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631A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움직임을 통한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움직임을 통한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631A
KR20190077631A KR1020197018647A KR20197018647A KR20190077631A KR 20190077631 A KR20190077631 A KR 20190077631A KR 1020197018647 A KR1020197018647 A KR 1020197018647A KR 20197018647 A KR20197018647 A KR 20197018647A KR 20190077631 A KR20190077631 A KR 20190077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mputing device
user interface
portable compu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노드 고빈다필라이
토머 라이더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7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과 관련된 컴퓨팅 디바이스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및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프로세서,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 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상의 현재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로 움직이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움직임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 구역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이 설명되고/되거나 청구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움직임을 통한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VIA MOVEMENT OF A PORTION OF A USER INTERFACE}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4년 3월 24일자로 출원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VIA MOVEMENT OF A PORTION OF A USER INTERFACE"인 미국 출원 제14/223,832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배경기술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컨텍스트를 일반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본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 내의 포함에 의해 종래 기술인 것으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터치 스크린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시장을 혁신시켰다. 이와 동시에,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 크기의 증가와 컴퓨팅 디바이스의 유용성 사이의 계속된 투쟁이 존재한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 크기는 점점 더 커지고 있지만, 이러한 추가 스크린 크기는 전체 스크린과의 성가신 상호작용을 초래하여, 소비자가 하나 이상의 손으로 안정된 파지를 유지하면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가신 상호작용은 많은 소비자가 그러하듯이 한 손으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제어하려고 시도할 때 증대된다. 이러한 상호작용 문제는, 소비자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추가 스크린 크기에 대해 겪어야 하는, 소비자가 느낄 수 있는 유용성 결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예시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상호작용 구역의 예시적인 이용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다수의 상호작용 구역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저장 매체 및 컴퓨팅 디바이스가 설명된다.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프로세서,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 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 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지시된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의 현재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움직임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사용자가 활성화하기를 원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아이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나머지와 함께 지시된 방향으로 움직여 사용자가 아이콘을 활성화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의 일부를 형성하고 실시될 수 있는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며, 도면 전반에서 동일한 번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한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다양한 동작들은 청구된 발명 대상의 이해에 가장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순차적인 개별 액션들 또는 동작들로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순서는 이러한 동작들이 반드시 순서에 의존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이러한 동작들은 제시 순서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설명되는 동작들은 설명되는 실시예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추가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고/있거나, 설명되는 동작들이 추가 실시예들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표현 "A 및/또는 B"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표현 "A, B 및/또는 C"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의미한다. 설명은 표현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들에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동일한 또는 상이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지칭할 수 있다. 더구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갖는" 등은 동의어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예시적인 사용자 상호작용(100)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상호작용(100)은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예로서 스마트폰(102)을 파지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는, 그와 통합된 대화식 디스플레이(interactive display)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통합되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스마트폰(102)은 사용자가 상호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손을 움직일 필요 없이 하나 이상의 손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지시하는 입력을 검출하도록 스마트폰(102)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입력의 일 예는 스마트폰(102)을 좌하로 기울이는 것일 수 있다. 그러한 입력은 예로서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2)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러한 입력이 검출되면, 스마트폰(10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화살표 108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입력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2)을 좌하로 기울이는 것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좌하로 움직이기를 원한다는 것을 효과적으로 지시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효과는 폭포 효과로서 설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110에서 입력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떨어져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그 부분이 사용자가 더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스크린의 영역에 효과적으로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스마트폰(102)을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전체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대화식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예로서 스마트폰(102)을 한 손으로 조작할 때의 사용자의 엄지에 의한 사용자의 도달 범위 내에 있으면, 사용자는 그 부분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지시된 방향으로 충분히 멀리 움직이면, 사용자는 114에서 아이콘(112)을 활성화하여 아이콘(112)과 관련된 달력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도시된 달력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호작용들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스마트폰(102)의 움직임인 것으로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도 1의 특정 상호작용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해 스마트폰(102)의 디스플레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영역 상에서 사용자의 엄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더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드래그할 수 있다. 