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911A - 상용화된 폴리올레핀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및/또는 폴리스티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용화된 폴리올레핀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및/또는 폴리스티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911A
KR20190080911A KR1020197015571A KR20197015571A KR20190080911A KR 20190080911 A KR20190080911 A KR 20190080911A KR 1020197015571 A KR1020197015571 A KR 1020197015571A KR 20197015571 A KR20197015571 A KR 20197015571A KR 20190080911 A KR20190080911 A KR 20190080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polyolefin
block
weight
pp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184B1 (ko
Inventor
리디아 자신스카-월크
로버트 두샤토
카트리엔 비얼리 버나어츠
밀루드 부야히
피오트르 로렌크
Original Assignee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9008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8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2Heterophasic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4VL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 상용화제로서의 그래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용화된 폴리올레핀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및/또는 폴리스티렌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 상용화제로서의 그래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 및 PPO의 조성물은 잠재적으로 개별 성분의 유형 및 양을 선택함으로써 재료 물성을 조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폴리올레핀 및 PPO은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폴리올레핀 및 PPO은, 블렌드가 일반적으로 불량한 물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상 및 PPO 상을 갖는 2상 시스템을 야기하도록 실질적으로는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또 다른 단점이다. 또한 양립 불가능한 중합체의 중합체 블렌드는 가공 조건에 매우 민감할 수 있어, 이들을 상업적 규모로 구현하는 것이 더욱 더 어려워 질 수 있다.
따라서 상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이 같은 블렌드 중의 상들 사이의 상호 작용을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상용화제는 2개의 상 모두와 친화도를 갖고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물질이다. 그 결과, 물성이 향상된 물질이 수득될 수 있다.
보다 양호한 재료 물성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점에서 상용화제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형태 및 물성이 최적화된 추가의 블렌드의 추가적인 개발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올레핀 및 PS 및/또는 PPO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형태 및 물성, 특히 충격 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미세 조성 및/또는 최적화 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올레핀 부분, 특히 폴리올레핀 블록 및 폴리스티렌 부분, 특히 폴리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이고, 폴리올레핀 부분 또는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M n)은 1 ㎏/mol과 40 ㎏/mol 사이이고, 폴리스티렌 부분 또는 블록의 M n은 4 ㎏/mol과 16 ㎏/mol 사이이며, 이때 또한 상용화제는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2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본원에서와 같은 블록 공중합체가 폴리올레핀과 PS 및/또는 PPO의 블렌드에서 상용화제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블렌드의 물성이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상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개선된다는 것을 추가로 관찰하였다. 이는 폴리올레핀 매트릭스를 갖는 물질의 치수 안정성의 개선 및/또는 내열성의 개선 및/또는 강성의 개선 및/또는 충격 강도의 개선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상술한 목적의 적어도 일부가 충족된다.
상용화제
중합체 블록은 주어진 조성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중합체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물성에 의해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중합체의 다른 일부와는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블록은, 예를 들어 선형 중합체, 특히 선형 블록 공중합체의 분절, 그래프트 중합체의 골격 및/또는 그래프트 중합체의 그래프트일 수 있다.
상용화제는, 예를 들어 3,000 g/mol 내지 9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0 g/mol 내지 4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 g/mol 내지 3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M n)을 가질 수 있다.
폴리스티렌 블록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상용화제 중의 PS 블록은 4 ㎏/mol과 16 ㎏/mol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ol과 15 ㎏/mol 사이,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mol 초과와 15 ㎏/mol 미만 사이의 수평균 분자량(M n)을 가질 수 있다.
폴리올레핀 블록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상용화제 중의 폴리올레핀 블록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블록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90 중량%의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공단량체는 에틸렌 또는 C3-C8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단량체의 양은 7.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이다. 공단량체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상기 물질은 전적으로 무정형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기계적 물성의 견지에서 특정 응용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상용화제 중의 폴리올레핀 블록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블록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90 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에틸렌 단일중합체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공단량체는 에틸렌 또는 C3-C8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C6 α-올레핀 또는 C8 α-올레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3-C8 α-올레핀 또는 C6 α-올레핀과 같은 표현은 각각 3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 또는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공단량체의 양은 7.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이다.
