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542A -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 Google Patents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542A
KR20190075542A KR1020170177208A KR20170177208A KR20190075542A KR 20190075542 A KR20190075542 A KR 20190075542A KR 1020170177208 A KR1020170177208 A KR 1020170177208A KR 20170177208 A KR20170177208 A KR 20170177208A KR 20190075542 A KR20190075542 A KR 20190075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ver
pillar
fixing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003B1 (ko
Inventor
김빛내리
Original Assignee
김빛내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빛내리 filed Critical 김빛내리
Priority to KR102017017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0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본래 외형을 변화시키기 위해 차량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차량의 기존부품을 그대로 사용하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부, 필러부, 고정부 및 탈착매개체를 포함한다. 커버부는 차량의 외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외측면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으며, 차량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필러부는 커버부의 단부에서 차량의 외측면을 향해 절곡연장된다. 고정부는 필러부의 단부에서 차량의 외측면을 따라 절곡연장된다. 탈착매개체는 고정부가 차량의 외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매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커버부가 차량의 외측면에 덧대지는 방식으로 차량의 외관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Vehicle model change tuning member that can use existing parts int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튜닝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본래 외형을 변화시키기 위해 차량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차량의 기존부품을 그대로 사용하는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에 관한 것이다.
국내 자동차 튜닝은 X세대(1965~76년 출생)가 본격적으로 운전할 무렵인 1990년대 시작되었다. 현대자동차의 첫 스포츠 쿠페인 스쿠프가 튜닝의 시초였으며, 당시 튜닝 용품은 붕붕 소리를 내던 '태풍 머플러'와 FRP 재질의 에어로파츠, 차체 밖으로 휠과 타이어를 튀어나오게 하는 '마이너스 휠' 정도였다.
이후, 90년대 중반 'YM KIT'라는 국산 튜닝용품이 생산되면서 성능과 안전을 고려한 튜닝이 시작됐다. 90년 후반엔 서울을 중심으로 튜닝의 고급화가 시작됐다. 유럽계 튜닝 용품의 등장 때문이었다.
N세대(77~97년 출생)가 운전할 무렵인 90년대 말부터 2000년 초 사이에는 카레이서 출신들이 튜닝숍을 열면서 엔진 성능을 높이는 터보 튜닝이 많아졌다. 2010년 이후에는 자동차 선진국이 만든 튜닝용품들이 많이 들어오면서 튜닝 시장이 연간 7000억원대로 커졌고 더욱 고급화됐다.
최근에는 차량의 외관이 변화를 주는 차량 드레스-업 튜닝(익스테리어 튜닝이라고도 함)이 유행하고 있다. 드레스-업 튜닝은 차량의 사이드미러나 주유구 커버에 스티커를 붙이거나 헤드램프나 테일램프에 등에 아이라인을 그리는 등의 방식으로 차량의 외관에 간단한 액센트 효과를 주는 초보적인 튜닝부터, 고급차량에 장착되는 라지에이터 그릴, 프론트 범퍼, 본네트, 리어 스포일러 혹은 엠블럼(크롬 재질로 된 에쿠스의 독수리 날개나 롤스로이스의 환희의 여신상) 등을 일반차량에 장착하는 고급 튜닝까지 그 형태와 방식이 다양해질 정도로 많이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차량 드레스-업 튜닝은 대부분 https://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dcbc9400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튜닝하고자 하는 해당 부품을 탈거하고 그 자리에 튜닝부품을 장착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비용과 시간, 노력이 따를 수밖에 없고, 탈거한 부품을 별도로 처리해야 하는 등의 부수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차량 드레스-업 튜닝은 탈거한 자리에 튜닝부품이 장착되는 방식이므로, 부품 간의 구획라인 등 기존 차량이 갖는 디자인적 요소가 감추어지지 못하고 일부분이 그대로 노출·유지되는 한계가 있었다.
덱스크루 부천점, https://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dcbc9400 (2017-12-15 방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기존 부품을 탈거하지 않고 그대로 장착한 상태에서 차량의 외형 디자인을 쉽고 간단하게 바꿀 수 있는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는, 차량의 외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외측면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으며, 상기 차량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버부(100); 상기 커버부(100)의 단부에서 상기 차량의 외측면을 향해 절곡연장되는 필러부(200); 상기 필러부(200)의 단부에서 상기 차량의 외측면을 따라 절곡연장되는 고정부(300); 및 상기 고정부(300)가 상기 차량의 외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매개하는 탈착매개체(4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00)가 차량의 외측면에 덧대지는 방식으로 차량의 외관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00) - 상기 필러부(200) - 상기 차량의 외측면 사이에는 공동부(C)가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커버부(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차량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공동부(C)를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110)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공동부(C)와 연결되는 주입구(120)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주입구(120)를 통해 상기 공동부(C)에 채워지는 발포체(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측면은, 가상의 구획선(L)을 따라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되고, 상기 커버부(100)는, 상기 제1 영역(A1)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101)와, 상기 제2 영역(A2)을 커버하는 제2 커버부(102)로 구분되며, 상기 필러부(200)는, 상기 제1 커버부(101)에서 절곡연장된 제1 필러부(201)와, 상기 제2 커버부(102)에서 절곡연장된 제2 필러부(202)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제1 필러부(201)에서 절곡연장된 제1 고정부(301)와, 상기 제2 필러부(202)에서 절곡연장된 제2 고정부(302)로 구분되되, 상기 가상의 구획선(L)과 인접한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은, 상기 제1 필러부(201)에서 외측을 향해 절곡연장되는 제1 연장부(301a)와, 상기 제1 연장부(301a)에서 상기 제1 커버부(101)를 향해 절곡연장되어 조립홈(H)을 형성하는 제2 연장부(301b)로 이루어지고,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과 이웃한 제2 고정부(302)의 일측 구간은, 상기 조립홈(H)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과 중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00)의 재질로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또는 폴리염화비닐 (PVC)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에 따르면, 튜닝부재를 차량의 외측면에 위장막 형태로 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차량의 기존 부품을 탈거하지 않고 그대로 장착한 상태에서 차량의 외형 디자인을 쉽고 간단하게 바꿀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격벽과 발포체를 통해, 커버부의 휨 강성이 보강될 수 있으며, 커버부에 가해진 외력을 완충하고 커버부가 자연적으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복수로 분할된 튜닝부재가 서로 중첩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조립 및 설치를 할 수 있고, 별도의 실리콘 작업이 필요없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가 차량에 부착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튜닝부재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문이 4개인 세단차량을 문이 2개인 쿠페차량으로 변경하기 위해 부착되는 튜닝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튜닝부재가 복수로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가 차량에 부착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튜닝부재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문이 4개인 세단차량을 문이 2개인 쿠페차량으로 변경하기 위해 부착되는 튜닝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튜닝부재가 복수로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는 차량의 본래 외형을 변화시키기 위해 차량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커버부(100), 필러부(200), 고정부(300) 및 탈착매개체(400)를 포함한다.