더구나, 스마트폰(102)의 움직임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해 스마트폰(102)을 흔들거나 회전시키거나 기울이거나 달리 움직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상호작용 구역의 예시적인 이용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2)은 대화식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과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스마트폰(202)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호작용 구역(206) 또는 바람직한 영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204)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일부(204)가 상호작용 구역(206) 안으로 아래로 움직이기를 원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하향과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에 응답하여, 스마트폰(202)은 화살표 208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204)를 상호작용 구역(206) 안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상호작용 구역(204) 안으로 움직이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를 아래로 움직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전체 인터페이스가 움직임에 따라, 인터페이스의 섹션이 디스플레이를 벗어날 수 있다. 위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섹션이 디스플레이를 벗어남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섹션은 사용자가 상호작용 구역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의 상호작용을 완료할 때까지 사라지며, 그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래 또는 홈 위치로 리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섹션(210)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섹션이 디스플레이의 에지로부터 사라짐에 따라, 그 섹션은 디스플레이의 반대 에지 상에 다시 나타나서,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효과적으로 루핑(looping)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호작용 구역(206)을 갖는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그러한 루핑은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상호작용 구역이 정의되지 않은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시 원래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이 루핑될 수 있는 실시예들에서, 스마트폰(202)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단지 루프를 계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움직임이 드롭다운 통지 바(212)를 움직이지 않고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움직이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것인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다.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움직임은 드롭다운 통지 바(212), 스크롤 바(도시되지 않음),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렌더링되는 임의의 다른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움직임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폰(202)을 움직이거나 디스플레이와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예로서, 스마트폰(202)은 예로서 스마트폰(202)의 마이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주어지는 가청 커맨드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청 커맨드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섹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정 요소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그러한 커맨드의 수신에 응답하여, 스마트폰(20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명된 부분을 상호작용 구역(206)으로 움직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스마트폰(202)은 스마트폰(202)과 통합된, 도시되지 않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볼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그 부분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그 부분과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마트폰(202)에 의해 상호작용 구역(206) 안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능한 사용자 상호작용 구역들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예로서 태블릿(302)은 다수의 상호작용 구역(304, 306)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 구역들은 태블릿(302)의 배향 및/또는 태블릿(302)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302)은 가로 배향에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배향은 상호작용 구역들(304, 306)이 도시된 위치들에 있을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태블릿(302)은 압력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손들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를 이용하여 상호작용 구역들(304, 306)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태블릿(302)의 어느 한 쪽의 중심에서 태블릿(302)을 파지할 수 있으며, 손들의 그러한 배치는 상호작용 구역들(304, 306)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호작용 구역들의 결정은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더 논의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프로세스 흐름(400)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는 임의로 블록 402에서 시작될 수 있으며, 여기서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의 검출이 수행된다. 실시예들에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은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우발적인 스크롤링 또는 움직임을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흔들기,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대화식 디스플레이의 터치,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퀴즈,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버튼들 및/또는 소프트 키들의 시퀀스 또는 조합의 누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대화식 디스플레이 상에 그려지는 미리 정의된 제스처,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카메라의 커버링, 미리 정의된 포인트를 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 및/또는 회전,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움직이거나 스크롤링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명시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액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은 불필요할 수 있으며, 블록 402의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블록 404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입력이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러한 입력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움직이는 것, 예로서 기울이고/이거나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원하는 부분이 사용자가 더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영역 안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부분이 도달 범위 내에 있을 때까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입력들은 예시적인 것을 의도할 뿐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그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입력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이 결정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블록 406에서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은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더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더 가깝게 움직이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를 움직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사용자에게 스크린의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의 점프로서 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슬라이딩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슬라이딩의 속도는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 및/또는 회전의 정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전체 인터페이스가 움직임에 따라, 인터페이스의 섹션이 디스플레이를 벗어날 수 있다. 위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섹션이 디스플레이를 벗어남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섹션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의 상호작용을 완료할 때까지 사라질 수 있으며, 그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래 또는 홈 위치로 리턴할 수 있다. 위의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섹션이 디스플레이의 에지로부터 사라짐에 따라, 그 섹션은 디스플레이의 반대 에지 상에 다시 나타나서,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본질적으로 루핑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시 원래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단지 루프를 계속할 수 있다.
