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729B1 -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729B1
KR102270729B1 KR1020190141412A KR20190141412A KR102270729B1 KR 102270729 B1 KR102270729 B1 KR 102270729B1 KR 1020190141412 A KR1020190141412 A KR 1020190141412A KR 20190141412 A KR20190141412 A KR 20190141412A KR 102270729 B1 KR102270729 B1 KR 102270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ing harness
out part
protector
clos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213A (ko
Inventor
주민욱
주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41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729B1/ko
Priority to KR1020210048720A priority patent/KR1023334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면에 콜게이트 튜브가 결합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바디로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인출부로 형성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2 인출부와 결합되는 닫힘 위치 및 상기 제2 인출부와 분리되는 열림 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와이어링 하네스를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결합시키는 조립 공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Protector for Wiring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외주면에 콜게이트 튜브가 결합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는, 차량의 여러 전기 장치에 연결되는 배선을 하나로 묶은 것으로서, 최근 차량의 실내 전장품 증가와 함께 차량에 적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도 증가하고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표면을 보호하거나,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이하, '프로텍터'라고 함)에 결합되어 여러 갈래의 전선이 프로텍터의 인출부를 통해 분기된다. 프로텍터는 고무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일정한 형태를 갖지 않는 것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되어 형태가 고정적인 것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텍터(1)는 와이어링 하네스(20)의 외주면에 결합된 후, 와이어링 하네스(20)와 프로텍터(1)의 인출부를 함께 스트랩(2) 등으로 테이핑 작업을 수행하여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프로텍터(1)를 조립한 후, 스트랩(2) 등의 테이핑 공정이 추가됨으로써 공정이 증가되고 와이어링 하네스(20)를 정렬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3)의 인출부를 통해 분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20)에 콜게이트 튜브(30)를 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1065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20)에 콜게이트 튜브(30)를 적용하여 프로텍터(3)에 고정함으로써, 테이핑 등의 공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20)가 프로텍터(3)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콜게이트 튜브(30)의 형상과 프로텍터(3)의 인출부 형상이 맞물리도록 배치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형상을 정확하게 맞추는 작업이 난이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20)의 정렬이 미흡한 경우 억지 끼움으로 인해 콜게이트 튜브(30) 및 와이어링 하네스(20)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프로텍터(3)는, 조립 공정 중에 콜게이트 튜브(30)의 재조립을 필요로 하는 경우, 프로텍터(3)를 모두 해체해야만 콜게이트 튜브(30)를 분리할 수 있어 조립 공정의 첫 단계부터 재 수행해야한다. 따라서, 작업 공정 소요시간이 증가되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콜게이트 튜브가 적용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면에 콜게이트 튜브가 결합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바디로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인출부로 형성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2 인출부와 결합되는 닫힘 위치 및 상기 제2 인출부와 분리되는 열림 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콜게이트 튜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제1 인출부가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인출부와 상기 제2 인출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삽입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체결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삽입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제1 인출부가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돌부; 및 상기 제1 걸림돌부를 향해 상기 제2 체결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걸림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1 인출부가 상기 열림 위치에서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걸림돌부와 접하는 상기 제1 걸림돌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제1 인출부가 상기 열림 위치에서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걸림돌부와 접하는 상기 제2 걸림돌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1 인출부가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2 걸림돌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인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제1 인출부가 상기 열림 위치 및 상기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1 인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의 바디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링 하네스의 복수의 배선 분기를 개별적으로 정렬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미숙한 정렬 작업에 의해 와이어링 하네스 및 콜게이트 튜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링 하네스를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결합시키는 조립 공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 중에 동일 동작을 재 수행하는 경우, 조립 공정의 첫 단계로 돌아가지 않고 직전 단계부터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콜게이트 튜브가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의 인출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콜게이트 튜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와이어링 하네스가 결합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제1 인출부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구역 Ⅶ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인출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절단선 Ⅸ-Ⅸ'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콜게이트 튜브가 적용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결합시키기 위한 순서도.
도 11은 도 10의 구역 XI-XI'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구역 XⅡ-XⅡ'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와이어링 하네스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인출부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구역 Ⅶ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인출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절단선 Ⅸ-Ⅸ'에 따른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10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콜게이트 튜브가 적용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결합시키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구역 XI-XI'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구역 XⅡ-XⅡ'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이하, '프로텍터'라고 함)는, 외주면에 콜게이트 튜브(30)가 결합된 와이어링 하네스(2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바디(100)와 인출부(200)로 형성된다.
