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034B1 - 침대 - Google Patents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034B1
KR102072034B1 KR1020190080734A KR20190080734A KR102072034B1 KR 102072034 B1 KR102072034 B1 KR 102072034B1 KR 1020190080734 A KR1020190080734 A KR 1020190080734A KR 20190080734 A KR20190080734 A KR 20190080734A KR 102072034 B1 KR102072034 B1 KR 10207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ipe
frame
frames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가구 filed Critical (주)대우가구
Priority to KR1020190080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효율이 좋으며, 특히,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키어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침대프레임들과; 상기 침대프레임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된 지주프레임들과; 상기 지주프레임과 상기 침대프레임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침대프레임들의 양단에 각각 수직상으로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체결관들과; 서로 맞대응하여 결속되는 침대프레임들의 양단에서 서로 수직상으로 적층되면서 내부공간이 공간적으로 연결되면서 결속되도록 되는 상기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내주면과 상기 체결관들의 내주면들을 연결하면서 끼움결합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침대{A bed}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효율이 좋으며, 특히,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키어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라 함은, 인간이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구로,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며,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를 받쳐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분 된다.
한편, 많은 인원이 수용되는 합숙시설, 고시원, 기숙사, 군 내무실 및 유스호스텔에는 재실인원이 많아 비용 감소를 위해 조립식 침대가 사용되며, 이러한 조립식 침대는 오래 사용하기 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철재로 된 침대가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72932호(명칭: 조립식 철제 침대)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장방형 철재 프레임과 받침대를 구비한 본체, 원통형의 4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를 체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체결 볼트를 통해 본체와 지지 프레임이 중복하여 상호 확고하게 결착되는 각 지주사이에 구비되는 최상단의 가로봉의 돌출 단부가 일정부분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봉과, 조립식 철제 침대의 지주 상단부와 상부에 위치되는 조립식 철제 침대의 지주 하단부를 각각 상기 연결봉의 연결홈과 연결홈을 끼워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철제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7-0010603호(명칭: 침대 프레임 체결구조)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4개의 수직프레임의 양측단에 체결편을 각각 연장형성하고, 이 체결편에 수평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이 인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간의 견고한 체결에 의해 침대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직프레임의 전면부를 호형부로 형성하여 내구성향상은 물론 미려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침대 프레임 체결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44807호(명칭: 침대 매트리스 지지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지주의 일측 모서리에 탭 구멍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되는 다수의 탭 구멍과; 상기 탭 구멍과 동일 선상으로 관통공이 관통되어 상기 지주에 직각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관통공을 통해 탭 구멍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연결편에 고정된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침대 매트리스 지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02555호(명칭: 침대프레임 조립구조)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매트리스의 4방 모서리부분 외곽에 각각의 지주가 세워지고 그 각 지주에는 측면프레임의 각 끝단 일측을 상호 연결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프레임 중 침대의 길이방향을 형성하는 쪽의 측면프레임 사이에 침대매트리스를 받쳐주며 지지하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된 4각 틀의 각 모서리 부분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지주에 고정 설치하여 된 침대프레임 조립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72932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7-0010603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44807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02555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대들은, 지주프레임과 침대프레임들을 조립이 볼트체결을 통해 이루어져, 장시간 사용시 나사풀림과 같은 구조적 오차에 따라 내구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효율이 좋으며, 특히,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키어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된 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침대는,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침대프레임들과; 상기 침대프레임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된 지주프레임들과; 상기 지주프레임과 상기 침대프레임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침대프레임들의 양단에 각각 수직상으로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체결관들과; 서로 맞대응하여 결속되는 침대프레임들의 양단에서 서로 수직상으로 적층되면서 내부공간이 공간적으로 연결되면서 