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526B1 - 침대 - Google Patents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526B1
KR102168526B1 KR1020190080735A KR20190080735A KR102168526B1 KR 102168526 B1 KR102168526 B1 KR 102168526B1 KR 1020190080735 A KR1020190080735 A KR 1020190080735A KR 20190080735 A KR20190080735 A KR 20190080735A KR 102168526 B1 KR102168526 B1 KR 102168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binding
frames
pip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가구 filed Critical (주)대우가구
Priority to KR1020190080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47C19/202Stacking or nest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효율이 좋으며, 특히,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키어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침대프레임들과; 상기 침대프레임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된 지주프레임들과; 상기 지주프레임과 상기 침대프레임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들은,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수단은, 하부에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이 끼움결속되도록 수직상으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결속몸체와; 상기 결속몸체의 외측면에 직각상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고정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침대프레임들의 종단에 각각 끼움결속되는 결속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속몸체의 상단에는, 중앙상부에 손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된 홀더가 수직상으로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고정되는 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침대{A bed}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효율이 좋으며, 특히,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키어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라 함은, 인간이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구로,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며,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를 받쳐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분 된다.
한편, 많은 인원이 수용되는 합숙시설, 고시원, 기숙사, 군 내무실 및 유스호스텔에는 재실인원이 많아 비용 감소를 위해 조립식 침대가 사용되며, 이러한 조립식 침대는 오래 사용하기 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철재로 된 침대가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72932호(명칭: 조립식 철제 침대)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장방형 철재 프레임과 받침대를 구비한 본체, 원통형의 4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를 체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체결 볼트를 통해 본체와 지지 프레임이 중복하여 상호 확고하게 결착되는 각 지주사이에 구비되는 최상단의 가로봉의 돌출 단부가 일정부분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봉과, 조립식 철제 침대의 지주 상단부와 상부에 위치되는 조립식 철제 침대의 지주 하단부를 각각 상기 연결봉의 연결홈과 연결홈을 끼워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철제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7-0010603호(명칭: 침대 프레임 체결구조)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4개의 수직프레임의 양측단에 체결편을 각각 연장형성하고, 이 체결편에 수평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이 인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간의 견고한 체결에 의해 침대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직프레임의 전면부를 호형부로 형성하여 내구성향상은 물론 미려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침대 프레임 체결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44807호(명칭: 침대 매트리스 지지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지주의 일측 모서리에 탭 구멍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되는 다수의 탭 구멍과; 상기 탭 구멍과 동일 선상으로 관통공이 관통되어 상기 지주에 직각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관통공을 통해 탭 구멍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연결편에 고정된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침대 매트리스 지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02555호(명칭: 침대프레임 조립구조)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매트리스의 4방 모서리부분 외곽에 각각의 지주가 세워지고 그 각 지주에는 측면프레임의 각 끝단 일측을 상호 연결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프레임 중 침대의 길이방향을 형성하는 쪽의 측면프레임 사이에 침대매트리스를 받쳐주며 지지하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된 4각 틀의 각 모서리 부분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지주에 고정 설치하여 된 침대프레임 조립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72932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7-0010603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44807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02555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대들은, 지주프레임과 침대프레임들을 조립이 볼트체결을 통해 이루어져, 장시간 사용시 나사풀림과 같은 구조적 오차에 따라 내구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효율이 좋으며, 특히,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키어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된 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침대는,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침대프레임들과; 상기 침대프레임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된 지주프레임들과; 상기 지주프레임과 상기 침대프레임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들은,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수단은, 하부에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이 끼움결속되도록 수직상으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결속몸체와; 상기 결속몸체의 외측면에 직각상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고정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침대프레임들의 종단에 각각 끼움결속되는 결속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속몸체의 상단에는, 중앙상부에 손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된 홀더가 수직상으로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침대는, 결속몸체에 침대프레임들과 지주프레임들을 각각 끼움결합하는 작업을 통해 조립이 이루어져,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특히,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요소가 없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결속된 부위가 훼손되지 않아 안정성을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결속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손잡이에 의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손으로 취부할 수 있어, 사용시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별도의 모자 등과 같은 비품을 걸어 보관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보인 개략 분리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침대(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직립되게 배치된 지주프레임(22)들의 상단에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는 침대프레임(21)들을 결속수단을 통해 결합하여 조립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지주프레임(22)에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이 수직상 2단으로 조립되는 2층침대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는,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침대프레임(21)들과; 상기 침대프레임(21)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된 지주프레임(22)들과; 상기 지주프레임(22)과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속수단을 통해 상기 지주프레임(22)과 상기 침대프레임(21)을 연결하여 침대(1)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에서,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은,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수단은, 하부에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이 끼움결속되도록 수직상으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결속몸체(31)와; 상기 결속몸체(31)의 외측면에 직각상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고정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의 종단에 각각 끼움결속되는 결속돌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속몸체(31)의 하부에는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이 끼움결속되며, 상기 결속몸체(31)의 외측면에는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이 직각상으로 연결되면서 각각 끼움결속되어 침대(1)의 조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에 의한 간편한 끼움결합을 통해 조립이 이루어져,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특히,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요소가 없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결속된 부위가 훼손되지 않아 안정성을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침대프레임(21)들과 상기 결속돌부(32)들은, 상면이 넓고 하면이 좁은 '마름모형태'의 '사각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침대프레임(21)에 대하여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하여 상기 침대프레임(21)의 경사면으로 통해 고른 분포로 대응하여 지지하도록 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에서, 상기 결속몸체(31)의 상단에는, 중앙상부에 손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된 홀더(41)가 수직상으로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손잡이(4)가 고정된다.
