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078Y1 -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 - Google Patents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078Y1
KR200468078Y1 KR2020130004490U KR20130004490U KR200468078Y1 KR 200468078 Y1 KR200468078 Y1 KR 200468078Y1 KR 2020130004490 U KR2020130004490 U KR 2020130004490U KR 20130004490 U KR20130004490 U KR 20130004490U KR 200468078 Y1 KR200468078 Y1 KR 200468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
protrusion
cas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이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수 filed Critical 이민수
Priority to KR2020130004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0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0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47B2200/0029Desks with inversed T-le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02Mechanical means to move furniture easily, e.g. air cush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4Elastic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이나 컴퓨터 책상 및 기타 다양한 공간 테이블에 모두 적용되어 안정된 지지를 달성하면서도, 이동이 편리하여 사무실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이사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실질적으로 테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다리를 형성하고, 이와는 동일 평면상이지만 지지하는 위치를 달리하는 별도의 케이터프레임을 형성하여, 하중을 지지할 때에는 다리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를 이용하고, 이동을 위해서는 테이블패널의 일측을 살짝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지지다리의 지지를 해체하고, 케스터만의 지지를 달성하여 지그시 밀어주는 작동으로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이동시키기 유리하도록 한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A transferable and balanced table}
본 고안은 테이블이나 컴퓨터 책상 및 기타 다양한 공간 테이블에 모두 적용되어 안정된 지지를 달성하면서도, 이동이 편리하여 사무실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이사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실질적으로 테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다리를 형성하고, 이와는 동일 평면상이지만 지지하는 위치를 달리하는 별도의 케이터프레임을 형성하여, 하중을 지지할 때에는 다리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를 이용하고, 이동을 위해서는 테이블패널의 일측을 살짝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지지다리의 지지를 해체하고, 케스터만의 지지를 달성하여 지그시 밀어주는 작동으로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이동시키기 유리하도록 한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이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된다. 회의를 위한 테이블, 식탁으로 활용되는 테이블, 컴퓨터를 안착시키도록 하는 컴퓨터 테이블 등 아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테이블은 그 용도에 따라서 아주 다양하게 형성되는데, 우선 식탁으로 사용되는 테이블은 가정에서는 이동성이 없어서 항상 고정된 그 위치를 고수한다. 이에 반하여 회사에서 사용하는 회의 테이블이나 협상 테이블의 경우 이동성이 반드시 필요하기에 그 다리에 케스터를 달아 이리 저리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다른 실시 형태로는 만일 컴퓨터를 안착시키는 테이블이나 일정한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서 테이블의 경우는 장소에 따라서 이동성도 필요하고, 고정된 위치를 확보하는 형태도 필요하기도 하다.
테이블이란 아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장소적인 위치와 그 사용의 방식에 따라 고정을 위한 테이블과 이동성을 살린테이블을 별도로 제작해야 함은 제작자에게 항상 번거로운 작업을 남긴다. 대량생산을 위해서도 이러한 점은 재고되야 할 부분이었다.
실례로 종래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20-319398호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를 통해서 고정을 위한 테이블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도시된 도 8에서처럼, 이 건 고안은 각종 가구의 상판 하부에 이들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다리가 결합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구의 상판(50) 하부 일측에 고정되고, 그 중앙부에는 나사공(66)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60)이 있고, 상기 다리(70)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72)을 통과하여 상기 나사공(66)에 체결되는 조임부재(80)를 가진다. 따라서 조임부재를 통해서 가구의 상판과 다리가 견고히 체결되어 안정된 지지를 하는 형태이다.
