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532B1 - 다용도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532B1
KR102220532B1 KR1020190085321A KR20190085321A KR102220532B1 KR 102220532 B1 KR102220532 B1 KR 102220532B1 KR 1020190085321 A KR1020190085321 A KR 1020190085321A KR 20190085321 A KR20190085321 A KR 20190085321A KR 102220532 B1 KR102220532 B1 KR 10222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leg
upper plate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751A (ko
Inventor
강명훈
김계연
Original Assignee
강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훈 filed Critical 강명훈
Priority to KR102019008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5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2091/007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fixed by a tubular dowel sleeve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공(11)이 형성된 제1부재(10)와 상기 제1부재(10)에 대향배치되는 제2부재(20)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다용도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1)에 일측이 관통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에는 상기 제2부재(20)에 결합되는 고정부(311)가 구비된 본체부(310)와,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되 본체부(310)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거나 측면에 밀착되도록 회동하여 상기 체결공(11)의 외측에서 관통삽입되며 측방으로 벌어지도록 회동하여 상기 체결공(11)의 내측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복수 개의 회동걸림부(320) 및, 상기 본체부(310)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걸림부(320)가 외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1탄성부재(330)를 포함하는 체결구(300);를 포함하는 다용도 체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다용도 체결장치{MULTIPURPOSE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목적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과 지지다리와 같이 체결대상인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는 다용도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호 체결되어 이용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체결수단이 이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본딩결합 방식이나 나사체결방식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와 같이 제1부재(10)가 수평배치된 상판이고 제2부재(20)가 지지다리인 경우 제1부재(10)의 저면 둘레에 복수 개의 제2부재(20)가 체결되어 테이블 형상을 이룬다.
그러나, 본딩결합방식의 경우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나 조립된 후에는 분리가 제한되어 조립체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조립체 전체를 들어 올려야 하며 미사용시 보관을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나사체결방식의 경우 지지다리의 상단부와 상판의 하부면을 연속관통하는 다수 개의 나사를 회전결합시키게 되는데 견고한 내구성을 위해서는 다수 개의 나사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각 나사를 회전결합시키면서 조립 및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여러번 분리와 조립을 반복하게 되면 나사체결부위가 헐거워져 상판과 지지다리간의 유격이 발생하면서 내구성이 저하되고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6320호(2014.12.18), 신축 가능한 다리들을 구비한 테이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딩이나 체결나사의 이용없이도 체결대상인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으며, 원터치 체결이 가능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다용도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결장치는, 체결공(11)이 형성된 제1부재(10)와 상기 제1부재(10)에 대향배치되는 제2부재(20)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다용도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1)에 일측이 관통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에는 상기 제2부재(20)에 결합되는 고정부(311)가 구비된 본체부(310)와,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되 본체부(310)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거나 측면에 밀착되도록 회동하여 상기 체결공(11)의 외측에서 관통삽입되며 측방으로 벌어지도록 회동하여 상기 체결공(11)의 내측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복수 개의 회동걸림부(320) 및, 상기 본체부(310)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걸림부(320)가 외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1탄성부재(330)를 포함하는 체결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11)은 내부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형성된 각형(Square shap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310) 일측의 둘레면은 상기 체결공(11)의 내부둘레와 대응되는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310)는, 일측에 각 회동걸림부(320)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개구된 중공이 형성된 외부몸체(313) 및, 일측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311)가 구비된 내부몸체(314)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300)는, 내부몸체(314)를 중공의 내부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제2탄성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체결공(11)에 관통삽입된 본체부(310)를 삽입방향으로 잡아당기는데 이용되는 파지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313)의 측면에는 중공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측방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홈(315)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314)의 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딩홈(315)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10)는 수평배치되어 일정면적을 가지며 저면 둘레에는 상기 체결공(11)이 측방으로 개구된 브레이스(12)가 형성된 상판이고, 상기 제2부재(20)는 