블록 408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홈 위치로 리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홈 위치는 블록 406의 움직임 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원래 위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블록 408의 절차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의 상호작용을 완료한 때 발생할 수 있다. 상호작용의 완료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의 사용자 활성화, 예로서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한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호작용의 완료는 비활동의 기간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액션 또는 비액션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에 대한 사용자의 마음을 바꿀 수 있다. 그러한 상황들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현재의 액션을 중지하기 위한 소망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기울임 또는 회전을 조정하거나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흔드는 것과 같은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프로세스 흐름(500)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는 임의로 블록 502에서 시작될 수 있으며, 여기서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의 검출이 수행된다. 실시예들에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은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우발적인 스크롤링을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흔들기,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대화식 디스플레이 또는 상호작용 구역의 터치,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퀴즈,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버튼들 및/또는 소프트 키들의 시퀀스의 누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대화식 디스플레이 또는 상호작용 구역 상에 그려지는 미리 정의된 제스처,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카메라의 커버링, 미리 정의된 포인트를 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 및/또는 회전,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스크롤링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명시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액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은 불필요할 수 있으며, 블록 502의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블록 504에서,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지시하는 입력이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러한 입력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기울이고/이거나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부분들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 및/또는 회전의 상이한 정도들과 관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울임 및/또는 회전의 정도의 변화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이한 부분을 지시할 수 있다. 예로서,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으며, 기준 포인트로부터의 연속 회전들(예로서, 10도의 회전들)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하나의 세그먼트로부터 다음 세그먼트로 변경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 구역 상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상호작용 구역 내에 있을 때까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드래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호작용 구역의 섹션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섹션들과 상관될 수 있으며, 상호작용 구역의 특정 섹션의 터치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관된 섹션과 상호작용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우상 부분과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호작용 구역의 우상 부분을 터치하여,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지시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입력들은 예시적인 입력들인 것으로 의도할 뿐이며,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지시할 수 있는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입력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 또는 심지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정 요소 또는 아이콘일 수 있다.
블록 506에서, 상호작용 구역은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호작용 구역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배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세로 배향에 있는 경우에 하나의 상호작용 구역이 결정될 수 있는 반면, 가로 배향에서는 다른 상호작용 구역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호작용 구역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우하 손 코너 안에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파지하고 있는 경우, 상호작용 구역이 또한 우하 손 코너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호작용 구역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배향과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위치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가로 위치로 유지되고 있고,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우하 코너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하는 상호작용 구역이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스크린의 영역을 탭핑하여(tap), 사용자가 상호작용 구역이기를 원하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2개 이상의 상호작용 구역이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어느 한 쪽에서 한 손으로 조작되는 경우, 상호작용 구역은 각각의 손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위에서 결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및/또는 선택의 방식에 기초하여 다른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상호작용 구역 안에 떨어지도록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치시키는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상호작용 구역이 식별된 경우, 낙하의 경로 내의 상호작용 구역이 다른 상호작용 구역에 우선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또는 상호작용 구역 상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상호작용 구역 안에 나타날 때까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드래그할 수 있는 경우, 드래깅의 방향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하기를 원하는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상호작용 구역은 위에서 설명된 결정 프로세스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결정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다수의 가능한 상호작용 구역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한 상호작용 구역들은 디바이스의 제조자에 의해 디바이스 내에 또는 소프트웨어/펌웨어 판매자에 의해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펌웨어 내에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2개 이상의 상호작용 구역이 정의된 경우에 선택할 하나 이상의 상호작용 구역을, 정의되는 상호작용 구역의 선택을 위한 기준들과 함께 정의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상호작용 구역을 정의할 수 있고, 그러한 정의된 상호작용 구역을 그러한 상호작용 구역이 선택될 수 있을 때를 위한 배향 및/또는 손 위치와 연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일 상호작용 구역이 미리 정의될 수 있고,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상호작용 구역의 결정은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는 블록 504 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블록 506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절차는 위에서 블록 504에 대해 설명된 것 전에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및 상호작용 구역이 결정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블록 508에서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상호작용 구역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은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결정된 상호작용 구역과 정렬되거나 그에 의해 포함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를 움직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사용자에게 스크린의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의 점프로서 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슬라이딩으로서 보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슬라이딩의 속도는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 및/또는 회전의 정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되어, 상호작용 구역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가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만이 움직여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나머지가 원래 위치에 남을 것이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상호작용 구역 안으로 움직이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가 움직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전체 인터페이스가 움직임에 따라, 인터페이스의 섹션이 디스플레이를 벗어날 수 있다. 위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섹션이 디스플레이를 벗어남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섹션은 사용자가 상호작용 구역을 통해 스크린의 일부와의 상호작용을 완료할 때까지 사라질 수 있으며, 그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래 또는 홈 위치로 리턴할 수 있다. 위의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섹션이 디스플레이의 에지로부터 사라짐에 따라, 그 섹션은 디스플레이의 반대 에지 상에 다시 나타나서,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본질적으로 루핑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시 원래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단지 루프를 계속할 수 있다.
