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182A -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182A
KR20190078182A KR1020170179955A KR20170179955A KR20190078182A KR 20190078182 A KR20190078182 A KR 20190078182A KR 1020170179955 A KR1020170179955 A KR 1020170179955A KR 20170179955 A KR20170179955 A KR 20170179955A KR 20190078182 A KR20190078182 A KR 2019007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extract
composition
ginseng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551B1 (ko
Inventor
김영대
이성하
이경동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9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5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콜 분해 효소와 알데히드 분해 효소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 등을 갖는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분말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ing Hangover Using an Extract of Enteromorpha prolifera, Sprout Ginseng etc.}
본 발명은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숙취 현상이란, 간 세포에 축적된 에틸알콜 및/또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에틸알콜 및/또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이 장시간 계속되면서 신진대사 등에 장애를 일으켜서 전신 권태, 피로감, 복부 팽만감, 구토 등의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정상적인 에틸알콜 대사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에틸알콜이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 속에 들어가 간장으로 옮겨지며, 간세포에서 알콜 탈수소화 효소(알콜 분해 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알콜이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고, 이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화 효소(알데히드 분해 효소,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초산으로 분해되어 최종적으로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게 된다
한편 알데히드 분해 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Ⅱ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은 Ⅰ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Ⅱ형 알데히드 분해 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고 따라서 산화되지 아니한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틸알콜의 독성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여러 숙취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숙취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787633호, 대한민국 특허 제696589호 등과 같이 천연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이 다수 개발되어 있다.
본 발명도 천연물을 이용하여 숙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가시파래 추출물, 감태 추출물, 감태의 효소 처리물, 감태의 산 처리물 또는 감태 추출물과 가시파래의 새싹인삼 등과의 혼합물이 ADH와 ALDH 활성을 높이고, 간 독성을 해소시켜 간 보호 활성을 가지는 GST(glutathione-S-transferase)와 EH(epoxide hydrolase) 활성을 높임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아래의 (i) 내지 (vii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아래의 (i) 내지 (vii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또는 간 손상 개선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i) 가시파래의 추출물;
(ii) 감태의 추출물;
(iii) 감태의 효소 분해물;
(iv) 감태의 산 가수분해물;
(v) 감태, 가시파래, 울금 및 갈근의 혼합물;
(vi) 감태, 가시파래, 비파 및 새싹인삼의 혼합물;
(vii) 감태, 가시파래, 울금 및 실솔의 혼합물;
(viii) 감태, 가시파래, 갈근 및 새싹인삼의 혼합물.
상기에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물,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 추출물 또는 초음파 추출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 추출물이다.
또 상기에서 효소는 바람직하게는 아라바나아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β-gluca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이다.
또한 상기에서 (v) 내지 (viii) 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v) 감태:가시파래:울금:갈근의 0.2:0.1:16:4 중량비의 혼합물; (vi) 감태:가시파래:비파:새싹인삼의 0.2:0.1:1:5 중량비의 혼합물; (vii) 감태:가시파래:울금:실솔의 0.2:0.1:16:1 중량비의 혼합물; (viii) 감태:가시파래:갈근:새싹인삼의 0.2:0.1:4:5 중량비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개선"은 증상의 예방, 치료 및 경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간 기능 개선"이란 알콜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간 손상의 예방,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간 손상의 발현 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그 유효성분은 숙취해소 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사람에게 의료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숙취해소 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등 의도한 의료적·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숙취해소 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등의 상승·보강을 위하여 또는 체지방 감소,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활성, 혈중 중성지방 개선 활성 등 유사 활성의 부가를 통한 복용이나 섭취의 편리성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고 해당 활성이 확인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는 각국 약전(한국에서는 "대한민국약전"), 각국 건강기능식품공전(한국에서는 식약처 고시인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임), 등의 공정서에 실려 있는 화합물 또는 추출물, 의약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의 법률(한국에서는 "약사법"임)에 따라 품목 허가를 받은 화합물 또는 추출물, 건강기능식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임)에 따라 