폴리올레핀 블록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특히 예를 들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특히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특히 이소택틱(isotactic)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특히 예를 들어 0.5 중량%와 5 중량% 사이의 에틸렌 및/또는 다른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용화제 중의 폴리올레핀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블록은 1 ㎏/mol과 20 ㎏/mol 사이, 바람직하게는 1.5 ㎏/mol과 15 ㎏/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2 ㎏/mol과 12 ㎏/mol,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 ㎏/mol과 10 ㎏/mol 사이의 수평균 분자량(M n)을 가질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유형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AB 유형 또는 BAB 유형이며, 여기서 A는 폴리올레핀을 나타내고, B는 PS를 나타낸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 골격을 갖고 그 상부에 그래프팅된 n개의 PS 분지를 갖는 ABn 구조를 갖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n은 적어도 1이다.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있어서, 골격은 폴리올레핀 블록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그래프트는 기타 중합체 블록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일종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주 사슬 탄소 원자 1,000개 당 그래프트의 양은, 예를 들어 0 초과 내지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미만 또는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일 수 있다. 그래프트의 개수는 매우 많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그렇지 않는 경우 폴리올레핀 골격이 조성물 중의 폴리올레핀 상과 충분히 상호 작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블록 공중합체가 2개 이상의 B(즉, PS) 블록을 함유하는 실시형태에서, 이들 B 블록은 길이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B 블록은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조건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한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제조 방법: 블록 공중합체
일 실시형태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3단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1 단계 (A)에서, 촉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올레핀성 단량체, 특히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및 선택적으로는 다른 올레핀성 공단량체를 중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슬 말단 상에 주족 금속(main group metal)을 함유하는 제1 폴리올레핀 블록을 수득하며; 이때 촉매 시스템은,
I) 원소의 IUPAC 주기율표에서 3족 내지 10족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촉매 전구체; 및
ii)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사슬 전달제; 및
iii) 선택적으로 공촉매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계 (A)에서 공단량체의 존재와 무관하게 폴리올레핀은 촉매, 공촉매,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사슬 전달제 및 선택적으로 부가적인 사슬 이동제의 존재 하에 협주적 사슬 전달 중합(CCTP)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사용된 사슬 전달제 및/또는 사슬 이동제는 전형적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붕소 및/또는 아연 하이드로카르빌 종이다. 이러한 공정에서 산소와 같은 산화제와의 반응에 민감한 금속 원자로 말단-기능화되는 폴리올레핀 사슬이 생성된다.
제2 단계 (B)에서, 단계 (A)에서 수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슬 말단 상에 주족 금속을 함유하는 제1 폴리올레핀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산화제와 반응하고/하거나, 후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금속 치환제와 반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화된 사슬 말단을 함유하는 제1 폴리올레핀 블록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능화된 사슬 말단은 하이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계 (B) 동안에 단계 (A)에서 수득된 생성물은, 예를 들어 산화제로서 산소로 처리된 후, 선택적으로는 금속 치환제로서 산성화 알코올과 같은 양성자성 물질(protic agent)로 처리하여 하이드록실 말단-기능화된 폴리올레핀 생성물을 제공하는 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
제3 단계 (C)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화된 사슬 말단은 라디칼 개시제 기능기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단계 (B) 이후에 수득된 하이드록실 기능기는 라디칼 개시제 기능기로서 역할을 하는 추가적인 할로겐 원자를 갖는 산 할로겐화물과의 반응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제4 단계 (D)에서, 제2 중합체 블록는 제1 폴리올레핀 블록 상에 형성되며, 이때 개시제로서 추가적인 할로겐 원자가 사용되어, 원자 전달 라디칼 중합(ATRP)에 의해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으며, 특히 예를 들어 전자 전달 (ARGET) ATRP에 의해 재생된 활성제를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C)에서, 단계 (C)의 생성물은 공중합체의 형성을 위한 매크로개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에 언급된 제4 단계 (D)는 또한 제2 중합체 블록을 수득하기 위해 예비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득된 폴리올레핀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매크로개시제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화된 사슬 말단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제1 및/또는 제2 및/또는 제3 단계(A 및/또는 B 및/또는 C)는 선택적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조성물 중의 폴리프로필렌은, 예를 들어
-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C4-C8 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 매트릭스 상(matrix phase) 및 분산상(disperse phase)을 포함하되, 상기 매트릭스 상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또는 최대 3 중량%의 에틸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C4-C8 α-올레핀을 갖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량%는 상기 매트릭스 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상기 분산상은 에틸렌-C3-C8 α-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상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 2개 이상의 상술한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이 헤테로상 공중합체인 경우, 매트릭스 상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또는 최대 3 중량%의 에틸렌을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산상이 20 중량% 내지 80 중량%의 프로필렌 및 80 중량% 내지 20 중량%의 에틸렌을 갖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이 추가로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중량%는 분산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에틸렌 또는 C4-C8 α-올레핀과의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랜덤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상기 에틸렌 또는 α-올레핀을 최대 5 중량% 함유한다. 랜덤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SO 1133(2.16 ㎏, 230 ℃)에 따라 측정할 때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유속은 0.1 g/10분 내지 100 g/10분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융 유속은 5.0 g/10분 내지 60 g/10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폴리에틸렌은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간 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또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술한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은 LLDPE와 LDPE의 혼합물일 수 있거나, 이는 2개의 다른 유형의 LDPE의 혼합물일 수 있다.
