 삭감을 실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DRX 제어 방법 중, (A) CA하는 CC간에서 협조하여 제어를 행하는 방법에서는, CC간에서 DRX 상태가 같아진다는 이점이 있지만, 각 DRX cycle에 있어서의 Active Time도 CC간에서 같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이 없는 CC에서는 무선 단말이 여분으로 전력을 소비해버린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B) 각 CC에서 독립적으로 제어를 행하는 방법에서는, Active Time이 CC마다 독립적이기 때문에 각 DRX cycle에 있어서 무선 단말의 소비 전력 삭감 효과가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DRX 상태가 CC간에서 다를 가능성이 있다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CA시의 DRX 제어 방법 (A) (B)에는 각각 이점·결점이 있으며, 1번째의 포인트의 DRX 상태 제어의 관점에서는 (A) CA하는 CC간에서 협조하여 제어를 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2번째 포인트의 무선 단말의 소비 전력 삭감의 관점에서는 (B) 각 CC에서 독립적으로 제어를 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분석으로부터, 상술한 DRX 제어 방식에서는, 2개의 중요한 포인트 중 어느 한쪽밖에 달성할 수는 없어서, CA시에 있어서의 최적의 DRX 제어 방식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수구성 캐리어에 걸치는 통신에 대응하면서 무선 단말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과,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수단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단말로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과,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수단을 갖는 무선 단말이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과,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수단을 갖는 상기 무선 단말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와 동기를 취하는 수단을 갖는 무선 기지국이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방법이다.
본 발명은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단말의 프로그램으로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처리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처리를 무선 단말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몇 구성 캐리어에 걸치는 통신에 대응하면서 무선 단말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UE)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eNB)의 블록도.
도 4는 LTE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간헐 수신(DRX)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LTE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에서의 Active Time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LTE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상태 천이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플로우 차트.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플로우 차트.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플로우 차트.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제 2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제 3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플로우 차트.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
도 24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다른 종래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UE)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eNB)의 블록도.
도 4는 LTE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간헐 수신(DRX)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LTE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에서의 Active Time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LTE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상태 천이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플로우 차트.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플로우 차트.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플로우 차트.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제 2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제 3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플로우 차트.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
도 24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다른 종래예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부 A와,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 B를 갖는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어의 대상이 되는 구성 캐리어이지만,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의 모두여도 되고, 미리 정해진 특정의 캐리어여도 된다. 또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를 몇 개의 세트로 하여, 세트마다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란, 당해 무선 단말에 대한 데이터가 보내질 가능성이 있으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지정된(Configure된, 또는 Activated된) 구성 캐리어, 및/또는, 당해 무선 단말이 데이터 수신하기 위해 소정 채널을 수신하는(또는, 그 필요가 있는) 구성 캐리어이다. 또한,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캐리어 세트라고 부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이란, 데이터 송신, 및/또는, 데이터 수신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는, 적어도 2 이상의 주기의 길이가 다른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이용하고, 제어 대상이 되는 구성 캐리어간에서 하나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이용한다.
또한,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의 선택이지만, 제어 대상이 되는 구성 캐리어의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를 설명하면,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부 A는,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에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한다. 본 예를, 도 2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7에서는,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제어 대상의 구성 캐리어가 구성 캐리어 1, 2, 3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각 구성 캐리어 1, 2, 3은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 또는, 이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주기가 긴 제 2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 중 어느 것에서, 소정의 채널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지만, 우선, 각 구성 캐리어 1, 2, 3은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소정의 채널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을 개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구성 캐리어 1, 2, 3에 대해서, 소정의 채널에서 송신되는, 또는, 소정의 채널에서 송신된 신호에 관련되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 후, 예를 들면 그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고 나서, 미리 정해진 기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이 계측은 통상 타이머 등에서 계측되지만, 카운트 업, 카운트 다운 등, 미리 정해진 기간이 만료함을 알 수 있는 것이면 종류는 묻지 않는다. 또한, 계측 개시는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고 나서가 아니라, 데이터의 재송 제어(이 경우에는 수신 처리)가 완료되고 나서여도 된다.
구성 캐리어 1에 있어서, 1, 2, 3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으며, 3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바르게 복호 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구성 캐리어 3에 있어서, 1, 2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으며, 2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바르게 복호 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
한편, 구성 캐리어 2에 있어서, 2, 3, 4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으며, 4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바르게 복호 후, 미리 정해진 기간이 만료하기 전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다.
따라서, 구성 캐리어 1, 3에 있어서는 미리 정해진 기간에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지만, 구성 캐리어 2에 있어서는 미리 정해진 기간이 만료하기 전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부터 제 2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의 천이는 행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구성 캐리어 2에 있어서, 7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으며, 7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바르게 복호 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구성 캐리어 1에 있어서, 8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으며, 8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바르게 복호 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구성 캐리어 3에 있어서, 8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으며, 8번째의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바르게 복호 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구성 캐리어 1, 2, 3의 모두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기간에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 1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부터 제 2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구성 캐리어간에서 공통적으로 하고 또한 무선 단말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셀룰러 시스템)으로서 「3GPP LTE(Long Term Evolution)」를 상정한다.
<제 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 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eNB : evolved NodeB)(eNB1)과 무선 단말(UE : User Equipment)(UE1)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UE1은, eNB1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확립(RRC Connection)이 완료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 Carrier Aggregation) 가능한 구성 캐리어(CC : Component Carrier)로서 CC1∼CC3이 할당되고, 이미 CC1∼CC3에서 동시에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CC1∼CC3은 각 주파수가 연속이어도 불연속이어도 어느 쪽이어도 되고, 또한 주파수대가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또한, eNB1은 UE1에 간헐 수신(DRX : Discontinuous Reception)의 파라미터를 통지하고, UE1은 당해 파라미터에 따라서 필요한 설정(예를 들면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값의 설정 등)을 행한다. 이때, CC1∼CC3에서는 DRX의 파라미터는 공통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UE)의 블록도이며,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무선 기지국(eNB)의 블록도이다.
도 2에서, UE1은 수신기(11)와, 송신기(12)와, 신호 처리부(13)와, 통신 제어부(14)로 구성된다.
수신기(11), 송신기(12)는 각각 eNB1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수신·송신을 행하는 부분이다. 신호 처리부(13)는 어떤 정보를 eNB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생성을 행하거나, 수신한 무선 신호로부터 원래의 정보의 복원을 행하거나 하는 부분이다. 통신 제어부(14)는, 신호 처리부(13)에의 송신 신호 생성이나 정보 복원 등의 지시를 행하는 부분이며, UE의 DRX 제어도 이 통신 제어부(14)에서 관리된다.
도 3에서, eNB1은 수신기(21)와, 송신기(22)와, 신호 처리부(23)와, 통신 제어부(24)와, 단말 관리부(25)로 구성된다. 수신기(21), 송신기(22), 신호 처리부(23), 통신 제어부(24)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UE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단말 관리부(25)에서는, 복수의 UE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관리를 행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의 간헐 수신(DRX : Discontinuous Reception)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헐 수신의 주기인 DRX cycle은, 하향 제어 채널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연속 수신하지 않으면 안 되는 기간(On-Duration)과, PDCCH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Opportunity for DRX)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자는 Wake up 기간, 후자는 Sleep 기간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후자는, PDCCH를 수신하지 않은 기간, 또는 PDCCH를 수신해서는 안 되는 기간이어도 된다.
또한, 데이터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서 송신되고, PDCCH에 PDSCH의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PDCCH를 수신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검출 후, 그것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이 On-Duration의 개시 타이밍에 상당하고,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가 On-Duration의 개시 타이밍의 주기에 상당한다. 또한,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의 최소값이 On-Duration에 상당한다.
또한, 소정 채널의 수신이란, 소정 채널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감시(모니터)라고 바꿔 말해도 된다.
또한, DRX cycle에는, ShortDRX와 LongDRX 2가지가 있다. ShortDRX와 LongDRX는, On-Duration은 같고, On-Duration 이외의 PDCCH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의 길이가 달라서 ShortDRX쪽이 On-Duration의 간격이 짧게 설정된다. 또한, LTE에서는 LongDRX는 ShortDRX의 정수배라는 제약이 있다. On-Duration, DRX cycle의 길이는 비특허문헌 4에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On-Duration은 1ms에서 200ms까지의 사이에서 수십 가지 설정이 가능하고, DRX cycle은 2ms(ShortDRX 최소)에서 2560ms(LongDRX 최대)까지, ShortDRX와 LongDRX에서 각각 수십 가지의 설정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술한 예 이외에, On-Duration과 마찬가지로 주기적으로 무선 단말이 일어나는 기간에 있어서, PDCCH와 같은 하향 제어 채널이 아니라 LTE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같은 하향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TE의 계속적 리소스 할당(Semi-persistent scheduling)과 같이, 첫회 송신시에는 특별히 PDCCH를 사용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무선 리소스의 PDSCH를 수신하는 경우가 그 일례이다.
