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895A -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 Google Patents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895A
KR20190077895A KR1020170179450A KR20170179450A KR20190077895A KR 20190077895 A KR20190077895 A KR 20190077895A KR 1020170179450 A KR1020170179450 A KR 1020170179450A KR 20170179450 A KR20170179450 A KR 20170179450A KR 20190077895 A KR20190077895 A KR 2019007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embedded steel
open end
closed end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845B1 (ko
Inventor
김응수
유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8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는, 복수개의 수평철근, 복수개의 수직철근, 개단면 또는 폐단면으로 성형되어 조립된 후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에 의하여 매립되는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COMPOSITE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본 발명은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에 관한 것이다.
단부가 특별한 상세를 갖는 횡보강 철근에 의해 보강되지 않은 경우 콘크리트 전단벽체가 횡하중과 축하중을 동시에 부담하는 경우 압축측의 콘크리트가 압괴 또는 피복탈락 후 수직철근이 좌굴로 인한 갑작스러운 강도저하로 파괴(취성거동)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로 인해, 지진 위험성이 높은 지역에 시공되는 전단벽체를 포함한 건축물중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서는 구조설계 기준에서 명시하고 있는 허용층간 변위비까지 연성 거동하도록 전단벽체의 단부에 횡구속 철근에 의해 보강된 경계요소를 포함시켜 설계되어야 한다.
단부의 경계요소에 배치된 횡구속 철근은 단부에 압축력이 가해질 때 횡방향 구속력(압축력)을 작용하여 콘크리트가 3축 압축상태에 놓이게 되어 압축강도가 증가함은 물론 연성 또한 크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횡구속 철근은 콘크리트피복이 탈락된 후 수직철근이 좌굴하여 급격하게 압축강도를 잃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갖고 있다.
횡구속 철근의 수직, 수평배치 간격이 조밀할수록 횡구속 효과는 증가하여 횡구속 유효 단면적 또한 증가하게 되지만, 벽체 두께가 얇아질수록 요구되는 횡구속 철근의 배치 간격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철근 배근의 난이도가 상승하여 시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콘크리트가 철근 사이에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아 콘크리트 타설 품질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강재를 매립하여 시공하는 경우에, 콘크리트와의 일체 거동을 위하여 스터드 등을 용접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제작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전단벽체 단부에 경계요소가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단부 횡구속 철근을 강재로 대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 품질확보가 용이한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는, 벽체의 수평 방향으로 배근되는 복수개의 수평철근과, 벽체의 수직 방향으로 배근되는 복수개의 수직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는, 개단면 또는 폐단면으로 성형되어 수직철근에 조립된 후,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에 의하여 매립되는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을 포함할 수 있다.
폐단면 매립 형강은 단면이 닫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복수개의 수직철근은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의 내측 또는 외측에 조립되는 것일 수 있다.
복수개의 수직철근은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형태로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의 내측에 조립되는 것일 수 있다.
복수개의 수직철근은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을 둘러싸는 형태로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의 외측에 조립되는 것일 수 있다.
폐단면 매립 형강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의 길이 방향의 구속을 위한 제1 횡구속 장치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횡구속 장치는, 폐단면 매립 형강에 설치되는 제1 횡구속 부재와, 제1 횡구속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폐단면 매립 형강의 상단부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횡구속 장치는, 제1 횡구속 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제1 횡구속 부재를 상기 폐단면 매립 형강에 체결시켜 주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횡구속 장치는 수직철근과 이웃하는 상기 수직철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개단면 매립 형강은 단면이 닫힌 사각형상에서 적어도 어느 일방을 개방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개단면 매립 형강이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개단면 매립 형강은 단면이 닫힌 사각형상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복수개의 개단면 매립 형강의 어느 일면에는 각각 개방부의 형성에 의하여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복수개의 개단면 매립 형강의 각 절곡부와 이웃하는 절곡부에는 복수개의 개단면 매립 형강을 길이 방향으로 구속시켜 주기 위한 제2, 제3 횡구속 장치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제3 횡구속 장치는, 개단면 매립 형강에 설치되는 제2, 제3 횡구속 부재와, 제2, 제3 횡구속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개단면 매립 형강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2, 