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277B1 -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277B1
KR102170277B1 KR1020200097810A KR20200097810A KR102170277B1 KR 102170277 B1 KR102170277 B1 KR 102170277B1 KR 1020200097810 A KR1020200097810 A KR 1020200097810A KR 20200097810 A KR20200097810 A KR 20200097810A KR 102170277 B1 KR102170277 B1 KR 10217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ergola
bracket
sta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오조경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오조경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오조경개발
Priority to KR102020009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시 비효율적이던 종래 방식을 벗어나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 적용 및 제반 공정에 의하여 조립성과 시공 설치의 용이함이 확보될 뿐 아니라 지면과의 레벨 간극을 임의로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100)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결속부재(1)에 의해 지면에서 위치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기초판재(81); 기초판재 상에서 설정 높이에 이르도록 서로 대응하게 입설 배치되는 한 쌍의 입설판재(82); 입설판재의 사이 공간에서 횡단 배치되어 양측 입설판재에 대한 설정 수준의 지지력이 확보되게 하는 조임부재(83); 조임부재의 연직 하방에 일치하는 기초판재 공간에서 양측 입설판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공구의 개입을 허용하는 절개홀(81h);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pergola combining type width variable bracket and assembly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퍼걸러 기둥에 관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 시 비효율적이던 종래 방식을 벗어나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 적용 및 제반 공정에 의하여 조립성과 시공 설치의 용이함이 확보될 뿐 아니라 지면과의 레벨 간극을 임의로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안전과 환경에 대한 인식이 고조됨에 따라 도심의 주거환경이 새롭게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심의 주거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디자인 정책들은 안전과 환경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심지에서 공공 휴게시설들은 많은 사람에게 비, 눈, 햇빛 등을 피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게시설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시설되어야 하는 부분이 기둥인바, 이때의 기둥은 휴게시설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는 등 설치 시 견고한 지지력 발휘에 부족함이 없어야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기둥은 퍼걸러, 정자, 버스정류장, 벤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시설물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의 기둥으로써 목재를소재한 한 형태의 기둥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목재만으로 이루어진 기둥은 빗물이나 눈에 노출되면서 수분에 의해 수축과 팽창되는 과정을 반복하는 등 갈라지거나 뒤틀리는 형태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목재로 된 기둥은 형상과 크기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 치명적인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349호에서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이 게시되어 있고, 이외에도 등록특허공보 제10-1646219호에 "파고라용 기둥조립체"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서 제안되고 있는 파고라 기둥은 시공 설치 측면에서 만족할 만한 효율성이 확보되지 못할 뿐 아니라 관련 공정이 까다롭고 난해하여 상당한 시간 소요와 함께 경비, 인건비 등이 가중되고 있으며, 더욱이 지면과의 레벨 간극이 현저할 경우에도 별다른 상하 조절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치명적이다.
결과적으로 지주와의 결합력 증대와 함께 보다 용이하고 확실한 구속력이 유지되면서 설치 시공의 어려움이 해소되는 등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형태의 기술사상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349호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등록특허공보 제10-1646219호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단순 끼움 방식의 결합구조와 함께 너비 조절이 가능한 제반 구성으로 인해 지주와의 결합력 증대에 기여하는 퍼걸러 기둥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퍼걸러 기둥 브래킷의 폭(너비) 조절을 위한 기존과 차별화된 시공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안정적인 설치는 물론 시공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수반되는 관련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100)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은, 너비 가변이 가능하고 퍼걸러 기둥에 결합되어 퍼걸러 기둥 조립체(100)를 이루도록, 다수의 결속부재(1)에 의해 지면에서 위치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기초판재(81); 기초판재 상에서 설정 높이에 이르도록 서로 대응하게 입설 배치되는 한 쌍의 입설판재(82); 입설판재의 사이 공간에서 횡단 배치되어 양측 입설판재에 대한 설정 수준의 지지력이 확보되게 하는 조임부재(83); 및 조임부재의 연직 하방에 일치하는 기초판재 공간에서 양측 입설판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공구의 개입을 허용하는 절개홀(81h);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설판재(82)는 상협하광의 이격 공간으로 직립 유지되어 지주와의 체결 시 상단에서 하단에 이를수록 폭이 확장됨에 기인하여 끼움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임부재(83)는, 