VLDPE, LDPE, LLDPE, MDPE 및 HDPE란 용어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어 850 ㎏/㎥과 915 ㎏/㎥ 사이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각각 915 ㎏/㎥ 내지 925 ㎏/㎥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을 의미할 수 있다. 중간 밀도 폴리에틸렌은 925 ㎏/㎥ 초과 내지 935 ㎏/㎥ 미만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을 의미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935 ㎏/㎥ 이상, 특히 예를 들어 935 ㎏/㎥과 980 ㎏/㎥ 사이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SO 1133(2.16 ㎏, 190 ℃)에 따라 측정할 때 폴리에틸렌의 용융 유속은, 예를 들어 0.1 g/10분 내지 100 g/10분이다.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은, 예를 들어 1,000 g/mol과 100,000 g/mol 사이, 바람직하게는 2,000 g/mol과 800,000 g/mol 사이의 M n을 가질 수 있다.
폴리스티렌은, 예를 들어 1과 10 사이, 바람직하게는 1.5와 8 사이의 다분산 지수(PDI)를 가질 수 있다.
폴리스티렌은, 예를 들어 2와 15 사이, 바람직하게는 5와 10의 MFR을 가질 수 있다(230 ℃/216 ㎏).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는 바람직하게는 폴리(2,6-디메틸페닐렌옥사이드)일 수 있다.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예를 들어 5,000 g/mol과 75,000 g/mol 사이, 바람직하게는 10,000 g/mol과 50,000 g/mol 사이의 M n을 가질 수 있다.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예를 들어 1과 7 사이, 바람직하게는 2와 5 사이의 다분산 지수(PDI)를 가질 수 있다.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예를 들어 0.1 ㎗/g와 0.9 ㎗/g 사이, 바람직하게는 0.2 ㎗/g와 0.6 ㎗/g 사이의 고유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및 상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올레핀 부분, 특히 폴리올레핀 블록 및 폴리스티렌 부분, 특히 폴리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폴리올레핀 부분 또는 블록의 M n은 1 ㎏/mol과 40 ㎏/mol 사이이고, 폴리스티렌 부분 또는 블록의 M n은 1 ㎏/mol과 100 ㎏/mol 사이이며, 게다가 상용화제는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2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선택적으로는 폴리스티렌(PS)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폴리올레핀의 양은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5 중량%에서 95 중량%로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의 양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80 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70 중량% 또는 50 중량% 초과 내지 95 중량% 또는 60 중량% 내지 90 중량% 또는 70 중량% 내지 87 중량% 또는 75 중량% 내지 85 중량%일 수 있다. 따라서, PPO 및 선택적인 PS의 양은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95 중량%에서 5 중량%로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PO의 양은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90 중량% 내지 10 중량%, 80 중량% 내지 20 중량% 또는 70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50 중량% 미만 내지 5 중량% 또는 40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13 중량% 또는 25 중량%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선택적인 PS의 양은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의 PS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거나 연속 상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성분은 조성물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매트릭스에 비해 적은 양으로 존재하거나 비연속 상에 속하는 조성물의 성분들은 매트릭스 및/또는 상기 매트릭스 중의 분산상에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및 PPO의 점도의 비율은, 예를 들어 상용화를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어 1과 10 사이, 바람직하게는 1.2와 7 사이, 바람직하게는 1.5와 5.5 사이,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6과 4 사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용화제는 가능하게는 상용화를 개선하기 위해 분산상과 예비 혼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기타 성분을 첨가하기 전에 조성물의 매트릭스 및/또는 분산상(들)과 상용화제를 예비 혼합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 조성물에서 매트릭스를 형성할 중합체와 상용화제를 용융 혼합함으로써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 이렇게 수득된 마스터 배치를 조성물에서 분산상을 형성할 중합체와 용융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거나,
- 조성물에서 분산상을 형성할 중합체와 상용화제를 용융 혼합함으로써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 이렇게 수득된 마스터 배치를 조성물에서 매트릭스 상을 형성할 중합체와 용융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용화제의 주요 부분,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모두는 마스터 배치 내에 함유될 수 있고, 조성물의 형성을 야기하는 최종 용융 혼합 단계 동안에 상용화제의 작은 부분이 첨가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용화제의 어떠한 부분도 첨가되지 않는다.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동안에, 예를 들어 상용화제의 총량의 80% 내지 100%가 마스터 배치에 첨가될 수 있고, 상용화제의 총량의 0% 내지 20%가 마스터 배치로부터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조성물에서 매트릭스 또는 분산상을 형성할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도중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용화제가 더욱 더 효과적이므로 가능하게는 심지어 조성물의 물성의 추가적인 최적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여할 수 있다.