직립배치되어 제1부재(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는 지지다리이며, 상기 제1부재(10)의 저면에 고정장착되고 상판체결부(110)가 마련된 상판브라켓(100) 및,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리체결부(210)가 마련된 다리브라켓(200)을 포함하는 지지다리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는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상하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체결부(110) 및 다리체결부(21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111,211) 및,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상하 개구되어 상기 관통공(111,211)과 측방으로 연통되는 끼움공(112,212)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돌출되어 체결부의 끼움공(112,212)에 측방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편(113,213) 및, 상기 끼움편(113,213)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관통공(111,211)에 관통삽입되고 끼움공(112,212)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져 끼움공(112,212)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편(114,2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브라켓(100) 및 다리브라켓(200)은 재단된 철판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기 끼움편(113,213)은 상판체결부(110)나 다리체결부(210)의 몸체로부터 상하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편(114,214)은 끼움편(113,213)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다리돌출부(2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상판돌출부(1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면서 저면에는 상기 다리돌출부(250)와 상하로 치합되는 돌출부삽입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다리돌출부(250)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돌출부(250)를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상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돌출부삽입홈(151)에 하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삽입홈(151)을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체결부(110)는 상판브라켓(100)의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다리체결부(210)는 다리브라켓(200)의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은 측방으로 연통되면서 하나의 통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상을 가지며,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끼움편(113,213)은 상기 삼각형상의 외측변(117)과 대응되는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측방으로 갈수록 끼움공(112,212) 내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결장치에 의하면,
첫째, 본체부(310)는 제1부재(10)의 체결공(11)에 일측이 관통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에는 제2부재(20)에 결합되는 고정부(311)가 구비되며, 복수 개의 회동걸림부(320)는 본체부(310)의 일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되 본체부(310)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거나 측면에 밀착되도록 회동하여 상기 체결공(11)의 외측에서 관통삽입되며 측방으로 벌어지도록 회동하여 상기 체결공(11)의 내측 둘레에 걸림지지되고, 체결구(300)는 본체부(310)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걸림부(320)가 외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것과 같이, 본딩이나 체결나사의 이용없이도 체결대상인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를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둘째, 제2부재(20)에 고정부(31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체결공(11)에 관통삽입하는 것만으로 탄성에 의해 회동걸림부(320)가 접어졌다 펴지면서 체결공(11)의 내측 둘레에 걸림지지되어 체결상태를 고정시키고, 펼쳐진 각 회동걸림부(320)를 가압하여 접으면 분리가 가능한 것과 같이 원터치 체결이 가능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체결공(11)은 내부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형성된 각형(Square shap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310) 일측의 둘레면은 상기 체결공(11)의 내부둘레와 대응되는 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공(11)의 모서리와 본체부(310)의 모서리가 상호 걸림지지되어 체결공(11)에 삽입된 본체부(310)가 외부 가압에 의해 회동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본체부(310)는, 일측에 각 회동걸림부(320)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개구된 중공이 형성된 외부몸체(313) 및, 일측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311)가 구비된 내부몸체(314)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300)는, 내부몸체(314)를 중공의 내부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제2탄성부재(340)를 더 포함함으로써, 분리시 회동걸림부(320)를 접을 수 있는 회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체결공(11)이 형성된 부위의 두께가 상이한 다양한 규격의 제1부재(10)에 범용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다섯째,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체결공(11)에 관통삽입된 본체부(310)를 삽입방향으로 잡아당기는데 이용되는 파지부(312)가 형성됨으로써, 크기가 작은 본체부(31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외부몸체(313)의 측면에는 중공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측방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홈(315)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314)의 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딩홈(315)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16)가 형성됨으로써, 내부몸체(314)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동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내부몸체(314)가 외부로 인출된 정도나 인출가능한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제1부재(10)는 수평배치되어 일정면적을 가지며 저면 둘레에는 상기 체결공(11)이 측방으로 개구된 브레이스(12)가 형성된 상판이고, 상기 제2부재(20)는 직립배치되어 제1부재(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는 