기본적으로, DRX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타이머에 의거하여 제어되고, 각 타이머는 각각 이하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drx-InactivityTimer : UL(Uplink) 또는 DL(Downlink)의 유저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PDCCH를 바르게 복호한 후의 연속하는 서브프레임(PDCCH 서브프레임)의 수
·HARQ RTT Timer : DL의 HARQ 재송이 행해질 때까지의 최소 서브프레임 수
·drx-RetransmissionTimer : UE가 ShortDRX cycle에 체재하지 않으면 안 되는 연속 서브프레임 수
각각의 타이머의 길이는 비특허문헌 2 및 비특허문헌 4에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drx-InactivityTimer는 1ms에서 2560ms까지의 사이에서 약 20가지의 설정이 가능하며, drx-RetransmissionTimer는 1ms에서 33ms까지의 사이에서 몇 가지의 설정이 가능하다. HARQ RTT Timer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시스템에서는 8ms로 되어 있다.
이들 타이머를 이용한 DRX 제어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UE는 On-Duration 중에 신규 DL 데이터를 수신하면 drx-InactivityTimer를 스타트(리스타트)시킨다. 또한 동시에, HARQ RTT Timer를 스타트시킨다. DL 데이터를 바르게 복호할 수 없었을 경우, HARQ RTT Timer가 만료됨과 동시에 drx-RetransmissionTimer를 스타트시킨다(기본적으로 drx-RetransmissionTimer가 만료되기 전에 DL 데이터의 재송이 행해진다). UE는 DL 데이터의 재송을 받아서, 바르게 복호된 경우 drx-RetransmissionTimer를 스톱한다. 그리고, 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됨과 동시에 PDCCH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Opportunity for DRX)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도 5에서는, drx-RetransmissionTimer가 On-Duration의 기간을 초과하여 동작하고, On-Duration을 초과하여 UE가 PDCCH를 연속 수신하고 있다. 이, PDCCH를 연속 수신하고 있는 기간은 Active Time이라고 불리고, On-Duration은 Active Time의 최소값에 상당한다. 따라서,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이 Active Time에 상당한다. 또한, 재송된 DL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된 경우 drx-RetransmissionTimer를 멈추었지만,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시켜도 된다. 이 경우, drx-RetransmissionTimer나 drxInactivityTimer 중 어느 것이 동작하고 있을 경우에는 Active Time을 연장하고, 양쪽의 타이머가 만료된 시점에서 PDCCH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UE는 DRX cycle마다 Active Time을 연장할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서 지연 없이 DL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다음으로, DRX 상태(DRX 레벨) 제어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DRX에는 ShortDRX와 LongDRX라고 불리는 2개의 DRX 상태가 있다. 기본적으로, 우선 ShortDRX로부터 스타트하고, 일정 기간 경과하면 LongDRX로 천이한다. 이 ShortDRX로부터 LongDRX로의 천이의 판정에 이용되는 것이 drxShortCycleTimer이며, 이하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drxShortCycleTimer : UE가 ShortDRX cycle에 체재해야 할 연속 서브프레임 수
도 6은 UE가 ShortDRX 중에 DL 데이터 수신을 행하고, 어떤 시점에서 바르게 복호된 경우의 모습이다. UE는 DL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된 시점에서 drxShortCyclTimer를 스타트(리스타트)시킨다. UE는 drxShortCycleTimer의 동작 중에 신규 데이터 수신을 행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된 시점에서 다시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
한편, 도 6과 같이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될 때까지 신규 데이터 수신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그리고, LongDRX로 천이 후에 신규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다시 LongDRX로부터 ShortDRX로 천이한다.
또한, 타이머의 리스타트라고 말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초기값으로부터의 재 스타트를 의미하지만, 다른 의미에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타이머가 일단 정지한 후, 그 정지해 있던 값으로부터 다시 동작을 시작할 경우 등이 생각된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CA시의 DRX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 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구성 캐리어(CC)의 모두 또는 일부에 있어서, 무선 단말(UE)의 간헐 수신(DRX)의 일련의 동작 중, DRX 상태 제어 이외(예를 들면, Active Time의 연장 등)를 각각 독립적으로 행하고, DRX 상태 제어를 공통적으로 행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E1이 CC1∼CC3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을 경우, 각 CC에서 drx-InactivityTimer, HARQ RTT Timer, drx-RetransmissionTimer를 동작시켜 Active Time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각 DRX cycle에 있어서는, 각 CC에서의 실제의 데이터 수신에 따른 UE의 전력 절약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DRX 상태의 제어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3가지가 생각된다.
1. CC마다 drxShortCycleTimer를 갖고, 각 CC에서 그들을 독립적으로 동작시키고,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2. CC 공통으로 drxShortCycleTimer를 1개 갖고, 각 DRX cycle에서 1개라도 데이터 수신을 한 CC가 있었을 경우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키고,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3. CC마다 drxShortCycleTimer를 갖는다. 또한, 1개(CC간 공통) 다른 타이머(CA-drxShortCycleTimer)를 갖는다. 우선, 각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킨다. 어느 쪽의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시켰을 경우, CA-drxShortCycleTimer도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시킨다. 그리고, CA-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이들 방법에 의해, CC 각각의 데이터 수신 빈도가 아니라, 각 UE의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의거한 DRX 상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DRX 제어의 도중에 불필요해진 CC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무효화(Deactivation)함으로써 단말의 여분인 전력 소비를 피할 수 있다. 또한, LongDRX로부터 ShortDRX로의 천이는, 어느 쪽의 CC에서 LongDRX의 On-Duration에 신규 데이터 수신을 행했을 경우에, 모든 CC에서 ShortDRX로 천이하도록 행한다. 단,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어떤 CC에서 연속 N회의 DRX cycle에서 데이터 수신을 행했을 경우에 다른 모든 CC도 ShortDRX로 천이하는 방법이나, M개 이상의 CC에서 신규 데이터 수신을 행했을 경우에 다른 모든 CC도 ShortDRX로 천이하는 방법 등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DRX 상태 제어를 UE의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의거하여 행한다는 관점에서는, 1번째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3GPP LTE의 사양에 준거하는 바람직한 구성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무선 단말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Component Carrier : CC)를 동시에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Carrier Aggregation : CA) 때의 간헐 수신(DRX)의 제어를 행할 경우에, 데이터 수신 빈도에 적합한 DRX 상태(DRX 레벨)를 유지하고 또한 소비 전력을 삭감하면서, 통신로 품질이나 트래픽 등의 부하에 따른 CC의 선택을 실현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무선 단말(UE)의 CC마다의 DRX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동작시키고,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여기에서, 단말은 우선 ShortDRX의 상태에 있으며, drxShortCycleTimer의 길이를 ShortDRX cycle의 3회분으로 한다.
1번째의 DRX cycle(ShortDRX에서 카운트)에서는,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 CC2에서는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On-Duration만 PDCCH를 수신한 후(데이터가 송신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후), 비수신 기간(Opportunity for DRX)으로 이동한다. 한편, CC1과 CC3에서는,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으며 Active Time을 각각 On-Duration으로부터 연장하고, 데이터 복호에 성공한 시점에서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하고 있다.
2번째의 DRX cycle에서는, 모든 CC에서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으며, 각각 데이터 수신에 성공한 후에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하고 있다.
다음으로, 5번째의 DRX cycle에 주목하면, CC3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이 시점에서 CC3은 LongDRX로 천이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ShortDRX인 채 계속한다.
마찬가지로, 6번째의 DRX cycle에서는, CC1의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지만, 계속해서 ShortDRX로서 동작을 계속한다.
7번째의 DRX cycle에 주목하면, CC1에서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다. 종래에는, LongDRX로 천이하고 있는 타이밍이므로 CC1에서는 데이터 수신할 수 없지만, 제 1 실시예에서는 ShortDRX인 채이므로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drxShortCycleTimer를 다시 스타트시킨다.
8번째의 DRX cycle의 CC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 후, 각 CC에서 계속적으로 ShortDRX를 행한 후, 10번째의 DRX cycle에서 CC2가, 11번째의 DRX cycle에서 CC1과 CC3이, 각각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다. 그 때문에, 12번째의 DRX cycle 이후에서는, 모든 CC에서 LongDRX로 천이한다. 또한, 어떤 CC에서 일단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후에 특별히 데이터 수신이 행해지지 않고, 다른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경우 그 시점에서 LongDRX로 천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UE1의 통신 제어부(14)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eNB1의 통신 제어부(24)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UE1은, 우선 DRX 상태(DRX 레벨)로서 ShortDRX로부터 개시하고(Step100), CC마다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Start drxShortCycleTimer on each CC)(Step101).
처음의 On-Duration에 있어서, CC마다 하향 데이터(DL data)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DL data on CCn?)(Step102). 계속해서, 하향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바르게 복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uccessfully decoded?)(Step103), 바르게 복호된 후(또는, HARQ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Re-start drxShortCycleTimer)(Step104).
마찬가지로, On-Duration 기간은 하향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tep105, Step102), 있을 경우에는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고, 없을 경우에는 남은 drxShortCycleTimer를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시킨다(Step103, Step104). 그리고, CC마다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drxShortCycleTimer expired?)(Step106).
어떤 CC에서 만료된 경우에, 다른 모든 CC에서도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는지(만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drxShortCycleTimer expired on all CCs?)(Step107), 다른 CC에서는 아직 만료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즉, 하향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바르게 복호된 후에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Restart)시킨다. 또한, 어떤 CC에서 일단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지만 다른 CC에서 만료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 당해 CC에서 다시 하향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Timer가 동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리스타트가 아니라 스타트(Start)라고도 할 수 있지만, 얻어지는 결과는 같다. 반대로,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었을 경우, LongDRX로 천이한다(Start LongDRX)(Step108).
