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909Y1 -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909Y1
KR200322909Y1 KR20-2003-0016495U KR20030016495U KR200322909Y1 KR 200322909 Y1 KR200322909 Y1 KR 200322909Y1 KR 20030016495 U KR20030016495 U KR 20030016495U KR 200322909 Y1 KR200322909 Y1 KR 200322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corner
tent
small house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김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김승호 filed Critical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3-0016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9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두막이나 방갈로와 같은 옥외용 소주택(小住宅)의 지지기둥 및 각종 프레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지지기둥 상부 선단에 결합되는 다각의 코너연결구에 의해 지지기둥의 연결 및 천막의 중앙 및 코너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다양한 각형으로 된 코너연결구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의 소주택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목적에 따라 주변과의 조화로운 조경이 가능하며,
소주택의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신속해지면서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해체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위치의 이동 또는 분해가 가능한 것이며, 분해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의 활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는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Frame-connecting structure of polygonal cubic small house}
본 고안은 원두막이나 방갈로와 같은 옥외용 소주택(小住宅)의 지지기둥 및 각종 프레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각의 코너연결구로부터 결합 분기되는 각각의 고정바 또는 크로스바에 의해 매우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소주택의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그 조립 및 해체가 매우 간편하여 신속하게 설치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다각의 코너연결구에 의해 사각은 물론 오각, 육각 등 평면도시상 다각의 입체 형상을 갖는 소주택을 완성할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조에 대한 것이다.
옥외의 캠핑장과 같은 곳에는 조립식 시설물인 원두막이나 방갈로 등을 다수 설치하여 이에 의해 야영이나 취사 등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 또는 텐트 등은 가족단위의 캠핑객을 수용하거나, 일단의 무리를 수용하는데 있어 매우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타인의 간섭없이 자유로운 캠핑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식 소주택 또는 원두막은 대부분 다수의 지지기둥을 수직으로 입설하고, 수직으로 입설된 지지기둥의 내측에는 바닥부를 형성하며, 그 바닥부의 상측 즉, 지지기둥의 선단부에는 지붕을 얹어 소규모의 가옥형태를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원두막 또는 방갈로와 같은 소주택은, 조립식 소주택이 아니라 해체가 불가능한 시공물로 지어지므로, 소주택의 시공시간도 상당기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체가 거의 불가능하여 필요에 의해 소주택을 헤체하거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이를 모두 분해하여 폐기처분하거나 일부자재만을 재사용하게 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일부 조립식 소주택이 제안되어 있긴 하나, 대부분 간이 시설물에 불과하여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지지기둥 상부 선단에 결합되는 다각의 코너연결구에 의해 지지기둥의 연결 및 천막의 중앙 및 코너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다양한 각형으로 된 코너연결구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의 소주택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목적에 따라 주변과의 조화로운 조경이 가능하며,
소주택의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신속해지면서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해체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위치의 이동 또는 분해가 가능한 것이며, 분해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의 활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는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주택의 프레임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소주택에 천막이 씌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천막 중앙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소주택의 프레임 코너 연결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소주택의 지지기둥 하부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소주택의 천막 코너부 연결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지지기둥 2 : 천막
3 : 플랜지 4,4' : 크로스바
5,5' : 중앙고정바 6,6' : 코너고정바
8 : 고정판
10 : 코너연결구 11 : 몸체
12 : 연결플랜지 13,13' : 고정구
20 : 바닥부 21,21' : 고정원반
22 : 돌출관 23 : 스페이서
24 : 걸림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주택의 프레임만을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프레임 상부에 천막을 고정한 상태의 전체사시도이다.