실질적으로 안정된 지지를 달성할 수 있었지만, 이동성을 살릴 수는 없었던 테이블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고안은 테이블이나 컴퓨터 책상 및 기타 다양한 공간 테이블에 모두 적용되어 안정된 지지를 달성하면서도, 이동이 편리하여 사무실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이사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실질적으로 테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다리를 형성하고, 이와는 동일 평면상이지만 지지하는 위치를 달리하는 별도의 케이터프레임을 형성하여, 하중을 지지할 때에는 다리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를 이용하고, 이동을 위해서는 테이블패널의 일측을 살짝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지지다리의 지지를 해체하고, 케스터만의 지지를 달성하여 지그시 밀어주는 작동으로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이동시키기 유리하도록 한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은, 일측이 긴 장형으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블패널(10); 상기 테이블패널(10)에 체결되도록 최 상단에 플레이트 형상의 플렌지부(21)를 가지고 플렌지부(21)의 모서리 부분에 다수의 체결공(22)이 형성되어, 하단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연장되는 다리프레임(20); 상기 다리프레임(20)의 내부가 빈 공간부(23)에 그 공간부(23)의 내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과 형상을 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부(31)와 끼움부(31)의 하단으로 상기 다리프레임(20)의 외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다리프레임(20)의 하단 빈공간을 채워주는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하단 중심부분에서 원형으로 돌출되어 일정한 길이까지 연장된 가이더기둥(33)과, 상기 가이더기둥(33)의 끝단부분에서 외형을 확대한 형태로 라운드진 돌기부를 형성한 걸림돌기부(34)와 상기 가이더기둥(33)의 지름에 비하여 넓은 형태로 몸체(32)의 하단에 원형의 형태로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는 탄성스프링 끼움돌기(35) 및 상기 가이더기둥(33)의 하단 중심부분에서 상부로 수직된 방향으로 관통된 체결스크류공(36)을 가진 프레임블럭(30); 평면의 형상이 "T"자 형상으로 중심부분의 다리지지부(41)와 양끝단의 케스터지지부(42)로 이루어진 케스터 프레임바디(43)를 가지고, 상기 케스터지지부(42)의 하단으로 고정되는 쌍의 케스터(44)와, 상기 다리지지부(41)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한 삽입공(45)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45)은 프레임블럭(30) 몸체(32)와 다리프레임(2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다리프레임(20)의 외형이 밀착되는 내주면(46)을 가지며, 프레임바디(43)의 저면에서 상기 삽입공(45)의 중심부분에서 상부를 향하여 원형의 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체결돌기(47)와,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의 중심부분을 관통한 연통공(48) 및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의 외곽으로 가이드체결돌기(47)의 지름에 비하여 넓은 원형의 형태로 일정한 두께로 저면에서 돌출되는 탄성스프링(50) 대응끼움돌기(49)를 가진 케스터프레임(40); 상기 케스터프레임(40)의 연통공(48)을 하단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프레임블럭(30)의 체결스크류공(36)에 스크류 체결되도록 수직된 스크류(61)를 가지고, 하단으로 상협하광의 원뿔형태로 결합된 고무재질의 지지체(62)로 이루어진 지지다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다리프레임(20)은 그 플렌지부(21)를 통해서 테이블패널(10)의 하단에 좌, 우 양쪽으로 스크류체결되고, 다리프레임(20)의 하단은 프레임블럭(30)이 끼워진 상태로 케스터프레임(40)의 삽입공(45)에 끼워져 상하연동결합(A)을 달성하는 가이더기둥(33)이 가이드체결돌기(47)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탄성스프링(50) 끼움돌기(35)와 대응끼움돌기(49)에 끼워진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의 높이(h) 사이를 다리프레임(20)이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견고한 체결을 달성하며; 상기 지지다리(60)가 케스터프레임(40)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테이블패널(1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전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테이블패널(10)의 일측을 들어올리면, "T"자형으로 형성되는 케스터프레임(40)은 쌍의 케스터(44)가 지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테이블패널(10)을 지그시 밀어주는 작동만으로 테이블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에 따른, 상하연동결합(A)은, 프레임블럭(30)의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하단 중심부분에서 원형으로 돌출되어 일정한 길이까지 연장된 가이더기둥(33)과;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바디(43)의 저면 상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원형의 