어느 하나의 입설판재(82) 내면에서 수평 연장되는 지지바(83-1); 다른 하나의 입설판재 내면에서 수평 연장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더 형성되는 나사부(83-2); 양단이 각각 나사부와 지지바 단부에 의해 구속되고 회전 움직임을 통해 나사부와의 결합 정도가 임의 제어되면서 입설판재 사이 간극을 가변 유도하는 회전체(8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설판재(82)는, 입설판재(82)가 끼워져 결합되는 지주 하측의 내면에 구비된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2 홈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1 홈들로 이루어진 제1 요철면을 외측면에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퍼걸러 기둥 조립체(100)의 퍼걸러 기둥은, 사각 형상의 지주(10); 2개소로 분리 형성되어 지주(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지주(10) 외면을 둘러싸는 케이스(30); 지주(10)와 케이스(30) 사이 간극에 내입 고정되는 목재(20); 및 지주(10)의 상하 단부에서 각각 끼움 체결되어 지주 외면에 위치한 목재와 케이스의 위치 고정을 유도하는 상부덮개(40) 및 하부덮개(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재(20)는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설정 각도의 경사면(23)을 더 형성하여 경사면의 교번 배치에 의한 4개소의 위치 조합에 의해 지주(10)와 케이스(30) 사이 공간에서 팔각형으로 형상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30)는 목재(20)의 경사면(23)에 대응하도록 모서리 영역으로 각부(34)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을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은, 기초판재(81) 상방으로 대응 배치한 한 쌍의 입설판재(82)를 포함하는 브래킷(100) 및 브래킷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지주를 확보하는 사전준비단계; 입설판재(82)의 양측 사이 간극을 하단에 비해 상단이 협소한 공간으로 유지되도록 조임부재(83)를 일방향 회전시키는 간극조절단계; 설정 거리로 이격된 양측 입설판재(82)를 통해 지주의 개입이 이루어지되, 상협하광의 간극이 유지되는 입설판재로 인해 하단 영역에서 지주와 맞춤 결합되는 지주결합단계; 지주 내부로 입설판재(82)가 인입 고정된 상태에서 기초판재(81)의 절개홀(81h)로 공구를 개입시켜 조임부재(8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입설판재의 이격 공간이 확장되면서 지주 내면에 양측 입설판재를 밀접시키는 입설판재조정단계; 및 지주와 일체화된 브래킷(100)을 지면에 매립 고정하기 위하여 수개의 결속부재(1)를 기초판재(81) 상으로 체결하는 브래킷고정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판재 상에서 대응 형성되는 입설판재로 인해 지주와의 맞춤형 끼움 결합이 구현되고, 지주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조임부재의 활용으로 폭(너비) 조절 또한 가능하므로 기존 대비 결합력 내지 밀착력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퍼걸러 기둥 브래킷의 폭(너비) 조절을 위한 기존과 차별화된 시공방법을 제안하는바, 퍼걸러 기둥(지주)의 안정적인 설치는 물론 시공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자재절감의 경제성, 생산성과 신속성, 미려한 시각 미에 기여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퍼걸러 기둥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공구 개입 및 그 시공방법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시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임부재의 실시 양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지면이나 콘크리트에 대한 기초판재의 결속작업이 입설판재의 안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을 활용한 퍼걸러 기둥 조립체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의 퍼걸러 기둥 조립체에 결합되는 락킹부재의 결합방식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퍼걸러 기둥 조립체의 설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브래킷을 제외한 퍼걸러 기둥 조립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퍼걸러 기둥 조립체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시공 시 비효율적이던 종래 방식을 벗어나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 적용 및 제반 공정에 의하여 조립성과 시공 설치의 용이함이 확보될 뿐 아니라 지면과의 레벨 간극을 임의로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100)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80)은 도 2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너비) 조절이 허용되는 타입으로 이루어져 지주 내부에서의 간극 가변으로 인해 더욱 향상된 결합력을 도모하는 것에 주된 핵심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80)은 다수의 결속부재(1)에 의해 지면에서 위치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기초판재(81);와, 기초판재 상에서 설정 높이에 이르도록 서로 대응하게 입설 배치되는 한 쌍의 입설판재(82);와, 입설판재의 사이 공간에서 횡단 배치되어 양측 입설판재에 대한 설정 수준의 지지력이 확보되게 하는 조임부재(83);와, 조임부재의 연직 하방에 일치하는 기초판재 공간에서 양측 입설판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공구의 개입을 허용하는 절개홀(81h);로 구분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설판재(82)는 상협하광의 이격 공간으로 직립 유지되어 지주와의 체결 시 상단에서 하단에 이를수록 폭이 확장됨에 기인하여 억지 끼움이 가능한 타입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즉 시공 현장에서 지주와 브래킷을 결부함에 있어 치수 오차에 의한 간극 발생으로 자칫 지주의 안정적인 설치가 불가한 경우 본 발명의 입설판재를 적극 활용하여 해당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예컨대 입설판재(82)의 상방이 하방에 비해 그 폭을 좁게 유지한 상태에서 해당 지주를 결합하게 되면 지주의 진입은 자유롭지만, 만족할 만한 수준의 결합력 유지에는 치명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브래킷 상으로 지주의 진입을 쉽게 허용하여 억지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보조적으로 입설판재의 상방을 해당 지주에 대응한 수준으로 확장시킴에 따라 보다 견고하고 확실한 결합력이 발휘되게 한다.