개별적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은 화합물 또는 추출물 등이 포함된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공전 또는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개별 인정 원료로서, 알코올성 간 손상 보호 활성을 가진 유산균 발효 다시마 추출물,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 등이나, 간 건강 기능성을 가진 도라지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발효 울금, 복분자 추출물 등이나, 체지방 감소 기능성을 가진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 공액 리놀렌산(유리지방산), 공액리놀렌산(트리글리세라이드), 녹차 추출물, 키토산, 그린마떼 추출물, 그린커피빈 추출물, 깻잎 추출물, 대두 배아 추출물 등의 복합물, 돌외잎 주정 추출 분말, 락토페린(우유 정제 단백질), 레몬 밤 추출물 혼합 분말, 마테 열수 추출물 또는 미역 등의 복합 추출물(잔티젠) 등이나,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기능성을 가진 녹차 추출물 또는 스피루리나, 대나무 잎 추출물, 보리 베타글루칸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 식물 스타놀에스테르, 감태주정추출물, 아마인, 알로에 복합 추출물 또는 알로에 추출물 등이나, 혈중 중성지방 개선 기능성을 가진 DHA 농축 유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대나무 잎 추출물, 식물성 유지 디글리세라이드, 정제 오징어유, 글로빈 가수분해물 또는 정어리 정제어유, 혈행 개선 기능성을 가진 은행잎 추출물, 나토균 배양 분말, 나토 배양물, 메론 추출물 또는 카카오 분말 또는 홍삼 추출물 등이 그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 해당할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乳類),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임)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로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법률에 따른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 경로의 조합의 예는 투여 경로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제형의 약물이 조합된 경우로서 예컨대 1차로 어느 한 약물은 정맥 내 경로로 투여하고 2차로 다른 약물은 국소 경로로 투여하는 경우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투여 경로나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약전"을 포함한 각국의 약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에탄올, 그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서는 전분,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리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루코스, 옥수수 감미제, 소듐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실리카, 탈쿰, 스테아르산, 그것의 마그네슘염과 칼슘염, 폴리데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붕해제로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 검, 전분, 알긴산 또는 그것의 소듐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희석제로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소비톨, 셀룰로스, 글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수성 등장 용액 또는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담체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파래 추출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식품, 특히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ADH 활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Treatment means are with ±S.E. of seven replications, n=7).
도 2는 ALDH 활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Treatment means are with ±S.E. of seven replications, n=7).
도 3은 GST 활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Treatment means are with ±S.E. of three replications, n=3).
도 4는 에폭시드 가수분해효소(epoxide hydrolase)의 활성 변화를 TSO 양 변화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Treatment means are with ±S.E. of three replications, n=3).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제조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제조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료 준비
<실시예 1> 약용식물 시료 준비
본 실시예의 모든 시료는 인터넷망 등을 통해 구입 후 세척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풍건조기로 건조 후 파쇄하였다. 건조시료들은 일반 분쇄기(동양과학, 회전날)로 1차 분쇄하고 2차로 식품전용 기류식 분쇄기(air mill, 현준파우텍, HTM-101)과 초미립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초미립 시료분말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약용식물 중 울금은 신선한 뿌리를 0.3 mm 두께로 잘라내고, 새싹인삼은 싹을 튀운지 3주째 되는 잎, 줄기 및 뿌리 모두를 이용하여 45℃에서 3일간 일반 건조기로 건조후 초미립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갈근과 실솔 및 비파는 전남생약조합에서 구입하여 열수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가시파래 추출물
가시파래를 추출하기 위해서 가시파래 전체 부위를 건조한 후 파쇄하여 분말을 만들고 분말 1 : 물 20의 중량 비율로 100℃, 2시간동안 열수추출하였다. 회수된 조추출물은 필터링 후에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파우더를 확보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은 가시파래 분말 100 g에 주정(80% 에탄올) 3 L을 넣고 실온에서 1일 동안 진탕하면서 추출하였고, 초음파추출은 30℃ 물에 초음파를 5분간 10차례 방사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파장은 28 kHz보다 높게 하였고 30℃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감태 추출물
<실시예 3-1> 열수, 에탄올 및 초음파 추출
원재료 감태(Ecklonia cava)를 열수추출을 하기 위하여 자연산 감태의 잎 부위를 세척한 한 후 100℃에서 4시간 추출 후 조추출액을 얻고 Whatman No.2로 여과한 다음 동결건조기(삼원냉열, SFD)로 감압농축(EYELA, Japan)하여 조추출물을 확보하였다. 물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진공농축기를 1차로 농축하고 동결건조기를 3일간 가동하여 파우더형태의 조추출물을 확보하였다.
감태의 에탄올 추출물과 초음파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었다.
<실시예 3-2> 효소 처리물, 산 처리물 및 염기 처리물
감태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다양한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 분해 추출물을 얻었다.