결속되도록 되는 상기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내주면과 상기 체결관들의 내주면들을 연결하면서 끼움결합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침대는, 결속부재에 침대프레임들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체결관들 및 지주프레임의 상단이 끼움결합하여 결과적으로 침대프레임들과 지주프레임들의 사이에 결속부재가 게재되면서 결속되어, 조립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구성하는 결속수단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구성하는 결속수단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침대(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직립되게 배치된 지주프레임(22)들의 상단에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는 침대프레임(21)들을 결속수단(3)을 통해 결합하여 조립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지주프레임(22)에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이 수직상 2단으로 조립되는 '2층침대'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는,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침대프레임(21)들과;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된 지주프레임(22)들과; 상기 지주프레임(22)들과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속수단(3)을 통해 상기 지주프레임(22)들과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을 연결하여 침대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에서, 상기 결속수단(3)은,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의 양단에 각각 수직상으로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체결관(31)들과; 서로 맞대응하여 결속되는 침대프레임(21)들의 양단에서 상기 체결관(31)들의 내주면들을 연결하면서 끼움결합하는 결속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속부재(32)가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상기 체결관(31)들의 내측면 및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내주면을 밀착되게 끼움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에서, 상기 결속부재(32)는,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절개된 절개부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322)이 구비되는 '관(管;PIPE)'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은 상기 체결관(31)들의 내측면 및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내주면과 밀착된 외부부재(321)와; 상기 외부부재(321)의 상하단 내주면에 상기 관통공(322)을 관통하면서 끼움결합하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안내공(324)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내부부재(323)와; 각각의 상기 내부부재(323)의 안내공에 끼움되면서 배치되며 서로 근접하는 이동운동과정에서 상기 내부부재(323)들을 서로 근접 및 이격시키도록 된 한 쌍의 가압와셔(35)들과; 상기 가압와셔(35)들을 각각 볼트체결하여 나사운동시 상기 가압와셔(35)들을 서로 근접 및 이격시켜 상기 내부부재(323)들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이동운동시켜 상기 외부부재(321)을 외측방향으로 가압 및 가압해제하도록 된 결속볼트(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외부부재(321)의 내부에서 상기 내부부재(323)가 관통되면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볼트(33)가 상기 가압와셔(35)들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결속볼트(33)와 상기 가압와셔(35)들과의 나사운동에 따라, 상기 내부부재(323)가 상기 외부부재(321)들의 내부에서 수직상으로 이동운동하게 되어, 상기 내부부재(323)의 외측 경사면이 상기 외부부재(321)을 외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부재(321)가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각각 대면하는 상기 체결관(31)의 내주면 및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내주면을 각각 가압하게 되어, 상기 결속부재(32)의 외측면이 확장되면서 상기 체결관(31)들의 내주면 및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내주면과 각각 억지끼움결합하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확고히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에서, 상기 내부부재(323)는, 상기 외부부재(321)의 내부에서 상하로 수용배치되면서 각각 끼움결합되는 2개 1조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한 쌍의 상기 내부부재(323)들의 경사진 외주면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부부재(321)들의 상하양단측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크게 형성되는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볼트(33)를 통해 상기 가압와셔(35)들이 서로 근접될 때, 각각의 상기 내부부재(323)들이 외부부재(321)를 외측으로 압박하여 각각의 상기 체결관(31)들과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내주면과 각각 억지끼움결속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부재(321)의 외측면이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상기 체결관(31)들의 내측면과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내주면들이 각각 밀착되게 끼움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볼트(33)의 나사운동을 통해 상기 결속부재(32)가 상기 지주프레임(22)에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을 결속하도록 하는 것으로 침대(1)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한 간편한 끼움 및 볼트결합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결속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훼손되지 않아 안정성을 극대화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에서, 상기 체결관(31)들 중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체결관(31)의 상단에는, 중앙상부에 손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된 홀더가 수직상으로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손잡이(34)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관(31)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기 손잡이(34)에 의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손으로 취부할 수 있어, 사용시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별도의 모자 등과 같은 비품을 걸어 보관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손잡이(34)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재질로 하여 성형가공되며; 상기 홀더는, '원형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침대 21 : 침대프레임
