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557B1 -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557B1
KR102220557B1 KR1020190066632A KR20190066632A KR102220557B1 KR 102220557 B1 KR102220557 B1 KR 102220557B1 KR 1020190066632 A KR1020190066632 A KR 1020190066632A KR 20190066632 A KR20190066632 A KR 20190066632A KR 102220557 B1 KR102220557 B1 KR 10222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upper plate
bracket
fastening part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008A (ko
Inventor
강명훈
김계연
Original Assignee
강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훈 filed Critical 강명훈
Priority to KR102019006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55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1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manually actuated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10)에 지지다리(20)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데 이용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고정장착되고 상판체결부(110)가 마련된 상판브라켓(100); 및 상기 지지다리(20)의 상단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리체결부(210)가 마련된 다리브라켓(200);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는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상하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CONNECTOR FOR ASSEMBLING UPPER PLATE AND SUPPORT LEG}
본 발명은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배치되는 상판에 지지다리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데 이용하며, 체결방식이 간결하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분야나 건축분야에서는 식탁이나 테이블과 같이 수평배치되어 일정면적을 갖는 상판과 이 상판의 각 모서리에 직립되게 장착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로 이루어진 조립체가 있다. 이러한 조립체의 내구성은 상판과 지지다리간의 체결력으로 좌우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본딩결합방식이나 나사체결방식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딩결합방식의 경우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나 조립된 후에는 분리가 제한되어 조립체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조립체 전체를 들어 올려야 하며 미사용시 보관을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나사체결방식의 경우 지지다리의 상단부와 상판의 하부면을 연속관통하는 다수 개의 나사를 회전결합시키게 되는데 견고한 내구성을 위해서는 다수 개의 나사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각 나사를 회전결합시키면서 조립 및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여러번 분리와 조립을 반복하게 되면 나사체결부위가 헐거워져 상판과 지지다리간의 유격이 발생하면서 내구성이 저하되고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6320호(2014.12.18), 신축 가능한 다리들을 구비한 테이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에 장착된 상판브라켓과 다리에 장착된 다리브라켓이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원터치 체결이 가능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는, 상판(10)에 지지다리(20)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고정장착되고 상판체결부(110)가 마련된 상판브라켓(100); 및 상기 지지다리(20)의 상단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리체결부(210)가 마련된 다리브라켓(200);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는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상하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브라켓(100)에는 상하로 개구된 삽입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직립배치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승강동작하면서 상판(221)이 상기 삽입공(120)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측방으로 고정시키는 승강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바(220)의 둘레에는 록킹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상기 승강바(2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커버하는 덮개부(241)와, 상기 덮개부(241) 내면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바(220)를 하향 가압하는 탄성스프링(242)과, 상기 승강바(220)의 둘레에 관통삽입되며 상기 덮개부(241)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43)에 지지되어 측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상기 록킹홈(222)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바(220)의 승강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판(244) 및, 상기 덮개부(241) 상에서 슬라이딩판(244)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외부가압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슬라이딩판(244)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록킹홈(222)에 삽입된 슬라이딩판(244)을 분리시키는 조작버튼(2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체결부(110) 및 다리체결부(21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111,211) 및,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상하 개구되어 상기 관통공(111,211)과 측방으로 연통되는 끼움공(112,212)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돌출되어 체결부의 끼움공(112,212)에 측방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편(113,213) 및, 상기 끼움편(113,213)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관통공(111,211)에 관통삽입되고 끼움공(112,212)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져 끼움공(112,212)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편(114,2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브라켓(100) 및 다리브라켓(200)은 재단된 철판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기 끼움편(113,213)은 상판체결부(110)나 다리체결부(210)의 몸체로부터 상하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편(114,214)은 끼움편(113,213)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다리돌출부(2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상판돌출부(1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면서 저면에는 상기 다리돌출부(250)와 상하로 치합되는 돌출부삽입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다리돌출부(250)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돌출부(250)를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상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돌출부삽입홈(151)에 하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삽입홈(151)을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체결부(110)는 상판브라켓(100)의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다리체결부(210)는 다리브라켓(200)의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은 측방으로 연통되면서 하나의 통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상을 가지며,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끼움편(113,213)은 상기 삼각형상의 외측변(117)과 대응되는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측방으로 갈수록 끼움공(112,212) 내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에 의하면,
첫째, 상판브라켓(100)은 상판(10)의 저면에 고정장착되고 상판체결부(110)가 마련되며, 다리브라켓(200)은 지지다리(20)의 상단에 고정장착되고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리체결부(210)가 마련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는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상하로 고정시킴으로써, 볼트결합이나 본딩결합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하면서도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상판브라켓(100)에는 상하로 개구된 삽입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직립배치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승강동작하면서 상판(10)이 상기 삽입공(120)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측방으로 고정시키는 승강바(220)를 포함함으로써,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 간의 체결방향으로 외부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 간의 암수 끼움결합구조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승강바(220)의 둘레에는 록킹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상기 승강바(2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커버하는 덮개부(241)와, 상기 덮개부(241) 내면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바(220)를 하향 가압하는 탄성스프링(242)과, 상기 승강바(220)의 둘레에 관통삽입되며 상기 덮개부(241)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43)에 지지되어 측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상기 