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923A -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923A
KR20190077923A KR1020170179500A KR20170179500A KR20190077923A KR 20190077923 A KR20190077923 A KR 20190077923A KR 1020170179500 A KR1020170179500 A KR 1020170179500A KR 20170179500 A KR20170179500 A KR 20170179500A KR 20190077923 A KR20190077923 A KR 20190077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ehps
control unit
stop mode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7923A/ko
Publication of KR2019007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은 차속, 휠각속도, 휠각 변화량 브레이크 신호 등을 포함하는 운전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EHPS(Electro Hydraulic Power Steering)를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및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톱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모터부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ic hydraulic pump system}
본 발명은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제 도로에서 차량 주행 중 조향이 이루어지는 기간은 전체 주행 시간의 10%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상당 부분은 주행 초기 즉, 주차 공간에서 차량 이동시 많은 조향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주행 초기 조건에서 펌프 출구 압력을 일정 수준이상 확보를 위해서는 엔진의 펌프 구동 토크가 필요하고, 주행 중 무조타 시에는 펌프 출구 압력을 감소시켜 소모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엔진의 에너지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엔진 회전수에 감응하여 유압펌프를 작동시켜 조타력을 보조하는 유압식 파워스티어링을 대비하여 전동모터로 유압펌프를 작동시켜 차속 및 조타각에 따라 조타력을 보조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EHPS, Electro Hydraulic Power Steering)를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여 연비를 향상하고 있다. 연비 향상을 통하여 연료비 절감, 배기가스 등을 저감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유류 사용 비율이 높은 상용차의 경우 연비 개선의 경제적 효과는 매우 크다.
종래의 기술은 EHPS는 파워 소모를 최적화하지 않으면 전장품에 안정적으로 공급해야 할 전원이 불안정하게 되어 차량 운행이 불안해진다. 특히 도심 주행을 하는 버스의 경우 잦은 정차 시 불필요한 펌프 구동으로 전원 공급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EHPS에 스톱 모드를 추가하여 파워 사용을 줄이고 전원 관리를 통하여 시스템을 안정시키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은 차속, 휠각속도, 휠각 변화량, 브레이크 신호 등을 포함하는 운전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EHPS(Electro Hydraulic Power Steering)를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및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톱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모터부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및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EHPS가 상기 엑티베이션 모드 인 경우, 상기 차속이 4KPH 미만이고, 상기 휠각속도가 8deg/s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EHPS가 엑티베이션 모드고, 상기 차속이 4KPH 미만이고, 상기 휠각속도가 8deg/s 미만인 경우, 상기 EHPS를 상기 슬립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및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EHPS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슬립 모드의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온 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EHPS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슬립 모드의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온 인 경우, 상기 EHPS를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톱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여 모터부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차속이 1KPH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휠각속도가 8deg/s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휠각 변화량이 2deg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오프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는 차속, 휠각속도, 휠각 변화량 브레이크 신호 등을 포함하는 운전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및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 및상기 스톱 모드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여 정지하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상기 엑티베이션 모드 인 경우, 상기 차속이 4KPH 미만이고, 상기 휠각속도가 8deg/s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엑티베이션 모드고, 상기 차속이 4KPH 미만이고, 상기 휠각속도가 8deg/s 미만인 경우, 상기 EHPS를 상기 슬립 모드로 제어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슬립 모드의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온 인지 판단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슬립 모드의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온 인 경우, 상기 EHPS를 스톱 모드로 제어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차속이 1KPH를 초과하는지 판단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휠각속도가 8deg/s를 초과하는지 판단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휠각 변화량이 2deg를 초과하는지 판단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브레이크 신호가 오프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 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필요한 파워 소모를 줄여 알터네이터 구동 시간 단축, 하이브리드 차종 적용 시 EV 주행이 가능하여 연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엔진 Off 상태에서 조향력 유지가 가능해져 안정적인 조향력 상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정차 상태에서 펌프 작동/유체 소음 없으므로 소음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싱시예에 따른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유압펌프 개선 로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따른 전동식 유압펌프 개선 로직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싱시예에 따른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및 모터부(13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스톱 모드를 진입하거나 해제하기 위하여 운전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운전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따라서, 센서부(110)는 전류 센서(111), 조향각 센서(112), 속도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센서(111)는 모터부(130)의 입력 전류를 검출한다. 즉, 입력 전류는 모터부(130)로 입력되는 전류를 나타낼 수 있다.
