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093B1 - 이층침대 - Google Patents

이층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093B1
KR101905093B1 KR1020180032796A KR20180032796A KR101905093B1 KR 101905093 B1 KR101905093 B1 KR 101905093B1 KR 1020180032796 A KR1020180032796 A KR 1020180032796A KR 20180032796 A KR20180032796 A KR 20180032796A KR 101905093 B1 KR101905093 B1 KR 10190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rtition
fitting
b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대
Original Assignee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강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된 사다리를 평면상 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하여 공간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됨은 물론, 금속재질의 프레임에 합성수지재질의 칸막이를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구현하도록;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된 사다리가 평면상 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있어, 하층의 사용공간을 침해하지않아 사용상의 편의를 구현함은 물론, 침대가 배치된 실내의 공간에 대한 사용효율을 향상시키고; 금속재질의 프레임에 합성수지재질의 칸막이를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사용자가 사용시 부드럽고 온도변화가 적은 합성수지재질의 칸막이를 통해 안전하면서도 사용상의 편리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이층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층침대{A be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공간이 2층으로 형성된 이층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된 사다리를 평면상 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하여 공간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됨은 물론, 금속재질의 프레임에 합성수지재질의 칸막이를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구현하도록 이층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단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경우에 따라 상하 2층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즉, 사용자의 사용공간이 2층으로 형성된 이층침대를 제공하여, 특히, 다 자녀 가정인 경우 가정에서 사용되는 유아나 어린이용 침대는 좁은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주거공간을 확보하도록 사용하게 된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의 공간활용성과 비용의 절감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2층 구조로 이루어진 이층침대는, 통상적으로 일 측면에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하는 사다리를 구비하여 2층으로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즉, 사용자가 취침 및 휴식을 취하는 공간바닥을 제공하는 매트리스들이 안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들을 상하 2단으로 적층 고정하도록 된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구조와, 상기 프레임구조의 일 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발을 디디면서 승하강하도록 된 다수의 발판들과 상기 발판들을 고정하는 지주들로 이루어진 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572832호(명칭: 조립식 철재 침대)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조립식 철제 침대는 장방형의 철재 프레임과 이 철재 프레임에 연결되며 그 위에 위치되는 매트리스를 지탱하여 주는 받침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와의 결합을 위해 중앙부에 난간 체결홈을 갖는 원통형의 4개의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연결되는 2-3개의 가로봉으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 그리고 매트리스와 1개 또는 2개의 난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철재 프레임의 4측 모서리 부분의 하단부에 홈걸이 돌출부가 수직 방향으로 또 상기 모서리 부분의 일 측 단부에 너트 장착홈이 각기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홈걸이 돌출부가 삽입되어 상호 결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지주의 일 측면에 홈걸이부가 일체적으로 구비된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40168호(명칭: 강제 2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구조)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포스트사이에 수평연결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프레임을 이루는 강제 2층 침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ㄴ단면형의 형강으로 된 기본포스트가 그 내측면에서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수평연결부재의 단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재를 감추도록 상기 기본포스트의 측방향트인 부분에는 커버가 착탈가능케 결합된 구조이며, 상기 커버의 내측 외면에는 탄성클립이 고정되고, 상기 기본포스트의 ㄴ단면 단부에는 상기 탄성클립이 끼워져 걸리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본포스트의 하단에는 상기 커버를 조립할 시에 커버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걸리어 커버를 용이하게 조립하는 한편 커버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커버가이드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침대프레임의 조립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1284호(명칭: 침대용 사다리)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포스트가 판재로 고정되어져 그 포스트의 일정 높이에 매트리스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2층 침대의 사다리에 있어서, 다층으로 이루어진 발판이 양측에 형성된 측판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측판은 발판의 위치에 따라 다단으로 타공되어진 손잡이가 형성되며, 측판은 상단부가 매트리스가 위치되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부가 형성되고, 연장부에는 타공되어진 형태의 상단 손잡이가 형성되면서 그 형태가 ㄱ자 형태의 만곡되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방 파지부와 상부 파지부로 구성된 침대용 사다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383869호(명칭: 침대프레임 조립구조)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매트리스의 