바디(100)는, 와이어링 하네스(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로 형성된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는, 와이어링 하네스(10)의 일측과 타측에서 결합되어 와이어링 하네스(1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바디(100)는, 플라스틱과 같이 소정의 강성을 갖는 것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링 하네스(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와이어링 하네스(10)가 내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인출부(200)는, 바디(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와이어링 하네스(10)가 여러 갈래의 배선이 분기되어 타 부품간에 결합되도록 한다. 즉, 와이어링 하네스(10)가 분기되는 지점에서 바디(100)의 일측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인출부(200)는, 제1 바디(110)에 돌출 형성되는 제1 인출부(210)와 제2 바디(120)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인출(220)가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인출부(210)는, 제1 바디(110)의 일측에서 와이어링 하네스(10)가 분기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인출부(220)와 결합되는 닫힘 위치와 제2 인출부(220)와 분리되는 열림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제1 바디(110)에 결합된다. 즉,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제2 인출부(220)와 결합되어 콜게이트 튜브(30)가 바디(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인출부(210)는, 제1 삽입부(211), 제1 체결부(212), 제1 걸림돌부(213), 제1 대향면(214), 제1 경사면(215) 및 고정홀(216)이 형성된다.
제1 삽입부(211)는, 콜게이트 튜브(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에 맞물리는 것으로서, 제1 인출부(2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삽입부(211)는 복수의 리브로 형성되며, 콜게이트 튜브(30)의 주름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콜게이트 튜브(30)가 인출부(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삽입부(211)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반원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직선의 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콜게이트 튜브(30) 주름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복수의 리브로 형성되면,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제1 삽입부(211)가 복수의 리브로 형성될 때, 복수의 리브는 인출부(200)를 통해 분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20)의 분기 방향, 즉, 와이어링 하네스(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체결부(212)는,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제2 인출부(220)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제1 삽입부(211)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2 인출부(22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체결부(212)는, 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제1 삽입부(211)의 양 측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2 인출부(220)를 향해 형성된다.
제1 걸림돌부(213)는 제1 체결부(21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제2 인출부(220)의 제2 걸림돌부(223)와 맞물린다. 이때, 제1 걸림돌부(213)는 제1 체결부(212)가 제1 삽입부(211)를 바라보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1 인출부(210)가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인출부(220)와 먼저 접하게 되는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1 경사면(215)은 제2 인출부(220)와 먼저 접하게 되는 제1 걸림돌부(213)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1 경사면(215)은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인출부(210)와 먼저 접하게 되는 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 경사면(215)을 형성할 경우,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2 인출부(220)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1 대향면(214)는, 제1 경사면(215)과 반대측 즉, 제1 걸림돌부(213)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후술할 제2 인출부(220)의 제2 대향면(224)과 접하여 제1 걸림돌부(213)와 후술할 제2 걸림돌부(223)가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고정홀(216)은, 제1 삽입부(211)와 제1 체결부(2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인출부(2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홀(216)은,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제2 인출부(2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인출부(220)는, 제2 바디(1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로 이동하여 결합됨으로써, 콜게이트 튜브(3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인출부(220)는 제2 삽입부(221), 제2 체결부(222), 제2 걸림돌부(223), 제2 대향면(224) 및 제2 경사면(225)으로 형성된다.
제2 삽입부(221)는, 콜게이트 튜브(30)의 주름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것으로서 제1 삽입부(211)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체결부(222)는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제1 체결부(212)와 면접하여 맞물리는 것으로서, 제2 삽입부(221)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2 체결부(222)는,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삽입부(211)와 제1 체결부(212) 사이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걸림돌부(223)는 제2 체결부(22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걸림돌부(213)와 맞물리도록 제2 체결부(222)가 제1 체결부(212)를 바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걸림돌부(223)의 일단은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로 이동될 때, 가장 먼저 제1 삽입부(211)와 제1 체결부(212) 사이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2 걸림돌부(223)의 일단에는 제2 경사면(225)이 형성된다. 제2 경사면(225)은 제1 경사면(215)과 같이 제2 걸림돌부(223)의 일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경사면(225)은, 제1 경사면(215)과 마찬가지로, 제1 인출부(210)와 제2 인출부(220)가 서로 맞물릴 때,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제2 대향면(224)은, 제2 걸림돌부(223)의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제1 대향면(214)과 면접하도록 형성된다.
힌지부(230)는, 제1 인출부(210)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바디(110)와 제1 인출부(210) 사이에 형성된다. 힌지부(230)는 핀 결합 등에 의해 제1 인출부(210)를 제1 바디(110)에 결합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도 있으며, 고무와 같은 유연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제1 인출부(210)와 제1 바디(110)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핀 결합 등의 구조로 형성될 경우, 제1 인출부(210)와 제1 바디(110)에 각각 고리와 홀이 형성되어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힌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무와 같은 유연성 소재를 활용할 경우, 일단은 제1 인출부(2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바디(110)와 연결되도록 하여 제1 인출부(210)가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힌지부(230)는 제1 인출부(210)가 제1 바디(110)와 연결되어,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그 형상 및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인출부(210)와 제2 인출부(220)는, 제1 인출부(21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려 결합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제1 인출부(210)와 제2 인출부(22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며,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좌우 방향성은 도면을 기준으로 기술한다.