우선 염을 제거하기 위해 투석(Dialysis, 3,000 cut, Millipore)을 실시하여 염 일부를 제거하고 다시 동결건조기로 건조후 분말을 얻었다.
효소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 감태분말 100 g에 증류수 10 L을 넣고 당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Viscozyme™ L 복합효소제(Arabanase, cellulase, β-glucanase, hemi-cellulase and xylanase, Novozyme co.)를 30g/L의 농도로 넣고 진탕기에서 혼합한 후 pH 4.5, 50℃, 하루동안 추출하였다. 내부의 산도를 중화시키기 위하여 1N NaOH를 이용하여 pH 7.0로 맞추고 100℃, 10분간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그 효소액을 5,000 rpm, 15분간 원심분리(Hanil, high-spin)하여 펠렛을 제거하였다. 펠렛이 제거된 상층액은 감압농축을 수행한 다음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파우더형태의 실험시료를 얻었다.
산/염기 가수분해물은 총 0.5 N HCl 및 0.5 N NaOH을 이용하여 산/염기 가수분해를 실시하였다. 상기 조추출물(열수 추출물) 시료 에 총 5배의 산성액 pH 3.5와 알카리액 pH 10.0을 넣고 70℃에서 4시간 교반하고 중화(pH 7.0) 후 5,000 rpm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된 상층액을 회수하여 투석을 실시하고 다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시제품 제조
숙취해소 시제품은 선식(스프타입) 형태로 제조하였다.
분말 선식의 제조를 위하여 아래 [표 1]와 같이 감태, 가리파래 및 약용식물과 부형제로, 옥수수 전분 10~ 20 중량%, 스테비아 0.001~0.01 중량%, 덱스트린 10~15 중량%, 결정셀룰로오스 40~70 중량% 첨가, 혼합하여 100% 중량비로 제조하였다.
분말선식 시제품 조성
시료명 원료 비율(중량%) 비고
P-1 감태:가시파래:울금:갈근:부형제 0.2:0.1:16:4:79.7 분말선식
P-2 감태:가시파래:비파:새싹인삼:부형제 0.2:0.1:1:5:93.7 분말선식
P-3 감태:가시파래:울금:실솔:부형제 0.2:0.1:16:1:82.7 분말선식
P-4 감태:가시파래:갈근:새싹인삼:부형제 0.2:0.1:4:5:90.7 분말선식
감태, 가시파래, 갈근, 비파 및 실솔은 추출물을 이용하였으며 울금과 새싹인삼은 분말을 이용하였다.
감태와 가시파래의 추출물은 단가가 적은 열수추출물을 활용하였으며, 갈근(Pueraria lobata)과 실솔(Velarifictorus aspersus) 및 비파(Eriobotrya japonica)는 전남생약조합에서 구입하여 열수추출하여 이용하였다. 갈근은 뿌리 부분을 사용하였으며 실솔은 전체부위, 비파는 잎 부위를 사용하였다. 이때 추출 방법은 <실시예 2-3> 가시파래 및 감태 열수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농축 분말(파우더)를 확보하였다.
울금(Curcuma longa)은 신선한 뿌리를 0.3 mm 두께로 잘라내고, 새싹인삼(Panax ginseng C.A.Meyer)은 싹을 튀운지 3주째 되는 잎, 줄기 및 뿌리 모두를 이용하여 45℃에서 3일간 일반 건조기로 건조후 초미립분쇄기(air mill)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실험예> 숙취해소 효과 및 간 기능 개선 효과 실험 방법
1. 실험 방법
<1-1> 동물실험 및 실험방법
본 실험은 동신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2016-01-04)을 얻어 실험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실험동물은 SD(Sprague-Dawley계) 흰쥐를 사용하였다. 명암주기(dark/light cycle)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한 개별환경사육장치(micro ventilation cage system)에서 분말식이로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체중이 100 ± 4 g이 되었을 때 평균 체중이 비슷하게 임의로 분배하여 7마리씩 하나의 군으로 나누었다. 먹이급여는 일반 고형사료를 사용하여 항상 섭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물을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50% alcohol 투여 전 1시간 전에 1회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시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투여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생리식염수와 50% 에탄올 경구투여군을 사용하였다. 가시파래와 감태 추출물 시험시료들은 5-15 m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시제품은 ADH를 위해서 20 mg/ml, ALDH실험을 위해서 15 m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희석된 시료를, 1 kg의 Sprague-Dawley계 흰쥐 체중당 2 mL의 비율(2 mL/1 kg)로 투여하였다. ADH와 ALDH 활성 측정을 위한 양성 대조구로는 간질환 보조 치료제 또는 숙취해소제로 사용중인 헤포스(Hepos)를 투여하였다.