4방 모서리부분 외곽 부분에 각각의 지주가 세워지고 그 각 지주에는 측면프레임의 각 끝단 일 측을 상호 연결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프레임 중 침대의 길이방향을 형성하는 쪽의 측면프레임 사이에 침대매트리스를 받쳐주며 지지하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된 4각 틀의 각 모서리 부분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지주에 고정 설치하여 된 침대프레임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4각 지주(100)이고, 상기 4각 틀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은 내부가 중공이며 양측 끝 부분에 복수 개의 볼트구멍이 천공된 4각 프레임이며, 상기 4각 프레임과 4각 프레임이 만나는 4각 틀의 각 모서리부분 내측 코너부분은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설치되고, 상기 4각 틀의 각 모서리부분 외측은 상기 지주의 일측 모서리 일부를 긴밀히 수용하며 결합되는 지주모서리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평면상에서 볼 때 브래킷으로써, 그 브래킷의 일측 단면은 상기 지주의 일 측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타측 단면 및 연장부는 복수 개의 볼트구멍이 천공된 상태로 상기 4각 프레임의 내부 중공에 긴밀히 끼워 결합되게 형성되며, 상기 4각 프레임의 중공에 끼워 결합된 브래킷의 타측 단면에는 상기 4각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볼트로 관통 설치하여 된 침대프레임 조립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40168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40168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1284호 특허등록번호 제10-1383869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층침대들은,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된 사다리가, 프레임의 일 측에 고정됨에 따라 실내공간에서 하층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을 폐쇄하여 사용상의 불편을 유발하며 공간사용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된 사다리를 평면상 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하여 공간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됨은 물론, 금속재질의 프레임에 합성수지재질의 칸막이를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구현하도록 이층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층침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측면프레임들이 내부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도록 '틀' 형상으로 결합하여서 된 하부틀과, 상기 하부틀의 네모서리에 수직상으로 결합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지주프레임들과, 상기 지주프레임에서 상기 하부틀의 상부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어진 다수의 측면프레임들이 내부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도록 '틀' 형상으로 결합하여서 된 상부틀과, 상기 상부틀의 측면프레임에 결합하며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다리지주와, 상기 다리지주들의 사이를 상하 다단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들을 가지는 사다리를 가지는 침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다리의 다리지주들은, 상기 상부틀 및 하부틀에서 평면상 일 모서리를 구성하는 지주프레임과 연결된 측면프레임들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발판들은, 평면상 상기 지주프레임을 수용하는 수용요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틀에 대하여 평면상 모서리부위에 상기 사다리가 배치되도록 된 이층침대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들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틀 및 상기 상부틀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며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판(板;plate)' 형상의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에 조립하도록 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칸막이의 하단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상의 끼움요홈이 형성된 결합봉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면에 개구가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측면에 상기 끼움요홈과 억지끼움결합하도록 된 끼움돌기들이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층침대는,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된 사다리가 평면상 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있어, 하층의 사용공간을 침해하지않아 사용상의 편의를 구현함은 물론, 침대가 배치된 실내의 공간에 대한 사용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금속재질의 프레임에 합성수지재질의 칸막이를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사용자가 사용시 부드럽고 온도변화가 적은 합성수지재질의 칸막이를 통해 안전하면서도 사용상의 편리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구성하는 측면프레임과 칸막이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구성하는 측면프레임과 칸막이의 결합과정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에 적용되는 끼움돌기와 끼움요홈을 확대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을 통한 측면프레임과 칸막이의 결합과정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을 칸막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다용도 살균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는, 내부에 미도시된 매트리스가 안치되도록 다수의 측면프레임(10)들이 '틀' 형상으로 결합하여서 된 하부틀(2)과, 상기 하부틀(2)의 네모서리에 수직상으로 결합하는 지주프레임(3)들과, 상기 지주프레임(3)에서 상기 하부틀(2)의 상부로 내부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도록 다수의 측면프레임(10)들이 '틀' 형상으로 결합하여서 된 상부틀(4)과, 상기 상부틀(4)의 측면프레임(10)에 결합하며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다리지주(51)와 상기 다리지주(51)들의 사이를 상하 다단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52)들을 가지는 사다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프레임(1)을 가진다.
즉, 상기 지주프레임(3)들에 상기 하부틀(2)과 상기 상부틀(4)이 수직상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어 실내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사다리(5)를 통해 사용자가 상층으로 출입하게 된다.