블록 51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예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홈 위치로 리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홈 위치는 블록 508의 움직임 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원래 위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블록 510의 절차는 사용자가 상호작용 구역을 통해 스크린의 일부와의 상호작용을 완료한 때 발생할 수 있다. 상호작용의 완료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의 사용자 활성화, 예로서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한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호작용의 완료는 비활동의 기간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액션 또는 비액션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마음을 바꿀 수 있거나, 그 일부가 부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상황들에서, 사용자는 현재의 액션을 중지하기 위한 소망을 지시하기 위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흔드는 것과 같은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한 액션이 검출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블록 508을 참조하여 설명된 움직임이 시작된 경우 그의 홈 위치로 리턴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6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600)는 스마트폰, 태블릿, 울트라북, 이북, 랩톱 컴퓨터, 태블릿/랩톱 하이브리드,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게이밍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예시적인 것을 의도하는 예들일 뿐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형태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600)는 프로세서(들)(602), 디스플레이(604), 센서들(606),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610)을 포함하는 스토리지(608) 및 다른 입출력(I/O) 디바이스들(61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602), 디스플레이(604), 센서들(606), 스토리지(608) 및 다른 입출력(I/O) 디바이스들(612)은 시스템 버스(614)를 이용하여 모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602)는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중 프로세서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프로세서는 동일한 타입, 즉 동종일 수 있거나, 상이한 타입, 즉 이종일 수 있으며, 임의의 타입의 단일 또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프로세서들의 타입 및/또는 수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디스플레이(604)는 액정 다이오드(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604)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같은 대화식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604)는 컴퓨팅 디바이스(600)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임의의 타입의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600)에 주변 접속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디스플레이의 타입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센서들(606)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메라,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압력 센서 등과 같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컴퓨팅 디바이스(600)가 도 1-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센서들은 예시적인 것을 의도하는 예들일 뿐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스토리지(608)는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상이한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스토리지(608)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영구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스토리지는 예로서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영구 스토리지는 고상 드라이브(SSD), 자기 또는 광 디스크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610)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610)은 프로세서(들)(602)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디바이스(600)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610)은 센서들(606)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610)은 센서들(606)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스트림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610)은 분석을 위해 센서들(606)로부터 데이터의 부분들을 주기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610)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결정하거나,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제 움직임이 달성되도록 이러한 결정들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운영 체제(OS)로 출력할 수 있다. 이것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610) 내에 통합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610)은 센서들(606)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는 컴퓨팅 디바이스(600) 상의 사용자의 손(들) 및/또는 손가락(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분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액션들과 같은 미리 결정된 액션이 센서 데이터 내에서 발생하는지를 결정하도록 분석될 수 있다. 이것은 예로서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캡처되는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액션들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설명의 목적을 위해, 컴퓨터 사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일 수 있다.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또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들은 반도체 또는 고상 메모리, 자기 테이프, 착탈식 컴퓨터 디스켓,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강성 자기 디스크 및 광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들의 현재의 예들은 컴팩트 디스크-판독 전용 메모리(CD-ROM), 컴팩트 디스크-판독/기록(CD-R/W) 및 DVD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완전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소들 양자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는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구나,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 또는 임의의 명령어 실행 시스템에 의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는 컴퓨터 사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대안 및/또는 등가 구현들이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을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실시예들의 임의의 적응들 또는 변형들을 포괄하는 것을 의도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청구항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을 명확히 의도한다.