록킹홈(222)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바(220)의 승강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판(244) 및, 상기 덮개부(241) 상에서 슬라이딩판(244)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외부가압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슬라이딩판(244)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록킹홈(222)에 삽입된 슬라이딩판(244)을 분리시키는 조작버튼(245)을 더 포함함으로써, 삽입공(120)에 삽입된 승강바(220)의 승강된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버튼 조작만으로 승강된 승강바(220)를 용이하게 하강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상판체결부(110) 및 다리체결부(21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111,211) 및,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상하 개구되어 상기 관통공(111,211)과 측방으로 연통되는 끼움공(112,212)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돌출되어 체결부의 끼움공(112,212)에 측방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편(113,213) 및, 상기 끼움편(113,213)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관통공(111,211)에 관통삽입되고 끼움공(112,212)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져 끼움공(112,212)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편(114,214)을 포함함으로써, 간소한 구조로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 간의 암수 끼움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상판브라켓(100) 및 다리브라켓(200)은 재단된 철판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기 끼움편(113,213)은 상판체결부(110)나 다리체결부(210)의 몸체로부터 상하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편(114,214)은 끼움편(113,213)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각 브라켓(110,200)을 재단된 철판을 절곡성형하는 것만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여섯째,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다리돌출부(2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상판돌출부(1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면서 저면에는 상기 다리돌출부(250)와 상하로 치합되는 돌출부삽입홈(151)이 형성됨으로써, 각 브라켓(100,200)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결합시 측방으로 지지되는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일곱째,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다리돌출부(250)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돌출부(250)를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상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돌출부삽입홈(151)에 하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삽입홈(151)을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됨으로써, 강제압입에 따른 고정력으로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 간의 체결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에 의해 상판과 다리가 상호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브라켓과 다리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브라켓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바가 버튼 조작식으로 승강하는 구성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브라켓과 다리브라켓이 상호 로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브라켓과 다리브라켓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상판브라켓과 다리브라켓이 상호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브라켓과 다리브라켓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상판브라켓과 다리브라켓이 상호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1)는 상판(10)에 장착된 상판브라켓(100)과 지지다리(20)에 장착된 다리브라켓(200)이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원터치 체결이 가능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연결구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포함한다.
먼저, 상판브라켓(100)은 상판(10)의 저면에 고정정착되고 다리브라켓(200)과의 체결을 위한 상판체결부(11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판브라켓(100)은 수평배치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판(10) 상에서 각 모서리 부위의 저면에 고정장착되거나 상판(1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저면에 고정장착된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상판브라켓(100)이 상판(10)에 나사결합되어 고정장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딩제를 이용하거나 끼움결합구조로도 고정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지지다리(20)의 상단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리체결부(210)가 마련된다. 여기서 다리브라켓(200)은 수평배치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다리(20)의 상단 상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지지다리(20)에 나사결합되어 고정장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판브라켓(100)과 마찬가지로 본딩제나 끼움결하구조로 고정장착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은 조립체의 제조단계에서 상판(10)과 지지다리(20)에 각각 고정장착된 상태로 생산된다.
더불어,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는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상하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판(10)에 지지다리(20)를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결합이나 본딩결합없이 상판브라켓(100)의 상판체결부(110)에 다리브라켓(200)의 다리체결부(210)를 측방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맞물리게 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두 체결부(110,210)가 상호 끼움결합되면서 상하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브라켓(100)에는 수평배치된 몸체를 기준으로 테두리 부분에 상향 절곡된 지지부(116)가 형성되어 상판(10)의 저면에 장착된 상판브라켓(100)이 외부 가압에 의해 측방으로 유동되거나 장착된 체결상태가 약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판(10) 상에서 상기 지지부(116)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향 오목하게 함몰되어 지지부(116)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두 부재(10,100)간의 측방 고정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판브라켓(100) 및 다리브라켓(200)은 철판을 가공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 밖에 신주,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및 아크릴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판금, 주조, 사출 등 다양한 가공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판브라켓(100)와 다리브라켓(200)의 체결방법에 있어 하부보강대 등의 좌,우 브레이스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외부로 측방돌출되는 부재가 없어 조립체의 사용간에 신체(특히 대퇴부)과의 마찰이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은 측방으로 끼움결합되면서 상하 고정력만이 발생되기 때문에 두 브라켓(100,200) 간의 결합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거나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두 브라켓(100,200)간의 결합상태가 약해지거나 심한 경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상판브라켓(100)에는 상하로 개구된 삽입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직립배치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승강동작하면서 상판(10)이 상기 삽입공(120)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측방으로 고정시키는 승강바(220)를 포함함으로써,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 간의 체결방향으로 외부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 간의 암수 끼움결합구조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바(220)의 일측 둘레에는 록킹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상기 승강바(2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커버하는 덮개부(241)와, 상기 덮개부(241) 내면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바(220)를 하향 가압하는 탄성스프링(242)과, 상기 승강바(220)의 둘레에 관통삽입되며 상기 덮개부(241)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43)에 지지되어 측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상기 록킹홈(222)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바(220)의 승강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판(244) 및, 상기 덮개부(241) 상에서 슬라이딩판(244)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외부가압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슬라이딩판(244)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록킹홈(222)에 삽입된 슬라이딩판(244)을 분리시키는 조작버튼(24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판(244)은 내부에 수평배치된 버튼스프링(247)에 의해 조작버튼(245)이 눌리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힘을 받는다.
