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733Y1 -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 Google Patents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733Y1
KR200437733Y1 KR2020070000853U KR20070000853U KR200437733Y1 KR 200437733 Y1 KR200437733 Y1 KR 200437733Y1 KR 2020070000853 U KR2020070000853 U KR 2020070000853U KR 20070000853 U KR20070000853 U KR 20070000853U KR 200437733 Y1 KR200437733 Y1 KR 200437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
frame
center
prese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춘기
Original Assignee
백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춘기 filed Critical 백춘기
Priority to KR2020070000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7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7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 E04B1/58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with separate connection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24Stru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1945Wooden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44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76Connector n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7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using exterior clamping plates or sh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목 공장으로부터 규격화되어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된 원통형의 통나무를 이용하여 팔각정 형태의 원두막 프레임의 지붕 또는 바닥부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은, 원판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홀과, 상기 몸체의 외주연 상면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오목 형상의 안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목 형상의 안치대는 내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 형상의 안치대는 내측으로 수평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통나무, 중앙 연결판, 원두막, 팔각정, 천장, 바닥

Description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CONNECTING PLATE FOR LOG FRAM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의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모서리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및 제 1 모서리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모서리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및 제 2 모서리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주 특징인 통나무 프레임용 중앙 고정판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원두막 프레임의 천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4a의 통나무 프레임용 중앙 고정판, 즉 천장 중앙 고정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주 특징인 통나무 프레임용 바닥 중앙 고정판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원두막 프레임의 바닥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 5a의 통나무 프레임용 바닥 중앙 고정판, 즉 바닥 중앙 고정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원두막 프레임
10: 통나무 지지 기둥 11: 중앙 하부 통나무 지지 기둥
12: 중앙 상부 통나무 지지 기둥 13: 연결구
14: 횡단 가로 고정대 20: 제 1 가로 고정대
30: 상향 중앙 고정대 31: 코너 고정대
40: 제 1 모서리 연결구 41: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돌기
42: 제 1 가로 고정대 안착부 43: 상향 중앙 고정대 안착부
44: 코너 고정대 안착부 45: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홈
50: 본 고안의 주특징인 원반 형태의 천장 중앙 고정판
51: 중앙 홀
52: 경사진 오목 형상의 안치대 60:제 2 가로 고정대
70: 수평 중앙 고정대
80: 제 2 모서리 연결구
81: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부 82: 제 2 가로 고정대 안착부
83: 수평 중앙 고정대 안착부 84: 수직 연장부
85: 수평 연장부 87: 통나무 지지 기둥 관통홀
94: 지지각
100: 본 고안의 주특징인 바닥 중앙 고정판
101:중앙 홀 102: 수평 오목 형상의 안치대
본 고안은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 공장으로부터 규격화되어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된 원통형의 통나무를 이용하여 팔각정 형태의 원두막 프레임의 지붕 또는 바닥부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에 관한 것이다.