지지다리인 경우, 지지다리 연결구의 상판브라켓(100)은 상판(10)의 저면에 고정장착되고 상판체결부(110)가 마련되며, 다리브라켓(200)은 지지다리의 상단에 고정장착되고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리체결부(210)가 마련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는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상하로 고정시킴으로써, 볼트결합이나 본딩결합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하면서도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상판체결부(110) 및 다리체결부(21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111,211) 및,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상하 개구되어 상기 관통공(111,211)과 측방으로 연통되는 끼움공(112,212)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돌출되어 체결부의 끼움공(112,212)에 측방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편(113,213) 및, 상기 끼움편(113,213)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관통공(111,211)에 관통삽입되고 끼움공(112,212)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져 끼움공(112,212)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편(114,214)을 포함함으로써, 간소한 구조로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 간의 암수 끼움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아홉째, 상기 상판브라켓(100) 및 다리브라켓(200)은 재단된 철판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기 끼움편(113,213)은 상판체결부(110)나 다리체결부(210)의 몸체로부터 상하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편(114,214)은 끼움편(113,213)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각 브라켓(110,200)을 재단된 철판을 절곡성형하는 것만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의 제1부재(상판)과 제2부재(지지다리)가 상호 체결되면서 조립체(테이블)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판 형상의 제1부재와 지지다리 형상의 제2부재를 상호 체결시키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에 의해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상호 체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다리 연결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브라켓과 다리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브라켓과 다리브라켓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브라켓과 다리브라켓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체결장치는 본딩이나 체결나사의 이용없이도 체결공(11)이 형성된 제1부재(10)와 상기 제1부재(10)에 대향배치되는 제2부재(20)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다용도 체결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0), 복수 개의 회동걸림부(320) 및 제1탄성부재(330)를 포함하는 체결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10) 및 제2부재(2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판과 지지다리로 각각 이루어져 테이블 형태의 조립체로 체결될 수 있고, 침대판(제1부재)과 침대다리(제2부재), 장농몸체와 장농다리 등과 같이 다양한 가구 형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이 밖에 건축분야에서 실내 내장재(제1부재)를 벽(제2부재)에 장착하거나 타일을 벽에 부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실내마감재나 건축피조물에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부(310)는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체결공(11)에 일측이 관통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에는 상기 제2부재(20)에 결합되는 고정부(31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11)은 내부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형성된 각형(Square shap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310) 일측의 둘레면은 상기 체결공(11)의 내부둘레와 대응되는 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공(11)의 모서리와 본체부(310)의 모서리가 상호 걸림지지되어 체결공(11)에 삽입된 본체부(310)가 외부 가압에 의해 회동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형은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밖에 삼각형상, 오각형상, 육각형상 등의 다각형상이나 원주에 고깔이 부착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에 하나의 체결구(300)가 이용된 것이 예시되었으나 두 부재(10,20) 간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두개 이상의 체결구(300)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11)는 도면에서와 같이 나사산의 형태로 이루어져 제2부재(20)에 회전결합될 수 있고 이 밖에 걸림턱과 걸림홈의 조합된 고정수단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11)는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부재(20)에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부재(20)가 목재나 합성수지와 같이 상대적으로 무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의 내부에는 금속재질과 같이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심재(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311)는 제2부재(20)에 관통삽입되어 심재(21)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2부재(2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회동걸림부(320)는 본체부(310)가 체결공(11)에 관통삽입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기술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되 본체부(310)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거나 측면에 밀착되도록 회동하여 상기 체결공(11)의 외측에서 관통삽입되며 측방으로 벌어지도록 회동하여 상기 체결공(11)의 내측 둘레에 걸림지지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두 개의 회동걸림부(320)가 본체부(310)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각각 장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세 개 또는 네 개 이상의 회동걸림부(320)이 본체부(310) 상에 함께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회동걸림부(320)은 본체부(310)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어 균일한 지지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10) 