즉, 상기 결속몸체(31)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기 손잡이(4)에 의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손으로 취부할 수 있어, 사용시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별도의 모자 등과 같은 비품을 걸어 보관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손잡이(4)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재질로 하여 성형가공되며; 상기 홀더(41)는, '원형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에서,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속몸체(31)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다이캐스팅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는, 상기 결속돌부(32)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침대프레임(21)의 종단 내측면과 상기 결속돌부(32)의 외측면이 억지끼움결속되도록 하는 보조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보조결속수단을 통해 상기 결속몸체(31)의 상기 결속돌부(32)와 상기 침대프레임(21)의 종단들을 각각 억지끼움되도록 결속함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에서 상기 결속돌부(32)의 종단에서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결속몸체(31)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절개된 절개홈(321)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보조결속수단은, 상기 결속돌부(32)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홈(321)을 기준으로 각각의 외측면을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침대프레임(21)의 종단의 내측면에 가압되어 억지결합된다.
상기에서 보조결속수단은, 상기 결속돌부(32)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홈(321)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결속몸체(31)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각각 대면하도록 가지는 한쌍의 가압체(51)들과; 상기 가압체(51)들의 사이에 끼움배치되며 상기 가압체(51)들의 상기 결속몸체(31)에 나사결합된 가압볼트(53)의 나사회전시 상기 결속돌부(32)의 종단측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된 운동체(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속몸체(31)의 외부에서 상기 가압볼트(53)를 회전시켜 나사운동시키면 상기 가압볼트(53)의 종단이 상기 결속돌부(32)의 종단측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운동체(52)가 상기 가압체(51)들의 사이에서 상기 결속돌부(32)의 종단측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운동체(52)가 상기 가압체(51)들의 경사면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체(51)들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가압체(51)들이 상기 결속돌부(32)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홈(321)을 중심으로 상기 결속볼부(32)의 양측부를 외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침대프레임(21)의 내부에서 상기 결속돌부(32)의 외측면이 확장되면서 억지끼움결합하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확고히 된다.
한편, 상기 결속몸체(31)에는, 상기 가압볼트(53)가 관통하면서 상기 운동체(52)와 결합하도록 된 관통공(311)들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11)을 통해 작업자가 상기 가압볼트(53)를 나사회전시키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에는, 상기 결속몸체(31)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상기 가압볼트(53)가 수용되면서 끼움결합하도록 상면에 하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된 수용요홈(221)이 구비된다.