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체결돌기(47)가; 끼워질 때, 가이더기둥(33)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부(34)가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부(56)를 가진 가이드체결돌기(47)의 끝단끼움고리(57)에 걸려 빠지지 않는 결합을 하여, 다리프레임(20)은 가이드체결돌기(47)의 높이(h)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스프링 끼움돌기(35)와 대응끼움돌기(49)에 끼워진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항상 그 인장력이 다리프레임(20)를 들어올려 테이블패널(10)의 하중을 줄여주어 이동을 용이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어느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는 테이블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그 지지다리를 통해서 안정되고 견고한 지지를 달성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된 상태로 일정한 기간 사용하다가 이 테이블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테이블패널의 일측을 살짝 들어주는 작동을 통해서 케스터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된 쌍의 케스터만 지면과 면접하도록 케스터프레임의 형태를 "T"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이동성을 살렸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동성과 고정성이란 서로 합치될 수 없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서 가이더기둥과 가이드체결돌기간의 연동가능한 상하연동결합을 달성하여 기능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테이블 일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리프레임과 케스터프레임간의 긴밀한 결합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전체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리프레임과 케스터프레임간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리프레임과 케스터프레임간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상하연동결합의 작동의 방식을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테이블패널의 일측을 들어올려 이동성을 살리는 작동의 방식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종래 실용신안등록된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실시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고정된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과 그 테이블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성을 살린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과 그 작동의 방식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시된 것처럼, 일측이 긴 장형으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블패널(10)이 있고, 상기 테이블패널(10)에 체결되도록 최 상단에 플레이트 형상의 플렌지부(21)를 가지고 플렌지부(21)의 모서리 부분에 다수의 체결공(22)이 형성되어, 하단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연장되는 다리프레임(20)이 있으며, 상기 다리프레임(20)의 내부가 빈 공간부(23)에 그 공간부(23)의 내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과 형상을 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부(31)와 끼움부(31)의 하단으로 상기 다리프레임(20)의 외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다리프레임(20)의 하단 빈공간을 채워주는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하단 중심부분에서 원형으로 돌출되어 일정한 길이까지 연장된 가이더기둥(33)과, 상기 가이더기둥(33)의 끝단부분에서 외형을 확대한 형태로 라운드진 돌기부를 형성한 걸림돌기부(34)와 상기 가이더기둥(33)의 지름에 비하여 넓은 형태로 몸체(32)의 하단에 원형의 형태로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는 탄성스프링 끼움돌기(35) 및 상기 가이더기둥(33)의 하단 중심부분에서 상부로 수직된 방향으로 관통된 체결스크류공(36)을 가진 프레임블럭(30)이 있다. 또한 평면의 형상이 "T"자 형상으로 중심부분의 다리지지부(41)와 양끝단의 케스터지지부(42)로 이루어진 케스터 프레임바디(43)를 가지고, 상기 케스터지지부(42)의 하단으로 고정되는 쌍의 케스터(44)와, 상기 다리지지부(41)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한 삽입공(45)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45)은 프레임블럭(30) 몸체(32)와 다리프레임(2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다리프레임(20)의 외형이 밀착되는 내주면(46)을 가지며, 프레임바디(43)의 저면에서 상기 삽입공(45)의 중심부분에서 상부를 향하여 원형의 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체결돌기(47)와,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의 중심부분을 관통한 연통공(48) 및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의 외곽으로 가이드체결돌기(47)의 지름에 비하여 넓은 원형의 형태로 일정한 두께로 저면에서 돌출되는 