22 : 지주프레임 3 : 결속수단
31 : 체결관 32 : 결속부재
321 : 외부부재 322 : 관통공
323 : 내부부재 324 : 안내공
33 : 결속볼트 34 : 손잡이

Claims (1)

  1.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침대프레임(21)들과; 상기 침대프레임(21)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된 지주프레임(22)들과; 상기 지주프레임(22)과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을 각각 결속하도록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의 양단에 각각 수직상으로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체결관(31)들과 서로 맞대응하여 결속되는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의 양단에서 서로 수직상으로 적층되면서 내부공간이 공간적으로 연결되면서 결속되도록 되는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내주면과 상기 체결관(31)들의 내주면들을 연결하면서 끼움결합하는 결속부재(32)를 가지는 결속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1)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32)는,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절개된 절개부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322)이 구비되는 '관(管;PIPE)'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은 상기 체결관(31)들의 내측면 및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내주면과 밀착된 외부부재(321)와; 상기 외부부재(321)의 상하단 내주면에 상기 관통공(322)을 관통하면서 끼움결합하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안내공(324)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내부부재(323)와; 각각의 상기 내부부재(323)의 안내공에 끼움되면서 배치되며 서로 근접하는 이동운동과정에서 상기 내부부재(323)들을 서로 근접 및 이격시키도록 된 한 쌍의 가압와셔(35)들과; 상기 가압와셔(35)들을 각각 볼트체결하여 나사운동시 상기 가압와셔(35)들을 서로 근접 및 이격시켜 상기 내부부재(323)들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이동운동시켜 상기 외부부재(321)을 외측방향으로 가압 및 가압해제하도록 된 결속볼트(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KR1020190080734A 2019-07-04 2019-07-04 침대 KR102072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34A KR102072034B1 (ko) 2019-07-04 2019-07-04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34A KR102072034B1 (ko) 2019-07-04 2019-07-04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034B1 true KR102072034B1 (ko) 2020-01-31

Family

ID=6936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734A KR102072034B1 (ko) 2019-07-04 2019-07-04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0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4752A1 (de) * 1995-04-21 1996-10-24 Joachim Kuhn Verbindungsvorrichtung für zylindrische Rohrstücke
KR100470154B1 (ko) * 2002-05-10 2005-02-05 오병훈 침대용 프레임
KR100572932B1 (ko) 2003-07-16 2006-04-25 이내교 조립식 철제 침대
JP3145649U (ja) * 2008-08-03 2008-10-16 岩夫 江尻 耐震組立ベッド
KR20090044807A (ko) 2007-11-01 2009-05-07 주식회사 엠아이텍 뇌혈관용 스텐트
KR20140002555A (ko) 2012-06-29 2014-01-08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가변적인 연료 개스 분사 압력 및 지속 기간을 가진 내부 연소 엔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4752A1 (de) * 1995-04-21 1996-10-24 Joachim Kuhn Verbindungsvorrichtung für zylindrische Rohrstücke
KR100470154B1 (ko) * 2002-05-10 2005-02-05 오병훈 침대용 프레임
KR100572932B1 (ko) 2003-07-16 2006-04-25 이내교 조립식 철제 침대
KR20090044807A (ko) 2007-11-01 2009-05-07 주식회사 엠아이텍 뇌혈관용 스텐트
JP3145649U (ja) * 2008-08-03 2008-10-16 岩夫 江尻 耐震組立ベッド
KR20140002555A (ko) 2012-06-29 2014-01-08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가변적인 연료 개스 분사 압력 및 지속 기간을 가진 내부 연소 엔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9382B2 (en) Stool seat
US4966341A (en) Modular multilevel article of furniture
KR102072034B1 (ko) 침대
KR101997755B1 (ko) 하부 구조체에 대한 보강 체결구조를 갖는 책상
CN218528281U (zh) 一种床架的安装结构及床架
KR102168526B1 (ko) 침대
US6848368B2 (en) Stand device
CN210507787U (zh) 管桁架钢管组对装置
CN210901893U (zh) 一种简易双体桌
KR102243692B1 (ko) 침대프레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이중 결합체결 구조장치
KR101097100B1 (ko) 의자 일체형 조립식 테이블
KR102432702B1 (ko) 클립을 이용한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KR20170003333U (ko) 낚시 좌대용 파라솔 지지 클램프
CN215532942U (zh) 家具脚
KR101905093B1 (ko) 이층침대
KR102650475B1 (ko) 리프트침대용 판넬
KR102626366B1 (ko) 테이블용 지주장치
CN219330993U (zh) 一种户外用的单元桌
KR101933602B1 (ko) 각도 보정 타입의 조립식 가구용 하부 프레임
KR102663251B1 (ko)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CN216753818U (zh) 一种新型洽谈桌
CN201042284Y (zh) 组合式桌子支撑机构
CN220212258U (zh) 一种结构强度更好的快拆式家具的结构
KR102220532B1 (ko) 다용도 체결장치
KR101453844B1 (ko) 와이어 선반용 코너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