예들
일부 비한정적인 예들은 다음과 같다.
예 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프로세서,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렌더링하도록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 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상의 현재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로 움직이게 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동작된다.
예 2는 예 1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 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의 완료 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다른 위치로부터 현재 위치로 리턴하게 하도록 프로세서 상에서 추가로 동작된다.
예 3은 예 1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 또는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 4는 예 3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를 검출 및 출력하도록 구성된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검출은 움직임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예 5는 예 4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움직임 센서는 가속도계 또는 자이로스코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 6은 예 1-5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 구역을 포함한다.
예 7은 예 6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은 디스플레이의 고정 영역을 포함한다.
예 8은 예 6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은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도록 프로세서 상에서 추가로 동작된다.
예 9는 예 8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의 결정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배향에 기초하는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부터의 상호작용 구역의 선택을 포함한다.
예 10은 예 9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다.
예 11은 예 10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되는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파지하면서 한 손으로 상호작용 구역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 12는 예 8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13은 예 8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현재 위치가 주어질 경우에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결정을 포함한다.
예 14는 예 13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15는 예 1-5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화식 요소이다.
예 16은 예 1-5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은 또한 미리 정의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의 검출 시에만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이다.
예 17은 예 1-5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현재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현재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를 스크롤링하는 것이다.
예 18은 예 1-5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랩톱 하이브리드,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게이밍 디바이스 중 하나이다.
예 1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상의 현재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0은 예 19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게 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움직이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OS)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사용을 위해 지시된 방향의 지시자를 OS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1은 예 20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의 완료 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다른 위치로부터 현재 위치로 리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22는 예 19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 또는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 23은 예 22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검출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속도계 또는 자이로스코프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예 24는 예 19-23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 구역을 포함한다.
예 25는 예 24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은 디스플레이의 고정 영역을 포함한다.
예 26은 예 24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27은 예 26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배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부터의 상호작용 구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8은 예 27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다.
예 29는 예 27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되는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파지하면서 한 손으로 상호작용 구역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 30은 예 26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의 결정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또는 회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예 31은 예 26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현재 위치가 주어질 경우에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32는 예 31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33은 예 19-23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화식 요소이다.
예 34는 예 19-23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는 미리 정의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의 검출 시에만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35는 예 19-23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현재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현재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를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3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명령어들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예 19-3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예 37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컴퓨팅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수단; 및 장치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상의 현재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 38은 예 37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게 하는 수단은,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움직이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OS)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사용을 위해 지시된 방향의 지시자를 OS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 39는 예 38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의 완료 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다른 위치로부터 현재 위치로 리턴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 40은 예 37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장치의 움직임은 장치의 기울임 또는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 41은 예 40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장치의 움직임의 검출은 장치의 가속도계 또는 자이로스코프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예 42는 예 37-41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 구역을 포함한다.
예 43은 예 42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은 디스플레이의 고정 영역을 포함한다.
예 44는 예 42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 45는 예 44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수단은 장치의 배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부터의 상호작용 구역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 46은 예 45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다.
예 47은 예 45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되는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장치를 파지하면서 한 손으로 상호작용 구역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 48은 예 44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의 결정은 장치의 움직임 또는 회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예 49는 예 44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은 장치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현재 위치가 주어질 경우에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 50은 예 49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은 장치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 및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 51은 예 37-41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화식 요소이다.
예 52는 예 37-41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을 검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은 미리 정의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의 검출 시에만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53은 예 37-41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현재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현재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를 스크롤링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 54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기를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상의 현재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로 움직이게 하게 하여,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다.
예 55는 예 54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움직이게 하는 것은, 지시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움직이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OS)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사용을 위해 지시된 방향의 지시자를 OS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56은 예 55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들은 또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와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의 완료 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다른 위치로부터 현재 위치로 리턴시키게 한다.