상용화제의 양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17 중량%, 특히 4 중량% 내지 1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12.5 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성분을 적어도 1분, 적어도 2분, 적어도 3분, 적어도 4분, 적어도 5분, 적어도 6분, 적어도 8분, 적어도 10분, 적어도 15분, 적어도 20분 동안 혼합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5 중량%의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95 중량% 내지 5 중량%의 PPO 및 선택적인 PS, 및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2 중량% 내지 20 중량%의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올레핀은 1 내지 20의 용융 유속(ISO 1133, 2.16 ㎏, 230 ℃)을 갖고, 상용화제는 10,000 g/mol 내지 1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5,000 g/mol 내지 3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M n)을 갖는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염료, 안료, 항산화제, 자외선 안정제, 적외선 흡수제, 난연제, 금형 이형제 등과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첨가제는, 예를 들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약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활석, 유리 섬유, 유리 플레이크, 유리 소판, 유기 섬유, 탄소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등과 같은 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활석 및 또는 유리 섬유가 바람직하다. 강화제의 양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조성물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품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블로우 성형 및 압축 성형과 같은 성형 기법을 이용하여 제품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수득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프로파일 또는 튜브 압출에 의해 프로파일 또는 튜브를 제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성형 또는 압출에 의해 수득된 제품에서, 상용화제의 PS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PPO 상에 존재하고/하거나 PPO 상과 얽혀있고/있거나, 상용화제의 폴리올레핀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는 폴리올레핀 상에 존재하고/하거나 폴리올레핀 상과 얽혀있다.
제품은 자동차 내장제, 자동차 외장제, 가정용품, 파이프, 필름, 시트, 용기, 물용기, 우림백(infuse bag)일 수 있다.
용도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부분, 특히 폴리올레핀 블록 및 폴리스티렌 부분, 특히 폴리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폴리올레핀과 PPO의 블렌드 또는 폴리올레핀과 PPO 및 선택적으로 PS의 블렌드인 조성물 중의 상용화제로서 폴리올레핀 부분 또는 블록의 M n은 1 ㎏/mol과 40 ㎏/mol 사이이고, 폴리스티렌 부분 또는 블록의 M n은 1 ㎏/mol과 100 ㎏/mol 사이이다. 마찬가지로, 조성물에 대해 앞서 개시된 바와 같은 세부사항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이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재료
클로로포름-d[CDCl3](VWR, 99.8% D), 에틸 α-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EtBriBu](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98%), 에탄올[EtOH](VWR, 96%), 톨루엔(VWR, 100%),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아크로스 오가닉스(Acros Organics), 99%), 브로모이소부티릴브로마이드[BriBuBr](아크로스 오가닉스, 98%), 브롬화 제2구리[Cu(II)Br2](시그마 알드리치, 99%),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바이오솔브(Biosolve), 99.8+%), 메탄올[MeOH](아크로스 오가닉스, 99+%), 디메틸포름아미드[DMF](시그마 알드리치, 99.8+%), 주석(II) 에틸헥사노에이트[Sn(EH)2](시그마 알드리치, 95%); 트리스(2-피리딜메틸)아민[TPMA](시그마 알드리치, 98%), 아니솔(아크로스 오가닉스, 99%),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아크로스 오가닉스, 99%), 트리에틸아민[Et3N], 테트라클로로에탄[TCE](아크로스 오가닉스, 99.5%), 차아인산나트륨 1수화물[SoHyp, NaH2PO2xH20], 하이드록실-기능화된 iPP[iPP-OH](사빅(SABIC), M n = 2,500 g/mol, M n = 7,700 g/mol); PP(PP525P), PP(PP520P), PS(PS153F)(PPO Noryl 640), 스티렌(시그마 알드리치, 98%)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받은 그대로 사용하였다. OH-기능화된 건식 PP의 합성을 위해, 모든 중합을 위해 산소가 없는 PMH를 용매로서 사용하였고, 메틸알루미녹산(MAO, 톨루엔 중의 30 중량%의 용액)은 켐츄라(Chemtura)에서 구입하였으며, 디에틸아연(DEZ, 헥산 중의 1.0 M 용액),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TiBA, 헥산 중의 1.0 M 용액)은 시그마 알드리치에서 구입하였다. rac-Me2Si(2-Me-4-Ph-Ind)2ZrCl2는 독일 콘스탄츠(Konstanz) 소재의 엠씨에이티 게엠베하(MCAT GmbH)에서 구입하였다.
측정 방법
중수소화 클로로포름(CDCl3)에서 폴리스티렌 단일중합체에 대한 1 H NMR 분석을 25 ℃에서 수행하는 반면, 중수소화 테트라클로로에텐(TCE-d 2)에서 iPP 및 공중합체에 대한 분석을 80 ℃에서 실시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300 MHz의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NMR 브루커 바이오스핀 아게(Bruker Biospin AG) 분광계를 시용하여 5 ㎜ 튜브에 기록되었다. 화학적 이동은 테트라메틸실란에 대비하여 ppm 단위로 기록되고, 잔류 용매의 신호와 관련하여 결정되었다.
