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875A -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875A
KR20190078875A KR1020170180613A KR20170180613A KR20190078875A KR 20190078875 A KR20190078875 A KR 20190078875A KR 1020170180613 A KR1020170180613 A KR 1020170180613A KR 20170180613 A KR20170180613 A KR 20170180613A KR 20190078875 A KR20190078875 A KR 20190078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harness
cover
protector
coup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성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80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8875A/ko
Publication of KR2019007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05Prot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B7/182 - H01B7/2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장품에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에 결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결합되며,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와이어링 하네스가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여유길이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Protector for Wiring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내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링 하네스가 설치된다. 이때, 와이어링 하네스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표면을 보호하거나,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이하, '프로텍터'라 부름)에 결합된다. 프로텍터는 고무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일정한 형태를 갖지 않는 것과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되어 형태가 일정한 것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텍터(10)는 바디(11)와 커버(12)로 구성되며, 와이어링 하네스(200)는 밴드 스트랩(13) 또는 테이핑 작업을 통해 프로텍터(10)의 내부에 고정된다. 도 1 (b)과 같이, 밴드 스트랩(13)은 커버(12)와 와이어링 하네스(200)의 외주면을 함께 감싸면서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와이어링 하네스(200)가 밴드 스트랩(13) 등을 통해 프로텍터(10)에 고정되어 있어 유동 불가능할 경우, 설계 수치와 실제 제품 수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에 대응하는 것이 불가능 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텍터(10)에 결합된 와이어링 하네스(200)를 차량에 설치하는 작업 수행시, 와이어링 하네스(200)가 프로텍터(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여유 길이 확보가 불가능하여 장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설치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며, 설계 변경 및 제품 재생산을 해야하며,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링 하네스의 여유 길이가 확보되도록, 와이어링 하네스가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장품에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에 결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결합되며,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커버의 일측을 연결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바디에 상기 커버 결합 시, 상기 바디의 일측에 접하는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일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홈은,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링 하네스가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서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와이어링 하네스의 여유 길이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링 하네스의 여유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차량 설치 작업 단계에서 수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설계 변경 및 제품 재생산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 향상 및 비용 감소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결합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도 2의 커버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측면도.
도 8은 도 2의 커버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커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결합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도 2의 커버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2의 커버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0)는, 차량에 결합되는 바디(110)와 바디(110)에 결합되는 커버(120)로 구성된다.
바디(110)는, 와이어링 하네스(2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며, 커버(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 구조(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110)의 일측에는 커버(120)가 결합되는 슬라이딩홈(111)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홈(111)은 바디(110)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결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홈(111)은 마주보는 위치에 두 개가 형성됨으로써, 커버(120)의 양측이 결합되도록 한다.
커버(1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110)의 개방된 상측에 결합된다. 커버(120)에는 밴드 스트랩 또는 테이프 등의 결합부재(300)를 이용하여 와이어링 하네스(200)가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바디(110)의 상측에 커버(120) 결합 시, 바디(110)의 측벽에 접하게 되는 커버(120)의 양 측단에는 탄성지지부(122)가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지지부(122)의 일단에는 결합돌기(1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21)는 바디(11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슬라이딩홈(1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바디(110)에 결합된다. 결합돌기(121)가 바디(11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슬라이딩홈(111)에 결합될 때, 커버(120)의 양 측단에 형성된 탄성지지부(12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결합돌기(121)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결합돌기(121)가 슬라이딩홈(111)에 결합된 후에는, 탄성지지부(122)가 원위치로 돌아가면서 결합돌기(121)가 슬라이딩홈(11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커버(120)가 바디(110)에 결합된 후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부(122) 및 결합돌기(121)는, 와이어링 하네스(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슬라이딩홈(11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커버(120)가 바디(110)에 결합될 때, 바디(110)에 접하게 되는 결합돌기(121)의 일면은 경사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결합돌기(121)가 접하게 되는 바디(110)의 단부도 바디(110)의 내측을 향해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처럼, 커버(120)와 바디(110)가 결합될 때 접하게 되는 면을 경사지도록 형성할 경우, 용이하게 결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지지부(122)가 형성된 커버(120)의 양 측단에는 고정홈(123)이 형성된다. 고정홈(123)은 와이어링 하네스(200)와 커버(12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300)가 고정되는 곳으로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고정홈(123)은 탄성지지부(122)의 양측에 형성되며, 커버(120)의 양 측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됨으로써, 총 네 곳에 형성된다. 즉, 결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2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고정홈(123)이 한 쌍을 이루며, 총 두 쌍의 고정홈(123)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의 용이성 및 결합력을 위해 탄성지지부(122)의 양측에 위치하여 두 쌍의 고정홈(123)을 형성하고 있으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고정홈(123)을 별도로 형성할 경우, 결합부재(300)가 결합된 부분이 커버(120)의 폭보다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커버(120)와 바디(110)의 결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부재(300)의 위치를 커버(120) 제작 단계에서 지정할 수 있어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결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0)에 와이어링 하네스(200)를 결합한 후, 차량에 설치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자는 결합부재(300)를 사용하여 와이어링 하네스(200)를 커버(120)에 고정시킨다. 결합부재(300)는 통상적으로 밴드 스트랩이나 테이프가 사용되며, 작업 환경, 적용 모델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결합부재(300)가 고정홈(123)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작업을 수행해야하며, 커버(120)에 결합된 결합부재(300)가 커버(120)의 폭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와이어링 하네스(200)가 커버(120)에 고정된 후에는, 와이어링 하네스(200)가 바디(110)에 안착 되도록 위치시킨 후, 커버(120)를 바디(110) 상측에서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작업자는, 결합돌기(121)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커버(120)를 한 번에 눌러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먼저 일측의 결합돌기(121)를 일측의 슬라이딩홈(111)에 삽입시킨 후에 커버(120)를 눌러 타측의 결합돌기(121)를 타측의 슬라이딩홈(111)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0)에 와이어링 하네스(200) 결합 작업이 완료되면,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0)를 차량에 설치한다. 그러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또는 설계 사양 변경으로 인해, 차량에 설치된 와이어링 하네스(200)가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0)를 기준으로 한쪽의 길이가 짧아져 차량 설치 작업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커버(120)를 제1 방향(L) 또는 제2 방향(R)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링 하네스(20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0)를 기준으로 한쪽의 와이어링 하네스(200)가 짧으면, 다른 쪽의 와이어링 하네스(200)에는 여유 길이가 확보된다. 따라서, 커버(12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120)에 고정 결합된 와이어링 하네스(200)가 함께 이동하여, 양측의 와이어링 하네스(200)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200)의 길이 및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0)가 결합되는 위치는 설계 수치를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슬라이딩홈(111)의 길이 범주 내에서 커버(120)의 제1 방향(L) 또는 제2 방향(R) 이동만으로도 상기와 같은 상황은 충분히 대응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200)가 커버(120)에 고정되도록 결합한 후, 커버(120)를 바디(110)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와이어링 하네스(200)를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0)에 결합한 후에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0)를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해질 뿐 아니라, 설치 작업 단계에서 설계 수치와 실제 제품 수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설계 변경 및 제품 재생산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 향상 및 비용 감소의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110 : 바디 111 : 슬라이딩홈
120 : 커버 121 : 결합돌기
122 : 탄성지지부 123 : 고정홈