제3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3 횡구속 장치는, 제2, 제3 횡구속 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제2, 제3 횡구속 부재를 상기 개단면 매립 형강에 체결시켜 주는 제2, 제3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경계요소 형성을 위해 조밀하게 배치되는 횡방향 구속철근을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강재를 조립 후 매립하여 대체함으로써 철근 배근 공정의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근의 과밀 배치로 콘크리트 타설 부위에 공극이 생겨 타설 품질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얇은 벽체에 사용될수록 그 효과가 증대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품질 불량 확률을 낮춤으로써 구조물의 지진에 대한 목표 내진성능 확보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일 폐단면 형강을 적용한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에 적용되는 다른 단일 폐단면 형강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개단면 매립 형강의 종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개단면 매립 형강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일 폐단면 형강을 적용한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에 적용되는 다른 단일 폐단면 형강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는 단일 폐단면 형강으로 경계요소의 횡방향구속 철근을 대체하는 적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는, 벽체의 수평 방향으로 배근되는 복수개의 수평철근(10), 벽체의 수직 방향으로 배근되는 복수개의 수직철근(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폐단면으로 성형되어 수직철근(20)에 조립된 후, 수평철근(10) 및 수직철근(20)과 함께 콘크리트(30)에 의하여 매립되는 폐단면 매립 형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철근(20)은 수평철근(10)과 교차되고, 이들 교차 지점에서 수평철근(10)과 수직철근(20)은 체결장치(40)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폐단면 매립 형강(100)은 사각형상 등과 같이 닫힌 단면 형상을 갖는 형강으로,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경계요소 형성을 위해 조밀하게 배치되는 횡방향 철근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
즉, 폐단면 매립 형강(100)은 내, 외부간의 매립 콘크리트(30)가 연결되도록 하여 콘크리트(30)와 일체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복수개의 수직철근(20)은 폐단면 매립 형강(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조립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직철근(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4개 또는 8개의 수직철근(20)이 폐단면 매립 형강(100)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형태로 폐단면 매립 형강(100)의 내측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수직철근(20)은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폐단면 매립 형강(100)을 둘러싸는 형태로 폐단면 매립 형강(100)의 외측에 조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벽체의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철근(1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근되고, 벽체의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직철근(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근되어 있다.
또한, 폐단면 매립 형강(100)이 사각 형상의 폐단면으로 성형되어 수직철근(20)에 조립된 후, 수평철근(10) 및 수직철근(20)과 함께 콘크리트(30)에 의하여 매립된다.
이러한 폐단면 매립 형강(100)은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경계요소 형성을 위해 조밀하게 배치되는 횡방향 철근을 대체하여 횡구속 철근 없이 경계요소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폐단면 매립 형강(100)의 내, 외부간은 매립되는 콘크리트(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폐단면 매립 형강(100)은 콘크리트(30)와 일체 거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수직철근(20)은 폐단면 매립 형강(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조립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수직철근(20)이 폐단면 매립 형강(100)의 내측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폐단면 매립 형강(100)은 콘크리트 피복이 탈락되어 수직철근(20)이 항복 이전에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수직철근(20)이 폐단면 매립 형강(100)의 외측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폐단면 매립 형강(100)이 수직철근(20)을 결속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는 하기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사항 이외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에서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폐단면 매립 형강(100)에는 폐단면 매립 형강(100)을 그 길이 방향(도 4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구속시켜 주기 위한 제1 횡구속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횡구속 장치(200)는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횡구속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1 횡구속 장치(200)는 폐단면 매립 형강(100)을 벌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확을 함과 아울러 폐단면 매립 형강(100)와 콘크리트의 일체 거동을 위한 것이다.
제1 횡구속 장치(200)는 제1 횡구속 장치(200)를 효과적으로 구속시켜 줄 수 있도록 폐단면 매립 형강(100)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폐단면 매립 형강(100)의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4에서 상하 방향을 가리킨다.