폴리스티렌 단일중합체의 GPC 1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는, 3개의 직렬로 연결된 워터스 스티란겔(Waters Styrangel) HR 5, 4, 1 칼럼(크기: 7.8 ㎜ x 300 ㎜), 워터스 2414 RI 검출기 및 워터스 1515 등용매 HPLC 펌프가 구비된 워터스 GPC 시스템 상에서 40 ℃에서 수행되어다. THF는 1 ㎖/분의 유속으로 용리액으로 사용되었다.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표준물질(시그마 알드리치)에 대해 계산하였다. 워터스 2707 자동 샘플러(autosampler)는 샘플 주입용으로 사용하였다.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GPC 2 측정은 자동 샘플러 및 통합 검출기 IR4가 구비된 애질런트(Agilent) GC 오븐 모델 7890 둘레에 만들어진 폴리머 차르(Polymer ChAR) GPC-IR® 상에서 150 ℃에서 수행되었다. 1,2-디클로로벤젠(oDCB)은 1 ㎖/분의 유속으로 용리액으로서 사용되었다. SEC 데이터는 캘큘레이션스 소프트웨어(Calculations Software) GPC One®을 이용하여 가공되었다.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표준물질에 대해 계산되었다.
인장 시험 은 50 kN 로드셀(load cell)이 구비된 즈위크(Zwick) BZ100/SN5A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시험은 75 ㎜ x 4 ㎜ x 2 ㎜의 치수를 갖는 사출 성형된 샘플에 대해 수행되었다. 35 ㎜의 그립별 분리가 사용되었다. 일정한 크로스-헤드 속도(cross-head speed)는 50 ㎜/분이었다.
아이조드 충격 강도(Izod impact strength) 는 ISO 180-2001에 따라 즈위크/로엘(Roell) HIT5.5P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눈금이 없는 사출 성형된 샘플 바의 치수는 80 ㎜ x 10 ㎜ x 4 ㎜이었다. 샘플에 있어서, 적어도 5개의 견본에 대해 보고된 평균값을 추론하였다. 시험은 실온에서 실시되었다.
유리 전이 온도( T g ) 및 결정화 온도(T c )뿐만 아니라 전이 엔탈피는 티에이 인스트루먼츠(TA Instruments) 사의 DSC Q100을 이용하여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에 의해 측정되었다. 측정은 -50 ℃에서 240 ℃까지 10 ℃/분의 가열 및 냉각 속도로 실시되었다. 전이는 2번째 가열 및 냉각 곡선에서 추론되었다.
SEM 분석 냉동 파단된 샘플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블렌드의 형태를 검사하였다. 상기 분석은 80배 내지 100,000배의 배율 범위, 12 x (ProX/Pro)의 디지털 줌을 갖는 주사 전자 현미경인 페놈TM(PhenomTM)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스퍼터 코팅기를 이용하여 샘플을 Au로 스퍼터 코팅하였다. SEM 분석을 위해 사출 성형 부품이 사용되었다.
하이드록실 말단-캐핑된 폴리프로필렌(PP-OH)의 합성을 위한 전형적인 절차: 중합 반응을 스테인리스 스틸 부키(
Figure pct00001
) 반응기(300 ㎖)에서 실시하였다. 중합 이전에 반응기를 진공 하에 40 ℃에서 건조하고, 이질소로 플러싱하였다. PMH(90 ㎖) 및 MAO(톨루엔 중의 30 중량% 용액)를 첨가하고, 50 rpm에서 20분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TiBA(헥산 중의 1.0 M 용액) 및 DEZ(헥산 중의 1.0 M 용액)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프로필렌으로 포화시키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글로브박스에서, 촉매를 톨루엔(약 3 ㎖)에 용해하고, 반응기 내로 옮겼다. 이어서, 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반응기를 목적하는 압력까지 가압하였으며, 압력은 소정의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중합에 끝날 무렵에 프로필렌 공급을 중단하였고, 잔류 프로필렌을 발산시킨 후에 합성 공기를 가스 주입 튜브를 통해 주입하였으며, 300 ㎖의 산성화 메탄올(2.5 부피%의 진한 HCl(37 중량%))로 켄칭하기 전에 현탁액을 격렬히 교반하면서(600 rpm) 60 ℃에서 2시간 동안 일정한 합성 공기압(6 bar) 하에 유지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백색 분말을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고, 60 ℃의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감압 하에 60 ℃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iPP-OH를 분석하였다.
Br-기능화된 iPP의 합성을 위한 전형적인 절차
Br-기능화된 iPP의 합성에서, iPP-OH 및 α-브로모이소부티릴 브로마이드가 사용되었다. 반응은 건식 3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100 ℃에서 수행되었다. iPP-OH/α-브로모이소부티릴 브로마이드/트리에틸아민(Et3N)/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의 몰비는 1/10/10/0.005이었다. 상기 용액의 농도는 10 중량%이었다.
절차: 자석 교반기, DMAP(촉매) 및 iPP-OH를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건식 톨루엔(용매) 및 건식 트리에틸아민(브로마이드 트랩)을 격막을 통해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유조(oil bath)에 잠기게 하고 110 ℃까지 가열하였으며, 끝날 무렵에 α-브로모이소부티릴 브로마이드를 적가하였다. 반응은 5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메탄올에서 생성물을 침전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건조하였다. OH-기능화된 iPP 및 Br-기능화된 iPP의 화학 구조는 1H NMR 분광법에 의해 확인되었다.