탄성스프링(50) 대응끼움돌기(49)를 가진 케스터프레임(40)이 있고, 상기 케스터프레임(40)의 연통공(48)을 하단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프레임블럭(30)의 체결스크류공(36)에 스크류 체결되도록 수직된 스크류(61)를 가지고, 하단으로 상협하광의 원뿔형태로 결합된 고무재질의 지지체(62)로 이루어진 지지다리(60)를 포함하여 테이블로 실시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다리프레임(20)은 그 플렌지부(21)를 통해서 테이블패널(10)의 하단에 좌, 우 양쪽으로 스크류체결되고, 다리프레임(20)의 하단은 프레임블럭(30)이 끼워진 상태로 케스터프레임(40)의 삽입공(45)에 끼워져 상하연동결합(A)을 달성하는 가이더기둥(33)이 가이드체결돌기(47)에 끼워져 결합할 때, 상기 탄성스프링(50) 끼움돌기(35)와 대응끼움돌기(49)에 끼워진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의 높이(h) 사이를 다리프레임(20)이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견고한 체결을 달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다리(60)가 케스터프레임(40)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테이블패널(1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전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테이블패널(10)의 일측을 들어올리면, "T"자형으로 형성되는 케스터프레임(40)은 쌍의 케스터(44)가 지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테이블패널(10)을 지그시 밀어주는 작동만으로 테이블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은 테이블의 사용을 위한 가장 고려되어야할 고정성과 그 이동성을 동시에 살렸다. 사용자가 일정한 공간에 테이블을 비치하고, 그 비치된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며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반하여 고정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사용하다가 바로 옆의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질적으로 이들은 양자가 서로 이율배반적인 기능이기에 합치되기 힘들다. 현 제작되는 모든 테이블이나 가구의 경우 고정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가구의 하중을 그대로 받아 지면에 고정을 완벽하게 시키는 형태로 그 지지다리(20)를 개발하고 있고, 이동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다리의 하단에 별도의 케스터(44)를 체결하여 이리저리 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정 반대의 기능이 합쳐지기에는 물리적인 구조가 변형되야 하기에 달성할 수 없는 기술이라 여겨졌다.
본 고안은 이를 케스터프레임(40)의 구조와 지지다리(60)의 형성을 통해서 완벽히 해결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반적인 사용의 형태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케스터프레임(40)은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프레임의 중심부분이 되는 도시된 도 1의 다리지지부(41)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공(45)이 형성된다. 이 삽입공(45)에 본 고안의 테이블패널(10)을 지지하는 다리프레임(20)이 관통한다. 즉, 다리프레임(20)은 그 플렌지부(21)를 통해서 적당한 크기 적당한 길이의 테이블패널(10)에 고정되는데, 스크류를 통해서 강하게 죄게 된다. 이후 다리프레임(20)은 케스터프레임(40)을 관통하고, 하단의 지면과 마주하게 되는데, 실질적으로 지면과 면접하는 부분은 지지다리(60)이다.
지지다리(60)는 다리프레임(20)의 하단에서 원형의 단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더기둥(33)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체결스크류공(36)에 체결된다. 체결되는 모습을 도 1, 2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데, 지지다리(60)가 상부로 직립된 스크류부(61)가 형성되고, 그 하단으로 상협하광의 지지체(62)를 갖추고 있기에 용이하게 체결이 가능하면서도 테이블패널(1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체결의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다리프레임(20)의 하단 가이드기둥(33)은 케스터프레임(40)의 저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체결돌기(47)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일정한 체결력이 발생되지만 또 완벽하게 체결되는 구조가 아니고 가이드체결돌기(47)의 높이(h) 만큼 연동가능한 체결을 달성한다. 이러한 체결의 방식은 후술하겠지만, 본 고안의 다리프레임(20)은 이렇게 지지다리(60)를 통해서 지면과 면접되고, 상부로는 테이블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체결의 구조에서 본 고안의 다리프레임(20)은 하단에 별도의 프레임블럭(30)을 끼운 상태로 일체가 되는데, 프레임블럭(30) 없이 다리프레임(20)의 형상을 변형시켜 전술된 것처럼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은 그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서 도시된 도면에서는 모두 프레임블럭(30)을 다리프레임(20)의 공간부(23)에 끼워 결합시킨은 구조를 사용하였고, 프레임블럭(30)에 가이더기둥(33)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체결을 완성하였다. 이후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모두 프레임블럭(30)을 가진 실시형태로 설명을 한다.