상기에서 지주프레임(3) 및 상기 상부틀(4)과 하부틀(2)들을 구성하는 각종 수직프레임 및 측면프레임(10)들은, 목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공된 '관(管: pip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에서, 상기 사다리(5)의 다리지주(51)들은, 상기 상부틀(4) 및 하부틀(2)에서 평면상 일 모서리를 구성하는 지주프레임(3)과 연결된 측면프레임(10)들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된 상기 사다리(5)를 평면상 이층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하여, 하층의 사용공간을 침해하지않아 사용상의 편의를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이층침대가 배치된 실내의 공간에 대한 사용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발판(52)들은, 평면상 상기 지주프레임(3)을 수용하는 수용요부(5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틀(4)에 대하여 평면상 모서리부위에 상기 사다리가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요부(53)의 내측에 상기 지주프레임(3)이 배치되도록 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52)을 원활하게 디디면서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발판(52)은, 평면상 반원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다리지주(51)들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상부틀(4)의 측면프레임(10)들의 저면은, 곡면상으로 만곡된 곡면으로 이루어져, 하층에서 활동하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틀(4)의 측면프레임(10)에 충돌하는 경우에 손상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는, 상기 측면프레임(10)들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틀(2) 및 상기 상부틀(4)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며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판(板;plate)' 형상의 칸막이(6)와, 상기 칸막이(6)를 상기 측면프레임(10)의 상단에 조립하도록 된 결합수단(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칸막이(6)를 통해 사용공간에 대하여 외부와 격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온도변화가 적은 합성수지재질의 상기 칸막이(6)를 통해 안전하면서도 사용상의 편리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침대프레임(1)을 통해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합성수지재질의 상기 칸막이(6)를 통해 사용상의 편리성을 구현하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1)에서, 상기 결합수단(7)은, 상기 칸막이(6)의 제조시 하단이 상기 칸막이(6)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되고, 하단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상의 끼움요홈(71)이 형성된 결합봉(72)과; 상기 측면프레임(10)의 상면에 개구가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측면프레임(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측면에 상기 끼움요홈(71)과 억지끼움결합하도록 된 끼움돌기(73)들이 형성된 결합부재(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합부재(74)의 내부에 상기 결합종(72))이 삽입되면서 끼움고정될 때, 상기 끼움돌기(73)가 상기 끼움요홈(71)에 맞춤되게 억지 끼움되어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프레임(10)과 상기 칸막이(6)의 결속이 확고히 됨에 따라, 지진 등과 같은 진동에너지가 인가되더라도 풀림등이 발생하지 않아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작업현장에서 상기 측면프레임(10)과 상기 칸막이(6)의 결속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결합부재(74)는, 중공관 '관(管;sleev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가 개구된 '컵(cup)'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끼움돌기(73)는, 상기 결합부재(74)의 내부에 다수개가 수용되어 고정되며 상기 결합봉(72)이 관통하면서 진입하도록 된 내경을 가지는 '링(ring)' 형상의 격자링(75)들의 사이에 끼움결합하여 고정되는 스냅링(76)의 내측면에, 내측방향으로 일부위가 연장되면서 절곡된 탄성돌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끼움돌기(73)와 상기 끼움요홈(71)은 다수개가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도록 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결합부재(74)는, 상기 측면프레임(10)에 일부위가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나사돌기들을 통해 나사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며, 상기 도 7은, 상기 결합부재(74)와 상기 결합봉(72)에 형성된 상기 끼움돌기(73) 및 끼움요홈(71)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는, 상기 결합수단(7)에서, 상기 끼움돌기(73) 및 상기 끼움요홈(71)은, 상기 결합부재(74)와 상기 결합봉(72)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경사면(S)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S)의 상하양측에 원호형상의 외향곡선면(OC)과 내향곡선면(IC)이 연결되며; 타 끼움돌기(71) 및 끼움요홈(73)에 각각 형성된 외향곡선면(OC)에 대하여 상기 내향곡선면(IC)이 외접하면서 연결되고, 타 끼움돌기(73) 및 끼움요홈(71)에 각각 형성된 내향곡선면(IC)에 대하여 상기 외향곡선면(OC)이 외접하면서 연결되면서 성형되어, 상부에서 인가되는 외력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74)외관(32)의 내측면에 대한 상기 결합봉(72)이 억지 끼움결합될 때, 상기 결합봉(72)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결합부재(74)의 내측에 결속됨은 물론,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외향곡선면(OC)과 