PP- 블록 -PS 공중합체의 합성을 위한 전형적인 절차
PP-블록-PS의 합성에서, OH-기능화된 iPP 및 스티렌이 사용되었다.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 110 ℃에서 쉬링크(Schlenk) 플라스크 내에서 실시되었다. 스티렌/iPP-Br/리간드/Cu(Br)2의 몰비에 대한 일례는 600/1/0.1/0.01이었다. 용액의 농도는 30 중량%이었다. 환원제로서 건식 주석(II) 2-에틸헥사노에이트, Sn(EH)2 또는 차아인산나트륨 1수화물(NaH2PO2xH2O)을 사용하였다.
절차: 쉬링크 플라스크에는 환원제, iPP-Br, 리간드인 (트리스(2-피리딜메틸)아민(TPMA)), 스티렌 및 아니솔을 채웠다. 후속적으로, 4개의 냉동 펌프 해동 사이클을 적용하여 산소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브롬화 제2구리(Cu(Br)2)를 질소 분위기 하에 냉동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폐하고, 진공을 가하였다. 후속적으로, 질소 분위기를 복원하고, 냉동 혼합물을 110 ℃에서 유욕에 삽입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합성된 중합체는 톨루엔에서의 용해, 에탄올에서의 침전에 의해 정제하고, 감압 하에 50 ℃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의 화학 구조는 1H NMR 분광법에 의해 확인되었다.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고온 GPC에 의해 측정되었다.
생성물 중의 iPP의 몰 함량 및 중량 함량 및 PS 블록 사슬 길이의 측면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값은 1H NMR 및 GPC 분석에 기초하여 측정되었다.
Figure pct00002
PP- 블록 -PS에 의해 상용화된 폴리프로필렌/PPO의 제조를 위한 전형적인 절차
A. 상용화되지 않은 PP/PPO 블렌드의 제조: PPO 및 폴리프로필렌을 압출기 챔버 내로 공급하였다. 중합체 블렌드를 미세 혼합기에서 N2 분위기 하에 290 ℃에서 5분 동안 가공하였다. 미세 혼합기에는 공회전 나사, 3개의 온도 구역(3개의 온도 구역은 290 ℃로 설정됨)이 있는 베럴(barrel) 및 나사 회전 속도가 100 rpm인 290 ℃의 질소 퍼지가 구비되어 있었다. 그 이후, 혼합물을 소형 사출 성형기로 직접 배출하여 형태 분석용 샘플을 제조하였다(사출 온도: 290 ℃, 성형 온도: 50 ℃).
B. PP- 블록 -PS 공중합체에 의해 상용화된 PP/PPO 블렌드의 제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및 PP-블록-PS 공중합체를 압출기 챔버 내로 공급하였다. 혼합물을 미세 혼합기에서 N2 분위기 하에 290 ℃에서 3분 동안 가공하였다. 미세 혼합기에는 공회전 나사, 3개의 온도 구역(3개의 온도 구역 모두는 290 ℃로 설정됨)이 있는 베럴 및 나사 회전 속도가 100 rpm인 290 ℃의 질소 퍼지가 구비되어 있었다. 그 이후, 혼합물을 배출하고, 냉각시키고, 과립화하였다. 후속적으로, PPO 및 PP-블록-PS 공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는 생성물을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하였다. 중합체 블렌드를 290 ℃에서 5분 동안 가공하였다. 그 이후, 혼합물을 소형 사출 성형기로 직접 배출하여 형태 분석용 샘플을 제조하였다(사출 온도: 290 ℃, 성형 온도: 50 ℃).
표 3에 나타나 있는 블렌드들 중 각각의 블렌드에 있어서, 표시된 PP/PPO 비율로 10 g의 샘플을 제조하였으며, 표시된 양(0.5 g)의 상용화제(comp. C1, C2 또는 C3) 각각을 각 샘플 상부에 첨가하여 10.5 g의 상용화된 블렌드를 각각 얻었다.
표 4에 나타나 있는 블렌드들 중 각각의 블렌드에 있어서, 표시된 PP/PPO 비율로 10 g의 샘플을 제조하였으며, 표시된 양(1 g)의 상용화제(comp.) C2를 각 샘플 상부에 첨가하여 11 g의 상용화된 블렌드를 각각 얻었다.
표 5에 나타나 있는 블렌드들 중 각각의 블렌드에 있어서, 표시된 PP/PPO 비율로 10 g의 샘플을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경우에 표시된 양(0.50 g, 0.75 g, 1.00 g 또는 1.25 g)의 상용화제(comp.) C2를 각 샘플 상부에 첨가하여 상용화된 블렌드를 각각 얻었다.