상에서 각 회동걸림부(32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 회동걸림부(320)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통공(317)이 형성되어 회동걸림부(320)는 각 통공(317)에 삽입되도록 회동되어 본체부(310)의 표면과 나란한 상태로 접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330)는 회동걸림부(320)가 회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동시에 회동걸림부(320)가 체결공(11)의 둘레에 걸림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서, 본체부(310)에 장착되어 회동걸림부(320)가 외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가압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제1탄성부재(330)가 토션스프링 형태를 갖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 밖에 회동걸림부(320)과 제1탄성부재(330)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여 압축스프링이나 인장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체부(310), 회동걸림부(320) 및 체결구(30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본딩이나 체결나사의 이용없이도 체결대상인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부재(20)에 고정부(31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체결공(11)에 관통삽입하는 것만으로 탄성에 의해 회동걸림부(320)가 접어졌다 펴지면서 체결공(11)의 내측 둘레에 걸림지지되면서 체결상태를 고정시키고, 펼쳐진 각 회동걸림부(320)를 가압하여 접으면 분리가 가능한 것과 같이 원터치 체결이 가능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10)는, 일측에 각 회동걸림부(320)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개구된 중공이 형성된 외부몸체(313) 및, 일측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311)가 구비된 내부몸체(314)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300)는, 내부몸체(314)를 중공의 내부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제2탄성부재(340)를 더 포함함으로써, 분리시 회동걸림부(320)를 접을 수 있는 회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체결공(11)이 형성된 부위의 두께가 상이한 다양한 규격의 제1부재(10)에 범용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체결공(11)에 관통삽입된 본체부(310)를 삽입방향으로 잡아당기는데 이용되는 파지부(312)가 형성됨으로써, 크기가 작은 본체부(31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외부몸체(313)의 측면에는 중공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측방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홈(315)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314)의 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딩홈(315)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16)가 형성됨으로써, 내부몸체(314)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동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내부몸체(314)가 외부로 인출된 정도나 인출가능한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에 고정부(31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본체부(310)를 제1부재(10)의 체결공(11)으로 밀어 넣게 되면 제1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회동된 회동걸림부(320)는 체결공(11)의 외측 둘레에 의해 가압되면서 본체부(310)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거나 측면에 밀착되도록 회동하여 본체부(310)의 일측이 체결공(11)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10)의 일측에 장착된 회동걸림부(320)가 완전히 체결공(11)을 관통하게 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제1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접어진 회동걸림부(320)가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체결공(11)의 내측 둘레에 걸림지지되면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를 상호 체결시킬 수 있다.
반면에 분리시에는 체결공(11)의 내측으로 노출된 본체부(310)의 일단을 잡아당기면 제2탄성부재(340)가 늘어나면서 체결공(11)의 둘레에 밀착된 회동걸림부(320)를 접을 수 있는 회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회동걸림부(320)가 본체부(310)의 측면에 삽입되거나 밀착되도록 가압하면 체결공(11)에 걸림지지되는 부분이 없어 관통삽입된 본체부(310)를 체결공(11)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 간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0)는 수평배치되어 일정면적을 가지며 저면 둘레에는 상기 체결공(11)이 측방으로 개구된 브레이스(12)가 형성된 상판이고, 상기 제2부재(20)는 직립배치되어 제1부재(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는 지지다리인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체결장치는 체결구(300)를 보조하여 제1부재(10)와 제2부재(20) 간에 상하 고정력이 보강되도록 지지다리 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다리 연결구는 상판(10)에 장착된 상판브라켓(100)과 지지다리에 장착된 다리브라켓(200)이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원터치 체결이 가능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연결구로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상판(10)의 저면에 고정정착되고 다리브라켓(200)과의 체결을 위한 상판체결부(11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판브라켓(100)은 수평배치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판(10) 상에서 각 모서리 부위의 저면에 고정장착되거나 상판(1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저면에 고정장착된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상판브라켓(100)이 상판(10)에 나사결합되어 고정장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딩제를 이용하거나 끼움결합구조로도 고정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지지다리의 상단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리체결부(210)가 마련된다. 여기서 다리브라켓(200)은 수평배치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다리의 상단 상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지지다리에 나사결합되어 고정장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판브라켓(100)과 마찬가지로 본딩제나 끼움결하구조로 고정장착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은 조립체의 제조단계에서 상판(10)과 지지다리에 각각 고정장착된 상태로 생산된다.