예 57은 예 54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 또는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 58은 예 57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검출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속도계 또는 자이로스코프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예 59는 예 54-58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 구역을 포함한다.
예 60은 예 59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은 디스플레이의 고정 영역을 포함한다.
예 61은 예 59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엔진에 의해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예 62는 예 61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배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부터의 상호작용 구역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63은 예 62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다.
예 64는 예 62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되는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파지하면서 한 손으로 상호작용 구역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 65는 예 61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의 결정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또는 회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예 66은 예 61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의 결정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현재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예 67은 예 66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의 손들 중 하나 이상의 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 및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구역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68은 예 54-58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화식 요소이다.
예 69는 예 54-58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들은 또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미리 정의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을 검출하게 하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은 미리 정의된 스크롤 활성화 액션의 검출에 기초한다.
예 70은 예 54-58 중 어느 하나의 발명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움직이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현재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를 스크롤링하는 것이다.

Claims (17)

  1.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장치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을 이동하기 위한 요구를 표시하는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버튼의 누름들의 시퀀스를 검출하게 하고 -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단과 하단을 갖고, 상기 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과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단 사이에 위치함 -;
    상기 버튼의 누름들의 시퀀스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게 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에 더 가까이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통지 부분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버튼의 누름들의 시퀀스는 버튼을 두 번 누름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들의 행들의 이동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에 기초하지 않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또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위치로 리턴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상단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하드웨어 버튼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화식 요소(interactive element)들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장치.
  5.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를 갖는 하우징;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를 갖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단 모서리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 모서리 사이에 위치한 버튼;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을 이동하기 위한 요구를 표시하는 상기 버튼의 누름들의 시퀀스를 검출하고;
    상기 버튼의 누름들의 시퀀스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 모서리에 더 가까이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통지 부분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단 부근에 남아 있고, 상기 통지 부분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의 이동은 사용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버튼의 누름들의 시퀀스는 버튼을 두 번 누름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들의 행들의 이동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에 기초하지 않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위치로 리턴하게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하드웨어 버튼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화식 요소들을 나타내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을 스크롤링함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랩톱 하이브리드,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게이밍 디바이스 중 하나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1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을 이동하기 위한 요구를 표시하는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단과 하단을 갖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버튼의 누름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과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단 사이에 위치함 -;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에 더 가까이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통지 부분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단 부근에 남아 있고, 상기 통지 부분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의 이동은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과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버튼의 누름들의 시퀀스는 버튼을 두 번 누름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들의 행들의 이동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에 기초하지 않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을 상기 제1 위치로 리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하드웨어 버튼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상단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을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5.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장치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을 이동하기 위한 요구를 표시하는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단과 하단을 갖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 상에서 아래쪽으로의 사용자 스와이핑(swiping)을 포함함 -; 및
    상기 스와이핑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게 하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에 더 가까이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통지 부분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아이콘들의 행들의 이동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에 기초하지 않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장치.