다음으로, 도 9에서, eNB1의 통신 제어부(24)는 UEx(x=1, 2, …,)에 대하여 ShortDRX의 제어를 개시한다(Start UEx‘s ShortDRX control)(Step200).
우선, UEx(x=1, 2, …,)에 대해 DRX 콘피그레이션 메시지를 보내어(Send DRX configuration message)(Step201),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Start drxShortCycleTimer on each CC)(Step202).
다음으로, UEx가 On-Duration 기간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On-Duration?)(Step203), On-Duration 기간일 경우에는, 또한 당해 UEx로 보내는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Data for UEx?)(Step204). 데이터를 보낼 경우에는, 어느 CC에서 송신할지를 결정하여, CC마다 후속하는 동작으로 이동한다.
CC마다, 우선 데이터를 송신할지의 여부를 확인하여(Send data on CCn?)(Step207), 송신할 경우에는 UE측에서 바르게 복호되었는지, 즉 긍정 응답(ACK)이 돌아왔는지의 여부(또는, HARQ 프로세스가 종료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tep208). 데이터를 송신했을 경우에는, 긍정 응답의 수신을 확인 후,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Re-start drxShortCycleTimer)(Step209). 그리고,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drxShortCycleTimer expired?)(Step210), 만료되었을(만료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다른 모든 CC에서도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drxShortCycleTimer expired on all CCs?)(Step205). 만일,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을 경우, 당해 UEx가 LongDRX로 천이한다고 판단하고, LongDRX 제어를 개시한다(Start UEx’s LongDRX control)(Step206).
여기에서, LTE는 UE와 eNB 사이에서 처음의 On-Duration, 즉 drxShortCycleTimer를 동작 개시 타이밍은, 미리 정해진 방법(DRX 스타트 오프셋의 도출식)으로 동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UE1과 eNB1에서 동일한 처리 방법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얻어지는 결과가 같으면 UE1과 eNB1에서 반드시 같은 처리 방법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UE는 본 실시예의 방법을 이용하고, eNB는 후술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또는 그 반대의 방법을 취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는, UE의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적합한 DRX 상태 제어를 행하면서, 각 DRX cycle에서는 UE의 소비 전력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DRX 제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CA시의 CC 선택이 플렉시블해져서 통신로 품질에 따른 CC 선택이나 CC간의 부하 분산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도 7의 7번째와 8번째의 DRX cycle에서는, CC1과 CC3에서는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어서, 종래에는 LongDRX의 비수신 기간(Opportunity for DRX)이 되기 때문에, CC1과 CC3은 사용할 수 없다. 이때, CC2의 통신로 품질이 열화하여서 CC1이나 CC3에 비해서도 뒤떨어져 있었을 경우에는, 수신 특성의 열화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CC2의 사용률이 CC1이나 CC3보다 높을, 즉 CC2의 부하가 높을 경우에는, 당해 무선 단말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단말에도 스루풋 저하 등의 영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변형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동작시키고,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제 1 실시예와의 차이는, 한번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CC에서는, 이후에 데이터 수신이 있어도 일단 LongDRX로 천이하고 다시 ShortDRX가 될 때까지는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키지 않는다는 점이다.
6번째의 DRX cycle에 주목하면, CC1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서 종래에는 LongDRX로 천이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른 CC에서의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CC1에서도 ShortDRX를 계속한다.
다음으로, 7번째의 DRX cycle에 주목하면, CC1에서 다시 데이터 수신을 행했지만, 한번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으므로 다시 스타트시키고 있지 않다. 이는, 8번째의 DRX cycle에 있어서의 CC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마지막까지 동작하고 있던 CC2의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LongDRX로 천이한다. 또한, 한번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후에도, 어떤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에는, 다시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연속 N회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또는 LongDRX가 되지 않은 채로 T subframe 후에 다시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등이 생각된다.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는, 제 1 실시예보다 UE의 소비 전력 삭감을 도모하려고 하는 어그레시브한 DRX 제어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무선 단말(UE)의 CC마다의 DRX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CC에서,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HARQ RTT Timer를 동작시켜서 Active Time을 결정하지만, drxShortCycleTimer는 CC간에서 공통으로 동작시켜서 이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여기에서, UE는, 우선 ShortDRX의 상태에 있고, drxShortCycleTimer의 길이를 ShortDRX cycle의 3회분으로 한다.
1번째의 DRX cycle(ShortDRX에서 카운트)에서는, 우선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 도 11에서는, CC1과 CC3이 1번째의 DRX cycle에서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으며, CC3쪽이 오래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CC3의 데이터 수신이 완료된 후,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
다음으로, 2번째의 DRX cycle에서는, 모든 CC에서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으며, CC2가 가장 오래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CC2의 데이터 수신 완료 후에 다시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 마찬가지로, 가장 새롭게 데이터를 수신한 CC에 맞춰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키고, Timer가 만료되는 것을 기다린다. 도 11에서는, 8번째의 DRX cycle에서 마지막 데이터를 수신한 후, 11번째의 DRX cycle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서 LongDRX로 천이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UE1의 통신 제어부(14)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eNB1의 통신 제어부(24)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UE1의 통신 제어부(14)는, 우선 DRX 상태(DRX 레벨)로서 ShortDRX로부터 개시하고(Step300),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Start drxShortCycleTimer)(Step301).
처음의 On-Duration에 있어서, 어느 쪽의 CC에서 하향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DL data on any CC?)(Step302), 하향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바르게 복호되었는지의 여부(또는 HARQ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uccessfully decoded?)(Step303).
하향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된 후(또는 HARQ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Re-start drxShortCycleTimer(Step304)). 마찬가지로, On-Duration 기간은, 하향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서 있을 경우에는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고, 없을 경우에는 남은 drxShortCycleTimer를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시킨다. 그리고,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drxShortCycleTimer expired?)(Step306),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을(만료되어 있었을) 경우 LongDRX로 천이한다(Start LongDRX)(Step307).
다음으로, 도 13에서, eNB1의 통신 제어부(24)는 UEx(x=1, 2, …,)에 대하여 ShortDRX의 제어를 개시한다(Start UEx‘s ShortDRX control)(Step400).
우선, UEx에 대해 DRX 콘피그레이션 메시지(Send DRX configuration message)를 보내어(Step401),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Step402).
UEx가 On-Duration 기간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On-Duration?)(Step403), On-Duration 기간일 경우에는, 또한 당해 UEx로 보내는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Data for UEx?)(Step404). 데이터를 송신했을 경우, UE측에서 바르게 복호 되었는지, 즉 긍정 응답(ACK)이 돌아왔는지의 여부(또는, HARQ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ACK?)(Step405).
긍정 응답의 수신을 확인 후,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Re-start drxShortCycleTimer)(Step406). 그리고,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drxShortCycleTimer expired?)(Step407), 만료되었을(만료되어 있었을) 경우, 당해 UEx가 LongDRX로 천이한다고 판단하고, LongDRX 제어를 개시한다(Start UEx’s LongDRX control)(Step408).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UE의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적합한 DRX 상태 제어를 행하면서, 각 DRX cycle에서는 UE의 소비 전력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것. 또한, 이 DRX 제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CA시의 CC 선택이 플렉시블해져서 통신로 품질에 따른 CC 선택이나, CC간의 부하 분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비해, 각 DRX cycle에서 CC간의 데이터 수신 상황(Active Time)을 공유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취급하는 타이머가 적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제 3 실시예>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무선 단말(UE)의 CC마다의 DRX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CC에서,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HARQ RTT Timer를 동작시켜서 Active Time을 결정하고, drxShortCycleTimer를 동작시킨다. 또한, 이 drxShortCycleTimer에 링크시킨 CA-drxShortCycleTimer를 이용하여, CA-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여기에서, UE는, 우선 ShortDRX의 상태에 있고, drxShortCycleTimer 및 CA-drxShortCycleTimer의 길이를 ShortDRX cycle의 3회분으로 한다.
1번째의 DRX cycle(ShortDRX에서 카운트)에서는, 우선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키고, 동시에 CA-drxShortCycleTimer도 스타트시킨다. 도 14에서는, CC1과 CC3이 1번째의 DRX cycle에서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으며, CC3쪽이 오래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CC3의 데이터 수신이 완료된 후, CA-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
다음으로, 2번째의 DRX cycle에서는, 모든 CC에서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으며, CC2가 가장 오래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CC2의 데이터 수신 완료 후에 다시 CA-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 마찬가지로, 가장 새롭게 데이터를 수신한 CC에 맞춰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키고, Timer가 만료되는 것을 기다린다. 또한, 5번째의 DRX cycle에 있어서 CC3의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고, 6번째의 DRX cycle에 있어서 CC1의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지만 CA-drxShortCycleTimer가 아직 만료되어 있지 않은, 즉 달리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지 않은 CC(CC2)가 있기 때문에, CC1과 CC3에서는 ShortDRX를 그대로 계속한다. 또한, CC1과 CC3에서는 새롭게 데이터 수신이 있었을 경우, 다시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 도 14에서는, 11번째의 DRX cycle에서,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고, 따라서 CA-drxShortCycleTimer도 만료되어서 LongDRX로 천이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UE의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적합한 DRX 상태 제어를 행하면서, 각 DRX cycle에서는 UE의 소비 전력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것. 또한, 이 DRX 제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CA시의 CC 선택이 플렉시블해져서 통신로 품질에 따른 CC 선택이나, CC간의 부하 분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비해, 타이머를 새롭게 1개 가질 필요가 있지만, DRX 상태 제어의 판정은 1개의 타이머(CA-drxShortCycleTimer)에 의거하여 행하면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drxShortCycleTimer와 CA-drxShortCycleTimer의 길이를 같게 했지만, 다른 값으로 해도 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UE1의 통신 제어부(14)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eNB1의 통신 제어부(24)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서, UE는 우선 DRX 상태(DRX 레벨)로서, ShortDRX로부터 개시하여(Step500), CC마다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키고, 또한 1개의 CA-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Start drxShortCycleTimer on each CC and CA-drxShortCycleTimer)(Step501).