프레임블럭(30)에 형성되는 가이더기둥(33)이 가이드체결돌기(47)에 끼워져 체결을 완성할 때, 상기 가이더기둥(33)과 가이드체결돌기(47)의 외곽으로는 별도의 탄성스프링(50)이 내장된다. 프레임블럭(30)의 하단에서 가이더기둥(33)의 외부로 일정한 영역돌출되는 끼움돌기(35)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케스터프레임(40)의 하단에는 대응끼움돌기(49)가 형성된다. 케스터프레임(40)의 대응끼움돌기(49)도 가이드체결돌기(47)의 외곽으로 형성되기에 이 부분에 탄성스프링(50)을 끼우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50)의 인장력이 항상 작용하여 테이블패널(10)을 실질적으로 들어주게 된다. 지지다리(60)가 받아야 하는 테이블패널(10)의 하중을 탄성스프링(50)의 인장력을 통해서 살짝 들어주는 것이다. 물론 이 힘은 테이블패널(10)의 무게를 이길 수 없기에 테이블은 지면에 지지다리(60)의 지지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사용자가 이 건 고안의 테이블을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해서 테이블의 상부에 물건이나 PC 등을 안착시키게 되면, 그 하중은 더 커지기에 지지다리(60)가 부담해야 하는 하중은 커진다. 고정성이 완벽하게 확보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이 있고 나서, 또는 이러한 사용이 있던 중 사용자가 사용하던 테이블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한다면, 테이블패널(10)을 살짤 들어주게 된다. 일측만을 들어주는 것이다. 이 작용은 본 고안의 케스터프레임(40)에 형성된 케스터(44)만이 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도된다. 전술된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의 케스터프레임(40)은 "T"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내측에 위치한 지지다리(60)는 회동점에서 벗어난 상태이기에 케스터(44)만이 지면과 접촉하는 것이다. 도시된 도 7의 도면에서 각도 A로 들어올리게 되면 회동점의 안쪽에 위치하는 지지다리(60)는 기울어진 각도만큼 지면에서 멀어지는 것이다. 더군다나 전술된 탄성스프링(50)의 인장력이 항상 다리프레임(20)을 들어올리고 있기에 이러한 효과는 더욱 확대된다.
그후 사용자는 들어올린 테이블패널(10)을 지그시 밀어주게 되고, 이 작용이 테이블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한다. 노약자와 어린아이도 작은 힘을 이용하여 큰 테이블을 소망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기능적 부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 설명을 미룬 상하연동결합(A)이 설명되야 한다. 따라서 이 상하연동결합(A)을 도시된 도 4와 6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이 따르는 상하연동결합(A)은, 프레임블럭(30)의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하단 중심부분에서 원형으로 돌출되어 일정한 길이까지 연장된 가이더기둥(33)과,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바디(43)의 저면 상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원형의 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체결돌기(47)가 끼워질 때, 가이더기둥(33)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부(34)가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부(56)를 가진 가이드체결돌기(47)의 끝단끼움고리(57)에 걸려 빠지지 않는 결합을 하여, 다리프레임(20)은 가이드체결돌기(47)의 높이(h)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스프링 끼움돌기(35)와 대응끼움돌기(49)에 끼워진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항상 그 인장력이 다리프레임(20)를 들어올려 테이블패널(10)의 하중을 줄여주어 이동을 용이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기둥(33)은 일정한 높이를 가진다. 또한 이 가이더기둥(33)에 대응하는 가이드체결돌기(47)도 일정한 높이를 가진다. 만일 가이더기둥(33)이 가이드체결돌기(47)에 끼워지면 상기 가이더기둥(33)은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를 가이드 삼아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연동이 가능하다. 물론 본 고안의 상하연동결합(A)은 탄성스프링(50)을 내장한 상태이기에 상기 가이더기둥(33)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고 있다.