혈액 내 ADH와 ALDH 효소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쥐의 미정맥으로부터 알코올 투여전에 혈액을 측정하고, 알코올 투여후 체내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어 무독성인 아세트산으로 변화될 때 최대 효소활성을 보이는 1시간째에 심장 혈액을 채혈하여 분석하였다.
<1-2> ADH(alcohol dehydrogenase)활성 측정
ADH 활성도는 반응용액 중 NAD 300 μl, 증류수 1.4 ml, 1 M Tris-HCl (pH 8.8) 버퍼 750 μl, 0.2 M 에탄올 300 μl, 효소액 150 μl와 상기 동물 실험을 통하여 획득한 혈액 시료 100 μl를 혼합한 후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생성된 NADH의 양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인 간질환 보조 치료제인 헤포스를 50%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ADH의 활성은 반응 종료 시의 최대 흡광도를 대조구의 최대 흡광도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었다.
ADH activity (%)=(B/A)×100
A: 대조군의 최대 흡광도, B: 실험군의 최대 흡광도
<1-3>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활성 측정
ALDH의 활성은 NADH 생성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측정하였다. ALDH의 활성도 측정을 위해 혼합된 시약에 혈액 시료 100 μl를 혼합한 다음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ALDH 효소액 150 μl를 가하여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대신 증류수를 넣은 것으로 하였다.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ADH 활성 측정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였으며, ALDH의 활성은 ADH 활성 계산식에 따라 측정되었다.
<1-4> 글루타티온-S-전이효소 활성 측정
간의 주요 해독 효소인 글루타티온-S-전이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활성측정은 Hur et al.(2007)의 방법으로 0.1 M 인산칼륨 버퍼(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5)중에 기질인 1 mM 1-클로로-2,4-디니티로벤젠(1-chloro-2,4-dinitrobenzene)과 1 mM 글루타티온(glutathione)을 넣고 혈액 시료당 40 ug/ml과 효소원(150 ㎍의 단백질 양)을 혼합한 반응액 3 ㎖을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생성된 글루타티온-2,4-디니티로벤젠 컨주게이트(conjugate)를 3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1-클로로-2,4-디니티로벤젠의 몰(mole) 흡광계수 9.6 mM-1-1을 이용하여 활성도를 산정하였다. 효소활성의 단위는 1분간 ㎎ protein이 생성한 2,4-디니티로벤젠-글루타티온의 n 몰(mole) 수로 표시하였다. 각 군당 처리 농도는 CCl4(0.5 ml/kg); 시료(시제품) 1 g/kg 및 CCl4 ; 아스코르브산 (20 ㎎/㎏)이었다.
<1-5> 에폭시드 가수분해효소 활성 측정
에폭시드 가수분해효소(Epoxide hydrolase;EH) 활성측정은 Hur et al.(2007)의 방법으로 50 mM 인산칼륨 버퍼(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0)에 기질로서 트랜스-스틸벤 옥사이드(trans-stilbene oxide; TSO, 3 mM)와 효소원(150 ㎍의 단백질 양)과 혈액시료당 40 ug/ml을 혼합하여 반응액 3 ㎖ 되도록 하였다. 이 반응액을 37 ℃에서 20분간 반응시켰을 때 이때 소실되는 기질의 양을 229 ㎚에서 흡광도의 감소되는 것을 읽고 표준곡선에서 활성도를 산정하였다. 효소 활성도는 1분당 1㎎의 단백질이 기질인 트랜스-스틸벤 옥사이드(TSO)의 양을 n mole 수로 나타내었다. 각 군당 처리 농도는 CCl4(0.5 ml/kg); 시료(시제품) 1 g/kg 및 CCl4 ; 아스코르브산 (20 ㎎/㎏)이었다.
<1-6>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통계 프로그램인 CoStat 소프트웨어(CoHort Software, Monterey, USA)를 사용하여 변이들을 분석하였으며, 모든 처리는 3-10회 반복으로 하였다. 각 처리 및 시료군에 대한 유의차 검정은 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p<0.05 수준에서 최소유의차 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LSD)]을 실시하였다. 표와 그림에서 각각의 수치는 평균 ± 표준에러(mean±S.D, S.E.)로 표시하였다.