상기 입설판재(82)는, 입설판재(82)가 끼워져 결합되는 지주 하측의 내면에 구비된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2 홈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1 홈들로 이루어진 제1 요철면을 외측면에서 더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입설판재의 상방을 해당 지주에 대응한 수준으로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지주 하측의 내면에 구비된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2 홈들에 다수의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1 홈들이 상호 결합되어 지주에 대한 입설판재(82)의 미끄럼 이동 또는 분리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입설판재의 상방을 해당 지주에 대응한 수준으로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지주에 대한 입설판재(82)의 밀착력 내지는 결합력이 유지되거나 발휘되는 것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조임부재(83)는 공구에 의한 회전 움직임에 의하여 입설판재(82)의 사이 간극을 임의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바, 도 2 내지 5와 같은 방식에 기인하여 입설판재의 폭 조절을 자유롭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임부재(83)는 어느 하나의 입설판재(82) 내면에서 수평 연장되는 지지바(83-1);와, 다른 하나의 입설판재 내면에서 수평 연장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더 형성되는 나사부(83-2);와, 양단이 각각 나사부와 지지바 단부에 의해 구속되고 회전 움직임을 통해 나사부와의 결합 정도가 임의 제어되면서 입설판재 사이 간극을 가변 유도하는 회전체(83-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임부재(83)의 구성은 도 5에 상세 도시하였으며, 시공업자가 기초판재의 하방에서 절개홀(81h)을 통해 소정의 공구를 개입시킴에 따라 회전체(83-3)의 회전이 구현된다.
결국, 상기 회전체(83-3)의 조작은 지지바(83-1)에 일단이 구속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부(83-2)와의 중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인바, 중첩 정도에 의해 양측 입설판재(82)의 폭이 설정 범위 내에서 가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지면이나 콘크리트에 대한 기초판재의 결속작업이 입설판재의 안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을 활용한 퍼걸러 기둥 조립체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이나 콘크리트에 대한 기초판재의 결속작업이 입설판재(82)의 안에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는 퍼걸러 기둥 조립체가 조립완료되었을 때 지주의 상단의 개구부를 통해 결속부재(1)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공구(미도시)를 삽입하여 지면이나 콘크리트에 대한 기초판재(81)의 결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결속부재(1)(예, 앵커볼트 등)가 입설판재(82)의 안에 위치함으로써 외부에서 보았을 때 결속부재(1)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을 활용한 퍼걸러 기둥 조립체의 외관이 미려해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퍼걸러 기둥 조립체(100)는 내력이 보강된 철 소재의 파이프 주변으로 소정의 목재를 위치시킨 다음 ㄷ자 형상으로 성형된 철판을 덮음으로써 완료되는바, 기존에 비해 간단하고 신속한 시공 내지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에 주된 핵심이 있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퍼걸러 기둥 조립체(100)의 퍼걸러 기둥은, 사각 형상의 지주(10); 2개소로 분리 형성되어 지주(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지주(10) 외면을 둘러싸는 케이스(30); 지주(10)와 케이스(30) 사이 간극에 내입 고정되는 목재(20); 및 지주(10)의 상하 단부에서 각각 끼움 체결되어 지주 외면에 위치한 목재와 케이스의 위치 고정을 유도하는 상부덮개(40) 및 하부덮개(50);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걸러 기둥 조립체(100)는 소정 형상의 케이스(30)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목재의 위치 고수 및 결합력 증대에 기여한다.
