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110A - 퍼걸러용 기둥 - Google Patents

퍼걸러용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110A
KR20190076110A KR1020170177648A KR20170177648A KR20190076110A KR 20190076110 A KR20190076110 A KR 20190076110A KR 1020170177648 A KR1020170177648 A KR 1020170177648A KR 20170177648 A KR20170177648 A KR 20170177648A KR 20190076110 A KR20190076110 A KR 20190076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s
supporting
fixing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의
Original Assignee
(주)다은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은네이처 filed Critical (주)다은네이처
Priority to KR102017017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6110A/ko
Publication of KR2019007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프레임과 상응하는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다수의 마감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각 면과 상기 각 마감부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응하는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된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두 마감부재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모서리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과 이에 마주하게 배치된 상기 마감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모서리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와, 인접한 고정부재의 지지부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퍼걸러용 기둥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걸러용 기둥은 각 고정부재의 지지부가 이와 인접하게 배치된 고정부재의 모서리부에 결합됨에 따라 각 고정부재가 프레임을 감싸도록 상호 연결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견고한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퍼걸러용 기둥{pillar for Pergola}
본 발명은 퍼걸러용 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하고 견고한 퍼걸러용 기둥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안전과 환경에 대한 인식이 고조됨에 따라 도심의 주거환경이 새롭게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심의 주거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디자인 정책들은 안전과 환경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심지에서 공공 휴게시설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비, 눈, 햇빛 등을 피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이러한 휴게시설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기둥일 것이다. 기둥은 휴게시설의 무게를 지탱해야 함으로써 기둥의 안전성은 무엇보다 우선 시 되어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기둥은 퍼걸러, 정자, 버스정류장, 벤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시설물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설물의 기둥으로써 목재로된 기둥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목재만으로 이루어진 기둥은 빗물이나 눈에 노출되면서 수분에 의해 수축과 팽창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갈라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목재로된 기둥은 형상과 크기가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349호에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이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6219호에 파고라용 기둥조립체가 게시되어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349호의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문헌 2] 등록특허공보 10-1646219호의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견고한 퍼걸러용 기둥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퍼걸러용 기둥은,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프레임과 상응하는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다수의 마감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각 면과 상기 각 마감부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응하는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된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두 마감부재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모서리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과 이에 마주하게 배치된 상기 마감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모서리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와, 인접한 고정부재의 지지부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는 두께가 확장되는 구조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프레임을 향한 측면에는 프레임과 접하게 되는 내측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를 향한 측면에는 마감부재와 접하게 되는 외측돌기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지나 마감부재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각 마감부재와 상기 각 고정부재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 마감부재와 상기 각 고정부재를 받치는 받침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받침부재는 중앙에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부재를 받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둘레를 따라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 마감부재와 상기 각 고정부재의 하단부를 감싸는 테두리부와, 상기 하판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 마감부재를 하판의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다수의 받침돌기와, 상기 하판에 상하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접하도록 상기 하판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퍼걸러용 기둥은 각 고정부재의 지지부가 이와 인접하게 배치된 고정부재의 모서리부에 결합됨에 따라 각 고정부재가 프레임을 감싸도록 상호 연결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견고한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걸러용 기둥은 받침부재에 형성된 받침돌기에 의해 각 마감부재가 받침부재의 하판에서 이격되고, 이때 상기 하판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에 의해 각 마감부재의 하측으로 흘러나온 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걸러용 기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걸러용 기둥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감부재 및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감부재 및 고정부재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걸러용 기둥에서 받침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둥은 주로 퍼걸러용으로 사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정자, 누각, 캐노피 등 휴게시설물의 기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걸러용 기둥은 프레임(100), 마감부재(200), 고정부재(300) 및 받침부재(4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기둥의 중심이 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은 기둥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둥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프레임(100)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외에도 기둥 및 프레임(100)은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마감부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외주면 형상에 상응하도록 다수가 구비되며, 프레임(100)의 외측에 프레임(100)과 상응하는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마감부재(200)는 네 개가 구비되어 사각형상의 프레임(100)의 각 면에 각각 마주하도록 배열된다. 