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944B1 -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944B1
KR100823944B1 KR1020070076365A KR20070076365A KR100823944B1 KR 100823944 B1 KR100823944 B1 KR 100823944B1 KR 1020070076365 A KR1020070076365 A KR 1020070076365A KR 20070076365 A KR20070076365 A KR 20070076365A KR 100823944 B1 KR100823944 B1 KR 10082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ttom plate
double bottom
upper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한우
김용일
Original Assignee
도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한우 filed Critical 도한우
Priority to KR102007007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안착지지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와 길이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를 제공함으로써, 바닥면의 높이 및 경사도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그 위에 설치되는 이중 바닥판이 평판도를 유지하면서 설치,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 등이 있게 된다.
이중 바닥판, 지지대

Description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Supporter for backup plate}
본 발명은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로 설치되어서 각종 배선이나 케이블 및 기타 장비들이 보호되도록 하는 이중 바닥판을 평판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 빌딩이나 오피스 빌딩 및 정보화 빌딩 등에서는 각종전자 제품 및 가전기기의 통신케이블과 전선의 배선을 용이하게 하고 위치변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이중 바닥판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중 바닥판은 통상 프리 액세스 플로어(Free Access Floor)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라 칭하고, 흔히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로 약칭된다.
이러한 이중 바닥판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건물의 바닥에 지지대를 통하여 일정 높이 이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바닥면과 바닥판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공간부인 배선통로가 형성되며, 이 배선통로를 통하여 각종 전자제품 및 가전기기의 통신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배선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물의 내부는 물론 옥외 등에도 바닥면에 대하여 이중 바닥판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분수 장비 등을 설치함으로써, 이중 바닥판 위로 분수가 솟게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바닥면에 대하여 이중 바닥판을 평판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닥면 자체를 평판하게 다지는 공사를 하여야 하는 등, 그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닥면은 별도의 공사를 하지 않는 한, 그 평판도가 일정할 가능성이 적고, 이에 따라 높낮이의 편차가 발생됨은 물론 경사진 부위도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바닥면의 조건에 의하여 이중 바닥판을 평판하게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 현실이었다.
이에, 종래에는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중 바닥판의 지지대가 다수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나, 종래의 대다수 지지대들은 그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그 높낮이 조절이 숙련자가 아니면 하기 어려운 작업이어서 그 인건비 증대에 따른 시공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록 종래에 제공되는 지지대들이 그 높낮이 조절은 가능하더라도 각도회전 기능이 제공되는 것은 없었는 바, 경사진 바닥면에 대하여 이중 바닥판을 평판하게 받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면의 높이 및 경사도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그 위에 설치되는 이중 바닥판이 평판도를 유지하면서 설치,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작비가 적게 들고, 그 설치가 용이하여 숙련자가 아닌 비숙련자도 누구나가 용이하게 설치,시공이 가능함으로써, 인건비 등의 절감에 따른 시공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안착지지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와 길이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부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은 라운드 진 돔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의 중앙에는 나사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톱니부의 양측으로는 일정길이만큼 가이드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그 일면이 상부부재의 돔형 상면과 당접되도록 구형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형홈에는 상부부재의 톱니부와 대응하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톱니부의 중앙에는 상부부재의 나사가 걸림되지 않도록 일정길이만큼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톱니부의 양측에는 상부부재의 가이드홈 상에 이동되면서 받침부재가 상부부재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에서 구형홈의 반대면인 상면에는, 십자홈부가 형성되고, 이 삽자홈을 구획하는 모서리부에는 라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받침부재의 라운드홈에 인입되어 안착되는 원형부재와, 상기 원형부재에 대하여 돌출형성되는 십자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중 바닥판들의 각 모서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는 받침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의 나사에는 너트가 체결되어서, 상부부재에 대하여 받침부재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으로, 상기 하부부재와 상부부재 사이에는 길이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중간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는, 바닥면의 높이 및 경사도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그 위에 설치되는 이중 바닥판이 평판도를 유지하면서 설치,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작비가 적게 들고, 그 설치가 용이하며, 바닥면의 평판도에 구애받지 않고 숙련자가 아닌 비숙련자도 누구나가 용이하게 이중 