반면,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구조 내지 형상에 국한된 것이 대다수이며, 시공 시 복수개의 장식목재, 장식목재 사이에 끼워지는 목재고정바, 및 목재고정바와 용접 또는 나사못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받침판 등으로 구비하여야 하고 이후 끼움작업, 용접 또는 나사못 고정 등의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전문 인력이 아니고서는 작업이 힘든 문제점과 이로 인해 관련 공정이 까다로워 작업 시간이 가중되고, 인건비 상승, 자재사용의 증가 등 크고 작은 문제점에 직면한다.
상기 지주(10)는 통상의 것과 유사 내지 동일한 것으로, 지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수준의 강도 보유와 함께 외면에 목재가 위치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이고 자연적인 미려함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30)는 본 발명의 요부이며, 도면과 같이 2개 1조로 분할 형성하여 서로 맞물림에 의한 위치 구속으로 단일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스(30)는 소정 형상의 관통홀(31) 및 장식부(33), 그리고 추후 기술할 각부(34)가 설정 위치에 수반되고, 전반적인 현상을 ㄷ자형으로 구현함에 따라 내부의 함몰 공간으로 목재(20) 수용을 허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종래 구성처럼 끼움 작업을 위해 목재(20)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쉽고 간편하게 목재 수용이 이루어지는바, 이는 시공 설치의 이점은 물론 자재비, 인건비 등의 지출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스(30)는 스틸 소재를 성형 가공하여 서로 양분된 ㄷ자 형상으로 구성하되, 지주(10)와의 내부 중공 면적이 목재의 개입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맞춤 성형되어야 한다.
상기 관통홀(31)은 주지한 것처럼 전면과 각 측면에 대응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령 측면에 천공되는 관통홀은 이웃하는 타 커버체의 측면 관통홀과 취합되어 하나의 공간을 구축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식부(33)는 도면과 같은 형상일 수 있으며, 기타 보는 이로 하여금 미려하게 인식될 수 있는 수준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장식부 또한 관통홀(31)과 동일하게 내외 관통된 형상으로 구축함으로써 내부에 수용 중인 목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에 기여 가능하다. 상기 장식부(33)는 도면과 같은 형상 외의 다른 다양한 형상이나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30) 외관의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30)는 상부덮개(40)와 하부덮개(50)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케이스(30)의 외면을 포용하는 락킹부재(35)에 의해서도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35)는 케이스(30)의 양분된 외관과 대응하는 2개소의 판재가 서로 경첩방식으로 결합되어 케이스의 외면을 포용한다. 여기에서 락킹부재(35)가 상기 케이스(30)의 외면의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케이스(30)의 이탈을 적극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30)는 락킹부재(35)가 포용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a)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35)는 돌기(a)와 대응하는 위치선상에 요홈(b)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유도에 따라 케이스(30)에 포용된 락킹부재의 위치가 고수된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돌기(a)가 관통홀(31)의 하단부에 인접하는 케이스(30)의 부분에 형성되고 락킹부재(35)가 돌기(a)와 대응하는 위치선상에 요홈(b)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유도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돌기(a)가 관통홀(31)의 측단부 중 하나에 인접하는 케이스(30)의 부분에 형성되고 락킹부재(35)가 돌기(a)와 대응하는 위치선상에 요홈(b)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유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락킹부재(35)가 상기 케이스(30) 및 커버체(32)의 외면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케이스(30) 및 커버체(32)의 이탈을 적극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락킹부재(35)는 서로 마주 겹치는 각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열쇠 고리가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열쇠 고리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열쇠 고리에 자물쇠를 잠궈 관계자 외 외부인이 케이스(30)의 해체 또는 분리를 시도할 수 없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락킹부재(35)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목재(20)는 통상의 것과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목재를 채용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구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즉 상기 목재(20)는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설정 각도의 경사면(23)을 더 형성하여 경사면의 교번 배치에 의한 4개소의 위치 조합에 의해 지주(10)와 케이스(30) 사이 공간에서 팔각형으로 형상 구축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은 도 9에서 브래킷을 제외한 퍼걸러 기둥 조립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단부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주를 둘러싼 목재의 각 모서리 영역은 목재의 경사면과 그렇지 않은 단면이 서로 교합하면서 전체 형상이 팔각으로 구현된다.