옥외의 캠핑장과 같은 곳에는 조립식 시설물인 원두막이나 방갈로 등을 다수 설치하여 이에 의해 야영이나 취사 등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옥외용 조립식 원두막(소주택) 또는 텐트 등은 가족단위의 캠핑객을 수용하거나, 일단의 무리를 수용하는데 있어 매우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타인의 간섭없이 자유로운 캠핑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식 소주택 또는 원두막은 대부분 다수의 지지기둥을 수직으로 입설하고, 수직으로 입설된 지지기둥의 내측에는 바닥부를 형성하며, 그 바닥부의 상측 즉, 지지기둥의 선단부에는 지붕을 얹어 소규모의 가옥형태를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설치식 시설물 이외에도 즉석에서 신속하게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는 텐트 역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조립식 소주택 또는 텐트의 상단 지붕으로 사용되는 천막은 각 테두리부를 지지기둥의 측면 크로스바에 고정한 상태에서 내측 중앙부 별도의 장력조절구를 이용하여 장력조절구의 길이변화에 따라 천막 자체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서, 천막이 처지거나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여 바람에 의해 펄럭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소주택 또는 텐트와 같은 경우에는 그 구성자체가 견고하지 못해 강한 바람이나 비 등에 의해 침수 또는 해체의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붕으로서 경량의 천막 정도밖에 거칠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원두막 또는 텐트의 경우, 원목 공장으로부터 규격화되어 제조된 원통형의 통나무를 사용하여 한국 전통양식의 팔각정 형태의 지붕 또는 바닥을 설치하도록 하는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은 전혀 제안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목 공장으로부터 규격화되어 제조된 원통형의 통나무를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이들을 한국 전통양식의 팔각정 형태의 지붕이나 바닥부로 설치하기 위한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견고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은, 원판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홀과, 상기 몸체의 외주연 상면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오목 형상의 안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목 형상의 안치대는 내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 형상의 안치대는 내측으로 수평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1)은 원목 공장으로부터 규격화되어 제조된 원통형의 통나무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모서리 연결구나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등에 의해 한국 전통양식의 팔각 디자인의 소주택(원두막)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1)의 상부는 기와 등을 설치하여 지붕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1)은, 수직 입설되는 8개의 대략 원통형태의 통나무 지지 기둥(10)과, 상기 각 통나무 지지 기둥 상단을 연결하는 8개의 횡방향의 제 1 가로 고정대(20)와, 상기 각 통나무 지지 기둥 상단의 내측 중앙으로 상향 경사져 집중되는 8개의 상향 중앙 고정대(30)와, 상기 각 횡방향의 제 1 가로 고정대(20)와 상기 각 통나무 지지 기둥 상단을 횡상으로 연결하고 상기 각 상향 중앙 고정대(30)를 상기 각 통나무 지지 기둥 상단의 상기 내측에 연결하기 위한 8개의 제 1 모서리 연결구(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8개의 제 1 모서리 연결구(40)에 의해 8개의 통나무 지지 기둥의 상단, 8개의 횡방향의 제 1 가로 고정대(20) 및 8개의 상향 중앙 고정대(30)가 연결되어 원두막 프레임(1)의 팔각정(八角亭)형태의 지붕의 뼈대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원두막 프레임(1)은 한국 전통 양식인 팔각정을 이루기 위해 각각 8개의 통나무 지지 기둥(10), 제 1 가로 고정대(20) 및 상향 중앙 고정대를 도시하고 있으나, 육각 또는 오각 등의 다양한 다각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개수를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1)의 하측으로는, 각 통나무 지지 기둥(10)의 하부 외측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8개의 횡방향의 제 2 가로 고정대(60)와, 상기 각 통나무 지지 기둥(10)의 하부 내측 중앙으로 수평지게 집중되는 8개의 수평 중앙 고정대(70)와, 상기 8개의 횡방향의 제 2 가로 고정대(60)와 상기 8개의 수평 중앙 고정대(70)와 상기 8개의 원목지지 기둥(10)의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8개의 제 2 모서리 연결구(80)로 이루어져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바닥부(도면 번호 미부여)를 형성한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8개의 통나무 지지 기둥(10), 8개의 제 2 가로 고정대(60) 및 8개의 수평 중앙 고정대(70)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육각 또는 오각 등의 다양한 다각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8개의 상향 중앙 고정대(30)가 중앙으로 집중되는 각 타단부는 본 고안의 주 특징인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으로서의 대략 원반 형태의 천장 중앙 고정판(50)에 각각 안착하여 거치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팔각정 형태의 원두막 프레임(1)의 천장을 형성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1)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8개의 수평 중앙 고정대(70)가 중앙으로 집중되는 각 타단부는 역시 본 고안의 주 특징인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으로서의 대략 원반 형태의 바닥 중앙 고정판(100)에 각각 안착하여 거치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팔각정 형태의 원두막 프레임(1)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더구나, 8개의 통나무 지지 기둥(10)의 하단과 상기 바닥 중앙 고정판(1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중앙 하부 통나무 지지 기둥(11)의 하단에는 지지각(94)을 형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상에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의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모서리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및 제 1 모서리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각 제 1 모서리 연결구(40)는, 상기 각 통나무 지지 기둥(1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홈(45)을 