즉, 상기 수용요홈(221)을 통해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이 상기 가압볼트(53)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지주프레임(22)의 무단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1)에서, 상기 손잡이(4)와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은, 나사결합하여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4)의 저면에는, 하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된 고정볼트(42)가 구비되며;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볼트(42)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홈(222)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4)와 상기 지주프레임(22)이 볼트체결되어, 조립된 상태를 더욱 확고히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결속몸체(31)의 상면에는, 상기 손잡이(4)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치턱(312)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4)와 상기 지주프레임(22)이 볼트체결될 때, 상기 손잡이(4)와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사이에 상기 안치턱(312)이 개재되어 상기 결속몸체(31)와 상기 지주프레임(22)을 더욱 확고히 결속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침대 21 : 침대프레임
22 : 지주프레임 221 : 수용요홈
222 : 고정너트홈 31 : 결속몸체
311 : 관통공 312 : 안치턱
32 : 결속돌부 321 : 절개홈
4 : 손잡이 41 : 홀더
42 : 고정볼트 51 : 가압체
52 : 운동체 53 : 가압볼트

Claims (1)

  1.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며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침대프레임(21)들과; 상기 침대프레임(21)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된 지주프레임(22)들과; 상기 지주프레임(22)과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을 각각 결속하도록 하부에 상기 지주프레임(22)의 상단이 끼움결속되도록 수직상으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결속몸체(31)와, 상기 결속몸체(31)의 외측면에 직각상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고정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침대프레임(21)들의 종단에 각각 끼움결속되는 결속돌부(32)를 가지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부(32)의 종단에서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결속몸체(31)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절개된 절개홈(321)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부(32)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홈(321)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결속몸체(31)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각각 대면하도록 가지는 한쌍의 가압체(51)들과; 상기 가압체(51)들의 사이에 끼움배치되며 상기 가압체(51)들의 상기 결속몸체(31)에 나사결합된 가압볼트(53)의 나사회전시 상기 결속돌부(32)의 종단측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된 운동체(5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결속돌부(32)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침대프레임(21)의 종단 내측면과 상기 결속돌부(32)의 외측면이 억지끼움결속되도록 하는 보조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KR1020190080735A 2019-07-04 2019-07-04 침대 KR10216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35A KR102168526B1 (ko) 2019-07-04 2019-07-04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35A KR102168526B1 (ko) 2019-07-04 2019-07-04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526B1 true KR102168526B1 (ko) 2020-10-21

Family

ID=7303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735A KR102168526B1 (ko) 2019-07-04 2019-07-04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5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057U (ko) * 1989-12-15 1991-08-21
KR100572932B1 (ko) 2003-07-16 2006-04-25 이내교 조립식 철제 침대
KR20090044807A (ko) 2007-11-01 2009-05-07 주식회사 엠아이텍 뇌혈관용 스텐트
KR20140002555A (ko) 2012-06-29 2014-01-08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가변적인 연료 개스 분사 압력 및 지속 기간을 가진 내부 연소 엔진
KR101422581B1 (ko) * 2014-04-18 2014-07-24 주식회사 우드메탈 안내수단을 구비한 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057U (ko) * 1989-12-15 1991-08-21
KR100572932B1 (ko) 2003-07-16 2006-04-25 이내교 조립식 철제 침대
KR20090044807A (ko) 2007-11-01 2009-05-07 주식회사 엠아이텍 뇌혈관용 스텐트
KR20140002555A (ko) 2012-06-29 2014-01-08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가변적인 연료 개스 분사 압력 및 지속 기간을 가진 내부 연소 엔진
KR101422581B1 (ko) * 2014-04-18 2014-07-24 주식회사 우드메탈 안내수단을 구비한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4811Y1 (ko) 모서리지주의 연결조립장치
US7188457B1 (en) Hollow post anchoring brackets
KR102168526B1 (ko) 침대
CN211703828U (zh) 一种简易拼装桌
KR101997755B1 (ko) 하부 구조체에 대한 보강 체결구조를 갖는 책상
KR200473592Y1 (ko) 화이트보드 스탠드
US6869245B2 (en) High strength detachable cylinder-to-plate joint for tables, furniture, and other static structures
KR102072034B1 (ko) 침대
CN216631294U (zh) 铝合金把手喷塑挂具
JP2019058300A (ja) 脚ゴムの取付構造、脚部材、支持フレーム、および浴槽台
KR20100021015A (ko)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
CN203821839U (zh) 建筑施工用整体式承台模板
KR20170003333U (ko) 낚시 좌대용 파라솔 지지 클램프
JP6503236B2 (ja) 手摺り装置
KR102243692B1 (ko) 침대프레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이중 결합체결 구조장치
CN214558592U (zh) 一种堆垛机载货台焊接夹具平台
CN206221452U (zh) 稳固立撑结构
CN217161525U (zh) 床架连接结构及升降床
CN213757104U (zh) 一种可拆卸桌架
CN201042284Y (zh) 组合式桌子支撑机构
CN106640887A (zh) 稳固立撑结构
CN215532942U (zh) 家具脚
RU82532U1 (ru) Опорная стойка мебели,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 высоте
CN219775468U (zh) 一种标准模块化天然气气瓶框架
KR20120026891A (ko) 체결공을 갖는 스탠드용 프레임 구조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