바닥판들이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시공이 가능함으로써, 인건비 등의 절감에 따른 시공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바닥면이 평판하지 않아서 이중 바닥판이 놓이게 되는 받침부재의 수평이 맞도록 조절한 상태에서, 바둑판식으로 정렬되게 배열되는 이중 바닥판의 배열과 맞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 가이드부재의 일정각도 회전으로 그 배열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바, 이중 바닥판을 평판하게 설치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단면도로서, 도 2a는 바닥면이 수평인 상태에서의 지지대 도면이고, 도 2b는 바닥면이 일정각도만큼 경사진 상태에서의 지지대 도면이며, 도 3은 도 2b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각 부품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10)는,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설치되는 하부부재(20)와, 상기 하부부재(20)와 길이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중간부재(30)들과, 상기 중간부재(30)와 역시 길이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부재(40)와, 상기 상부부재(40)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가능한 받침부재(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부재(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하여 안착설치되는 베이스판(22)과, 이 베이스판(22)에 대하여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원통형부(2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통형부(24)의 외면에는 나사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부재(20)와 길이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중간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부로 이루어지되, 일정길이만큼은 내면에 나사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고, 일정길이만큼은 외면에 나사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부재(20)의 원통형부(24)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 중간부재(3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는 상기 하부부재(20)의 나사부와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 체결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2a 및 도 2b에서 상기 중간부재(30)가 2개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바닥면 높이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 그 개수를 정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원통형 부(42)로 이루어지되, 그 상면은 라운드 진 돔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부부재(40)의 내면에는 중간부재(30)의 외면 나사부와 체결되기 위하여 나사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부부재(40)와 중간부재(30)는 그 체결에 따라 길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중간부재(3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부재(40)의 나사부와 하부부재(20)의 나사부를 직접 체결할 수도 있다.
상부부재(40)에서 돔형으로 이루어진 상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톱니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톱니부(46)의 중앙에는 나사(48)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부(46)의 양측으로는 일정길이만큼 가이드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40)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안착지지 가능한 받침부재(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일면은 상부부재(40)의 돔형 상면과 당접되도록 구형홈(5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받침부재(50)의 구형홈(51)에는 상부부재(40)의 톱니부(46)와 대응하는 톱니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톱니부(54)의 중앙에는 상부부재(40)의 나사(48)가 걸림되지 않도록 일정길이만큼 절개홈(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부(54)의 양측에는 상부부재(40)의 가이드홈(44) 상에 이동되는 가이드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52)는 가이드홈(44)을 따라 이동되면서, 받침부재(50)가 상부부재(40)에 대하여 옆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회전에 의해 받침 부재(50)의 톱니부(54)와 상부부재(40)의 톱니부(46)가 맞물림이 어긋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50)의 상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정직경을 갖는 십자홈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십자홈부를 구획하는 모서리부들에 걸쳐서 라운드홈(58)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십자홈부와 라운드홈(58)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가이드부재(60)가 안착지지되게 된다.
상기 받침 가이드부재(60)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형부재(62)와, 상기 원형부재(62)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역시 일정두께를 갖는 십자부재(6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받침 가이드부재(60)에서 원형부재(62)는 받침부재(50)의 모서리부들에 걸쳐서 형성된 라운드홈(58)에 안착지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10)의 설치관계 및 그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면과, 설치되는 이중 바닥판의 간격을 설정한 후, 이 간격에 맞게 지지대(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조립한다.
즉, 하부부재(20)와 중간부재(30)를 체결하고, 중간부재(30)에는 다시 상부부재(40)를 체결하여 그 길이를 조절한 후, 상부부재(40)에 받침부재(5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하부부재(20)의 원통형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부와, 중간부재(30)의 내면부에 형성된 나사부를 체결시켜서 조립하고, 상기 중간부재(30)의 외면부에 형성된 나사부는 상부부재(4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시키면서 조립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40)의 돔형 상면과, 받침부재(50)의 구형홈(51)을 당접시켜서 적층하면 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부재(40)의 톱니부(46)와 받침부재(50)의 톱니부(54)가 당접되도록 한다.