2. 실험 결과
<2-1> 가시파래 추출물에 의한 ADH, ALDH 활성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한 가시파래의 열수, 에탄올, 초음파 추출물이 ADH 및 ALDH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은 상기 <실험예 1-1> 내지 <실험예 1-3>에 따라 진행하였다. 가시파래 추출물 시료는 1 kg의 Sprague-Dawley계 흰쥐 체중당 2 mL의 비율(2 mL/1 kg)로 50% alcohol 투여 전 1시간 전에 1회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시 시료 및 알콜은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로 50% 헤포스 투여구, 일반 대조구(control)로는 50% 알콜과 생리식염수를 혼합하여 투여한 군을 이용하였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제 헤포스는 1/2로 희석농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하였다. 알콜 투여 후 혈액 샘플 채취는 1시간 후에 수행하였다.
각 실험군당 7마리의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해당 결과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 50% Hepos is used as positive control.
** Treatment means are with ±S.E. of seven replications(n=7)
ADH 활성 실험 결과, 15 mg/ml의 농도로 처리한 군 중 가시파래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ADH 활성이 대조군에 비하여 18 %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LDH 활성은 가시파래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15 m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약 50% 가량 증가하였다.
<2-2> 감태추출물에 의한 ADH, ALDH 활성 변화 확인
<실시예 3-1>에 따라 제조한 감태의 추출물의 ADH, ALDH 활성을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감태 추출물의 투여는 <실험예 1-1>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활성 확인을 위한 실험은 <실험예 1-2>, <실험예 1-3>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Figure pat00002
* Treatment means are with ±S.E. of seven replications(n=7)
아래의 [표 3]을 참조하여 보면 15 mg/ml의 농도에서, 감태의 에탄올 추출물이 대조군보다 ADH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ALDH 활성도 대조군보다 증가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열수 추출물도 증가된 ALDH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실시예 3-2>에 따라 제조된 감태의 효소 처리물, 산 처리물의 ADH 및 ALDH 활성을, 상기 실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 Treatment means are with ±S.E. of seven replications(n=7)
상기 [표 4]를 참조하여 보면 15 mg/ml의 농도에서, 산 처리물과 효소 처리물의 ADH 활성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산 처리물의 경우 ALDH의 활성도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2-3> 시제품의 숙취해소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4종류의 선식분말 시제품의 숙취해소 효과를 ADH와 ALDH 활성 측정을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제품 투여 조건은 <실험예 1-1> 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실험예 1-2>와 <실험예 1-3>에 따라 활성을 확인하였다. ADH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제품의 농도는 20 mg/L이었으며 ALDH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제품의 농도는 15mg/L 이었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보면, 모든 시제품의 활성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P-1(135%)과 P-3(142%)를 투여한 군의 ADH 활성이 높았다. 또한 ALDH 활성 결과에서도 ADH 활성 결과와 유사하게, P-1 및 P-3의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4> Glutathione-S-transferase 및 Epoxide hydrolase 활성 측정
사염화탄소는 인체내 간독성 대사에 관여하며, 이를 무독화시키는 효소인 glutathione-S-transferase(GST)의 활성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4종류의 선식분말 시제품 투여에 따른 GST 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아스코르브산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사염화탄소 (CCl4, 0.5 ml/kg) 처리군, 시료 처리군(시료 1 g/kg 및 사염화탄소),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20 ㎎/㎏) 처리군에 대한 GST 활성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P-1 내지 P-4 군 투여군 모두 사염화탄소 처리군에 비해 52-79% 가량 높은 GST 활성을 나타내었다.