내향곡선면(IC)의 내경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원호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S)은, 상기 결합봉(72)과 상기 결합부재(74)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30~40°경사각(TA)를 가지면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끼움돌기(73)들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74)의 내부에 삽입수용되며 상부가 개구된 '컵(cup)'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컵(77)의 내주면에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구성하는 결합수단(7)의 결합봉(72)을 상기 칸막이(6)에 고정하는 고정수단(8)을 보인 도면으로, 상기 고정수단(8)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상기 칸막이(6)의 저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압인되어 억지끼움고정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봉(72)의 상단이 수용되면서 결합하는 중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고정관(81)과, 상기 칸막이(6)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체결고정되며 상기 고정관(81)을 관통하면서 형성된 고정공(82)들을 관통하면서 걸림고정하는 고정핀(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사출성형되어 제조되는 상기 칸막이(6)의 저면에 상기 고정관(81)이 억지끼움고정되도록 압력을 가하면서 압인하여 체결하고, 상기 고정핀(83)을 상기 칸막이(6)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상기 고정관(81)에 구비된 고정공(82)들을 걸립하여 체결함으로서, 상기 고정관(81)이 무단으로 상기 칸막이(6)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고정수단(8)은, 상기 칸막이(6)의 저면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갯수로 구비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프레임구조 10 : 측면프레임
2 : 하부틀 3 : 지주프레임
4 : 상부틀 5 : 사다리
51 : 다리지주 52 : 발판
53 : 수용요부 6 : 칸막이
7 : 결합수단 71 : 끼움요홈
72 : 결합봉 73 : 끼움돌기
74 : 결합부재 75 : 격자링
76 : 스냅링 77 : 고정컵
8 : 고정수단 81 : 고정관
82 : 고정공 83 : 고정핀
L : 결합봉과 결합부재의 길이방향
S : 경사면 TA : 경사각
OC : 외향곡선면 IC : 내향경사면

Claims (1)

  1.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측면프레임(10)들이 내부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도록 '틀' 형상으로 결합하여서 된 하부틀(2)과, 상기 하부틀(2)의 네모서리에 수직상으로 결합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지주프레임(3)들과, 상기 지주프레임(3)에서 상기 하부틀(2)의 상부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어진 다수의 측면프레임(10)들이 내부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도록 '틀' 형상으로 결합하여서 된 상부틀(4)과, 상기 상부틀(4)의 측면프레임(10)에 결합하며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다리지주(51)와, 상기 다리지주(51)들의 사이를 상하 다단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52)들을 가지는 사다리(5):를 가지는 침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다리(5)의 다리지주(51)들은, 상기 상부틀(4) 및 하부틀(2)에서 평면상 일 모서리를 구성하는 지주프레임(3)과 연결된 측면프레임(10)들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발판(52)들은, 평면상 상기 지주프레임(3)을 수용하는 수용요부(5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틀(4)에 대하여 평면상 모서리부위에 상기 사다리(5)가 배치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0)들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틀(2) 및 상기 상부틀(4)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며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판(板;plate)' 형상의 칸막이(6)와, 상기 칸막이(6)를 상기 측면프레임(10)의 상단에 조립하도록 된 결합수단(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수단(7)은, 상기 칸막이(6)의 하단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상의 끼움요홈(71)이 형성된 결합봉(72)과; 상기 측면프레임(10)의 상면에 개구가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측면프레임(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측면에 상기 끼움요홈(71)과 억지끼움결합하도록 된 끼움돌기(73)들이 형성된 결합부재(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층침대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73)는,
    상기 결합부재(74)의 내부에 다수개가 수용되어 고정되며 상기 결합봉(72)이 관통하면서 진입하도록 된 내경을 가지는 '링(ring)' 형상의 격자링(75)들의 사이에 끼움결합하여 고정되는 스냅링(76)의 내측면에 내측방향으로 일부위가 연장되면서 절곡된 탄성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돌기(73) 및 상기 끼움요홈(71)은,
    상기 결합부재(74)와 상기 결합봉(72)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경사면(S)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S)의 상하양측에 원호형상의 외향곡선면(OC)과 내향곡선면(IC)이 연결되며, 타 끼움돌기(71) 및 끼움요홈(73)에 각각 형성된 외향곡선면(OC)에 대하여 상기 내향곡선면(IC)이 외접하면서 연결되고, 타 끼움돌기(73) 및 끼움요홈(71)에 각각 형성된 내향곡선면(IC)에 대하여 상기 외향곡선면(OC)이 외접하면서 연결되면서 성형되고;
    상기 외향곡선면(OC)과 내향곡선면(IC)의 내경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원호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S)은,