먼저, 제1 인출부(21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가 되면, 제2 삽입부(221)가 제1 삽입부(211)와 제1 체결부(212)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제1 경사면(215)과 제2 경사면(225)이 서로 면접하게 되면서 미끄러져 제2 삽입부(221)가 제1 인출부(21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제1 인출부(210)는 제1 삽입부(211)와 제2 삽입부(221)가 서로 맞닿을 때까지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여, 닫힘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면, 제1 걸림돌부(213)와 제2 걸림돌부(223)는 각각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며, 제1 대향면(214)과 제2 대향면(224)이 서로 면접하게 된다. 즉, 제1 대항면(214)과 제2 대향면(224)이 서로 면접됨으로써 제1 걸림돌부(213)와 제2 걸림돌부(223)가 맞물리게 되어, 제1 인출부(210)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열림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2 걸림돌부(223)의 단부는 고정홀(216)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처럼 고정홀(216)을 형성하여 제2 걸림돌부(223)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 인출부(210)의 좌우 유동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프로텍터(10)가 차량에 장착된 후, 상하좌우로 충격 및 진동 발생시, 제1 걸림돌부(213) 및 제2 걸림돌부(223)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 상하 유동이 방지되며, 제2 걸림돌부(223)가 고정홀(216)에 삽입되는 구조에 의해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인출부(210) 및 제2 인출부(220)의 맞물림 구조를 이중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콜게이트 튜브(30)가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인출부(21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제1 삽입부(211)와 제2 삽입부(221)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됨으로써 콜게이트 튜브(30)와 각각 상하에서 맞물려 결합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1 삽입부(211) 및 제2 삽입부(221)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서로 대향하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제1 바디(110)가 와이어링 하네스(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바디(120)가 와이어링 하네스(20)의 상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며, 제1 바디(110)에 형성된 제1 인출부(210)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인출부(210)는 제1 바디(110)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인출부(220)가 열림 위치 와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인출부(210)와 제2 인출부(220) 둘 중 어느 하나는 바디(100)에 고정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텍터(10)에 콜게이트 튜브(30)가 결합된 와이어링 하네스(20)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을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와이어링 하네스(20)의 분기된 배선에 콜게이트 튜브(30)를 장착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콜게이트 튜브(30)가 제1 바디(110)의 제1 인출부(210)가 형성되는 지점에 배치되도록 와이어링 하네스(20)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제2 바디(120)를 상측에서 덮어 제1 바디(110)와 결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게이트 튜브(30)의 주름에 제2 삽입부(221)가 삽입되도록 정렬시킨다. 제2 삽입부(221)가 콜게이트 튜브(30)에 삽입되어 1차적으로 고정되면, 콜게이트 튜브(30)가 완전히 고정되도록 제1 인출부(210)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까지 조립 공수를 수행하면, 프로텍터(10)에 와이어링 하네스(20)를 장착시키는 조립 공정이 완료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텍터(10)는,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링 하네스(20)의 여러 분기 갈래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나 하나 정렬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더불어, 미숙한 정렬 작업에 의해 와이어링 하네스(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결합한 후에 제1 인출부(210)와 제2 인출부(2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콜게이트 튜브(30)를 인출부(200)에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 인출부(210)는 열림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콜게이트 튜브(30)의 손상 여부를 우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의 난이도가 높지 않으며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콜게이트 튜브(30)를 제2 인출부(220)에 고정시킨 후 제1 인출부(210)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콜게이트 튜브(30)를 인출부(200)에 완전히 고정시킬 때, 콜게이트 튜브(30)의 손상 우려가 감소되어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전술한 본 발명의 프로텍터(10)를 이용하면, 콜게이트 튜브(30)가 결합된 와이어링 하네스(20)를 프로텍터(10)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립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20) 및 콜게이트 튜브(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조립 공정 중에 콜게이트 튜브(30)의 결합이 잘못되는 등의 문제 발생시, 작업자는 제1 인출부(210)를 다시 열림 위치로 이동시켜 콜게이트 튜브(20)를 프로텍터(10)에서 분리시켜 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중에 동일 동작을 재 수행하는 경우, 조립 공정의 첫 단계로 돌아가지 않고 직전 단계부터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 인출부(210) 및 제2 인출부(220)가 결합된 후 상호 간에 사방으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로텍터(10)가 차량에 결합된 후 콜게이트 튜브(30)가 손상되어 와이어링 하네스(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로텍터(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20)의 분기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인출부(200', 200'')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배선 분기만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배선 분기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복수의 인출부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는, 와이어링 하네스(20)의 분기 형상에 따라 프로텍터(10, 10', 10'')의 형상을 달리하여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100 : 바디 110 : 제1 바디
120 : 제2 바디 200 : 인출부
210 : 제1 인출부 211 : 제1 삽입부
212 : 제1 체결부 213 : 제1 걸림돌부
214 : 제1 대향면 215 : 제1 경사면
216 : 고정홀 220 : 제2 인출부
221 : 제2 삽입부 222 : 제2 체결부
223 : 제2 걸림돌부 224 : 제2 대향면
225 : 제2 경사면 230 : 힌지부
20 : 와이어링 하네스 30 : 콜게이트 튜브

Claims (9)

  1. 외주면에 콜게이트 튜브(30)가 결합된 와이어링 하네스(20)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10)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바디(110)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바디(120)로 형성되는 바디(100);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10)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 바디(1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인출부(210) 및 상기 제2 바디(12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인출부(220)로 형성되는 인출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출부(210)는, 상기 제2 인출부(220)와 결합되는 닫힘 위치 및 상기 제2 인출부(220)와 분리되는 열림 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110)에 형성되며,