간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또 다른 인자인 에폭시드 가수분해효소(epoxide hydrolase) 활성을 확인하였다[도 4]. 사염화탄소 (CCl4, 0.5 ml/kg) 처리군, 시료 처리군(시료 1 g/kg 및 사염화탄소),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20 ㎎/㎏) 처리군에 대한 GST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GST 실험군과 동일한 사용량으로 실험한 결과 사염화탄소 투여군에 비하여 P-1 내지 P-4 군 투여군 모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P-3 투여군의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8)

  1. 아래의 (i) 내지 (vii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i) 가시파래의 추출물;
    (ii) 감태의 추출물;
    (iii) 감태의 효소 분해물;
    (iv) 감태의 산 가수분해물;
    (v) 감태, 가시파래, 울금 및 갈근의 혼합물;
    (vi) 감태, 가시파래, 비파 및 새싹인삼의 혼합물;
    (vii) 감태, 가시파래, 울금 및 실솔의 혼합물;
    (viii) 감태, 가시파래, 갈근 및 새싹인삼의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이고,
    상기 효소는 아라바나아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칸나아제(β-gluca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및 자일라나제(xylanase)로 이루어진 복합 효소이며,
    상기 혼합물은 (v) 감태:가시파래:울금:갈근의 0.2:0.1:16:4 중량비의 혼합물; (vi) 감태:가시파래:비파:새싹인삼의 0.2:0.1:1:5 중량비의 혼합물; (vii) 감태:가시파래:울금:실솔의 0.2:0.1:16:1 중량비의 혼합물; (viii) 감태:가시파래:갈근:새싹인삼의 0.2:0.1:4:5 중량비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5. 아래의 (i) 내지 (vii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i) 가시파래의 추출물;
    (ii) 감태의 추출물;
    (iii) 감태의 효소 분해물;
    (iv) 감태의 산 가수분해물;
    (v) 감태, 가시파래, 울금 및 갈근의 혼합물;
    (vi) 감태, 가시파래, 비파 및 새싹인삼의 혼합물;
    (vii) 감태, 가시파래, 울금 및 실솔의 혼합물;
    (viii) 감태, 가시파래, 갈근 및 새싹인삼의 혼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이고,
    상기 효소는 아라바나아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칸나아제(β-gluca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및 자일라나제(xylanase)로 이루어진 복합 효소이며,
    상기 혼합물은 (v) 감태:가시파래:울금:갈근의 0.2:0.1:16:4 중량비의 혼합물; (vi) 감태:가시파래:비파:새싹인삼의 0.2:0.1:1:5 중량비의 혼합물; (vii) 감태:가시파래:울금:실솔의 0.2:0.1:16:1 중량비의 혼합물; (viii) 감태:가시파래:갈근:새싹인삼의 0.2:0.1:4:5 중량비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0170179955A 2017-12-26 2017-12-26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06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55A KR102006551B1 (ko) 2017-12-26 2017-12-26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55A KR102006551B1 (ko) 2017-12-26 2017-12-26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182A true KR20190078182A (ko) 2019-07-04
KR102006551B1 KR102006551B1 (ko) 2019-08-01

Family

ID=6725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955A KR102006551B1 (ko) 2017-12-26 2017-12-26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391B1 (ko) 2022-11-17 2023-02-21 (주)기린컴퍼니 갈변 및 맛 변질 방지 감태 블랜칭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516A (ko) * 2001-07-09 2003-01-23 대한민국 (관리부서 농촌진흥청) 간보호, 항피로, 알코올해독 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또는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20140067579A (ko) * 2012-11-27 2014-06-05 박길남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KR20170000840A (ko) * 2015-06-24 2017-01-04 재단법인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면역 활성이 증진된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2390A (ko) * 2016-05-23 2017-12-04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숙취 해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516A (ko) * 2001-07-09 2003-01-23 대한민국 (관리부서 농촌진흥청) 간보호, 항피로, 알코올해독 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또는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20140067579A (ko) * 2012-11-27 2014-06-05 박길남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KR20170000840A (ko) * 2015-06-24 2017-01-04 재단법인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면역 활성이 증진된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2390A (ko) * 2016-05-23 2017-12-04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숙취 해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승홍 외 4명, "감태(Ecklonia cava) 줄기 및 잎의 효소적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5권 제9호, 1139-1145쪽, 2006년. 1부.* *
조은경 외 1명, "감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생명과학회지, 제20권 제11호, 1675-1682쪽, 2010년.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391B1 (ko) 2022-11-17 2023-02-21 (주)기린컴퍼니 갈변 및 맛 변질 방지 감태 블랜칭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551B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69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KR20110048236A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KR20180040534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253658B1 (ko) 팽화 발효 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036962B1 (ko) 감태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102006551B1 (ko)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WO2007007994A1 (en)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JP2015502954A (ja) アギタケの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脂質異常症の予防又は治療用の組成物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20170053536A (ko)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질환 및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2322B1 (ko) 미나리 열수 추출물 및 매생이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 활성이 증진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KR102133473B1 (ko)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KR100977076B1 (ko)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KR102080204B1 (ko)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77328B1 (ko) 생약 추출물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102211759B1 (ko) 카카오닙스를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2019149978A (ja) アルコール代謝促進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
KR101074348B1 (ko)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