마감부재(200)는 기둥에 자연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합성수지,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20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0)의 외주면 형상에 상응하도록 다수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고정부재(300)는 프레임(100)의 각 면과 각 마감부재(20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부재(300)는 네 개가 구비되어 사각형상의 프레임(100)의 각 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는 모서리부(310)와, 상기 모서리부(3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320)와, 인접한 고정부재(300)의 지지부(320)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부(310)에 형성된 결합홈(330)과, 상기 지지부(320)에서 프레임(100)을 향한 측면에 돌출 형성된 내측돌기부(340)와, 상기 지지부(320)에서 마감부재(200)를 향한 측면에 돌출 형성된 외측돌기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재(3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인발 또는 압출 성형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되, 상기 모서리부(310), 지지부(320), 결합홈(330), 내측돌기부(340) 및 외측돌기부(350)가 상호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제작된다.
모서리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두 마감부재(200) 사이의 공간을 메우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마감부재(200)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이에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두 마감부재(200)는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모서리부(310)는 상호 직교하게 배치된 두 마감부재(200)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 있도록 중심각이 직각으로 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320)는 프레임(100)의 일측면과 이에 마주하게 배치된 마감부재(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부(320)는 프레임(100)의 일측면 및 마감부재(200)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프레임(100)의 일측면 및 마감부재(200)를 지나 돌출된 지지부(320)의 단부는 이와 인접하게 배치된 고정부재(300)의 모서리부(310)에 형성된 결합홈(330)에 삽입 고정된다.
결합홈(330)은 모서리부(310)에서 지지부(32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요입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고정부재(300)는 인접한 두 고정부재(300)가 상호 직교하게 배치도록 연쇄적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프레임(100)과 상응하는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두 고정부재(300)가 지지부(320) 및 결합홈(33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20)의 단부에는 두께가 확장되는 구조의 걸림부(321)가 형성되고, 결합홈(330)은 상기 걸림부(321)가 삽입되는 걸림홈(3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두 고정부재(300)의 결합 시 일측 고정부재(300)에 형성된 걸림부(321)가 타측 고정부재(300)에 형성된 걸림홈(331)으로 진입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각 고정부재(30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321)는 결합홈(330)을 지나도록 압입하거나, 걸림홈(331)의 상측에서부터 진입하도록 삽입함으로써 걸림홈(331)에 고정될 수 있다.
내측돌기부(340)는 이의 단부가 프레임(100)과 접하게 됨으로써 프레임(100)과 지지부(320)의 사이에 배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한다.
외측돌기부(350)는 이의 단부가 마감부재(200)와 접하게 됨으로써 마감부재(200)과 지지부(320)의 사이에 배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한다.
내측돌기부(340)와 외측돌기부(350)는 각각 지지부(3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둘 이상이 상호 이격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의 지지부(320)에는 마감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20)에는 나사(50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322)이 형성된다. 결국, 마감부재(200)는 상기 관통공(322)을 지나 마감부재(200)에 체결되는 나사(500)에 의해 지지부(32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각 고정부재(300)의 지지부(300)에 각 마감부재(200)를 고정시키고, 각 고정부재(300)의 걸림부(321)가 이와 인접한 각 고정부재(300)의 걸림홈(331)에 삽입되도록 각 고정부재(300)를 연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각 고정부재(300)를 프레임(100)을 감싸도록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하면 각 고정부재(300)가 프레임(100)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써 기둥이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갖게 된다.
받침부재(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각 마감부재(200)와 각 고정부재(300)를 받친다.
받침부재(400)가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그 하단부가 각 마감부재(200)와 각 고정부재(300)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받침부재(400)는 돌출된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400)는 하판(410), 테두리부(420), 받침돌기(430), 배수공(440) 및 결합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판(410)은 사각형상의 판 구조로 이루어져 각 고정부재(300)를 받친다. 하판(410)의 중앙에는 프레임(10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411)이 관통 형성된다.
테두리부(420)는 하판(410)의 둘레를 따라 상방 돌출 형성되어 각 마감부재(200)와 각 고정부재(300)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한다.
받침돌기(430)는 각 마감부재(200)의 하면과 마주하도록 하판(410)의 상면에 다수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받침돌기(430)는 각 마감부재(200)를 받치어 각 마감부재(200)가 하판(410)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한다.
배수공(440)은 하판(410)에 상하 관통되도록 다수가 형성된다.
결합부(450)는 프레임(100)과 접하도록 하판(41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다. 결합부(450)에는 프레임(100)을 향해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다. 받침부재(400)는 상기 결합부(450)에 형성된 구멍을 지나 프레임(100)에 체결되는 나사, 볼트, 리벳 등의 결합부재(600)에 의해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결합부(450)는 프레임(100)의 각 면 중 둘 이상의 면과 각각 접하도록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받침부재(400)는 프레임(10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각 마감부재(200)와 각 고정부재(30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받침부재(400)에 의하면, 프레임(100)과 각 고정부재(300)의 사이, 그리고 각 고정부재(300)와 각 마감부재(200)의 사이로 유입된 후 각 마감부재(200)의 하측으로 흘러나온 물이 배수공(440)을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퍼걸러용 기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레임 200 : 마감부재
300 : 고정부재 310 : 모서리부
320 : 지지부 321 : 걸림부
322 : 관통공 330 : 결합홈
331 : 걸림홈 340 : 내측돌기부
350 : 외측돌기부 400 : 받침부재
410 : 하판 411 : 삽입공
420 : 테두리부 430 : 받침돌기
440 : 배수공 450 : 결합부
500 : 나사 600 : 결합부재