더불어,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는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상하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판(10)에 지지다리를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결합이나 본딩결합없이 상판브라켓(100)의 상판체결부(110)에 다리브라켓(200)의 다리체결부(210)를 측방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맞물리게 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두 체결부(110,210)가 상호 끼움결합되면서 상하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브라켓(100)에는 수평배치된 몸체를 기준으로 테두리 부분에 상향 절곡된 지지부(116)가 형성되어 상판(10)의 저면에 장착된 상판브라켓(100)이 외부 가압에 의해 측방으로 유동되거나 장착된 체결상태가 약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판(10) 상에서 상기 지지부(116)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향 오목하게 함몰되어 지지부(116)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두 부재(10,100)간의 측방 고정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판브라켓(100) 및 다리브라켓(200)은 철판을 가공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 밖에 신주,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및 아크릴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판금, 주조, 사출 등 다양한 가공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체결부(110) 및 다리체결부(21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111,211) 및,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상하 개구되어 상기 관통공(111,211)과 측방으로 연통되는 끼움공(112,212)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돌출되어 체결부의 끼움공(112,212)에 측방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편(113,213) 및, 상기 끼움편(113,213)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관통공(111,211)에 관통삽입되고 끼움공(112,212)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져 끼움공(112,212)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편(114,214)을 포함함으로써, 간소한 구조로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 간의 암수 끼움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상판체결부(110)가 관통공(111,211)으로 이루어지고 다리체결부(210)가 끼움편(113,213)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판체결부(110)가 끼움편으로 이루어지고 다리체결부(210)가 관통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나의 브라켓에 복수 개의 체결부가 형성된 경우 하나의 체결부는 관통공의 형상을 갖고 다른 체결부는 끼움편의 형상을 갖는 복합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브라켓(100) 및 다리브라켓(200)은 재단된 철판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기 끼움편(113,213)은 상판체결부(110)나 다리체결부(210)의 몸체로부터 상하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편(114,214)은 끼움편(113,213)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각 브라켓(110,200)을 재단된 철판을 절곡성형하는 것만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다리돌출부(2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상판돌출부(1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면서 저면에는 상기 다리돌출부(250)와 상하로 치합되는 돌출부삽입홈(151)이 형성됨으로써, 각 브라켓(100,200)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결합시 측방으로 지지되는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다리돌출부(250)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돌출부(250)를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상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돌출부삽입홈(151)에 하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삽입홈(151)을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됨으로써, 강제압입에 따른 고정력으로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 간의 체결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체결부(110)는 상판브라켓(100)의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다리체결부(210)는 다리브라켓(200)의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은 측방으로 연통되면서 하나의 통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끼움편(113,213)은 상기 삼각형상의 외측변(117)과 대응되는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측방으로 갈수록 끼움공(112,212) 내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다리 연결구의 상판브라켓(100)은 상판(10)의 저면에 고정장착되고 상판체결부(110)가 마련되며, 다리브라켓(200)은 지지다리의 상단에 고정장착되고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리체결부(210)가 마련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는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상하로 고정시킴으로써, 볼트결합이나 본딩결합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하면서도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상판브라켓 110...상판체결부
120...삽입공 200...다리브라켓
210...다리체결부 220...승강바
300...체결구 310...본체부
311...고정부 313...외부몸체
314...내부몸체 315...슬라이딩홈
316...가이드돌기 320...회동걸림부
330...제1탄성부재 340...제2탄성부재
10...제1부재 11...체결공
12...브레이스 20...제2부재

Claims (8)

  1. 체결공(11)이 형성된 제1부재(10)와 상기 제1부재(10)에 대향배치되는 제2부재(20)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다용도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1)에 일측이 관통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에는 상기 제2부재(20)에 결합되는 고정부(311)가 구비된 본체부(310)와,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되 본체부(310)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거나 측면에 밀착되도록 회동하여 상기 체결공(11)의 외측에서 관통삽입되며 측방으로 벌어지도록 회동하여 상기 체결공(11)의 내측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복수 개의 회동걸림부(320) 및,