제1 횡구속 장치(200)는 폐단면 매립 형강(10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횡구속 부재(210), 제1 횡구속 부재(2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폐단면 매립 형강(100)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1 걸림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횡구속 장치(200)는 제1 횡구속 부재(2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제1 횡구속 부재(210)를 폐단면 매립 형강(100)에 체결시켜 주는 제1 체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횡구속 장치(200)는 벽체에 보다 효과적으로 횡구속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직철근(20)과 이웃하는 수직철근(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횡구속 장치(200)가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 횡구속 장치(200)의 설치 간격은 벽체의 최소 횡구속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횡구속 장치(200)는 매립되는 폐단면 매립 형강(100)과 콘크리트(30)간 일체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제1 횡구속 장치(200)는 내진설계에서 요구되는 경계요소의 길이가 긴 경우에 벽체 길이 방향의 횡구속력이 일정한 크기 이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 폐단면 매립 형강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구속시켜 주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개단면 매립 형강의 종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의 개단면 매립 형강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는 하기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사항 이외에는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에서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는, 4개의 개단면 매립 형강으로 경계요소의 횡방향구속 철근을 대체하는 적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개단면 매립 형강이 4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지만, 4개 이하이거나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는, 개단면으로 성형되어 수직철근(20)에 조립된 후, 수평철근(10) 및 수직철근(20)과 함께 콘크리트(30)에 의하여 매립되는 개단면 매립 형강(310, 320, 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단면 매립 형강(310, 320, 330, 340)의 크기 및 두께는 경계요소 내부의 콘크리트가 충분한 횡구속력을 받는데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개단면 매립 형강(310, 320, 330, 340)이 경계요소 내에 조립되어 매립되는 경우에는, 개단면 매립 강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개방시켜 경계요소 내, 외부간의 콘크리트가 연결되도록 하여 콘크리트(30)와 개단면 매립 형강간의 일체 거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개단면 매립 형강(310, 320, 330, 340)은, 콘크리트 타설 시 개단면 매립 형강 내부와 외부의 콘크리트(3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닫힌 사각형상에서 적어도 어느 일방을 개방한 제1, 제2, 제3, 제4 개방부(311, 321, 331, 34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방부(311)는 개단면 매립 형강(310)의 우측 방향을 개방하고 있으며, 제1 개방부(311)의 형성을 위하여 개단면 매립 형강(310)의 우단부에는 제1 개방부(311)를 중심으로 상,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방부(321)는 개단면 매립 형강(320)의 하측 방향을 개방하고 있으며, 제2 개방부(321)의 형성을 위하여 개단면 매립 형강(320)의 하단부에는 제2 개방부(321)를 중심으로 좌, 우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개방부(331)는 개단면 매립 형강(330)의 상측 방향을 개방하고 있으며, 제3 개방부(331)의 형성을 위하여 개단면 매립 형강(330)의 상단부에는 제3 개방부(331)를 중심으로 좌, 우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개방부(341)는 개단면 매립 형강(340)의 좌측 방향을 개방하고 있으며, 제4 개방부(341)의 형성을 위하여 개단면 매립 형강(340)의 좌단부에는 제4 개방부(341)를 중심으로 상,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 절곡부(34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제4 개방부(311, 321, 331, 341)의 크기 및 위치는 경계요소 내부의 콘크리트가 충분한 횡구속력을 받는데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313)와 제2 절곡부(323), 및 제1 절곡부(313)와 제3 절곡부(333)는, 개단면 매립 형강(310, 320, 330)을 그 길이 방향(도 7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구속시켜 주기 위한 제2 횡구속 장치(4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횡구속 장치(400)는 개단면 매립 형강(310, 320, 33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횡구속 부재(410), 제2 횡구속 부재(4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개단면 매립 형강(320)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2 걸림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횡구속 장치(400)는 제2 횡구속 부재(4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제2 횡구속 부재(410)를 개단면 매립 형강(310)에 체결시켜 주는 제2 체결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곡부(323)와 제4 절곡부(343), 및 제3 절곡부(333)와 제4 절곡부(343)는, 개단면 매립 형강(320, 330, 340)을 그 길이 방향(도 7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구속시켜 주기 위한 제3 횡구속 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횡구속 장치(500)는 개단면 매립 형강(320, 330, 34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횡구속 부재(510), 제3 횡구속 부재(5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개단면 매립 형강(340)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3 걸림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횡구속 장치(500)는 제3 횡구속 부재(5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제3 횡구속 부재(510)를 개단면 매립 형강(330)에 체결시켜 주는 제3 체결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제3 횡구속 장치(400, 500)는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횡구속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2, 제3 횡구속 장치(400, 500)는 개단면 매립 형강(310, 320, 330, 340)이 벌어지지 못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매립되는 개단면 매립 형강(310, 320, 330, 340)과 콘크리트(30)간 일체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제3 횡구속 장치(400, 500)는 내진설계에서 요구되는 경계요소의 길이가 긴 경우에 벽체 길이 방향의 횡구속력이 일정한 크기 이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 개단면 매립 형강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구속시켜 주도록 한다.