결국, 목재의 경사면은 지주와의 접촉면적 증대에 기여하면서 커버체의 각부와 대응 위치하여 서로 긴밀한 결합력이 유도되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30)는 목재(20)의 경사면(23)에 대응하도록 모서리 영역으로 각부(34)가 더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상부덮개(40)와 하부덮개(50)는 도 11과 같이 지주(10) 외면에 목재(20)와 케이스(30)가 중첩 배치된 상태에서 지주의 상하로 개별 결부되는바, 별도의 수단 없이도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끼움 결합에 의해 목재 수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퍼걸러 기둥 조립체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퍼걸러 기둥 조립체는, 사각 형상의 지주(10); 분리 형성되어 지주(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지주(10) 외면을 둘러싸는 케이스; 지주(10)와 케이스(30) 사이에 배치되는 목재; 및 지주(10)의 상하 단부에서 각각 끼움 체결되어 목재와 케이스의 위치 고정을 유도하는 상부덮개(40) 및 하부덮개(50);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서로 간격을 두고 4개소로 분리 형성되되, 양측 단부의 각각에서 세 면(30a1, 30a2, 30a3)에 의해 'ㄷ'자 형의 수용부(30a)를 형성하는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는 지주(10)의 네 모서리를 둘러싸는 케이스(30')이며, 상기 목재는 서로 인접한 케이스(30')의 상기 'ㄷ'자 형의 수용부(30a)들의 사이 간극에 내입되는 목재(20')이고, 상기 케이스(30')는 상기 세 면 (30a1, 30a2, 30a3) 중 상기 케이스(30')에 가장 원격하게 위치하는 면(30a3)이 지주(10)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부분에 밀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케이스(30')의 면(30a3)이 지주(10)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부분에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되 서로 마주보는 두 케이스(30')의 'ㄷ'자 형의 수용부(30a)의 사이 간극에 목재(20')를 내입한 후 케이스(30')와 목재(20')를 손으로 잡은 상태로 그 상하 단부에 상부덮개(40) 및 하부덮개(50)를 끼우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퍼걸러 기둥 조립체의 조립이 간단히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등 전문인력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제작 가능할 뿐 아니라 퍼걸러 기둥의 안정적인 설치 및 제작 시공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등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수반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를 고정 수용하기 위한 커버체의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제작의 간편성이 확보됨에 따라 자재절감의 경제성, 생산성과 신속성, 디자인의 다양성에 기여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 식별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명수단이 부가 채용됨에 따라 외부에서의 미려한 시각 미를 비롯하여 보다 특색있는 디자인이 가미된 퍼걸러 기둥 조립체가 구현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브래킷(80)을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전준비단계]
기초판재(81) 상방으로 대응 배치한 한 쌍의 입설판재(82)를 포함하는 브래킷(100) 및 브래킷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지주를 확보한다.
여기서 지주는 퍼걸러 기둥 조립체를 통칭하고, 이때의 퍼걸러 기둥 조립체는 지주, 2개소로 분리 형성되어 지주 외면을 둘러싸는 커버체, 지주와 커버체 사이 간극에 내입 고정되는 목재, 지주의 상하 단부에서 각각 끼움 체결되어 지주 외면에 위치한 목재와 커버체의 위치 고정을 유도하는 상부덮개 및 하부덮개를 포함한다.
[간극조절단계]
입설판재(82)의 양측 사이 간극을 하단에 비해 상단이 협소한 공간으로 유지되도록 조임부재(83)를 일방향 회전시킨다.
이때 조임부재(83)는 어느 하나의 입설판재(82) 내면에서 수평 연장되는 지지바(83-1), 다른 하나의 입설판재 내면에서 수평 연장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더 형성되는 나사부(83-2), 양단이 각각 나사부와 지지바 단부에 의해 구속되고 회전 움직임을 통해 나사부와의 결합 정도가 임의 제어되면서 입설판재 사이 간극을 가변 유도하는 회전체(83-3)를 포함한다.
[지주결합단계]
설정 거리로 이격된 양측 입설판재(82)를 통해 지주의 개입이 이루어지되, 상협하광의 간극이 유지되는 입설판재로 인해 하단 영역에서 지주와 맞춤 결합된다.
[입설판재조정단계]
지주 내부로 입설판재(82)가 인입 고정된 상태에서 기초판재(81)의 절개홀(81h)로 공구를 개입시켜 조임부재(8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입설판재의 이격 공간이 확장되면서 지주 내면에 양측 입설판재를 밀접시킨다.