    상기 본체부(310)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걸림부(320)가 외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1탄성부재(330)를 포함하는 체결구(3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310)는, 일측에 각 회동걸림부(320)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개구된 중공이 형성된 외부몸체(313) 및, 일측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311)가 구비된 내부몸체(314)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300)는, 내부몸체(314)를 중공의 내부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제2탄성부재(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1)은 내부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형성된 각형(Square shap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310) 일측의 둘레면은 상기 체결공(11)의 내부둘레와 대응되는 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체결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체결공(11)에 관통삽입된 본체부(310)를 삽입방향으로 잡아당기는데 이용되는 파지부(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체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313)의 측면에는 중공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측방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홈(315)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314)의 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딩홈(315)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체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0)는 수평배치되어 일정면적을 가지며 저면 둘레에는 상기 체결공(11)이 측방으로 개구된 브레이스(12)가 형성된 상판이고,
    상기 제2부재(20)는 직립배치되어 제1부재(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는 지지다리이며,
    상기 제1부재(10)의 저면에 고정장착되고 상판체결부(110)가 마련된 상판브라켓(100) 및,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리체결부(210)가 마련된 다리브라켓(200)을 포함하는 지지다리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는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상하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체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판체결부(110) 및 다리체결부(21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111,211) 및,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상하 개구되어 상기 관통공(111,211)과 측방으로 연통되는 끼움공(112,212)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돌출되어 체결부의 끼움공(112,212)에 측방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편(113,213) 및, 상기 끼움편(113,213)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관통공(111,211)에 관통삽입되고 끼움공(112,212)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져 끼움공(112,212)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편(114,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체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판브라켓(100) 및 다리브라켓(200)은 재단된 철판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기 끼움편(113,213)은 상판체결부(110)나 다리체결부(210)의 몸체로부터 상하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편(114,214)은 끼움편(113,213)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체결장치.
KR1020190085321A 2019-07-15 2019-07-15 다용도 체결장치 KR10222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321A KR102220532B1 (ko) 2019-07-15 2019-07-15 다용도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321A KR102220532B1 (ko) 2019-07-15 2019-07-15 다용도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51A KR20210008751A (ko) 2021-01-25
KR102220532B1 true KR102220532B1 (ko) 2021-02-24

Family

ID=7423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321A KR102220532B1 (ko) 2019-07-15 2019-07-15 다용도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5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75Y2 (ja) * 1977-12-26 1985-01-30 株式会社伊藤喜工作所 止め具
KR20090003981U (ko) * 2007-10-25 2009-04-29 주식회사 세연 파티션용 패널 고정클립
KR20140006320U (ko) 2013-06-10 2014-12-18 안후이 후이닝 일렉트릭 앤드 매셔링 어플라이언스 컴퍼니 리미티드 신축 가능한 다리들을 구비한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51A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3699B2 (en) Safety gate
US8561550B2 (en) Deck ledge table
US10806246B1 (en) Retainers and foldable table having same
US9044100B1 (en) Bed frame
US20130002112A1 (en) Detachable cabinet with multiple functions
KR102220532B1 (ko) 다용도 체결장치
GB2490297A (en) Conveniently removable toilet cover board connection device
GB2441966A (en) Furniture support with detachable legs
KR101148129B1 (ko)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83429Y1 (ko) 캠핑용 테이블
KR200432809Y1 (ko)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0696936B1 (ko) 장식장 겸용 테이블
KR101742202B1 (ko) 개선된 트레이 결합구조를 갖는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KR102220557B1 (ko)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KR101004917B1 (ko) 탁자용 접철식 프레임
KR20160022076A (ko) 양방향 연동승강식 가구 받침다리
KR101244518B1 (ko) 서랍용 측면패널 고정장치
KR102072034B1 (ko) 침대
KR101854151B1 (ko) 선반 고정 장치
CN218484077U (zh) 活动柜和组合家具
CN218791405U (zh) 带有茶几的沙发
CN211925194U (zh) 用于显示器的落地式底座
US6471168B1 (en) Modular table leg assembly
KR2004182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76491B1 (ko) 낚시용 좌대의 다리 조립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