물론 이 힘은 안정되게 안착된 테이블에서는 그 테이블패널(10)과 다리프레임(20)의 무게를 이길 수 없기에 지지다리(60)가 하중을 받아 테이블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패널(10)의 일측을 들어올리려 하면, 상기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도 이를 도와 지지다리(60)가 지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멀어지게 한다.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지지다리(60)와 다리프레임(20)은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의 높이(h) 만큼 연동이 가능하다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이 방식의 체결은 견고함을 담보한다.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는 끝단에서 절곡되어 내측으로 꺽어진 끝단끼움고리(57)를 가지고 있고, 이에 대응하는 가이더기둥(33)의 끝단은 걸림돌기부(34)가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더기둥(33)의 외주면과 가이드체결돌기(47)의 내주면은 동일 내지 유사한 지름을 하고 있기에 서로 결합할 때,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가 외부로 벌어지면서 삽입되고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개부(56)를 가지고 있기에 그 탄성력이 작용되어 벌어진 상태로 끼워지고, 끼워진 상황에서는 다시 복원력이 작용되어 안정된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가이더기둥(33)은 가이드체결돌기(47)의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만 상하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돕는 것이 케스터프레임(40)의 삽입공(45)을 형성하는 내주면(46)이다. 이 내주면(46)은 상기 다리프레임(2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기에 실질적으로 다리프레임(20)이 삽입공(48)의 상하로 연동할 때, 수직되고 직립된 상태로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동은 본 고안의 테이블이 보다 안정되게 한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동을 위해서는 용이하게 테이블패널(10)을 들어줄 수 있도록 한다.
10; 테이블패널 20; 다리프레임
21; 플렌지부 22; 체결공
30; 프레임블럭 31; 끼움부
32; 몸체 33; 가이더기둥
34; 걸림돌기부 35; 끼움돌기
36; 체결스크류공 40; 케스터프레임
41; 다리지지부 42; 케스터지지부
43; 프레임바디 44; 케스터
45; 삽입공 46; 내주면
47; 가이드체결돌기 48; 연통공
50; 탄성스프링 60; 지지다리
61; 스크류 62; 지지체

Claims (2)

  1. 일측이 긴 장형으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블패널(10);
    상기 테이블패널(10)에 체결되도록 최 상단에 플레이트 형상의 플렌지부(21)를 가지고 플렌지부(21)의 모서리 부분에 다수의 체결공(22)이 형성되어, 하단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연장되는 다리프레임(20);
    상기 다리프레임(20)의 내부가 빈 공간부(23)에 그 공간부(23)의 내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과 형상을 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부(31)와 끼움부(31)의 하단으로 상기 다리프레임(20)의 외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다리프레임(20)의 하단 빈공간을 채워주는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하단 중심부분에서 원형으로 돌출되어 일정한 길이까지 연장된 가이더기둥(33)과, 상기 가이더기둥(33)의 끝단부분에서 외형을 확대한 형태로 라운드진 돌기부를 형성한 걸림돌기부(34)와 상기 가이더기둥(33)의 지름에 비하여 넓은 형태로 몸체(32)의 하단에 원형의 형태로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는 탄성스프링 끼움돌기(35) 및 상기 가이더기둥(33)의 하단 중심부분에서 상부로 수직된 방향으로 관통된 체결스크류공(36)을 가진 프레임블럭(30);
    평면의 형상이 "T"자 형상으로 중심부분의 다리지지부(41)와 양끝단의 케스터지지부(42)로 이루어진 케스터 프레임바디(43)를 가지고, 상기 케스터지지부(42)의 하단으로 고정되는 쌍의 케스터(44)와, 상기 다리지지부(41)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한 삽입공(45)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45)은 프레임블럭(30) 몸체(32)와 다리프레임(2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다리프레임(20)의 외형이 밀착되는 내주면(46)을 가지며, 프레임바디(43)의 저면에서 상기 삽입공(45)의 중심부분에서 상부를 향하여 원형의 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체결돌기(47)와,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의 중심부분을 관통한 연통공(48) 및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의 외곽으로 가이드체결돌기(47)의 지름에 비하여 넓은 원형의 형태로 일정한 두께로 저면에서 돌출되는 탄성스프링(50) 대응끼움돌기(49)를 가진 케스터프레임(40);