10: 수평철근
20: 수직철근
30: 콘트리트
100: 폐단면 매립 형강
200: 제1 횡구속 장치
310, 320, 330, 340: 개단면 매립 형강

Claims (13)

  1. 벽체의 수평 방향으로 배근되는 복수개의 수평철근,
    상기 벽체의 수직 방향으로 배근되는 복수개의 수직철근, 및
    개단면 또는 폐단면으로 성형되어 상기 수직철근에 조립된 후, 상기 수평철근 및 상기 수직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에 의하여 매립되는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
    을 포함하는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단면 매립 형강은 단면이 닫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직철근은 상기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의 내측 또는 외측에 조립되는 것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직철근은 상기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형태로 상기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의 내측에 조립되는 것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직철근은 상기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개단면 또는 폐단면 매립 형강의 외측에 조립되는 것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단면 매립 형강에는 상기 폐단면 매립 형강의 길이 방향의 구속을 위한 제1 횡구속 장치가 설치되는 것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횡구속 장치는,
    상기 폐단면 매립 형강에 설치되는 제1 횡구속 부재,
    상기 제1 횡구속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단면 매립 형강의 상단부에 걸리는 걸림부재, 및
    상기 제1 횡구속 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횡구속 부재를 상기 폐단면 매립 형강에 체결시켜 주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횡구속 장치는 상기 수직철근과 이웃하는 상기 수직철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단면 매립 형강은 단면이 닫힌 사각형상에서 적어도 어느 일방을 개방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단면 매립 형강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개단면 매립 형강은 단면이 닫힌 사각형상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개단면 매립 형강의 어느 일면에는 각각 상기 개방부의 형성에 의하여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개단면 매립 형강의 각 절곡부와 이웃하는 절곡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개단면 매립 형강을 길이 방향으로 구속시켜 주기 위한 제2, 제3 횡구속 장치가 설치되는 것인,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3 횡구속 장치는,
    상기 개단면 매립 형강에 설치되는 제2, 제3 횡구속 부재,
    상기 제2, 제3 횡구속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단면 매립 형강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2, 제3 걸림부재, 및
    상기 제2, 제3 횡구속 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제3 횡구속 부재를 상기 개단면 매립 형강에 체결시켜 주는 제2, 제3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KR1020170179450A 2017-12-26 2017-12-26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KR102093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450A KR102093845B1 (ko) 2017-12-26 2017-12-26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450A KR102093845B1 (ko) 2017-12-26 2017-12-26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895A true KR20190077895A (ko) 2019-07-04
KR102093845B1 KR102093845B1 (ko) 2020-03-26

Family

ID=6725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450A KR102093845B1 (ko) 2017-12-26 2017-12-26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8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3421A (ja) * 1995-01-13 1996-07-30 Ando Corp 充填型鋼管コンクリート構造の柱の変形防止装置および充填被覆型鋼管コンクリート構造の柱の構築方法
KR20020091476A (ko) * 2001-05-30 2002-12-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각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교각시공방법
KR100763634B1 (ko) * 2006-06-19 2007-10-05 주식회사고려이엔시 전단보강용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 및 내진보강
KR100952931B1 (ko) * 2010-01-06 2010-04-16 주식회사 현대종합설계건축사사무소 철근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와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접합부 전단보강장치
KR101734127B1 (ko) * 2016-09-27 2017-05-24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3421A (ja) * 1995-01-13 1996-07-30 Ando Corp 充填型鋼管コンクリート構造の柱の変形防止装置および充填被覆型鋼管コンクリート構造の柱の構築方法
KR20020091476A (ko) * 2001-05-30 2002-12-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각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교각시공방법
KR100763634B1 (ko) * 2006-06-19 2007-10-05 주식회사고려이엔시 전단보강용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 및 내진보강
KR100952931B1 (ko) * 2010-01-06 2010-04-16 주식회사 현대종합설계건축사사무소 철근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와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접합부 전단보강장치
KR101734127B1 (ko) * 2016-09-27 2017-05-24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845B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419B1 (ko)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KR101275754B1 (ko)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와 그 제작방법 및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5597317B1 (ja) 橋脚の耐震補強構造
KR101531626B1 (ko) 피씨(Precast concrete)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101139761B1 (ko) 건축물용 보강 벽
KR101540649B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KR101994089B1 (ko) 인발전단메쉬부재가 구성되며 넓은 폭을 갖는 현장 타설용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90077895A (ko)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KR101870087B1 (ko)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JP2017106266A (ja) コンクリート補強具及びその設置方法並びにコンクリート補強構造
KR101938887B1 (ko) 고정장치를 구비한 띠철근 배근구조
KR101808058B1 (ko) 정착 강도를 증강시킨 병렬 전단벽 커플링 보
KR102168828B1 (ko) 전단벽체 구조
KR20190081117A (ko) 양중·설치가 용이한 합성 프리캐스트 벽체 시스템
KR102304567B1 (ko) 측방연결수단을 이용한 파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JP6224420B2 (ja) Cft柱とコンクリート底版の接続構造
KR102035495B1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KR101186825B1 (ko)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
JP6211731B1 (ja) コンクリート製受圧板及び該受圧板を用いた受圧構造
JP4823932B2 (ja) 柱およびコア壁で支持されるフラットプレートのせん断補強構造
KR20120077778A (ko) 평행 철근 배근용 연결장치
KR101858557B1 (ko) 다중 x형 보강철근체가 구비된 철근콘크리트 기둥
JP6232190B2 (ja)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2383333B1 (ko) 배근용 개구부를 갖는 각형 강관 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철골보의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