    상기 결합봉(72)과 상기 결합부재(74)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30~40°경사각(TA)를 가지면서 성형되고;
    상기 결합수단(7)의 결합봉(72)을 상기 칸막이(6)에 고정하는 고정수단(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8)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상기 칸막이(6)의 저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압인되어 억지끼움고정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봉(72)의 상단이 수용되면서 결합하는 중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고정관(81)과, 상기 칸막이(6)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체결고정되며 상기 고정관(81)을 관통하면서 형성된 고정공(82)들을 관통하면서 걸림고정하는 고정핀(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
KR1020180032796A 2018-03-21 2018-03-21 이층침대 KR10190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796A KR101905093B1 (ko) 2018-03-21 2018-03-21 이층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796A KR101905093B1 (ko) 2018-03-21 2018-03-21 이층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093B1 true KR101905093B1 (ko) 2018-10-05

Family

ID=6387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796A KR101905093B1 (ko) 2018-03-21 2018-03-21 이층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09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014B2 (ja) 1991-09-20 2001-04-03 住友精密工業株式会社 ウエーハ端面のエッチング方法とその装置
JP2001304224A (ja) * 2000-04-27 2001-10-31 Mitsutomo:Kk 連結具
JP2004176727A (ja) 2002-10-04 2004-06-24 Ryoshu Bun 筒体と軸杆の締結・解除方法及び装置
KR200425142Y1 (ko) 2006-06-19 2006-08-30 박상민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40168Y1 (ko) 2007-09-11 2008-05-28 주식회사 퍼시스 강제 2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0440169Y1 (ko) 2007-09-11 2008-05-28 주식회사 퍼시스 강제 1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구조
JP2011052704A (ja) 2009-08-31 2011-03-17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長尺部材の保持具
KR200461284Y1 (ko) 2010-06-15 2012-07-02 남용훈 침대용 사다리
KR101383869B1 (ko) 2014-01-08 2014-04-17 오금애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KR101746831B1 (ko) * 2017-02-22 2017-06-13 영남강철 주식회사 2층 침대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014B2 (ja) 1991-09-20 2001-04-03 住友精密工業株式会社 ウエーハ端面のエッチング方法とその装置
JP2001304224A (ja) * 2000-04-27 2001-10-31 Mitsutomo:Kk 連結具
JP2004176727A (ja) 2002-10-04 2004-06-24 Ryoshu Bun 筒体と軸杆の締結・解除方法及び装置
KR200425142Y1 (ko) 2006-06-19 2006-08-30 박상민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40168Y1 (ko) 2007-09-11 2008-05-28 주식회사 퍼시스 강제 2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0440169Y1 (ko) 2007-09-11 2008-05-28 주식회사 퍼시스 강제 1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구조
JP2011052704A (ja) 2009-08-31 2011-03-17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長尺部材の保持具
KR200461284Y1 (ko) 2010-06-15 2012-07-02 남용훈 침대용 사다리
KR101383869B1 (ko) 2014-01-08 2014-04-17 오금애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KR101746831B1 (ko) * 2017-02-22 2017-06-13 영남강철 주식회사 2층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5131A (en) Platform bed frame
US7111341B2 (en) Universally adjustable bedstead system
US9044100B1 (en) Bed frame
US20230240448A1 (en) Bed ladder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bed frame for use
KR200445448Y1 (ko) 테이블의 다리구조
US11672353B2 (en) Hotel bed frame
KR101556885B1 (ko) 침대용 프레임
KR101905093B1 (ko) 이층침대
US4945586A (en) Canopy bed frame assembly
KR101746831B1 (ko) 2층 침대
KR101792688B1 (ko) 독립하중의 바닥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KR200465616Y1 (ko)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102157463B1 (ko) 간편 체결식 침대
US7096523B2 (en) Universally adjustable bed loft
JP5740571B2 (ja) 浴室構造
KR101671459B1 (ko) 이층침대
KR102072034B1 (ko) 침대
US7398792B2 (en) Bar table shelter
KR102559809B1 (ko) 탄성 지붕을 가지는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KR102589252B1 (ko) 모듈형 조립식 가구
JP6137656B1 (ja) 組立用ロフトベッド
KR20110003953U (ko) 침대 받침대의 프레임 구조
KR100585425B1 (ko) 장의자 조립체
JP3943227B2 (ja) デッキパネル敷設床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