Claims (6)

  1. 차량의 전장품에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200)에 결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바디(110);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200)가 결합되며, 상기 바디(110)에 결합되는 커버(120);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바디(1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는, 상기 바디(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1);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슬라이딩홈(111)에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1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21);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121)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딩홈(111)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는, 상기 결합돌기(121)와 상기 커버(120)의 일측을 연결하는 탄성지지부(12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21)는, 상기 바디(110)에 상기 커버(120) 결합 시, 상기 바디(110)의 일측에 접하는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5.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는, 일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2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홈(123)은,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20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1020170180613A 2017-12-27 2017-12-27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20190078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613A KR20190078875A (ko) 2017-12-27 2017-12-27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613A KR20190078875A (ko) 2017-12-27 2017-12-27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875A true KR20190078875A (ko) 2019-07-05

Family

ID=6722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613A KR20190078875A (ko) 2017-12-27 2017-12-27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8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230B1 (ko) * 2019-08-13 2020-12-1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용 프로텍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230B1 (ko) * 2019-08-13 2020-12-1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용 프로텍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099B1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US8950713B2 (en) Clip
US20180333815A1 (en) Contact spring holding jig for grease application
KR20190078875A (ko)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101325495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KR20180003097U (ko) 케이블 덕트
JP2014180147A (ja) 固定部材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20200053739A (ko) 커넥터의 고정장치
KR102127162B1 (ko) 밴드 케이블
KR101820140B1 (ko) 고전압 커넥터의 리어홀더 체결장치
WO2013132710A1 (ja) スリット装着部材装着治具、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スリット装着部材
JP7081978B2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JP7207937B2 (ja) 係合部材
KR20190001698U (ko)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102270729B1 (ko)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JP2021072312A (ja) 電子制御装置の筐体及び電子制御装置
KR102277038B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장치
KR20180077529A (ko) 밴드케이블 구조
KR20190081444A (ko) 커넥터 클립 고정구조
JP7382754B2 (ja) 配策材の結束構造
KR102496095B1 (ko)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
KR102474334B1 (ko)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KR20200000975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어뎁터
KR20180055080A (ko) 와이어 하네스 분리지그
WO2018190100A1 (ja) プロテ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