  16.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를 갖는 하우징;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를 갖는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을 이동하기 위한 요구를 표시하는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 모서리 상에서 아래쪽으로의 사용자 스와이핑을 포함함 -;
    상기 스와이핑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게 하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 모서리에 더 가까이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통지 부분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아이콘들의 행들의 이동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에 기초하지 않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17.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을 이동하기 위한 요구를 표시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단과 하단을 갖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 상에서 아래쪽으로의 사용자 스와이핑을 포함함 -; 및
    상기 스와이핑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단에 더 가까이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통지 부분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의 행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아이콘들의 행들의 이동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기울임에 기초하지 않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KR1020197018647A 2014-03-24 2015-01-28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움직임을 통한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 KR201900776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23,832 US9477316B2 (en) 2014-03-24 2014-03-24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via movement of a portion of a user interface
US14/223,832 2014-03-24
PCT/US2015/013257 WO2015147980A1 (en) 2014-03-24 2015-01-28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via movement of a portion of a user interfa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399A Division KR20160110975A (ko) 2014-03-24 2015-01-28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움직임을 통한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631A true KR20190077631A (ko) 2019-07-03

Family

ID=541420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399A KR20160110975A (ko) 2014-03-24 2015-01-28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움직임을 통한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
KR1020197018647A KR20190077631A (ko) 2014-03-24 2015-01-28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움직임을 통한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399A KR20160110975A (ko) 2014-03-24 2015-01-28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움직임을 통한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9477316B2 (ko)
EP (3) EP3757731A1 (ko)
JP (3) JP2017508215A (ko)
KR (2) KR20160110975A (ko)
CN (1) CN106030497B (ko)
WO (1) WO20151479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767A1 (ko) * 2019-10-16 2021-04-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 입력에 따른 전자 장치의 키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6318S1 (en) 2014-03-07 2016-09-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477316B2 (en) 2014-03-24 2016-10-25 Intel Corporation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via movement of a portion of a user interface
US10437447B1 (en) * 2014-03-31 2019-10-08 Amazon Technologies, Inc. Magnet based physical model user interface control
US9606710B1 (en) 2014-03-31 2017-03-28 Amazon Technologies, Inc. Configuring movement-based user interface control
BR112016024806A2 (pt) * 2014-04-24 2018-06-19 Idis Tech Ip Ltd aplicativo de mensagem privada e métodos associados.
US9841292B2 (en) * 2014-08-12 2017-12-12 Google Inc. Screen transitions in a geographic application
CN115048007B (zh) * 2014-12-31 2024-05-07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调整界面操作图标分布范围的装置、方法及触摸屏设备
US10372212B2 (en) * 2015-05-29 2019-08-06 Google Llc Techniques for simulated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users via their mobile computing devices
US11721061B2 (en) * 2016-03-02 2023-08-08 Nutilt Imag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ollectible
JP6840571B2 (ja) * 2017-02-28 2021-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D910046S1 (en) 2017-09-29 2021-02-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7033S1 (en) 2017-11-07 2019-08-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9096182A (ja) * 2017-11-27 2019-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415651B (zh) * 2018-02-01 2021-03-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USD879132S1 (en) 2018-06-03 2020-03-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3319S1 (en) 2018-10-29 2020-05-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7860S1 (en) * 2019-01-04 2021-12-07 Beijing Kuaimajiabian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6112S1 (en) * 2019-07-23 2021-04-13 Koye Corp.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6113S1 (en) * 2019-07-23 2021-04-13 Koye Corp.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9890S1 (en) 2019-09-05 2022-04-26 Hoffmann-La Roche Inc.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9184S1 (en) 2020-06-17 2022-04-1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385770B1 (en) * 2021-04-21 2022-07-12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s for single-handed mobile devic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0391B1 (en) 2000-07-13 2004-02-10 Sony Corporation Modal display, smooth scroll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mote command device suitable for efficient navigation and selection of dynamic data/options presented within an audio/visual system
JP2003140798A (ja) 2001-11-02 2003-05-16 Casio Comput Co Ltd 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64375A (ja) * 2002-11-14 2004-06-1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JP4855654B2 (ja) * 2004-05-31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車載装置、車載装置の情報提供方法、車載装置の情報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車載装置の情報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1281443A (zh) 2008-05-13 2008-10-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页面切换的方法、系统及移动通信终端