조향각 센서(112)는 차량의 조향각 속도를 검출한다. 즉, 조향각 센서()는 차량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속도 센서(140)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며, 차량의 휠에 장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배터리 전압, 모터의 온도, ECU 온도, 유체 온도, 배터리 전압 정보, 모터 온도 정보, ECU 온도 정보, 전류 정보, 조향각 정보 및 차속 정보, 유체 온도 정보, 브레이크 신호, 휠각속도 및 휠각 변화량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140)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수시한 전류, 조향각, 차속, 배터리 전압, 모터의 온도, ECU 온도, 유체 온도, 배터리 전압 정보, 모터 온도 정보, ECU 온도 정보, 전류 정보, 조향각 정보 및 차속 정보, 유체 온도 정보, 휠각속도 및 휠각 변화량에 기초하여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스톱 모드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로터 휠각속도 및 휠각 변화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휠각속도, 차속 및 입력 전류를 수신하고, 수신된 휠각속도, 차속 및 전류 정보가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슬립 모드로 진입하여 모터 제어 전류량을 제어하며, 모터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슬립 모드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스톱 모드로 설정되어 모터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인가되는 3상 교류전압에 의해 동작되어 토크를 발생시킨다. 모터부(130)는 타행주행 또는 회생 제동 시 발전기로 동작되어 전압을 배터리에 공급한다.
모터부(130)는 모터와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와 펌프는 MPU(Motor Pump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유압펌프 개선 로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20)는 센서부로부터 배터리 전압 정보, 모터 온도 정보, ECU 온도 정보 전류 정보, 조향각 정보 및 차속 정보 및 유체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 전압 정보, 모터 온도 정보, ECU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Fail-Safety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Fail-Safety operation, 전류 정보, 조향각 정보 및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조향각에 조작이 있는 경우, 엑티베이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엑티베이션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유체 온도 정보 및 speed map 기초하여 온도 보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motor driver를 구동하여 모터부(130)를 운전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조향각이 최대 값인 경우, 엔드 락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EHPS가 엔드 락 모드인 경우, 모터부(130)의 RPM이 1,000RPM으로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속 및 조향각 속도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슬립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속이 4KPH 미만이고, 조향각 각속도가 8deg/sec 미만인 경우, 제어부(120)는 슬립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EHPS가 슬립 모드인 경우, 모터부(130)의 RPM을 500RPM으로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슬립 모드 지속 시간 및 브레이크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스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상기 슬립 모드 지속시간이 5초를 초과하고, 브레이크 신호가 on 인 경우, 스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톱 모드인 경우, 차속 정보, 휠각속도 정보, 휠각 변화량 및 브레이크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따른 전동식 유압펌프 개선 로직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엑티베이션 모드로 EHPS를 제어할 수 있다(S110).
상기 EHPS가 엑티베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차속이 4KPH 미만이고, 휠각속도가 8deg/s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S120).
상기 S12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S1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차속이 4KPH 미만이고, 휠각속도가 8deg/s 미만인 경우, EHPS를 슬립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S130).
상기 EHPS가 슬립 모드인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슬립 모드의 유지시간이 5초이상이고, 브레이크 신호가 On 인지 판단할 수 있다(S140).
상기 S14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S1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스톱 모드로 제어 될 수 있다(S150).
상기 EHPS가 상기 스톱 모드로 모드인 경우, 제어부(120)는 차속이 1KPH를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60).
상기 160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160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휠각속도가 8deg/를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70).
상기 170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170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휠각 변화량이 2deg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80).
상기 180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180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브레이크 신호가 OFF인지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90).