처음의 On-Duration에 있어서, CC마다 하향 데이터(DL data)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DL data on CCn?)(Step502), 하향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바르게 복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uccessfully decoded?)(Step503), 바르게 복호된 후(또는, HARQ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 CCn의 drxShortCycleTimer와 CA-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Re-start drxShortCycleTimer and CA-drxShortCycleTimer)(Step504).
마찬가지로, On-Duration 기간은, 하향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tep505), 있을 경우에는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고, 없을 경우에는 남은 drxShortCycleTimer를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시킨다. 그리고, CC마다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drxShortCycleTimer expired?)(Step506). 어떤 CC에서 만료되었을 경우에, CA-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는지(만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CA-drxShortCycleTimer expired?)(Step507), 아직 만료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반대로 CA-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었을 경우 LongDRX로 천이한다(Start LongDRX)(Step508).
다음으로, 도 16에서 eNB1의 통신 제어부(24)는 UEx(x=1, 2, …,)에 대하여 ShortDRX의 제어를 개시한다(Start UEx‘s ShortDRX control)(Step600).
우선, eNB1은 UEx에 대해 DRX 콘피그레이션 메시지를 보내어(Send DRX configuration message)(Step601), CA-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Start CA-drxShortCycleTimer)(Step602).
UEx가 On-Duration 기간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On-Duration?)(Step603), On-Duration 기간일 경우에는, 또한 당해 UEx로 보내는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Data for UEx?)(Step604).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에는 UE측에서 바르게 복호되었는지, 즉 긍정 응답(ACK)이 돌아왔는지의 여부(또는, HARQ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ACK?)(Step605).
긍정 응답의 수신을 확인 후, CA-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Re-start CA-drxShortCycleTimer)(Step606).
그리고, Step603으로 돌아가, UEx가 On-Duration 기간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On-Duration?)(Step603), On-Duration 기간일 경우에는, 또한 당해 UEx로 보내는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Data for UEx?).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을 경우에는, CA-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CA-drxShortCycleTimer expired?)(Step607), 만료되었을(만료되어 있었을) 경우, 당해 UEx가 LongDRX로 천이한다고 판단하고, LongDRX 제어를 개시한다(Start UEx’s LongDRX control)(Step608).
<제 3 실시예의 변형예>
도 17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3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CC에서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HARQ RTT Timer를 동작시켜서 Active Time을 결정하고, drxShortCycleTimer를 동작시킨다. 또한, 이 drxShortCycleTimer에 링크시킨 CA-drxShortCycleTimer를 이용하여, CA-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제 3 실시예와의 차이는, CA-drxShortCycleTimer가 기본적으로 복수의 CC 중 1개의 CC에서의 drxShortCycleTimer에 링크시켜 동작하는 점이다.
1번째의 DRX cycle(ShortDRX에서 카운트)에서는, 우선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키고, 동시에 CA-drxShortCycleTimer도 스타트시킨다. 도 17에서는, CC1과 CC3이 1번째의 DRX cycle에서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예로서 CC1의 drxShortCycleTimer에 링크시켜 CA-drxShortCycleTimer를 동작시킨다. 2번째의 DRX cycle에 있어서도 CC1에서는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으며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한다. 그 때문에, CA-drxShortCycleTimer도 마찬가지로 리스타트한다.
다음으로, 6번째의 DRX cycle에 있어서 CC1의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다. 그래서, 다른 CC(CC2와 CC3)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도 17에서는, CC2의 drxShortCycleTimer가 여전히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CA-drxShortCycleTimer를 CC2의 drxShortCycleTimer에 동기시킨다.
한편, 10번째의 DRX cycle에 있어서 CC2의 drxShortCycleTimer, 및 CA-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지만, CC3의 drxShortCycleTimer가 여전히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CA-drxShortCycleTimer를 CC3의 drxShortCycleTimer에 재동기시킨다. 그리고, 11번째의 DRX cycle에서 CC3의 drxShortCycleTimer 및 CA-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고, 달리 drxShortCycleTimer가 동작하고 있는 CC가 없기 때문에, LongDRX로 천이한다.
본 변형예는, 제 3 실시예에 비해, CA-drxShortCycleTimer의 갱신이 간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 eNB2와 무선 단말 UE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UE2는, eNB2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확립(RRC Connection)이 완료되어 있다. 또한, Carrier Aggregation(CA) 가능한 Component Carrier(CC)로서 CC1∼CC4가 할당되고, 이미 CC1∼CC4에서 동시에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CC1∼CC4는 각 주파수가 연속이어도 불연속이어도 어느 쪽이어도 되고, 또한 주파수대가 같아도 달라도 된다. 또한, eNB2는 UE2에 DRX의 파라미터를 통지하고, UE2는 당해 파라미터에 따라서 필요한 설정(예를 들면,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값의 설정 등)을 행한다. 여기에서, 제 2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CC1과 CC2(Subset1), CC3과 CC4(Subset2)가 각각 페어로서 동작할 경우를 나타낸다. 이 Subset이 구성되는 요인으로서는, (반드시 그렇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기본적으로 Subset간에서 다른 서비스를 행할 경우(FTP, VoIP, Streaming 등), Subset간에서 주파수대가 다를 경우, Subset간에서 셀 커버리지가 다를 경우, 또는 CC의 타입(예를 들면, 모든 Release version에 공통하여 이용 가능한 것, 특정의 Release version 이후에 이용 가능한 것, 특정의 조건의 경우만 이용 가능한 것 등)이 다를 경우 등이 생각된다. 이때, CC1∼CC4에서 DRX의 파라미터는 공통이어도 되고, Subset 내에서 공통이고 Subset간에서는 달라도 된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CA시의 DRX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E2가 CC1∼CC4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을 경우, 각 CC에서 drx-InactivityTimer, HARQ RTT Timer, drx-RetransmissionTimer를 동작시켜 Active Time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각 DRX cycle에 있어서는, 각 CC에서의 실제의 데이터 수신에 따른 UE의 전력 절약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DRX 상태의 제어 방법으로서는, CC의 Subset 내에서 DRX 상태가 같아지도록 하면서, Subset간에서는 DRX 상태가 달라도 되도록 행한다. 상세 동작은, 이하의 3가지가 생각된다.
1. CC마다 drxShortCycleTimer를 갖고, 각 CC에서 그것들을 독립적으로 동작시키고, Subset 내의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그 Subset 내의 CC 모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2. Subset 내의 CC 공통으로 drxShortCycleTimer를 1개 갖고, 각 DRX cycle에서 1개라도 데이터 수신을 한 CC가 있었을 경우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키고,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그 Subset 내의 CC 전부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3. CC마다 drxShortCycleTimer를 갖는다. 또한, Subset마다 1개(CC간 공통) 다른 타이머(CA-drxShortCycleTimer)를 갖는다. 우선, 각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킨다. 어느 쪽의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시켰을 경우, CA-drxShortCycleTimer도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시킨다. 그리고, CA-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그 Subset 내의 CC 모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이들 방법에 의해, CC 각각의 데이터 수신 빈도가 아니라, 각 UE의 Subset 내의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의거한 DRX 상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Subset간에서 서비스가 다를 경우나, 주파수대가 다를 경우 등에서 유효하다.
또한,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3GPP LTE의 사양에 준거하는 바람직한 구성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 4 실시예>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무선 단말(UE)의 CC마다의 DRX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동작시키고, Subset 내의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여기에서, 단말은 우선 ShortDRX 상태에 있고, drxShortCycleTimer의 길이를 ShortDRX cycle의 3회분으로 한다. 또한, DRX 파라미터는 모든 CC에서 공통으로 한다.
우선, CC1과 CC2(Subset1)에 주목한다. 1번째의 DRX cycle(ShortDRX에서 카운트)에서는, 양쪽의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 CC2에서는,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On-Duration만 PDCCH를 수신한 후, 비수신 기간(Opportunity for DRX)으로 이동한다.
한편, CC1에서는,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으며 Active Time을 On-Duration으로부터 연장하여, 데이터 복호에 성공한 시점에서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하고 있다.
다음으로, 6번째의 DRX cycle에 주목하면, CC1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에는, 이 시점에서 CC1은 LongDRX로 천이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ShortDRX인 채 계속한다.