KR101524616B1 (ko) * 2008-07-07 201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5172B1 (ko) * 2008-07-29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이미지 제어방법
CN101877736A (zh) 2009-04-30 2010-11-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移动终端用户界面自动调整系统及方法
CN201413507Y (zh) 2009-06-01 2010-02-24 北京汇冠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检测装置
US8457651B2 (en) * 2009-10-02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movement user interface gestures for file sharing functionality
US9696809B2 (en) * 2009-11-05 2017-07-04 Will John Temple Scrolling and zooming of a portable device display with device motion
KR20110055088A (ko) * 2009-11-19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2096491A (zh) 2009-12-14 2011-06-15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及电子装置
JP5526789B2 (ja) * 2010-01-08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062279B2 (ja) * 2010-03-29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機器および携帯情報機器
JP5166478B2 (ja) * 2010-04-09 2013-03-2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
JP5615604B2 (ja) 2010-06-30 2014-10-29 第一実業ビスウィル株式会社 チップled検査装置
KR101761612B1 (ko) 2010-07-16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KR101718026B1 (ko) * 2010-09-06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40439B1 (ko) 2010-12-23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779064B2 (ja) * 2011-09-28 2015-09-16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80968B1 (ko) 2011-10-27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휴대 기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체를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TWI571790B (zh) 2011-11-10 2017-02-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依感測信號更改圖示座標值的方法與電子裝置
JP5927872B2 (ja) * 2011-12-01 2016-06-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609210B (zh) * 2012-02-16 2014-09-10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功能图标的配置方法和移动终端
KR20130107777A (ko) 2012-03-23 2013-10-02 인포뱅크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ui 구성 방법
JP2013214164A (ja) 2012-03-30 2013-10-17 Fujitsu Ltd 携帯電子機器、スクロール処理方法及びスクロール処理プログラム
CN102681778A (zh) 2012-04-25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桌面图标进行批量管理的方法及数字移动设备
KR101680059B1 (ko) * 2012-05-02 201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806973B2 (ja) * 2012-05-08 2015-11-10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2013235355A (ja) * 2012-05-08 2013-11-21 Nec Saitama Ltd 表示装置、スクロール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722280B (zh) 2012-05-21 2016-03-23 北京智谷技术服务有限公司 控制屏幕移动的方法、装置和终端
CN109144388A (zh) * 2012-06-28 2019-01-04 汉阳大学校产学协力团 用户界面调节方法
KR20140002448A (ko) 2012-06-28 2014-01-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잠금 해제 유아이 조절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JP2014013507A (ja) * 2012-07-04 2014-01-23 Panasonic Corp ポータブル機器、表示画面操作方法、プログラム
US9747003B2 (en) * 2012-08-01 2017-08-29 Blackberry Limited Multiple-stage interface control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103838456B (zh) * 2012-11-21 2017-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桌面图标显示位置的控制方法及系统
CN103034450A (zh) * 2012-12-18 2013-04-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新的滑屏切换图标的方法和装置
CN103353827A (zh) * 2013-04-16 2013-10-16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US9477393B2 (en) * 2013-06-09 2016-10-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KR102138505B1 (ko) * 2013-07-10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440082A (zh) * 2013-07-29 2013-12-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操作的方法及其移动终端
US9477316B2 (en) 2014-03-24 2016-10-25 Intel Corporation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via movement of a portion of a user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767A1 (ko) * 2019-10-16 2021-04-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 입력에 따른 전자 장치의 키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63565B2 (ja) 2023-04-24
JP2017508215A (ja) 2017-03-23
US20230034144A1 (en) 2023-02-02
JP2019220217A (ja) 2019-12-26
US11392209B2 (en) 2022-07-19
EP3123294A1 (en) 2017-02-01
JP7130611B2 (ja) 2022-09-05
CN106030497B (zh) 2022-03-29
EP3123294A4 (en) 2017-11-22
US20180196525A1 (en) 2018-07-12
CN106030497A (zh) 2016-10-12
WO2015147980A1 (en) 2015-10-01
EP3757731A1 (en) 2020-12-30
US9740299B2 (en) 2017-08-22
KR20160110975A (ko) 2016-09-23
US20150268733A1 (en) 2015-09-24
US9477316B2 (en) 2016-10-25
EP4044005A1 (en) 2022-08-17
US11921933B2 (en) 2024-03-05
US20160124515A1 (en) 2016-05-05
JP2022046720A (ja)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3565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の一部の移動を介する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とのインタラクション
US10387016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EP3436912B1 (en) Multifunction device control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US9110584B2 (en) Controlling a cursor on a touch screen
US9891782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11150798B2 (en) Multifunction device control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JP6308214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130227464A1 (en) Screen change method of 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374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956334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004105B2 (ja) 入力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US20220035521A1 (en) Multifunction device control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KR101899916B1 (ko) 디스플레이될 정보 엘리먼트의 에지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68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630

Effective date: 2021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