표 2에 나열된 PP-블록-PS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상용화된, 표 3에 나열된 블렌드의 샘플(표 1에서의 목록 2, 3 및 4에 상응하는 C1, C2 및 C3)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표 4 및 표 5에 나열된 블렌드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상용화되지 않은 상응하는 블렌드, 특히 예를 들어 분산상의 보다 작고/작거나 보다 양호하게 분산된 도메인과 비교하여 상용화가 개선되고/되거나, 선택적으로는 2개의 상이한 중합체 상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20 kN 로드셀이 구비된 즈위크 Z020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최대 응력 및 파단 연신률을 측정하기 위해 인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은 75 ㎜ x 4 ㎜ x 2 ㎜의 치수를 갖는 사출 성형된 샘플에 대해 수행되었다. 50 ㎜의 그립별 분리가 사용되었다. 샘플에 3 N까지 예비 응력을 가한 후, 샘플을 50 ㎜/분의 일정한 크로스-헤드 속도로 충전하였다. σmax 및 ε파단을 결정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이조드 충격 강도는 ISO 180-2001에 따라 즈위크/로엘 HIT5.5P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눈금이 없는 사출 성형된 샘플 바의 치수는 60 ㎜ x 10 ㎜ x 4 ㎜이었다. 각 샘플에 있어서, 적어도 5개의 견본에 대해 보고된 평균값을 추론하였다. 실험은 실온(25 ℃)에서 실시하였다. 사출 성형 부품의 냉동 파단된 샘플에 대해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블렌드의 형태를 검사하였다.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상용화제가 2개의 상이한 상용화된 상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이는 상용화된 블렌드의 재료 물성의 개선을 야기한다.
당업자라면 폴리스티렌 부분의 M n이 5.2 ㎏/mo에서 10 ㎏/mol까지 증가함에 따라 영률이 증가할 수 있고, 이어서 M n이 20.8 ㎏/mol인 폴리스티렌 부분의 경우에 또한 유사하게 유지되거나 다시 약간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스티렌 부분의 M n이 4 ㎏/mol과 16 ㎏/mol, 특히 5 ㎏/mol과 15 ㎏/mol 사이인 경우, 특히 상용화제가 2 중량% 내지 20 중량%, 특히 3 중량% 내지 17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영률이 특히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7
상기 나열된 사빅 재료(표 6)는 표 3, 표 4, 표 5에 나열된 블렌드의 제조용으로 사용되었다. 상기 물질은 사빅으로부터 구입 가능하다.

Claims (12)

  1.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및 선택적으로는 폴리스티렌(PS)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올레핀 부분, 특히 폴리올레핀 블록 및 폴리스티렌 부분, 특히 폴리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부분 또는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M n)은 1 ㎏/mol과 40 ㎏/mol 사이이고, 상기 폴리스티렌 부분 또는 블록의 M n은 4 ㎏/mol과 16 ㎏/mol 사이이고, 또한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2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상용화제의 폴리올레핀 블록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9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블록 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블록인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의 양은 상기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5 중량%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80 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70 중량% 또는 50 중량% 초과 내지 95 중량% 또는 60 중량% 내지 90 중량% 또는 70 중량% 내지 87 중량% 또는 75 중량% 내지 85 중량%인 것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3 중량% 내지 17 중량%, 특히 4 중량% 내지 1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12.5 중량%인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은,
    -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C4-C8 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 매트릭스 상(matrix phase) 및 분산상(disperse phase)을 포함하되, 상기 매트릭스 상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또는 최대 3 중량%의 에틸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C4-C8 α-올레핀을 갖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량%는 상기 매트릭스 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상기 분산상은 에틸렌-C3-C8 α-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상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 임의의 상술한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인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은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임의의 상술한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인 것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3,000 g/mol 내지 9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0 g/mol 내지 4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 g/mol 내지 3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M n)을 갖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의 폴리올레핀 부분/블록은 1 ㎏/mol과 20 ㎏/mol 사이, 바람직하게는 1.5 ㎏/mol과 15 ㎏/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2 ㎏/mol과 12 ㎏/mol,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 ㎏/mol과 10 ㎏/mol의 수평균 분자량(M n)을 갖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의 폴리스티렌 부분/블록은 5 ㎏/mol과 15 ㎏/mol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ol초과와 15 ㎏/mol 미만 사이의 수평균 분자량(M n)을 갖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PO 및 선택적인 PS의 양은 상기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95 중량% 내지 5 중량%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PPO 및 선택적인 PS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80 중량% 내지 20 중량% 또는 70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50 중량% 미만 내지 5 중량% 또는 40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13 중량% 또는 25 중량% 내지 15 중량%인 것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1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자동차 부품, 특히 엔진룸 적용(under-the-hood application)을 위한 부품, 전자 장치, 전기 플러그 또는 접촉용 부품, 전지 또는 전지 케이스용 부품, 가정용품용 부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품.