Claims (6)

  1.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에 프레임(100)과 상응하는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다수의 마감부재(2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각 면과 상기 각 마감부재(20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0)과 상응하는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된 다수의 고정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두 마감부재(200)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모서리부(31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면과 이에 마주하게 배치된 상기 마감부재(2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모서리부(3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320); 및
    인접한 고정부재(300)의 지지부(320)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부(310)에 형성된 결합홈(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걸러용 기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20)의 단부에는 두께가 확장되는 구조의 걸림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30)은 상기 걸림부(321)가 삽입되는 걸림홈(3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걸러용 기둥.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20)에서 상기 프레임(100)을 향한 측면에는 프레임(100)과 접하게 되는 내측돌기부(34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200)를 향한 측면에는 마감부재(200)와 접하게 되는 외측돌기부(35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걸러용 기둥.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20)에는 관통공(322)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200)는 상기 관통공(322)을 지나 마감부재(200)에 체결되는 나사(500)에 의해 상기 지지부(32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걸러용 기둥.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부는 상기 각 마감부재(200)와 상기 각 고정부재(300)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 마감부재(200)와 상기 각 고정부재(300)를 받치는 받침부재(400)가 결합되되,
    상기 받침부재(400)는
    중앙에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4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부재(300)를 받치는 하판(410);
    상기 하판(410)의 둘레를 따라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 마감부재(200)와 상기 각 고정부재(300)의 하단부를 감싸는 테두리부(420);
    상기 하판(4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 마감부재(200)를 하판(410)의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다수의 받침돌기(430); 및
    상기 하판(410)에 상하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걸러용 기둥.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400)는 상기 프레임(100)과 접하도록 상기 하판(41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4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재(400)는 상기 결합부(450)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100)에 체결되는 결합부재(60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걸러용 기둥.
KR1020170177648A 2017-12-22 2017-12-22 퍼걸러용 기둥 KR20190076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648A KR20190076110A (ko) 2017-12-22 2017-12-22 퍼걸러용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648A KR20190076110A (ko) 2017-12-22 2017-12-22 퍼걸러용 기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110A true KR20190076110A (ko) 2019-07-02

Family

ID=6725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648A KR20190076110A (ko) 2017-12-22 2017-12-22 퍼걸러용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61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919B1 (ko) * 2019-07-22 2020-03-30 주식회사 나린에코 데크용 지주
KR102296389B1 (ko) * 2021-05-04 2021-09-02 우리산업 주식회사 건조성과 내수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목재데크난간시스템
KR20220144158A (ko)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이지데코 퍼걸러용 기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49Y1 (ko) 2011-01-12 2011-06-29 (주)우리조경건설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KR101646219B1 (ko) 2015-08-28 2016-08-05 주식회사 산수화조경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49Y1 (ko) 2011-01-12 2011-06-29 (주)우리조경건설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KR101646219B1 (ko) 2015-08-28 2016-08-05 주식회사 산수화조경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919B1 (ko) * 2019-07-22 2020-03-30 주식회사 나린에코 데크용 지주
KR20220144158A (ko)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이지데코 퍼걸러용 기둥
KR102296389B1 (ko) * 2021-05-04 2021-09-02 우리산업 주식회사 건조성과 내수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목재데크난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25362A (en) Sectional above ground swimming pool construction
KR20190076110A (ko) 퍼걸러용 기둥
CN107548425B (zh) 遮蔽罩装置
KR101913542B1 (ko) 절첩식 육각 천막
KR101533294B1 (ko)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KR102207434B1 (ko) 조립성이 향상되고 차별화된 퍼걸러기둥 조립체
JP3406472B2 (ja) フェンス
KR101144052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KR200392968Y1 (ko) 파고라 기둥의 장식용 보강목의 설치구조
KR102170277B1 (ko)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
KR200449569Y1 (ko) 파티션 연결용 커넥터
CN210049647U (zh) 装配式休息亭
KR101930494B1 (ko) 캐노피 조립체
KR200461786Y1 (ko) 차양구조를 구비한 야외용 테이블
KR102594889B1 (ko)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KR102635581B1 (ko) 모형 건축물 전시대
KR20210001580U (ko) 파고라
KR200322909Y1 (ko)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KR102097359B1 (ko) 조립식 평상 구조물 및 이 평상 구조물이 구성된 조립식 가제보
KR20190075438A (ko)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200437731Y1 (ko)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구
KR101905093B1 (ko) 이층침대
KR20200114734A (ko) 야외 테이블용 조립식 차양 프레임
KR200437733Y1 (ko)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