수직 입설된 다수의 지지기둥(1)(1') 상부에 천막(2)이 전개 고정되고, 그 지지기둥(1)(1')의 내측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바닥부(20)가 형성된 공지의 소주택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1)(1')의 선단에는 플랜지(3)를 각각 형성하여 이에 코너연결구(10)를 결합하되,
상기 코너연결구(10)는 수직의 다각면을 갖는 몸체(11)와 그 몸체(11) 하부의 연결플랜지(12) 및 상기 몸체(11)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13)(13')로 이루어져, 각각의 지지기둥(1)(1')에 결합된 코너연결구(10)의 고정구(13)(13')에 의해,
지지기둥(1)(1')의 선단을 횡상으로 연결하는 크로스바(4)(4')와, 지지기둥(1)(1')의 내측 중앙을 향해 삽입되는 중앙고정바(5)(5') 및지지기둥(1)(1')의 외측을 향해 삽입되는 코너고정바(6)(6')를 각각 삽입 고정하고, 상기 지지기둥(1)(1')의 상측에는 천막(2)을 전개 결합하되,
상기 천막(2)의 중앙부는 전기한 중앙고정바(5)(5')의 단부가 고정된 고정판(8)의 상부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천막(2)의 모서리부는 전기한 코너고정바(6)(6')의 단부에 결합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천막(2) 중앙부의 내,외측에는 고정원반(21)(21')을 상호 결합하되, 하부 고정원반(21')에는 돌출관(22)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관(22)과 삽입되고 그 하단에는 중앙고정바(5)(5')의 고정판(8)이 결합되는 별도의 스페이서(23)를 형성하여, 상기 천막(2)의 중앙부가 하부 고정판(8)으로부터 상향 이격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수직입설된 4개의 지지기둥(1)(1') 선단에 4개의 수직면을 갖는 몸체(11)로 된 코너연결부(10)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평면도시상 4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게 하거나,
수직입설된 5개의 지지기둥(1)(1') 선단에 5개의 수직면을 갖는 몸체(11)로 된 코너연결부(10)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평면도시상 5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게 하거나,
수직입설된 6개의 지지기둥(1)(1') 선단에 6개의 수직면을 갖는 몸체(11)로 된 코너연결부(10)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평면도시상 6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게 하거나,
수직입설된 8개의 지지기둥(1)(1') 선단에 8개의 수직면을 갖는 몸체(11)로된 코너연결부(10)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평면도시상 8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게, 상기 코너연결구(10) 몸체의 다양한 다각 디자인 및 지지기둥(1)(1')의 설치 개수에 따라 전체적인 소주택의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지지기둥(1)(1')의 내측 일정높이에는 원반상의 걸림판(24)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바닥부(20)가 용이하게 안치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은 코너마감판, 31은 장력조절축, 32는 와이어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는, 수직 입설된 다수의 지지기둥(1)(1')에 의해 전체적인 소주택의 틀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기둥(1)(1')의 선단에는 별도의 코너연결구(10)를 연결플랜지(12)에 의해 지지기둥(1)(1')의 플랜지(3)와 서로 결합하여,
상기 코너연결구(10)의 고정구(13)(13')에는, 이웃하는 각각의 지지기둥(1)(1')을 서로 연결하는 크로스바(4)(4')와, 상향 경사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가 별도의 고정판(8)에 결합되는 다수의 중앙고정바(5)(5')를 결합하며, 지지기둥(1)(1')의 외측으로 돌출 삽입되는 코너고정바(6)(6')가 각각 상기한 코너연결구(10)의 고정구(13)(13')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지지기둥(1)(1')의 하측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판(24)을 지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 형성함으로서, 다각틀체상의 바닥부(20)가 안치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각 프레임의 상부에 천막(2)을 전개 고정하면 다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천막(2)의 중앙부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스페이서(23)에 의해 상기 중앙고정바(5)(5')의 단부가 고정된 고정판(8)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있는 것인데, 이러한 상향 이격 고정은 천막(2)의 미려한 전개를 가능케 하면서도 장력 조절시 어느정도의 유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천막(2)의 중앙 상하면에 각각 고정원반(21)(21')을 밀착하여 고정하고, 하부 고정원반(21')에는 하향 돌출관(22)을 형성하여, 별도의 관체상 스페이서(23)를 상기 돌출관(22)과 고정판(8)의 선단에 위치시킨 후 이를 고정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코너연결구(1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소주택의 전체각형에 알맞은 수의 수직평면을 갖는 몸체(11)에 다수의 고정구(13)(13')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각각의 고정구(13)(13')에 크로스바(4)(4') 또는 중앙고정바(5)(5'), 코너고정바(6)(6')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플랜지(12)는 지지기둥(1)(1')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3)와 일치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고정볼트 및 너트(도면에는 미도시함)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지지기둥(1)(1')의 설치개수 및 코너연결구(10)의 몸체 다각면수에 따라 사각 또는 오각, 육각의 소주택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인데,