갖는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돌기(41)와, 상기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돌기(41)의 상부 외측에 일정각도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대향하는 상기 두 개의 제 1 가로 고정대(20)의 일단부가 각각 안착되어 체결되는 두 개의 반원호 형태의 제 1 가로 고정대 안착부(42)와, 상기 두 개의 제 1 가로 고정대 안착부(4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향 중앙 고정대(30)의 일단부가 안착되어 체결되는 반원호 형태의 상향 중앙 고정대 안착부(4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향 중앙 고정대 안착부(43)의 대향하는 반대쪽에는 역시 대략 반원호 형태의 코너 고정대 안착부(44)가 더 형성되어 경사진 코너 고정대(31)의 상단부가 안착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코너 고정대(31)는 상향 중앙 고정대(30)의 상기 일단부의 이격된 연장선상에서 제 1 모서리 연결구(40)에 체결되는 것임으로 본 고안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1)의 지붕을 형성하는 골격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울러, 제 1 모서리 연결구(40)의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돌기(41)의 하단으로 대략 90도의 각도로 이격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41-1)가 형성되어 있어 체결부에 형성된 체결홀(41-2)을 통해 나사나 못 등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돌기(41)에 삽입된 통나무 지지 기둥(10)의 상단부와 밀착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모서리 연결구(40)의 두 개의 반원호 형태의 제 1 가로 고정대 안착부(42), 상향 중앙 고정대 안착부(43) 및 코너 고정대 안착부(44)에도 각각 반원호의 상호 대향하는 상측 주연(周緣)에 두 개의 체결홀(42-1)(43-1)(44-1)이 형성되어 역시 나사나 못 등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각각 제 1 가로 고정대(20), 상향 중앙 고정대(30)의 일단부 및 코너 고정대(31)의 일단부와 밀착되어 체결되어 진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모서리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및 제 2 모서리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각 제 2 모서리 연결구(80)는, 상기 수직 입설된 각 통나무 지지 기둥이 관통되어 체결되는 원호(圓弧) 형상의 통나무 지지 기둥 관통홀(87)을 갖는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부(81)와, 상기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부(81)의 측단부 양측에 일정각도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대향하는 상기 두 개의 제 2 가로 고정대(60)의 일단부가 각각 안착되어 체결되는 대략 반원호 형상의 두 개의 제 2 가로 고정대 안착부(8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모서리 연결구(80)는 별도 독립적으로 제작되며 상기 두 개의 가로 고정대 안착부(82)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평 중앙 고정대(60)의 일단부의 하측이 체결되는 대략 반원호 형상의 수평 중앙 고정대 안착부(83)와, 상기 수평 중앙 고정대 안착부(83)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하측으로 수직형성되는 대략 원호 형상의 수직 연장부(8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원호 형상의 수평 중앙 고정대 안착부(83)의 일단의 양사이드에 일체 연결되며 프레임의 체결시에 상기 반원호형의 제 2 가로 고정대 안착부(82)에 대응하는 대략 원호형의 두 개의 수평 연장부(85)를 더 포함한다.
또한, 8개의 각 제 2 모서리 연결구(80)의 원호(圓弧) 형상의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부(81)의 상측 주연부 중앙과 모서리쪽의 4개의 주연부에는 각각 하나의 체결홀(81-1)과 4개의 체결홀(81-2)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나 못 등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삽입된 통나무 지지 기둥(10)과 밀착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제 2 모서리 연결구(80)의 두 개의 반원호 형태의 제 2 가로 고정대 안착부(82)의 대향하는 양단부와 상기 원호(圓弧) 형상의 통나무 지지 기둥 삽입부(81)의 대향하는 양단부가 만나는 지점의 네 코너부에는 직각 부채꼴 형태의 판 상의 제 1 당접부(8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략 원호 형태의 수직 연장부(84)의 주연의 대향하는 양단에는 직각 부채꼴 형태의 두 개의 판상의 제 2 당접부(84-1)가 형성되어 있어 체결시에는 통나무 지지 기둥 관통홀(81)의 하측의 대향하는 두 개의 제 1 당접부(86)와 수직 연장부(84)의 두 개의 제 2 당접부(84-1)가 상호 당접됨과 아울러 통나무 지지 기둥 관통홀(81)과 수직 연장부(84)에 의해 대략 360도 각도의 통나무지지 기둥(10)의 둘레를 에워싸게 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수평 연장부(85)에는 체결홀(85-1)이 형성되어 있어 역시 나사나 못 등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제 2 가로 고정대(60)와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a는 본 고안의 주 특징인 통나무 프레임용 중앙 고정판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원두막 프레임의 천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4a의 통나무 프레임용 중앙 고정판, 즉 천장 중앙 고정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원두막 프레임의 천장 중앙 고정판으로서 주로 설명되고 있지만, 원두막외에도 통나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중앙 고정판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천장 중앙 고정판(50)은 대략 원반 형태의 몸체(도면 번호 미부여), 그 중앙에는 중앙 상부 통나무 지지 기둥(11)이 삽입되는 중앙 홀(51)과, 그 외주연 상면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로 상기 8개의 상향 중앙 고정대(30)의 각 타단부가 안착하여 거치되는 8개의 경사진 오목 형상의 안치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 형상의 안치대(52)가 상향으 로 경사져 있음으로 역시 상향으로 경사져 설치되는 