또한, 7번째의 DRX cycle에서는, CC1에서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다. 종래에는, LongDRX로 천이하고 있는 기간이므로 CC1에서는 데이터 수신할 수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ShortDRX인 채이므로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 CC1에서는 다시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 그 후, 각 CC에서 계속적으로 ShortDRX를 행한 후, 10번째의 DRX cycle에서 CC2가, 11번째의 DRX cycle에서 CC1이, 각각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있다. 그 때문에, 12번째의 DRX cycle 이후에서는, Subset1 내의 모든 CC에서 LongDRX로 천이한다. 또한, 어떤 CC에서 일단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후에 특별히 데이터 수신이 행해지지 않고, 다른 모든 CC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을 경우 그 시점에서 LongDRX로 천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CC3과 CC4(Subset2)에 주목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Subset1과 같다. 1번째의 DRX cycle에서는, 우선 CC3과 CC4의 양쪽 모두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 여기에서는, 어느 쪽도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 완료 후에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한다. 그리고, 4번째의 DRX cycle에서 CC4의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후, 5번째의 DRX cycle에서 CC3의 drxShortCycleTimer가 각각 만료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Subset2의 CC에서는,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한편, 다음 LongDRX cycle에 있어서, CC3에서 다시 데이터 수신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CC3과 CC4의 양쪽에서, LongDRX로부터 ShortDRX로 천이한다. 그리고, 각각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
이에 따라, Subset1(CC1과 CC2)과 Subset2(CC3과 CC4)에서, 다른 DRX 상태가 다른 경우가 생긴다. 예를 들면, 6번째 내지 8번째의 DRX cycle에서는, Subset1은 ShortDRX인 것에 대해, Subset2에서는 LongDRX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Subset마다 DRX 상태 제어를 행함으로써 Subset마다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적합한 DRX 상태 제어를 행하면서, 각 DRX cycle에서는 UE의 소비 전력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DRX 제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CA시의 CC 선택이 플렉시블해져서 통신로 품질에 따른 CC 선택이나, CC간의 부하 분산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형태>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 3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 eNB2와 무선 단말 UE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UE3은, eNB3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확립(RRC Connection)이 완료되어 있다. 또한, Carrier Aggregation(CA) 가능한 Component Carrier(CC)로서, CC1∼CC3이 할당되고, 이미 CC1∼CC3에서 동시에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상태이다. 단, CC2가, 서빙 셀(Serving cell)의 DL CC이다. 여기에서, Serving cell의 정의는, 예를 들면 CA하지 않을 경우에도 사용하는 CC, 무선 단말이 액티브(RRC_Connected)가 되기 전에 캠핑(camping)하고 있던(또는, 캠핑 가능한) CC,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는 CC 등이 생각된다. 또한, Serving cell의 CC를 서빙 캐리어(Serving carrier), 또는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라고도 부른다. 또한, CC1∼CC3은 각 주파수가 연속이어도 불연속이어도 어느 쪽이어도 되고, 또한 주파수대가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또한, eNB3은 UE3에 DRX의 파라미터를 통지하고, UE3은 당해 파라미터에 따라서 필요한 설정(예를 들면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값의 설정 등)을 행한다. 이때, CC1∼CC3에서 DRX의 파라미터는 기본적으로 공통임을 상정하고 있지만, 달라도 된다.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CA시의 DRX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구성 캐리어(CC)의 모두 또는 일부에 있어서, 무선 단말(UE)의 간헐 수신(DRX)의 일련의 동작 중, DRX 상태(DRX 레벨) 제어 이외(예를 들면 Active Time의 연장 등)를 각각 독립적으로 행하고, DRX 상태 제어를 공통적으로 행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E3이 CC1∼CC3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을 경우, 각 CC에서 drx-InactivityTimer, HARQ RTT Timer, drx-RetransmissionTimer를 동작시켜 Active Time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각 DRX cycle에 있어서는, 각 CC에서의 실제의 데이터 수신에 따른 UE의 전력 절약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DRX 상태(DRX 레벨)의 제어 방법으로서는, 특정의 CC만 drxShortCycleTimer를 갖고, 당해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동작시키고,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여기에서, 특정의 CC로서는, 도 20의 Serving cell의 CC가 생각된다. Serving cell의 CC의 정의는 다양하게 있지만, 예를 들면 무선 단말이 액티브(RRC_Connected)가 된 시점에서 캠핑하고 있던 CC, CA의 콘피그레이션 메시지(Configuration message)를 받은 CC,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등의 셀의 기본 정보를 받은 CC 등이 생각된다.
이들 방법에 의해, CC 각각의 데이터 수신 빈도가 아니라, 각 UE의 Serving cell의 CC에서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의거한 DRX 상태 제어, 나아가서는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의거한 DRX 상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DRX 제어의 도중에 불필요해진 CC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무효화(Deactivation)함으로써 단말의 여분인 전력 소비를 피할 수 있다. 또한, LongDRX로부터 ShortDRX로의 천이는, Serving cell의 CC에서 LongDRX의 On-Duration에 신규 데이터 수신을 행했을 경우에, 모든 CC에서 ShortDRX로 천이하도록 행한다. 단,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Serving cell의 CC에서 연속 N회의 DRX cycle에서 데이터 수신을 행했을 경우에 다른 모든 CC도 ShortDRX로 천이하는 방법이나, Serving cell의 CC에 더하여 M개 이상의 CC에서 신규 데이터 수신을 행했을 경우에 다른 모든 CC도 ShortDRX로 천이하는 방법 등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DRX 상태 제어를 UE의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의거하여 행한다는 관점에서는, 1번째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단말에 설정된 CC가 Subset으로 나누어져 있을 경우, Subset 내의 특정의 CC만 drxShortCycleTimer를 갖고, 당해 CC에서 drxShortCycleTimer를 동작시키고,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ubset 내의 모든 CC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3GPP LTE의 사양에 준거하는 바람직한 구성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 5 실시예>
도 21은 제 3 실시형태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무선 단말(UE)의 CC마다의 DRX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CC에서,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HARQ RTT Timer를 동작시켜서 Active Time을 결정하지만, drxShortCycleTimer는 Serving cell의 CC만으로 동작시켜서 이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한다. 여기에서, UE는, 우선 ShortDRX의 상태에 있고, drxShortCycleTimer의 길이를 ShortDRX cycle의 3회분으로 한다.
1번째의 DRX cycle(ShortDRX에서 카운트)에서는, 우선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 도 21에서는, CC2와 CC3이 1번째의 DRX cycle에서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다. drxShortCycleTimer는, CC2의 데이터 수신 상황에 따라 제어하기 때문에, CC2에서의 데이터 수신 완료 후에 리스타트시킨다. 다음으로, 2번째의 DRX cycle에서는, 모든 CC에서 데이터 수신을 하고 있지만, 역시 CC2의 데이터 수신 정보에 맞추기 위해, CC2의 데이터 수신 완료 후에 다시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 마찬가지로, CC2의 데이터 수신 상황에 맞춰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 시키고, 당해 Timer가 만료되는 것을 기다린다. 도 21에서는, 7번째의 DRX cycle에서 마지막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 10번째의 DRX cycle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서 LongDRX로 천이한다.
이 DRX 제어 방법은, 기본적으로 우선 Serving cell의 CC를 이용하고, 또한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는 다른 CC를 이용하는 CA를 행할 경우에 가장 유효하다. 이에 따라, UE의 토탈의 데이터 수신 빈도에 적합한 DRX 상태 제어를 행하면서, 각 DRX cycle에서는 UE의 소비 전력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DRX 제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CA시에 Serving cell의 CC 이외의 부가적인 CC의 선택이 플렉시블해져서 통신로 품질에 따른 CC 선택이나, CC간의 부하 분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UE1의 통신 제어부(14)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eNB1의 통신 제어부(14)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에 있어서, UE1은, 우선 DRX 상태(DRX 레벨)로서 ShortDRX로부터 개시하여(Step700),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Start drxShortCycleTimer) (Step701).
처음의 On-Duration에 있어서, CC2(Serving cell)에서 하향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DL data on CC2?)(Step702), 하향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바르게 복호했는지의 여부(또는 HARQ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uccessfully decoded?)(Step703).
하향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된 후(또는 HARQ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Re-start drxShortCycleTimer)(Step704). 마찬가지로, On-Duration 기간은 (Step705), CC2에서 하향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서, 있을 경우에는 같은 동작을 행하고, 없을 경우에는 남은 drxShortCycleTimer를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시킨다. 그리고,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drxShortCycleTimer expired?)(Step706),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을(만료되어 있었을) 경우 LongDRX로 천이한다(Start LongDRX)(Step707).
한편, 도 23에 있어서, eNB1의 통신 제어부(24)는 UEx(x=1, 2, …,)에 대하여 ShortDRX의 제어를 개시한다(Start UEx‘s ShortDRX control)(Step800).
우선, UEx에 대해 DRX 콘피그레이션 메시지(DRX configuration message)를 보내어(Step801),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시킨다(Step802). UEx가 On-Duration 기간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On-Duration?)(Step803), On-Duration 기간일 경우에는, 또한 당해 UEx로 보내는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Data for UEx?)(Step804). 데이터를 송신했을 경우, UE측에서 바르게 복호되었는지, 즉 긍정 응답(ACK)이 돌아왔는지의 여부(또는, HARQ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ACK?)(Step805). 긍정 응답의 수신을 확인 후, drxShortCycleTimer를 리스타트시킨다(Re-start drxShortCycleTimer)(Step806). 그리고,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drxShortCycleTimer expired?)(Step807), 만료되었을(만료되어 있었을) 경우, 당해 UEx가 LongDRX로 천이한다고 판단하고, LongDRX 제어를 개시한다(Start UEx’s LongDRX control)(Step808).