  12. 폴리올레핀 부분, 특히 폴리올레핀 블록 및 폴리스티렌 부분, 특히 폴리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용도로서,
    폴리올레핀과 PPO의 블렌드 또는 폴리올레핀과 PPO 및 선택적으로 PS의 블렌드인 조성물 중의 상용화제로서, 상기 폴리올레핀 부분 또는 블록의 M n은 1 ㎏/mol과 40 ㎏/mol 사이이고, 상기 폴리스티렌 부분 또는 블록의 M n은 1 ㎏/mol과 100 ㎏/mol 사이인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용도.
KR1020197015571A 2016-11-24 2017-11-23 상용화된 폴리올레핀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및/또는 폴리스티렌 조성물 KR102457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200406.3 2016-11-24
EP16200406 2016-11-24
PCT/EP2017/080152 WO2018096014A1 (en) 2016-11-24 2017-11-23 Compatibilised polyolefin and polyphenylene oxide and/or polystyrene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911A true KR20190080911A (ko) 2019-07-08
KR102457184B1 KR102457184B1 (ko) 2022-10-20

Family

ID=5739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571A KR102457184B1 (ko) 2016-11-24 2017-11-23 상용화된 폴리올레핀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및/또는 폴리스티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58513B2 (ko)
EP (1) EP3545036A1 (ko)
KR (1) KR102457184B1 (ko)
CN (1) CN109844011B (ko)
WO (1) WO20180960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509A (ko) * 2019-08-13 2022-03-22 보레알리스 아게 업그레이드된 재순환된 폴리올레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788A (ko) * 2004-12-17 2007-09-2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가요성 폴리(아릴렌 에터) 조성물 및 이의 제품
KR20090005089A (ko) * 2006-03-29 2009-01-1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블록 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130078434A (ko) * 2011-12-30 2013-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7084557B2 (ja) * 2019-03-27 2022-06-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筋肉疲労の評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4334A (en) * 1982-03-26 1986-04-22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linear low density polyolefin
JPH0784557B2 (ja) * 1987-12-25 1995-09-13 三菱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
IL97430A0 (en) * 1990-03-26 1992-06-21 Himont Inc Heat resistant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JP2002208313A (ja) * 2001-10-24 2002-07-26 Denki Kagaku Kogyo Kk 導電性樹脂組成物
US7022765B2 (en) * 2004-01-09 2006-04-04 General Electric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 and composition prepared thereby
CN105722911B (zh) * 2013-10-01 2017-11-24 旭化成株式会社 树脂组合物及其成型体
KR101717835B1 (ko) * 2014-02-28 2017-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변성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788A (ko) * 2004-12-17 2007-09-2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가요성 폴리(아릴렌 에터) 조성물 및 이의 제품
KR20090005089A (ko) * 2006-03-29 2009-01-1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블록 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130078434A (ko) * 2011-12-30 2013-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7084557B2 (ja) * 2019-03-27 2022-06-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筋肉疲労の評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509A (ko) * 2019-08-13 2022-03-22 보레알리스 아게 업그레이드된 재순환된 폴리올레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8513B2 (en) 2020-12-08
US20190375934A1 (en) 2019-12-12
KR102457184B1 (ko) 2022-10-20
EP3545036A1 (en) 2019-10-02
CN109844011A (zh) 2019-06-04
WO2018096014A1 (en) 2018-05-31
CN109844011B (zh)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5879B (zh) 高纯度多相丙烯共聚物
EP3820939A1 (en) Heterophasic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improved balance of properties
KR101222344B1 (ko) 골판형 시트 및 캐스트 필름 적용물을 위한 헤테로상 프로필렌 공중합체
CZ280351B6 (cs) Způsob výroby vysoce krystalického polypropylenu
CN106661157A (zh) 用于薄膜应用的丙烯无规共聚物
WO2010100098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ropylene random copolymers for injection moulding applications
JP5659900B2 (ja) 変性プロピレン重合体
JPH0330605B2 (ko)
KR102558470B1 (ko) 중합체 조성물
US20010012876A1 (en) Functionalized polypropylen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CN109153830A (zh) 柔软且透明的聚丙烯组合物
US8716408B2 (en) Method for producing modified propylene polymer
KR102457184B1 (ko) 상용화된 폴리올레핀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및/또는 폴리스티렌 조성물
AU736590B2 (en) Morphology control in polypropylene graft copolymers
CN101855255A (zh) 聚丙烯共聚物
KR20160039406A (ko) 고충격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KR20180011465A (ko) 개선된 헤테로상 폴리프로필렌
CN113717455B (zh) 树脂组合物、热塑性树脂复合材料和热塑性树脂制品
EP4222183A1 (en) Process for recycling propylene-ethylene copolymers
KR101453130B1 (ko) 인장 특성이 개선된 헤테로상 폴리올레핀 조성물
JP2001002841A (ja) 自動車部品用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EP3298077B1 (en) Polymer composition
US5356992A (en) Compatibilized blends of PPE/polyethylene copolymer
JP4021042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116355118A (zh) 一种具有双重活性的外给电子体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