상향 중앙 고정대(30)의 타단부가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천장 중앙 고정판(50)의 중앙 홀(51)에는 수직 입설되는 중앙 상부 통나무 지지 기둥(12)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관통되고 상기 중앙 상부 통나무 지지 기둥 하단은 연결구(13) 및 횡단 가로 고정대(14)로 연결되어 횡단 가로 고정대(14)의 양단부가 대향하는 두 개의 상기 제 1 모서리 연결구(40)의 횡단 가로 고정대 안착부(미도시)에 안착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원두막 프레임(1)의 지붕을 형성하는 골격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중앙 상부 통나무 지지 기둥(12), 연결구(13) 및 횡단 가로 고정대(14)는 선택적인 구성요소로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5a는 본 고안의 주 특징인 통나무 프레임용 바닥 중앙 고정판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원두막 프레임의 바닥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 5a의 통나무 프레임용 바닥 중앙 고정판, 즉 바닥 중앙 고정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원두막 프레임의 바닥 중앙 고정판으로서 주로 설명되고 있지만, 원두막외에도 통나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중앙 고정판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닥 중앙 고정판(100)도 상기 천장 중앙 고정판(50)과 동일하게 대략 원반 형태의 몸체(도면 번호 미부여)를 가지며, 그 중앙에는 중앙 하부 통나무 지지 기둥(11)이 삽입되는 중앙 홀(101)과, 그 외주연 상면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로 상기 8개의 수평 중앙 고정대(70)의 각 타단부가 안착하여 거치되는 8개의 수평 오목 형상의 안치대(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 중앙 고정판(100)의 중앙 홀(101)에는 수직 입설되는 중앙 하부 통나무 지지 기둥(11)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관통되고 상기 중앙 상부 통나무 지지 기둥 하단부에는 지지각(94)을 형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상에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에 의하면, 원목 공장으로부터 규격화되어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된 원통형의 통나무를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이들을 한국 전통양식의 팔각정의 지붕 또는 바닥부를 중앙에서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통나무 프레임 전용의 중앙 연결판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견고하면서도 외관이 더욱 미려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본 고안으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임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Claims (3)

  1. 원판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홀과,
    상기 몸체의 외주연 상면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오목 형상의 안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의 안치대는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의 안치대는 내측으로 수평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KR2020070000853U 2007-01-17 2007-01-17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KR200437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853U KR200437733Y1 (ko) 2007-01-17 2007-01-17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853U KR200437733Y1 (ko) 2007-01-17 2007-01-17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733Y1 true KR200437733Y1 (ko) 2007-12-26

Family

ID=4162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853U KR200437733Y1 (ko) 2007-01-17 2007-01-17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7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648B1 (en) Portable table system
KR102252869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KR100823887B1 (ko) 원두막 프레임 연결 구조
KR20190007613A (ko) 조립식 캣타워 지주의 연결구조
KR101047111B1 (ko) 무대장치 조립구조
KR200437731Y1 (ko)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구
KR200437733Y1 (ko)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KR102184096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101119852B1 (ko) 이중바닥 패널 구조
KR200437732Y1 (ko)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구
KR20190076110A (ko) 퍼걸러용 기둥
KR101195098B1 (ko) 매립형 고정 브라켓
KR101498540B1 (ko) 지주 고정장치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JP6213892B2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KR200322909Y1 (ko) 다각 입체형상의 소주택 프레임 연결구조
JP2744585B2 (ja) 組立式フェンス
KR102119014B1 (ko)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101520465B1 (ko) 이동식 원두막
TWM624176U (zh) 可調整高度的支柱、支撐框架及高架地板
KR100823944B1 (ko)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KR200239552Y1 (ko) 시설물 고정기둥
KR20080004895U (ko) 조립식 무대장치
KR101268529B1 (ko) 건물용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666146B2 (ja) 水平ブレース構造、水平ブレースの支持装置、及び空間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