상기 190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S19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부(130)가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시스템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10: 센서부
120: 제어부
130: 모터부

Claims (19)

  1. 차속, 휠각속도, 휠각 변화량 브레이크 신호 등을 포함하는 운전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EHPS(Electro Hydraulic Power Steering)를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및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톱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여 모터부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및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EHPS가 상기 엑티베이션 모드 인 경우, 상기 차속이 4KPH 미만이고, 상기 휠각속도가 8deg/s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HPS가 엑티베이션 모드고, 상기 차속이 4KPH 미만이고, 상기 휠각속도가 8deg/s 미만인 경우, 상기 EHPS를 상기 슬립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및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EHPS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슬립 모드의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온 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EHPS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슬립 모드의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온 인 경우, 상기 EHPS를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여 모터부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차속이 1KPH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휠각속도가 8deg/s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휠각 변화량이 2deg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오프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격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1. 차속, 휠각속도, 휠각 변화량 브레이크 신호 등을 포함하는 운전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EHPS를 엑티베이션 모드, 엔드 락 모드, 슬립 모드 및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톱 모드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여 정지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상기 엑티베이션 모드 인 경우, 상기 차속이 4KPH 미만이고, 상기 휠각속도가 8deg/s 미만인지 판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엑티베이션 모드고, 상기 차속이 4KPH 미만이고, 상기 휠각속도가 8deg/s 미만인 경우, 상기 EHPS를 상기 슬립 모드로 제어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슬립 모드의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온 인지 판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슬립 모드의 유지시간이 5초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온 인 경우, 상기 EHPS를 스톱 모드로 제어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차속이 1KPH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휠각속도가 8deg/s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휠각 변화량이 2deg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HPS가 스톱 모드인 경우,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오프인지 판단하는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장치.
KR1020170179500A 2017-12-26 2017-12-26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 KR20190077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500A KR20190077923A (ko) 2017-12-26 2017-12-26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500A KR20190077923A (ko) 2017-12-26 2017-12-26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923A true KR20190077923A (ko) 2019-07-04

Family

ID=6725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500A KR20190077923A (ko) 2017-12-26 2017-12-26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79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9794A (zh) * 2019-09-24 2019-12-06 湖北航天技术研究院特种车辆技术中心 一种车辆转向控制方法和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9794A (zh) * 2019-09-24 2019-12-06 湖北航天技术研究院特种车辆技术中心 一种车辆转向控制方法和系统
CN110539794B (zh) * 2019-09-24 2021-07-20 湖北航天技术研究院特种车辆技术中心 一种车辆转向控制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17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electric vehicle
US7597408B2 (en) Method for compensating regenerative braking amount when regenerative braking of vehicle fails
JP513723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モードの制御方法
JP5074876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アイドルストップモード制御方法
US9630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in a vehicle
CN102248900B (zh) 当电流传感器不正常操作时车辆的马达扭矩控制的方法和系统
JPH08163707A (ja) 電気自動車の制動制御装置
EP3300935B1 (en) Control apparatus of hybrid vehicle
US8818674B2 (en) Vehicle behavior controller
US8880317B2 (en) Reduced energy vacuum pump control
CN102220914B (zh) 多阶段发动机停止位置控制
JP2005245144A (ja) 車両駆動装置
JP4079077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EP2789514A1 (en) Hybrid-vehicle control device
JP2006197756A (ja) 車両の回生制動制御装置
US20030205930A1 (en) High idle creep control by brake-by-wire braking
JP2012030731A (ja) 電動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KR20190077923A (ko) 전동식 유압 펌프 시스템 파워 소모 저감 방법 및 장치
JP4569266B2 (ja) 車両のモータ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
JP5332235B2 (ja) 回生協調ブレーキ制御装置
JP444982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走行モード制御装置
JP4428063B2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及び車両の駆動力制御方法
JP4135700B2 (ja) 車両のモータ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
JP2009027875A (ja) 電気自動車の制動装置
JP4155962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