    상기 케스터프레임(40)의 연통공(48)을 하단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프레임블럭(30)의 체결스크류공(36)에 스크류 체결되도록 수직된 스크류(61)를 가지고, 하단으로 상협하광의 원뿔형태로 결합된 고무재질의 지지체(62)로 이루어진 지지다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다리프레임(20)은 그 플렌지부(21)를 통해서 테이블패널(10)의 하단에 좌, 우 양쪽으로 스크류체결되고, 다리프레임(20)의 하단은 프레임블럭(30)이 끼워진 상태로 케스터프레임(40)의 삽입공(45)에 끼워져 상하연동결합(A)을 달성하는 가이더기둥(33)이 가이드체결돌기(47)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탄성스프링(50) 끼움돌기(35)와 대응끼움돌기(49)에 끼워진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가이드체결돌기(47)의 높이(h) 사이를 다리프레임(20)이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견고한 체결을 달성하며;
    상기 지지다리(60)가 케스터프레임(40)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테이블패널(1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전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테이블패널(10)의 일측을 들어올리면, "T"자형으로 형성되는 케스터프레임(40)은 쌍의 케스터(44)가 지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테이블패널(10)을 밀어주는 작동만으로 테이블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연동결합(A)은,
    프레임블럭(30)의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하단 중심부분에서 원형으로 돌출되어 일정한 길이까지 연장된 가이더기둥(33)과;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바디(43)의 저면 상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원형의 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체결돌기(47)가 끼워질 때, 가이더기둥(33)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부(34)가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부(56)를 가진 가이드체결돌기(47)의 끝단끼움고리(57)에 걸려 빠지지 않는 결합을 하여, 다리프레임(20)은 가이드체결돌기(47)의 높이(h)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스프링 끼움돌기(35)와 대응끼움돌기(49)에 끼워진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항상 그 인장력이 다리프레임(20)를 들어올려 테이블패널(10)의 하중을 줄여주어 이동을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
KR2020130004490U 2013-06-04 2013-06-04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 KR200468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490U KR200468078Y1 (ko) 2013-06-04 2013-06-04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490U KR200468078Y1 (ko) 2013-06-04 2013-06-04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078Y1 true KR200468078Y1 (ko) 2013-07-26

Family

ID=5139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490U KR200468078Y1 (ko) 2013-06-04 2013-06-04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07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619A (ja) * 1991-09-13 1993-03-23 Kotobuki:Kk 移動式テーブル
KR20120091660A (ko) * 2011-02-09 2012-08-20 임윤정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30055197A (ko) * 2011-11-18 2013-05-28 배원섭 접이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619A (ja) * 1991-09-13 1993-03-23 Kotobuki:Kk 移動式テーブル
KR20120091660A (ko) * 2011-02-09 2012-08-20 임윤정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30055197A (ko) * 2011-11-18 2013-05-28 배원섭 접이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528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KR200473407Y1 (ko) 조립식 앵글 선반
US6761181B1 (en) Modular leg assembly for a canopy
KR200482530Y1 (ko) 앵글선반프레임
KR200468078Y1 (ko)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된 테이블
KR101993439B1 (ko) 운동 지원형 높이 조절 책상
KR101287403B1 (ko) 조립식 테이블
KR200466151Y1 (ko) 조립식 테이블
KR20120004012U (ko) 평상 겸 텐트
KR200487788Y1 (ko) 행거용 지주받침대
KR101456095B1 (ko) 스톨테이블용 의자 인입출구
KR200473975Y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101267635B1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101731357B1 (ko) 높이 가변형 승강 테이블
KR200477413Y1 (ko) 유아용 조립식 의자
KR102220532B1 (ko) 다용도 체결장치
KR101029461B1 (ko) 상판 지지용 다리 결합 구조
JP3099999U (ja) 組立式ラック
KR102220557B1 (ko)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KR200461786Y1 (ko) 차양구조를 구비한 야외용 테이블
KR100458135B1 (ko) 가구의 프레임 조립 구조
KR101514230B1 (ko) 다용도 조립식 의자
KR101727995B1 (ko) 조립식 파레트용 상부 고정바
KR101451228B1 (ko)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