따라서,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에 의해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이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도 6의 (a)와 같이 탄성스프링(242)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하강한 승강바(220)를 사용자가 상향 가압하게 되면 도 6의 (b)와 같이 승강바(220)의 상단이 덮개부(241)의 상부에 개구된 상부 관통공(248a)을 관통하여 상판브라켓(100)의 삽입공(120)에 삽입되면서 삽입공(120)의 내경에 의해 승강바(220)의 외주면이 지지되면서 측방으로의 고정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승강바(220)가 상승하는 중에 슬라이딩판(244)이 버튼스프링(247)의 탄성에 의해 측방 가압되면서 승강바(220)의 록킹홈(222)에 삽입되면서 승강바(220)의 상승한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반면에, 도 6의 (b)와 같이 승강바(220)가 상승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버튼(245)을 누르게 되면 버튼스프링(247)이 압축되면서 록킹홈(222)에 삽입된 슬라이딩판(244)이 분리되어 승강바(22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242)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바(220)가 하강하게 되면서 도 6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면에는 상기 삽입공(120)은 원형상으로 개구되고 승강바(220)는 삽입공(120)의 내경과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공(120)과 승강바(220)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체결부(110) 및 다리체결부(21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111,211) 및,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상하 개구되어 상기 관통공(111,211)과 측방으로 연통되는 끼움공(112,212)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돌출되어 체결부의 끼움공(112,212)에 측방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편(113,213) 및, 상기 끼움편(113,213)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관통공(111,211)에 관통삽입되고 끼움공(112,212)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져 끼움공(112,212)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편(114,214)을 포함함으로써, 간소한 구조로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 간의 암수 끼움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상판체결부(110)가 관통공(111,211)으로 이루어지고 다리체결부(210)가 끼움편(113,213)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판체결부(110)가 끼움편으로 이루어지고 다리체결부(210)가 관통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나의 브라켓에 복수 개의 체결부가 형성된 경우 하나의 체결부는 관통공의 형상을 갖고 다른 체결부는 끼움편의 형상을 갖는 복합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브라켓(100) 및 다리브라켓(200)은 재단된 철판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기 끼움편(113,213)은 상판체결부(110)나 다리체결부(210)의 몸체로부터 상하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편(114,214)은 끼움편(113,213)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각 브라켓(110,200)을 재단된 철판을 절곡성형하는 것만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다리돌출부(2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상판돌출부(1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면서 저면에는 상기 다리돌출부(250)와 상하로 치합되는 돌출부삽입홈(151)이 형성됨으로써, 각 브라켓(100,200)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결합시 측방으로 지지되는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다리돌출부(250)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돌출부(250)를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상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돌출부삽입홈(151)에 하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삽입홈(151)을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됨으로써, 강제압입에 따른 고정력으로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 간의 체결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체결부(110)는 상판브라켓(100)의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다리체결부(210)는 다리브라켓(200)의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은 측방으로 연통되면서 하나의 통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끼움편(113,213)은 상기 삼각형상의 외측변(117)과 대응되는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측방으로 갈수록 끼움공(112,212) 내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100... 상판브라켓 110...상판체결부
120...삽입공 200...다리브라켓
210...다리체결부 220...승강바
10...상판 20...다리

Claims (8)

  1. 상판(10)에 지지다리(20)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데 이용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고정장착되고 상판체결부(110)가 마련된 상판브라켓(100); 및
    상기 지지다리(20)의 상단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리체결부(210)가 마련된 다리브라켓(20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체결부(110)와 다리체결부(210)는 측방으로 맞물리는 암수 끼움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상하로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판브라켓(100)에는 상하로 개구된 삽입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직립배치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승강동작하면서 상판(221)이 상기 삽입공(120)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상판브라켓(100)과 다리브라켓(200)을 측방으로 고정시키는 승강바(22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바(220)의 둘레에는 록킹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상기 승강바(2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커버하는 덮개부(241)와,
    상기 덮개부(241) 내면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바(220)를 하향 가압하는 탄성스프링(242)과,