이상, 지금까지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CA시에 이용 가능한 CC 각각에서 하향 제어 채널(PDCCH)과 대응하는 하향 데이터 채널(PDSCH)이 송신되는 것을 전제로 해 왔지만, LTE에서는 PDCCH가 특정의 CC 또는 PDSCH와는 다른 CC에서 송신될 경우도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무선 단말측에서의 CC마다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은, 당해 CC에 한하지 않고 수신한 PDCCH 중 어느 것에서 당해 CC의 PDSCH에의 스케줄링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행한다.
또한, CA시의 UE의 DRX 제어에 대해서, 특별히 DRX 상태(DRX 레벨) 제어의 ShortDRX로부터 LongDRX로 천이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행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포인트는 DRX 동작으로부터 Idle 상태로의 천이에 대해서 적용 가능하다. 즉, UE가 DRX(특히, LongDRX)로부터 Idle로의 천이를 행할 경우, eNB 및/또는 UE가 갖는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생각되고, 이때 CA하는 CC간에서 공통적으로 당해 타이머를 제어함으로써 UE의 토탈의 액티비티에 따라 DRX로부터 Idle로의 상태 천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Active Time을 공통 설정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포인트를, drxShortCycleTimer 대신에 drxInactivityTimer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DRX 제어 이외에도, CA시의 UE에 의한 인접 셀의 메저먼트(Measurement)나, 계속적 리소스 할당(Semi-persistent scheduling)에도 본 발명의 포인트의 응용이 가능하다. Measurement에 있어서, 예를 들면, 메저먼트 파라미터 설정(Measurement configuration)은 공통으로 했을 경우에도, 실제의 측정(Measurement)은 CC간에서 독립적으로 하고, 보고(Measurement report)는 공통적으로 한다는 방법이 생각된다. 이때, 각 DL의 CC에 대응한 UL의 CC 각각에서 보고를 해도 되고, 어떤 CC에서 정리하여 보고를 해도 된다. 또한 Semi-persistent scheduling의 묵시적인 리소스 개방(Implicit release)에 있어서, 상향(Uplink : UL)의 미사용 리소스의 카운트 등을 CC간에서 공통적으로 제어한다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CC 모두에서 사전에 할당된 UL 리소스가 미사용인 경우에는 카운트를 해 가고, 그 값이 소정값(implicitReleaseAfter : 비특허문헌 2·4)을 초과했을 경우에, UL 리소스를 개방한다는 방법이나, 각 CC에서 각각 미사용 리소스를 카운트해 가고, 모든 CC에서 소정값을 초과했을 경우에 UL 리소스를 개방한다는 방법 등이 생각된다.
또한, 지금까지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3GPP LTE를 상정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대상은 그들에 한정되지 않고, 3GPP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구체예를 더 서술한다.
DRX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단말(UE)은 subframe마다 반드시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Short]
DRX Cycle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SFN*10) + subframe number]
modulo (shortDRX-Cycle)=(drxStartOffset) modulo (shortDRX-Cycle)이 될 경우, 또는 Long DRX Cycle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SFN*10) + subframe number] modulo (longDRX-Cycle)=drxStartOffset:이 될 경우로서 Carrier Aggregation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Activate(유효하게)된 각 구성 캐리어에서 onDurationTimer를 스타트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onDurationTimer를 스타트한다. 여기에서, SFN은 System Frame Number이다.
현재의 subframe에서 HARQ RTT Timer가 만료되고 또한 당해 HARQ process의 soft buffer의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서 Carrier Aggregation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해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의 당해 HARQ process에 대하여 drx-RetransmissionTimer를 스타트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당해 HARQ process에 대하여 drx-RetransmissionTimer를 스타트한다.
[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를 수신한 경우로서 Carrier Aggregation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해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의 onDurationTimer를 스톱하고, 당해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의 drx-InactivityTimer를 스톱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onDurationTimer를 스톱하고, drx-InactivityTimer를 스톱한다.
drx-InactivityTimer 종료하거나 또는 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를 subframe에서 수신한 경우로서, Carrier Aggregation이 설정되어 있고 Short DRX cycle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해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의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하여서 당해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 Short DRX Cycle을 사용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당해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 Long DRX Cycle을 사용한다.
drx-InactivityTimer 종료하거나 또는 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를 subframe에서 수신한 경우로서, 그 밖의 경우이며, Short DRX cycle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하여서 Short DRX Cycle을 사용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Long DRX cycle을 사용한다.
[Carrier]
Aggregation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로서, 현재의 subframe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고, 당해 구성 캐리어 이외의 모든 Activate된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는(또는 만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Long DRX cycle을 사용하고, Carrier Aggregation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현재의 subframe에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될 경우에는, Long DRX cycle을 사용한다.
[Active]
Time 동안, half-duplex FDD 시스템의 상향 송신에 필요하지 않고 또한 설정된 measurement gap의 일부가 아닌 PDCCH-subframe에 대하여 PDCCH를 모니터한다.
PDCCH가 하향 송신을 명시하고 있을 경우 또는 당해 subframe에 대하여 하향 송신이 미리 할당되어 있을 경우로서 Carrier Aggregation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해 구성 캐리어에서의 당해 HARQ process에 있어서 HARQ RTT Timer를 스타트하고, 당해 구성 캐리어에서의 당해 HARQ process에 있어서 drx-RetransmissionTimer를 스톱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당해 HARQ process에 있어서 HARQ RTT Timer를 스타트하고, 당해 HARQ process에 있어서 drx-RetransmissionTimer를 스톱한다.
PDCCH가 신규 송신(DL 또는 UL)을 명시하고 있는 경우로서 Carrier Aggregation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해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 drx-InactivityTimer를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drx-InactivityTimer를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한다.
[Active]
Time 이외에 있어서, PUCCH에서의 CQI/PMI/RI의 보고, SRS의 송신은 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서는 각 부를 하드웨어로 구성했지만, 프로그램에서 동작하는 CPU 등의 정보 처리 장치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상술한 동작을 CPU 등에 실행시킨다.
상기의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재될 수 있지만, 이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부기 1) 무선 단말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과,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수단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2)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의 각각에서 동작하는 타이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3)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길이가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부터 하나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선택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4)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의 데이터의 수신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선택하는 부기 3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5)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에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3 또는 부기 4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6)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갖고,
상기 타이머의 모두가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했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5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7)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 중 어느 것에서,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계측을 리스타트하는 타이머를 갖고,
상기 타이머의 계측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했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5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8)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1 타이머 중 어느 것이 계측을 리스타트하면, 계측을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제 2 타이머를 갖고,
상기 제 2 타이머의 계측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했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5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9)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1 타이머 중 어느 것과 대응하고, 상기 대응하는 제 1 타이머가 계측을 리스타트하면, 계측을 리스타트하는 제 2 타이머를 갖고,
상기 제 2 타이머의 계측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했을 경우, 상기 대응하는 제 1 타이머 이외에서 계측 중인 상기 제 1 타이머 중 어느 것과 대응시키고, 다시 상기 제 2 타이머의 계측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하고 또한 상기 제 1 타이머 모두가 상기 계측을 하고 있지 않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5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0)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갖고,
모든 타이머가 상기 계측을 하고 있지 않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1)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1개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 또는 미리 정해진 특정의 구성 캐리어에서,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짧은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3 내지 부기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2)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의 특정의 종류의 구성 캐리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갖고,
상기 타이머가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했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3)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의 종류의 구성 캐리어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 또는 상기 특정의 종류의 구성 캐리어에서,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짧은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12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4) 상기 특정의 종류의 구성 캐리어가, 서빙 셀의 구성 캐리어, 앵커 구성 캐리 중 적어도 어느 1개인 부기 12 또는 부기 13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5)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 및/또는,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의 세트인 적어도 1 이상의 Subset마다 제어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6)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 및/또는,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간헐 수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7)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각 구성 캐리어에서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8)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각 구성 캐리어에서 공통으로 제어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9)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단말로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으로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과,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수단을 갖는 무선 단말.
(부기 20)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의 각각에서 동작하는 타이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부기 19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21)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길이가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부터 하나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선택하는 부기 19 또는 부기 20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22)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의 데이터의 수신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선택하는 부기 21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23)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에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21 또는 부기 22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24)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갖고,
상기 타이머의 모두가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했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23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25)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 중 어느 것에서,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계측을 리스타트하는 타이머를 갖고,
상기 타이머의 계측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했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23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26)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1 타이머 중 어느 것이 계측을 리스타트하면, 계측을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제 2 타이머를 갖고,
상기 제 2 타이머의 계측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했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27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27)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1 타이머 중 어느 것과 대응하고, 상기 대응하는 제 1 타이머가 계측을 리스타트하면, 계측을 리스타트하는 제 2 타이머를 갖고,
상기 제 2 타이머의 계측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했을 경우, 상기 대응하는 제 1 타이머 이외에서 계측 중인 상기 제 1 타이머 중 어느 것과 대응시키고, 다시 상기 제 2 타이머의 계측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하고 또한 상기 제 1 타이머 모두가 상기 계측을 하고 있지 않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23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28)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갖고,
모든 타이머가 상기 계측을 하고 있지 않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19 내지 부기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29)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1개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 또는 미리 정해진 특정의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짧은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19 내지 부기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30)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의 특정의 종류의 구성 캐리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계측 중에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데이터가 바르게 복호되면 리스타트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갖고,
상기 타이머가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에 도달했을 경우,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긴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19 내지 부기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31)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의 종류의 구성 캐리어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 또는, 상기 특정의 종류의 구성 캐리어에서, 현재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보다 짧은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로 천이하는 부기 31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32) 상기 특정의 종류의 구성 캐리어가, 서빙 셀의 구성 캐리어, 앵커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어느 1개인 부기 30 또는 부기 31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33)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 및/또는,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의 세트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Subset마다 제어하는 부기 19 내지 부기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34)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 및/또는,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간헐 수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부기 19 내지 부기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35)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각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부기 19 내지 부기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36)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각 구성 캐리어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부기 19 내지 부기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단말.