한편, 상기 입설판재(82)는, 입설판재(82)가 끼워져 결합되는 지주 하측의 내면에 구비된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2 홈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1 홈들로 이루어진 제1 요철면을 외측면에서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입설판재조정단계에 의해, 입설판재(82)가 끼워져 결합되는 지주 하측의 내면에 형성된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1 홈들과, 입설판재(82)의 외면에서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2 홈들을 상호 결합하여, 지주에 대한 입설판재(82)의 분리를 방지한다.
[브래킷고정단계]
지주와 일체화된 브래킷(100)을 지면에 매립 고정하기 위하여 수개의 결속부재(1)를 기초판재(81) 상으로 체결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판재 상에서 대응 형성되는 입설판재로 인해 지주와의 맞춤형 끼움 결합이 구현되고, 지주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조임부재의 활용으로 폭(너비) 조절 또한 가능하므로 기존 대비 결합력 내지 밀착력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퍼걸러 기둥 브래킷의 폭(너비) 조절을 위한 기존과 차별화된 시공방법을 제안하는바, 퍼걸러 기둥(지주)의 안정적인 설치는 물론 시공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자재절감의 경제성, 생산성과 신속성, 미려한 시각 미에 기여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결속부재 10. 지주
20, 20'. 목재 21. 안착부
22. 접지면 30, 30'. 케이스
30a. 'ㄷ'자 형의 수용부 30a1, 30a2, 30a3. 면
31. 관통홀 32. 커버체
33. 장식부 34. 각부
35. 락킹부재 40. 상부덮개
50. 하부덮개 80. 브래킷
81. 기초판재 81h. 절개홀
82. 입설판재 83. 조임부재
83-1. 지지바 83-2. 나사부
83-3. 회전체 100. 퍼걸러 기둥 조립체

Claims (8)

  1.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은,
    너비 가변이 가능하고 퍼걸러 기둥에 결합되어 퍼걸러 기둥 조립체(100)를 이루도록,
    다수의 결속부재(1)에 의해 지면에서 위치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기초판재(81);
    기초판재 상에서 설정 높이에 이르도록 서로 대응하게 입설 배치되는 한 쌍의 입설판재(82);
    입설판재의 사이 공간에서 횡단 배치되어 양측 입설판재에 대한 설정 수준의 지지력이 확보되게 하는 조임부재(83); 및
    조임부재의 연직 하방에 일치하는 기초판재 공간에서 양측 입설판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공구의 개입을 허용하는 절개홀(81h);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설판재(82)는 상협하광의 이격 공간으로 직립 유지되어 지주와의 체결 시 상단에서 하단에 이를수록 폭이 확장됨에 기인하여 끼움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83)는,
    어느 하나의 입설판재(82) 내면에서 수평 연장되는 지지바(83-1);
    다른 하나의 입설판재 내면에서 수평 연장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더 형성되는 나사부(83-2);
    양단이 각각 나사부와 지지바 단부에 의해 구속되고 회전 움직임을 통해 나사부와의 결합 정도가 임의 제어되면서 입설판재 사이 간극을 가변 유도하는 회전체(83-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입설판재(82)는,
    입설판재(82)가 끼워져 결합되는 지주 하측의 내면에 구비된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2 홈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 사이에 요입형성한 제1 홈들로 이루어진 제1 요철면을 외측면에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걸러 기둥 조립체(100)의 퍼걸러 기둥은,
    사각 형상의 지주(10);
    2개소로 분리 형성되어 지주(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지주(10) 외면을 둘러싸는 케이스(30);
    지주(10)와 케이스(30) 사이 간극에 내입 고정되는 목재(20); 및
    지주(10)의 상하 단부에서 각각 끼움 체결되어 지주 외면에 위치한 목재와 케이스의 위치 고정을 유도하는 상부덮개(40) 및 하부덮개(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20)는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설정 각도의 경사면(23)을 더 형성하여 경사면의 교번 배치에 의한 4개소의 위치 조합에 의해 지주(10)와 케이스(30) 사이 공간에서 팔각형으로 형상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는 목재(20)의 경사면(23)에 대응하도록 모서리 영역으로 각부(34)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8. 기초판재(81) 상방으로 대응 배치한 한 쌍의 입설판재(82)를 포함하는 브래킷(100) 및 브래킷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지주를 확보하는 사전준비단계;
    입설판재(82)의 양측 사이 간극을 하단에 비해 상단이 협소한 공간으로 유지되도록 조임부재(83)를 일방향 회전시키는 간극조절단계;
    설정 거리로 이격된 양측 입설판재(82)를 통해 지주의 개입이 이루어지되, 상협하광의 간극이 유지되는 입설판재로 인해 하단 영역에서 지주와 맞춤 결합되는 지주결합단계;