    상기 인출부(200)는,
    상기 콜게이트 튜브(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 인출부(210) 및 상기 제2 인출부(2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삽입부(211) 및 제2 삽입부(221); 및
    상기 제1 인출부(210)가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인출부(210)와 상기 제2 인출부(220)가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제1 인출부(210) 및 상기 제2 인출부(220)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212) 및 제2 체결부(222);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212)는, 상기 제1 삽입부(211)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222)는, 상기 제1 삽입부(211)와 상기 제1 체결부(212)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삽입부(221)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200)는,
    상기 제1 인출부(210)가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체결부(212)와 상기 제2 체결부(222)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21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돌부(213); 및
    상기 제1 걸림돌부(213)를 향해 상기 제2 체결부(22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걸림돌부(22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210)는,
    상기 제1 인출부(210)가 상기 열림 위치에서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걸림돌부(223)와 접하는 상기 제1 걸림돌부(21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21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출부(220)는,
    상기 제1 인출부(210)가 상기 열림 위치에서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걸림돌부(213)와 접하는 상기 제2 걸림돌부(22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경사면(22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210)는,
    상기 제1 인출부(210)가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2 걸림돌부(223)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인출부(2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홀(216);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220)는,
    상기 제1 인출부(210)가 상기 열림 위치 및 상기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인출부(210)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부(2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1020190141412A 2019-11-07 2019-11-07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10227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412A KR102270729B1 (ko) 2019-11-07 2019-11-07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1020210048720A KR102333474B1 (ko) 2019-11-07 2021-04-14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412A KR102270729B1 (ko) 2019-11-07 2019-11-07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720A Division KR102333474B1 (ko) 2019-11-07 2021-04-14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213A KR20210055213A (ko) 2021-05-17
KR102270729B1 true KR102270729B1 (ko) 2021-06-29

Family

ID=761579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412A KR102270729B1 (ko) 2019-11-07 2019-11-07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1020210048720A KR102333474B1 (ko) 2019-11-07 2021-04-14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720A KR102333474B1 (ko) 2019-11-07 2021-04-14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07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7094A (ja) 2012-12-11 2014-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4212618A (ja) * 2013-04-18 2014-1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20180233887A1 (en) 2017-02-10 2018-08-16 Yazaki Corporation Protector and wire harnes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231B1 (ko) * 2018-03-02 2018-08-21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7094A (ja) 2012-12-11 2014-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4212618A (ja) * 2013-04-18 2014-1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20180233887A1 (en) 2017-02-10 2018-08-16 Yazaki Corporation Protector and wire har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474B1 (ko) 2021-12-02
KR20210055636A (ko) 2021-05-17
KR20210055213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3031B2 (en) Wire har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
JP4689986B2 (ja) バンドクランプ
US10135229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US7036779B2 (en) Locking structure for a clamp
US7709736B2 (en) Protector for wire harness
JP4306692B2 (ja)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へのプロテクタの外装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分岐構造
WO2015019842A1 (ja) コネクタ
US20160372907A1 (en) Wire harness having fixing member
CN108963894A (zh) 防流体且防尘的分体式护套
KR102270729B1 (ko)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US941315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090141B2 (ja) 固定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
KR20080109982A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방법
JP413842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16195479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構造
KR20160086206A (ko) 와이어하네스 차체 고정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996457B1 (ko)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JP2014090552A (ja) ワイヤハーネス
JP7219153B2 (ja) 電線配索治具及び電線配索方法
US10958058B2 (en) Wire unit
JP6117405B2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210086752A (ko) 와이어 인출부 고정 밴드 결합 구조
WO2014006968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外装体、ワイヤーハーネス外装構造、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保護構造
CN104393551A (zh) 接插件
KR20190078875A (ko)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