(부기 37) 무선 단말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과,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수단을 갖는 상기 무선 단말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와 동기를 취하는 수단을 갖는 무선 기지국.
(부기 38)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의 각각에서 동작하는 타이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부기 37에 기재된 무선 기지국.
(부기 39) 무선 단말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방법.
(부기 40)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의 각각에서 동작하는 타이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부기 41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41) 상기 수신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부기 39 또는 부기 40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42)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단말의 프로그램으로서,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간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처리와,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에서,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처리를 무선 단말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부기 43) 상기 수신 제어 처리는,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캐리어의 각각에서 동작하는 타이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제어하는 부기 42에 기재된 프로그램.
(부기 44) 상기 수신 제어 처리는, 상기 수신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기간을 공통적으로 제어하는 부기 42 또는 부기 43에 기재된 프로그램.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9년 10월 2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 특원2009-230114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도입한다.
11 : 수신기
12 : 송신기
13 : 신호 처리부
14 : 통신 제어부
21 : 수신기
22 : 송신기
23 : 신호 처리부
24 : 통신 제어부
25 : 단말 관리부
12 : 송신기
13 : 신호 처리부
14 : 통신 제어부
21 : 수신기
22 : 송신기
23 : 신호 처리부
24 : 통신 제어부
25 : 단말 관리부
Claims (20)
- 무선 단말 및 무선 기지국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CC)를 복수의 Subset으로 나누는 구성 캐리어 관리 수단과,
상기 복수의 Subset의 각각에 있어서, 같은 Subset에 포함되는 구성 캐리어(CC) 사이에서, 상기 무선 단말에 있어서의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으로 제어하고, 다른 Subset에 포함되는 구성 캐리어(CC) 사이에서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독립하여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과,
Short DRX 상태로부터 Long DRX 상태로의 천이, 또는 Long DRX 상태로부터 Short DRX 상태로의 천이를, 상기 Subset 사이에서 독립하여 제어하는 DRX 상태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구성 캐리어 관리 수단은, 구성 캐리어가 속하는 주파수대 또는 구성 캐리어에서 행해지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른 구성 캐리어를 다른 Subset으로 나누는, 무선 통신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채널이 하향 제어 채널(PDCCH)이고,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이 수신 기간(On-Duration)의 개시 타이밍인, 무선 통신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되는 DRX 설정을, Subset별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설정이, 상기 On-Duration의 기간, 상기 On-Duration의 주기, 및 Short DRX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상태 제어 수단은, 상기 Short DRX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Short DRX와 Long DRX 간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를 이용하여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단말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구성 캐리어(CC)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복수의 Subset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관리 수단과,
상기 복수의 Subset의 각각에 있어서, 같은 Subset에 포함되는 구성 캐리어(CC) 사이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으로 제어하고, 다른 Subset에 포함되는 구성 캐리어(CC) 사이에서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독립하여 제어하는 수신 개시 타이밍 제어 수단과,
Short DRX 상태로부터 Long DRX 상태로의 천이, 또는 Long DRX 상태로부터 Short DRX 상태로의 천이를, 상기 Subset 사이에서 독립하여 제어하는 DRX 상태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Subset은, 구성 캐리어가 속하는 주파수대 또는 구성 캐리어에서 행해지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른 구성 캐리어가 다른 Subset으로 되도록 나뉘어져 있는, 무선 단말.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채널이 하향 제어 채널(PDCCH)이고,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이 수신 기간(On-Duration)의 개시 타이밍인, 무선 단말.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Subset별로 DRX 설정을 수신하고,
상기 DRX 설정에 따라, Subset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단말.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설정이, 상기 On-Duration의 기간, 상기 On-Duration의 주기, 및 Short DRX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상태 제어 수단은, 상기 Short DRX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Short DRX와 Long DRX 간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무선 단말. - 무선 단말 및 무선 기지국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된 구성 캐리어(CC)를, 구성 캐리어가 속하는 주파수대 또는 구성 캐리어에서 행해지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른 구성 캐리어가 다른 Subset으로 되도록, 복수의 Subset으로 나누고,
상기 복수의 Subset의 각각에 있어서, 같은 Subset에 포함되는 구성 캐리어(CC) 사이에서, 상기 무선 단말에 있어서의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으로 제어하고, 다른 Subset에 포함되는 구성 캐리어(CC) 사이에서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독립하여 제어하고,
Short DRX 상태로부터 Long DRX 상태로의 천이, 또는 Long DRX 상태로부터 Short DRX 상태로의 천이를, 상기 Subset 사이에서 독립하여 제어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채널이 하향 제어 채널(PDCCH)이고,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이 수신 기간(On-Duration)의 개시 타이밍인, 무선 통신 방법.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되는 DRX 설정을, Subset별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설정이, 상기 On-Duration의 기간, 상기 On-Duration의 주기, 및 Short DRX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Short DRX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Short DRX와 Long DRX 간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구성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를 이용하여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구성 캐리어(CC)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복수의 Subset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상기 복수의 Subset의 각각에 있어서, 같은 Subset에 포함되는 구성 캐리어(CC) 사이에서,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공통으로 제어하고, 다른 Subset에 포함되는 구성 캐리어(CC) 사이에서는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의 주기를 독립하여 제어하고,
Short DRX 상태로부터 Long DRX 상태로의 천이, 또는 Long DRX 상태로부터 Short DRX 상태로의 천이를, 상기 Subset 사이에서 독립하여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Subset은, 구성 캐리어가 속하는 주파수대 또는 구성 캐리어에서 행해지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른 구성 캐리어가 다른 Subset으로 되도록 나뉘어져 있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채널이 하향 제어 채널(PDCCH)이고,
상기 소정 채널의 수신 개시 타이밍이 수신 기간(On-Duration)의 개시 타이밍인, 무선 통신 방법. -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Subset별로 DRX 설정을 수신하고,
상기 DRX 설정에 따라, Subset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설정이, 상기 On-Duration의 기간, 상기 On-Duration의 주기, 및 Short DRX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Short DRX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Short DRX와 Long DRX 간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230114 | 2009-10-02 | ||
JPJP-P-2009-230114 | 2009-10-02 | ||
PCT/JP2010/067062 WO2011040516A1 (ja) | 2009-10-02 | 2010-09-30 |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8018A Division KR101995329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2348A Division KR102148791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0964A true KR20190080964A (ko) | 2019-07-08 |
KR102107500B1 KR102107500B1 (ko) | 2020-05-07 |
Family
ID=43826328
Famil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04798A KR101903430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77014975A KR101789706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207012348A KR102148791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97018460A KR102107500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77030030A KR101832813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67008815A KR101744667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207024136A KR102276688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27008224A KR101385694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
KR1020187005068A KR101962200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37027776A KR101524569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97008018A KR101995329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04798A KR101903430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77014975A KR101789706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207012348A KR102148791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30030A KR101832813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67008815A KR101744667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207024136A KR102276688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27008224A KR101385694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
KR1020187005068A KR101962200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37027776A KR101524569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KR1020197008018A KR101995329B1 (ko) | 2009-10-02 | 2010-09-30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7) | US9042248B2 (ko) |
EP (3) | EP2485540B1 (ko) |
JP (9) | JP5812286B2 (ko) |
KR (11) | KR101903430B1 (ko) |
CN (3) | CN102550088B (ko) |
ES (1) | ES2897415T3 (ko) |
TR (1) | TR201909946T4 (ko) |
WO (1) | WO201104051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942587B1 (en) * | 2005-10-28 | 2013-10-23 | NEC Corporatio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methods for power-saving transmission/reception |
EP2485540B1 (en) | 2009-10-02 | 2019-06-12 | Nec Corporation | Discontinuous reception control for a wireless terminal using a plurality of carrier components |
KR20110052418A (ko) * | 2009-11-11 | 2011-05-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11087233A2 (en) | 2010-01-12 | 2011-07-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KR101720334B1 (ko) * | 2010-01-12 | 2017-04-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JP5661865B2 (ja) * | 2010-05-17 | 2015-01-28 | 株式会社Nttドコモ | 移動局 |
JP5314712B2 (ja) * | 2011-02-14 | 2013-10-16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装置 |
JP5420587B2 (ja) * | 2011-05-06 | 2014-02-19 | 株式会社Nttドコモ | ユーザ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
US8879667B2 (en) * | 2011-07-01 | 2014-11-04 | Intel Corporation | Layer shifting in open loop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
EP2739099B1 (en) * | 2011-07-29 | 2019-09-25 | NEC Corporation | Wireless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time alignment timer control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101588675B1 (ko) * | 2011-08-12 | 2016-01-27 |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불연속 수신 |