가령, 지지기둥(1)(1')을 사방으로 4개 입설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너연결구(10) 역시 사각의 몸체(11)로 형성한 다음, 양측 크로스바(4)(4') 및 중앙고정바(5)(5'), 코너고정바(6)(6')를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구(13)(13')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사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게 하거나,
상기 지지기둥(1)(1')을 일정각으로 5개 또는 6개 입설하고, 이에 따라 상기 코너연결구(10)의 몸체(11) 또는 다각으로 형성함으로서, 평면도시상 사각은 물론 5각, 6각, 8각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수직 입설된 지지기둥(1)(1')의 내측에 형성된 바닥부(20)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판(24)을 도시한 것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바닥부(20)를 지지기둥(1)(1')에 직접 고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걸림판(24)의 상측에 거치되게만 하여도 각각의 지지기둥(1)(1')에 형성된 걸림판(24)에 의해 상기 바닥부(20)의 안전한 거치가 가능한 것이며, 상기 바닥부(20)는 중량체이므로 위치가 변동되거나 하부로 이탈되는 등의 우려는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천막(2)은 지지기둥(1)(1')의 설치개수 및 코너연결구(10)의 몸체(11)를 이루고 있는 다각형상에 따라 다수의 모서리를 갖게 되는데, 상기한 천막(2)의 모서리를 각각 코너고정바(6)(6')에 연결하여 이에 의해 그 천막(2)의 장력 조절이 가능케 하는 것인데,
상기한 천막(2)의 모서리 단부에는 상하 면접된 코너마감판(30)이 결합되어 있고, 그 코너마감판(30)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장력조절축(31)이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장력조절축(31)을 코너고정바(6)(6')의 단부에 결합하여 그장력조절축(31)의 출몰상태에 따라 천막(2)의 장력이 조절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천막(2)의 테두리에는 별도의 와이어(32)를 봉입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와이어(32)를 잡아당겨 팽팽하게 긴장되게 하면 천막(2) 역시 긴장되므로 미관상 매우 미려한 전개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며, 바람에 의해서도 펄럭임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프레임 연결구조를 갖는 소주택은 조립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고 미려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는, 다양한 각형으로 된 코너연결구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의 소주택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목적 또는 주변과의 조화로운 조경이 가능하며,
소주택의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신속해지면서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해체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위치의 이동 또는 분해가 가능한 것이며, 분해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의 활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수직 입설된 다수의 지지기둥(1)(1') 상부에 천막(2)이 전개 고정되고, 그 지지기둥(1)(1')의 내측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바닥부(20)가 형성된 공지의 소주택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1)(1')의 선단에는 플랜지(3)를 각각 형성하여 이에 코너연결구(10)를 결합하되, 상기 코너연결구(10)는 수직의 다각면을 갖는 몸체(11)와 그 몸체(11) 하부의 연결플랜지(12) 및 상기 몸체(11)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13)(13')로 이루어져,
    각각의 지지기둥(1)(1')에 결합된 코너연결구(10)의 고정구(13)(13')에 의해, 지지기둥(1)(1')의 선단을 횡상으로 연결하는 크로스바(4)(4')와, 지지기둥(1)(1')의 내측 중앙을 향해 삽입되는 중앙고정바(5)(5') 및 지지기둥(1)(1')의 외측을 향해 삽입되는 코너고정바(6)(6')를 각각 삽입 고정하고,