즉, 상부부재(40)의 나사가 받침부재(50)의 절개홈(56)을 통과되도록 하고, 받침부재(50)의 가이드돌기(52)는 상부부재(40)의 가이드홈(44)에 인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부재(40)의 톱니부(46)와 받침부재(50)의 톱니부(54)가 당접되도록 한다.
다음에, 받침부재(50)의 구형홈(51) 반대면 즉, 십자홈부의 중앙부위로 돌출되는 나사(48)에 너트(70)를 체결하되,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지 않고, 가체결이 이루어지도록만 체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상부부재(40)의 톱니부(46)와 받침부재(50)의 톱니부(54)가 완전하게 치합되지 않도록 하여 추후 받침부재(5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10)는, 하부부재(20)의 베이스판(22)이 수평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받침부재(50)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
즉, 바닥면이 평판하지 않고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우 등, 바닥면의 상황에 따라 하부부재(20)의 베이스판(22)은 경사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부재(20)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상부부재(40)에 대하여 받침부재(50)를 일정각 도만큼 경사지도록 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바닥면이 평판하게 되면, 도 2a에서와 같이 하부부재(20), 중간부재(30), 상부부재(40)와 더불어 받침부재(50)를 동일수직선상을 이루도록 설치하면 되나, 바닥면이 경사진 경우, 상부부재(40)에 대하여 받침부재(50)를 일정각도 경사지게 하여 받침부재(50)의 상면을 수평으로 하면 된다.
도 2b는 하부부재(20)가 수평으로 되고, 받침부재(50)가 경사진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받침부재(50)의 상면이 수평인 상태로 보고, 하부부재(20)의 베이스판(22)이 경사진 상태로 보면 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부재(40)의 톱니부(46)와 받침부재(50)의 톱니부(54)가 완전하게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50)는 일정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너트(70)가 가체결되어 있는 바, 작업자는 받침부재(50)가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조절하여 위치를 고정시킨 후, 너트(70)를 완전히 조인다.
즉, 너트를 상부부재(40)의 나사와 완전히 조이게 되면, 상부부재(40)의 톱니부(46)와 받침부재(50)의 톱니부(54)가 완전히 치합되어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는 바, 설정된 경사각도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부재(40)에 대한 받침부재(50)의 경사각도는, 상부부재(40)의 너트(70)가 받침부재(50)의 절개홈(56) 상을 유동하는 간격과, 받침부재(50)의 가이드돌기(52)가 상부부재(40)의 가이드홈(44) 상을 유동하는 간격에 대응되는데, 이 경우의 각도는 ㅁ5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지지대(10)의 받침부재(50)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받침부재(50)의 상면 라운드홈(58)에 받침 가이드부재(60)의 원형부재(62)를 인입시키면 된다.
이중 바닥판은 대부분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지지대(10)의 받침부재(50)에는 이중 바닥판의 모서리 일측이 지지됨으로써, 모두 4개의 이중 바닥판 모서리가 지지되게 된다.
이에, 받침 가이드부재(60)의 십자부재(64)는 이중 바닥판의 각 모서리 부위를 구획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 가이드부재(60)의 일정각도 회전에 따라 이중 바닥판들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바닥면이 경사진 형태여서 받침부재(50)가 수평을 이루도록 세팅한 상태에서, 바둑판처럼 정렬되게 설치되는 이중 바닥판들의 배열이 상기 받침부재(50)와 맞지 않게 될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가이드부재(60)를 은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면서 이중 바닥판들의 배열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10)들의 받침부재(50)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도 9에서와 같이 이중 바닥판(100)들을 평판하게 배열, 설치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단면도로서, 도 2a는 바닥면이 수평인 상태에서의 지지대 도면이고, 도 2b는 바닥면이 일정각도만큼 경사진 상태에서의 지지대 도면.