JP5327490B2 (ja) * | 2012-02-03 | 2013-10-30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
WO2013141336A1 (ja) * | 2012-03-23 | 2013-09-26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
WO2014010901A1 (en) * | 2012-07-11 | 2014-01-16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8923880B2 (en) | 2012-09-28 | 2014-12-30 | Intel Corporation |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
US9241308B2 (en) * | 2012-10-10 | 2016-01-19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
US20140126400A1 (en) * | 2012-11-08 | 2014-05-08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uplink flow control in an hspa+ ue using autonomous connected drx mode triggering |
ES2706001T3 (es) * | 2012-11-16 | 2019-03-27 | Nokia Technologies Oy | Recepción discontinua (DRX) para tráfico diverso |
US9667386B2 (en) * | 2013-11-13 | 2017-05-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ransmission of control channel and data channels for coverage enhancements |
CA2966970C (en) | 2014-11-06 | 2023-05-16 | Nec Corporation | Radio terminal, radio station, and method thereof |
WO2016152806A1 (ja) * | 2015-03-23 | 2016-09-29 | 日本電気株式会社 |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JP2018110275A (ja) * | 2015-03-23 | 2018-07-12 | 日本電気株式会社 | 無線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EP3079436B1 (en) | 2015-04-10 | 2018-09-19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for licensed-assisted access |
EP3761727B1 (en) * | 2015-07-27 | 2022-06-0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s and devices |
KR102603921B1 (ko) | 2015-12-03 | 2023-1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CN113067682B (zh) | 2017-01-04 | 2023-04-07 | 华为技术有限公司 | 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
CN109246826B (zh) * | 2017-06-16 | 2021-06-22 | 华为技术有限公司 | Drx配置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和通信系统 |
JP6259541B2 (ja) * | 2017-06-27 | 2018-01-10 |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 不連続受信方法および不連続受信方法を使用するユーザ機器 |
CN109391372B (zh) * | 2017-08-11 | 2021-08-13 | 华为技术有限公司 | 通信方法与设备 |
JP7018827B2 (ja) * | 2018-06-13 | 2022-02-1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及び車両 |
US11224088B2 (en) * | 2018-07-02 | 2022-01-11 | Qualcomm Incorporated | Beam sweeping during an on-period of a DRX cycle |
WO2020022694A1 (ko) * | 2018-07-25 | 2020-0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N112352458A (zh) | 2018-07-25 | 2021-02-09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信道监听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
SG11202112512VA (en) * | 2019-05-10 | 2021-12-30 | Nokia Technologies Oy | Wake-up signal monitoring indication |
US11612012B1 (en) | 2020-09-18 | 2023-03-21 | T-Mobile Innovations Llc | DRX control for wireless user equipment |
JP2022167481A (ja) | 2021-04-23 | 2022-11-04 |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 静電吸着部材及び基板固定装置 |
KR20230129278A (ko) | 2022-03-01 | 2023-09-08 | 주식회사 이그널 |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518366C (zh) | 2003-09-30 | 2009-07-22 | 夏普株式会社 | 通信系统、基站、终端电台、通信装置、通信管理方法、控制程序和记录它的计算机可读记录介质 |
WO2007144956A1 (ja) * | 2006-06-16 | 2007-12-2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
CN101606420B (zh) | 2007-02-05 | 2013-05-22 | 日本电气株式会社 | 基站间切换方法、无线通信系统、drx控制方法、基站和通信终端 |
EP2124470A4 (en) * | 2007-03-01 | 2014-08-27 | Ntt Docomo Inc |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KR20100016126A (ko) | 2007-04-24 | 2010-02-12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 |
EP2144452A1 (en) | 2007-04-24 | 2010-01-13 | NTT DoCoMo, Inc. | Mobile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processor |
US8908581B2 (en) | 2007-05-01 | 2014-12-09 | Qualcomm Incorporated | Extended microsleep for communications |
KR20080097338A (ko) * | 2007-05-01 | 2008-11-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불연속 데이터 송수신 방법 |
WO2008156130A1 (ja) * | 2007-06-20 | 2008-12-24 | Kyocera Corporation |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
EP2183869B1 (en) * | 2007-08-14 | 2017-10-04 | Nokia Technologies Oy | Resource scheduling enabling partially-constrained retransmission |
US9504083B2 (en) * | 2008-01-10 | 2016-11-22 | Innovative Sonic Limited | Method and related communications device for improving discontinuous reception functionality |
JP5434099B2 (ja) | 2008-02-28 | 2014-03-05 | 株式会社リコー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US8488521B2 (en) * | 2008-03-14 | 2013-07-16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Behavior for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and MAC control elements for LTE DRX operations |
CN101978745B (zh) * | 2008-03-19 | 2014-09-24 |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 用于检测同步的丢失的方法和基站 |
US8526377B2 (en) * | 2008-03-25 | 2013-09-03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DRX functionality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
EP3125628A1 (en) * | 2008-11-21 | 2017-02-01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carrier util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
WO2010078365A1 (en) * | 2008-12-30 | 2010-07-08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Discontinuous reception for carrier aggregation |
US9100141B2 (en) * | 2009-03-06 | 2015-08-04 | Sharp Kabushiki Kaisha |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mittent reception method |
KR101717522B1 (ko) * | 2009-04-27 | 2017-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1358608B1 (ko) * | 2009-06-15 | 2014-02-04 | 블랙베리 리미티드 | 롱텀 에볼루션 어드밴스트 캐리어 집적을 위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시스템 |
CN105790915B (zh) * | 2009-06-18 | 2021-05-11 |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 应用载波聚合在DRX模式中进行操作的方法、WTRU及e节点B |
CN102036348B (zh) | 2009-09-30 | 2014-01-0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不连续接收配置方法及系统 |
EP2485540B1 (en) * | 2009-10-02 | 2019-06-12 | Nec Corporation | Discontinuous reception control for a wireless terminal using a plurality of carrier components |
KR101617350B1 (ko) * | 2010-03-30 | 2016-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셀룰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 반송파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12158373A2 (en) * | 2011-05-16 | 2012-11-22 | Don Monopoli Productions, Inc. | Wheel game with holes |
US20140092758A1 (en) * | 2012-10-02 | 2014-04-03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Processing for a carrier according to a carrier type |
-
2010
- 2010-09-30 EP EP10820631.9A patent/EP2485540B1/en active Active
- 2010-09-30 CN CN201080045110.XA patent/CN102550088B/zh active Active
- 2010-09-30 CN CN201510263488.1A patent/CN104869667B/zh active Active
- 2010-09-30 US US13/499,526 patent/US9042248B2/en active Active
- 2010-09-30 WO PCT/JP2010/067062 patent/WO201104051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9-30 TR TR2019/09946T patent/TR201909946T4/tr unknown
- 2010-09-30 EP EP19171959.0A patent/EP3537778B1/en active Active
- 2010-09-30 KR KR1020157004798A patent/KR1019034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KR KR1020177014975A patent/KR1017897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ES ES19171959T patent/ES2897415T3/es active Active
- 2010-09-30 KR KR1020207012348A patent/KR10214879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CN CN201410712539.XA patent/CN104507178B/zh active Active
- 2010-09-30 KR KR1020197018460A patent/KR1021075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KR KR1020177030030A patent/KR1018328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KR KR1020167008815A patent/KR1017446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KR KR1020207024136A patent/KR1022766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KR KR1020127008224A patent/KR1013856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KR KR1020187005068A patent/KR1019622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JP JP2011534300A patent/JP5812286B2/ja active Active
- 2010-09-30 KR KR1020137027776A patent/KR10152456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KR KR1020197008018A patent/KR1019953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30 EP EP21191382.7A patent/EP3986034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4
- 2014-06-16 JP JP2014123282A patent/JP5664887B2/ja active Active
- 2014-10-03 JP JP2014204415A patent/JP5892347B2/ja active Active
- 2014-11-28 US US14/555,800 patent/US9749952B2/en active Active
-
2015
- 2015-04-21 US US14/692,129 patent/US9629082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02-26 JP JP2016035061A patent/JP6260801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6-27 US US15/634,458 patent/US10924994B2/en active Active
- 2017-10-17 US US15/785,486 patent/US10912029B2/en active Active
- 2017-12-13 JP JP2017238291A patent/JP6429052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10-29 JP JP2018202437A patent/JP6575783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8-22 JP JP2019152234A patent/JP2020010357A/ja active Pending
-
2020
- 2020-12-30 US US17/137,471 patent/US11792731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8-19 JP JP2021134413A patent/JP7279749B2/ja active Active
-
2023
- 2023-05-09 JP JP2023077212A patent/JP2023100889A/ja active Pending
- 2023-08-18 US US18/235,579 patent/US20230397104A1/en active Pending
Non-Patent Citations (8)
Title |
---|
3GPP R2-071930 * |
3GPP R2-094736 * |
3GPP RAN2#67 기서(奇書),"DRX in LTE-A", Motorola(인터넷<URL>http://www.3gpp.org/ftp/tsg_ran/WG2_RL2/TSGR2_67/Docs/R2-094736.zip) |
3GPP RAN2#67 기서, "Consideration on DRX", CATT(인터넷<URL>http://www.3gpp.org/ftp/tsg_ran/WG2_RL2/TSGR2_67/Docs/R2-094327.zip) |
3GPP TR36.331v860(인터넷<URL>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36331.htm) |
3GPP TR36.814v100(인터넷<URL>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36814.htm) |
3GPP TS36.300v900(인터넷<URL>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36300.htm) |
3GPP TS36.321v860(인터넷<URL>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36321.htm)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79749B2 (ja) | 無線端末の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