    상기 지지기둥(1)(1')의 상측에는 천막(2)을 전개 결합하되, 상기 천막(2)의 중앙부는 전기한 중앙고정바(5)(5')의 단부가 고정된 고정판(8)의 상부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천막(2)의 모서리부는 전기한 코너고정바(6)(6')의 단부에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천막(2) 중앙부의 내,외측에는 고정원반(21)(21')을 상호 결합하되, 하부 고정원반(21')에는 돌출관(22)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관(22)과 삽입되고 그 하단에는 중앙고정바(5)(5')의 고정판(8)이 결합되는 별도의 스페이서(23)를 형성하여, 상기 천막(2)의 중앙부가 하부 고정판(8)으로부터 상향 이격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코너연결구(10)의 몸체(11)를 4개의 수직면을 갖는 4각함체로 형성하여, 이에 의해 평면도시상 4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수직입설된 4개의 지지기둥(1)(1') 선단에 4개의 수직면을 갖는 몸체(11)로 된 코너연결부(10)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평면도시상 4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수직입설된 5개의 지지기둥(1)(1') 선단에 5개의 수직면을 갖는 몸체(11)로 된 코너연결부(10)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평면도시상 5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수직입설된 6개의 지지기둥(1)(1') 선단에 6개의 수직면을 갖는 몸체(11)로 된 코너연결부(10)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평면도시상 6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수직입설된 8개의 지지기둥(1)(1') 선단에 8개의 수직면을 갖는 몸체(11)로 된 코너연결부(10)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평면도시상 8각 입체상의 소주택이 완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KR20-2003-0016495U 2003-05-27 2003-05-27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KR200322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95U KR200322909Y1 (ko) 2003-05-27 2003-05-27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95U KR200322909Y1 (ko) 2003-05-27 2003-05-27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909Y1 true KR200322909Y1 (ko) 2003-08-14

Family

ID=4941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495U KR200322909Y1 (ko) 2003-05-27 2003-05-27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9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64B1 (ko) 2013-02-08 2013-06-03 진도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정자
KR20210065550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구들택 기둥을 이용한 행거식 레저용 조립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64B1 (ko) 2013-02-08 2013-06-03 진도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정자
KR20210065550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구들택 기둥을 이용한 행거식 레저용 조립 구조물
KR102424686B1 (ko) 2019-11-27 2022-07-25 주식회사 구들택 기둥을 이용한 행거식 레저용 조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07589A1 (en) Flower box
KR101270564B1 (ko) 조립식 정자
KR102252869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KR20190007613A (ko) 조립식 캣타워 지주의 연결구조
CA2556539A1 (en) Gazebos with integrated additional features
KR200322909Y1 (ko)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KR100823887B1 (ko) 원두막 프레임 연결 구조
KR20190076110A (ko) 퍼걸러용 기둥
KR20120004012U (ko) 평상 겸 텐트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KR200437731Y1 (ko)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구
KR100893107B1 (ko) 옥외용 천막 구조물
KR200437733Y1 (ko)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KR200437732Y1 (ko)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구
KR200432757Y1 (ko) 조립식 평상
JP2001026979A (ja) テラス用デッキ
KR200239552Y1 (ko) 시설물 고정기둥
JPH0956555A (ja) 組立式プランターカバー
KR200390342Y1 (ko) 원추형 막구조를 갖는 야외용 조경물
KR20190122597A (ko) 조립식 선반
CN202220475U (zh) 一种简易六边形撑杆式儿童帐篷
KR100473723B1 (ko) 다각 입체형상의 고정형 파라솔
KR20190075438A (ko)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102443332B1 (ko) 조립식 평상 및 이를 이용한 원두막
US20230184000A1 (en) Variable temporar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