    상기 승강바(220)의 둘레에 관통삽입되며 상기 덮개부(241)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43)에 지지되어 측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상기 록킹홈(222)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바(220)의 승강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판(244) 및,
    상기 덮개부(241) 상에서 슬라이딩판(244)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외부가압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슬라이딩판(244)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록킹홈(222)에 삽입된 슬라이딩판(244)을 분리시키는 조작버튼(2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체결부(110) 및 다리체결부(21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111,211) 및,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상하 개구되어 상기 관통공(111,211)과 측방으로 연통되는 끼움공(112,212)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체결부는 상하로 돌출되어 체결부의 끼움공(112,212)에 측방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편(113,213) 및, 상기 끼움편(113,213)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1,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관통공(111,211)에 관통삽입되고 끼움공(112,212)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져 끼움공(112,212) 둘레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편(114,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판브라켓(100) 및 다리브라켓(200)은 재단된 철판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기 끼움편(113,213)은 상판체결부(110)나 다리체결부(210)의 몸체로부터 상하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편(114,214)은 끼움편(113,213)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다리돌출부(2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중앙에 길이방향(L)을 따라 상향 오목하게 융기된 상판돌출부(150)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되면서 저면에는 상기 다리돌출부(250)와 상하로 치합되는 돌출부삽입홈(1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리브라켓(200)은 다리돌출부(250)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돌출부(250)를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상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다리체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브라켓(100)은 돌출부삽입홈(151)에 하향 돌출된 끼움편(113,213)과 걸림편(114,214)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삽입홈(151)을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으로 이루어진 상판체결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판체결부(110)는 상판브라켓(100)의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다리체결부(210)는 다리브라켓(200)의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111,211)과 끼움공(112,212)은 측방으로 연통되면서 하나의 통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상을 가지며,
    양측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끼움편(113,213)은 상기 삼각형상의 외측변(117)과 대응되는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측방으로 갈수록 끼움공(112,212) 내에 가압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KR1020190066632A 2019-06-05 2019-06-05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KR10222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632A KR102220557B1 (ko) 2019-06-05 2019-06-05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632A KR102220557B1 (ko) 2019-06-05 2019-06-05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008A KR20200140008A (ko) 2020-12-15
KR102220557B1 true KR102220557B1 (ko) 2021-02-24

Family

ID=7378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632A KR102220557B1 (ko) 2019-06-05 2019-06-05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5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158Y1 (ko) * 1999-12-04 2000-04-15 유문수 가구용 다리결합구
JP2002061615A (ja) * 2000-08-22 2002-02-28 Sunrise Kinzoku Kogyo Kk テーブル脚等の取り付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3193B2 (ja) * 1993-12-07 1998-03-30 高橋金物株式会社 ジョイント金具
KR20140006320U (ko) 2013-06-10 2014-12-18 안후이 후이닝 일렉트릭 앤드 매셔링 어플라이언스 컴퍼니 리미티드 신축 가능한 다리들을 구비한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158Y1 (ko) * 1999-12-04 2000-04-15 유문수 가구용 다리결합구
JP2002061615A (ja) * 2000-08-22 2002-02-28 Sunrise Kinzoku Kogyo Kk テーブル脚等の取り付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008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US7314252B2 (en) Chair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egs
US6006679A (en) Table assembly
KR102220557B1 (ko)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EP1969969B1 (en) Furniture
EP1815085B1 (en)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floor assembly
US4041881A (en) Furniture article
KR10091545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JP5971760B2 (ja) 支柱継手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平台
CN208755270U (zh) 一种升降办公桌
KR101208341B1 (ko) 다리 연결구를 갖는 테이블
KR102220532B1 (ko) 다용도 체결장치
CN209807656U (zh) 一种分体式调整脚及采用分体式调整脚的踢脚板组件
KR200475787Y1 (ko) 조립식 가구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JP5504520B2 (ja) 支持脚伸縮コタツ
KR101348225B1 (ko) 가구용 모서리 연결구
KR200473975Y1 (ko) 가구용 받침다리
CN215741714U (zh) 组合式斜坡装置
KR101785905B1 (ko) 프레임 결합 구조
CN209799855U (zh) 安全可靠脚皿
CN211285847U (zh) 一种快装螺母的辅助安装结构
KR200473767Y1 (ko) 가구 다리용 탄성 마감캡
CN218791405U (zh) 带有茶几的沙发
CN212590921U (zh) 一种桌腿及桌面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