    지주 내부로 입설판재(82)가 인입 고정된 상태에서 기초판재(81)의 절개홀(81h)로 공구를 개입시켜 조임부재(8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입설판재의 이격 공간이 확장되면서 지주 내면에 양측 입설판재를 밀접시키는 입설판재조정단계; 및
    지주와 일체화된 브래킷(100)을 지면에 매립 고정하기 위하여 수개의 결속부재(1)를 기초판재(81) 상으로 체결하는 브래킷고정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을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
KR1020200097810A 2020-08-05 2020-08-05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 KR102170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810A KR102170277B1 (ko) 2020-08-05 2020-08-05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810A KR102170277B1 (ko) 2020-08-05 2020-08-05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277B1 true KR102170277B1 (ko) 2020-10-29

Family

ID=7312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810A KR102170277B1 (ko) 2020-08-05 2020-08-05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016B1 (ko) 2022-11-01 2023-10-20 주식회사디자인랜드 조경시설물 철강재 각관 기둥고정을 위한 기초콘크리트 매립 고정브라켓 플레이트 및 그 시공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720Y1 (ko) * 2003-02-13 2003-04-26 주식회사 대일애드컴 트러스 구조물용 결합부재
KR200454349Y1 (ko) 2011-01-12 2011-06-29 (주)우리조경건설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KR20120128950A (ko) * 2011-05-18 2012-11-28 주식회사 태양전자 가로등 지주
KR101646219B1 (ko) 2015-08-28 2016-08-05 주식회사 산수화조경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720Y1 (ko) * 2003-02-13 2003-04-26 주식회사 대일애드컴 트러스 구조물용 결합부재
KR200454349Y1 (ko) 2011-01-12 2011-06-29 (주)우리조경건설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KR20120128950A (ko) * 2011-05-18 2012-11-28 주식회사 태양전자 가로등 지주
KR101646219B1 (ko) 2015-08-28 2016-08-05 주식회사 산수화조경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016B1 (ko) 2022-11-01 2023-10-20 주식회사디자인랜드 조경시설물 철강재 각관 기둥고정을 위한 기초콘크리트 매립 고정브라켓 플레이트 및 그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9594A (en) Gazebo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0920413B2 (en) Pergola building system and bracket
KR102207434B1 (ko) 조립성이 향상되고 차별화된 퍼걸러기둥 조립체
KR101678908B1 (ko) 옥상 설치형 조립식 온실
KR102170277B1 (ko) 너비 가변이 가능한 퍼걸러 기둥 결합형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퍼걸러 기둥 시공방법
KR102252869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KR20150055928A (ko) 울타리 지주용 고정결합구가 구비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
KR101850327B1 (ko)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KR20190076110A (ko) 퍼걸러용 기둥
US20150225958A1 (en)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207425B1 (ko) 경관조명이 구비된 퍼걸러 기둥 조립체
KR101113991B1 (ko) 정자지붕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09981A (ko) 태양광 모듈 지지용 지지체 어셈블리
KR101792193B1 (ko) 하우스 시공방법
KR102144844B1 (ko) 경사지 시공이 용이한 펜스의 설치 조립체
AU687344B2 (en) Laminated panel modular building structure
JP4368734B2 (ja) 組立ハウス
KR102649897B1 (ko) 가로바아의 자유회동시공이 용이한 펜스조립체의 시공방법
EP1483469B1 (en) Connecting assembly for site fences
KR102097359B1 (ko) 조립식 평상 구조물 및 이 평상 구조물이 구성된 조립식 가제보
KR200301016Y1 (ko) 천막
KR100336962B1 (ko) 조립식 방갈로
KR102592016B1 (ko) 조경시설물 철강재 각관 기둥고정을 위한 기초콘크리트 매립 고정브라켓 플레이트 및 그 시공공법
US20230151603A1 (en) Transition Bracket
CH397217A (fr) Procédé de construction d'un local de plain-pi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