도 3은 도 2b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하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중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상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받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받침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대 20 : 하부부재
30 : 중간부재 40 : 상부부재
44 : 가이드홈 46 : 톱니부
48 : 나사 50 : 받침부재
52 : 가이드돌기 54 : 톱니부
56 : 절개홈 60 : 받침 가이드부재
62 : 원형부재 64 : 십자부재
70 : 너트 100 : 이중 바닥판

Claims (7)

  1. 바닥면에 안착지지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와 길이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은 라운드 진 돔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의 중앙에는 나사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톱니부의 양측으로는 일정길이만큼 가이드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그 일면이 상부부재의 돔형 상면과 당접되도록 구형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형홈에는 상부부재의 톱니부와 대응하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톱니부의 중앙에는 상부부재의 나사가 걸림되지 않도록 일정길이만큼 절개홈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톱니부의 양측에는 상부부재의 가이드홈 상에 이동되면서 받침부재가 상부부재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에서 구형홈의 반대면인 상면에는, 십자홈부가 형성되고, 이 삽자홈을 구획하는 모서리부에는 라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라운드홈에 인입되어 안착되는 원형부재와, 상기 원형부재에 대하여 돌출형성되는 십자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중 바닥판들의 각 모서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는 받침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나사에는 너트가 체결되어서, 상부부재에 대하여 받침부재 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와 상부부재 사이에는 길이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중간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KR1020070076365A 2007-07-30 2007-07-30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KR10082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365A KR100823944B1 (ko) 2007-07-30 2007-07-30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365A KR100823944B1 (ko) 2007-07-30 2007-07-30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944B1 true KR100823944B1 (ko) 2008-04-22

Family

ID=3957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365A KR100823944B1 (ko) 2007-07-30 2007-07-30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993B1 (ko) 2007-07-30 2009-06-22 도한우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KR101008685B1 (ko) 2008-08-14 2011-01-17 김순석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033A (ko) * 1999-08-06 2001-03-05 양승룡 가구용 받침
KR20010019570A (ko) * 1999-08-27 2001-03-15 김철호 가구용 높낮이 조절구
KR20020022233A (ko) * 2000-09-19 2002-03-27 송재인 높이 조절형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033A (ko) * 1999-08-06 2001-03-05 양승룡 가구용 받침
KR20010019570A (ko) * 1999-08-27 2001-03-15 김철호 가구용 높낮이 조절구
KR20020022233A (ko) * 2000-09-19 2002-03-27 송재인 높이 조절형 받침대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1-0017033호(2001.03.05,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1-0019570호(2001.03.15,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2-0022233호(2002.03.27, 공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993B1 (ko) 2007-07-30 2009-06-22 도한우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KR101008685B1 (ko) 2008-08-14 2011-01-17 김순석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580B2 (en) Adapter device for mounting a ceiling electrical light fixture
KR101414790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용 허브 커넥터
CA2816124C (en) Railing system
KR100823944B1 (ko)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KR101364102B1 (ko) 안테나용 브라켓
KR100903993B1 (ko) 이중 바닥판용 지지대
US8109648B2 (en) Light fixture having socket track assemblies with detachable row aligner
CN201424790Y (zh) 一种可调支撑装置
US20190119940A1 (en) Laterally adjustable post base assembly
US9985578B2 (en) Systems for attaching mounting rails onto photovoltaic mounting posts
KR20200144285A (ko) 전기통신용 시스템박스
KR200432715Y1 (ko) 조립식 패널
KR200428436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JP7352180B2 (ja) 建材の保持構造
KR200437733Y1 (ko)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판
KR102637892B1 (ko) 단자함용 거치대 고정 브라켓
JP3943227B2 (ja) デッキパネル敷設床面
RU2745377C1 (ru) Набор-конструктор для возведения опоры системы видеонаблюдения
JP2010231980A (ja) 配線ダクト付天井パネルシステム
JPH01304261A (ja) フロアパネルの固定装置
US20230160229A1 (en) Railing systems and brackets for same
KR20120016387A (ko) 건물용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84279Y1 (ko)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JP2000144881A (ja) デッキ付パーゴラ
KR200221720Y1 (ko) 텔레비젼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