커버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외측면을 커버하되, 상기 외측면의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기존 차량이 현대자동차의 소나타 모델이라면, 커버부(100)는 기존 차량의 외형과 다른 기아자동차의 K5 모델에 대응되는 곡면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0)는 부품 간의 구획라인 등 기존 차량이 갖는 디자인적 요소가 감추어지도록, 확장된 면적을 갖거나 일부분이 연장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커버부(100)는 차량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기존 차량의 외형을 가리게 된다. 커버부(100)의 재질로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또는 폴리염화비닐 (PVC)을 사용하는 것이 강도 및 경량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의 일종으로서, 탄소섬유를 강화재로 하고 매트릭스 수지를 플라스틱으로 하는 시트 형태의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이 사용된다.
필러부(200)는 커버부(100)의 단부에서 차량의 외측면을 향해 절곡연장되는 측벽 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필러부(200)는 상기 커버부(10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커버부(100)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부(300)는 필러부(200)의 단부에서 차량의 외측면을 따라 절곡연장된다. 고정부(300)는 차량의 외측면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별도의 표면처리가 시행될 수 있다.
탈착매개체(400)는 고정부(300)가 차량의 외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드를 접착 방식이 적용되었으나, 고정부(300)와 차량의 외측면에 볼트공을 뚫고 여기에 볼트와 너트를 결합할 수도 있고, 자력체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찍찍이(벨크로), 후크 - 고리 조합, 단추 등 공지의 다양한 부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커버부(100)를 포함한 튜닝부재가 차량의 외측면에 덧대지는 방식으로 차량의 외관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는 튜닝을 하고자 하는 해당 부품을 탈거하고 그 자리에 튜닝부품을 장착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비용·시간·노력이 따를 수밖에 없었고, 탈거한 부품을 별도로 처리해야 하는 등의 부수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차량 튜닝은 탈거한 자리에 튜닝부품이 장착되는 방식이므로, 부품 간의 구획라인 등 기존 차량이 갖는 디자인적 요소가 감추어지지 못하고 일부분이 그대로 노출·유지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의 교체없이 각 부품의 외부에 커버부(100)를 위장막 형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서, 부품을 탈거하지 않고 쉽고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차량의 기존 디자인을 구성하는 전체적인 외관, 세부적인 선도(면 형상), 색채 등의 요소가 전부 감춰지고, 커버부(100)가 갖는 새로운 디자인으로 차량의 외관이 변경됨으로써, 기존 튜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 - 필러부(200) - 차량의 외측면 사이에는 공동부(C)가 형성되는데, 커버부(100)의 휨 강성 보강 차원에서, 다수의 격벽(110)과, 발포체(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격벽(110)은 차량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커버부(100)의 내측면에서 차량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공동부(C)를 구획하게 된다. 발포체(500)는 공동부(C)와 연결되도록 커버부(100)의 상면에 관통형성된 주입구(120)를 통해 공동부(C)에 채워지는 구성으로서, 폴리우레탄(PUR),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고분자 플라스틱에 발포제를 혼합하거나,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발포체(500)는 공동부(C)를 메우는 충진제 기능 외에, 커버부(10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이를 완충하면서 커버부(1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튜닝부재는 튜닝하고자 하는 부분의 면적에 따라 분할되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이 4개인 세단차량을 문이 2개인 쿠페차량으로 변경하기 위해, 차량 외측면(차량의 중간필러-뒷문-후방필러-뒷펜더-뒷범퍼를 연하는 영역)을 가상의 구획선(L)을 따라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일차적으로 구분한다.
구분된 영역을 기준으로, 커버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A1)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101)와, 제2 영역(A2)을 커버하는 제2 커버부(102)로 구분된다. 필러부(200)는 제1 커버부(101)에서 절곡연장된 제1 필러부(201)와, 제2 커버부(102)에서 절곡연장된 제2 필러부(202)로 구분되고, 고정부(300)는 제1 필러부(201)에서 절곡연장된 제1 고정부(301)와, 제2 필러부(202)에서 절곡연장된 제2 고정부(302)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복수로 분할된 튜닝부재가 상호 조립될 수 있도록, 가상의 구획선(L)과 인접한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은 제1 필러부(201)에서 외측을 향해 절곡연장되는 제1 연장부(301a)와, 제1 연장부(301a)에서 상기 제1 커버부(101)를 향해 절곡연장되어 조립홈(H)을 형성하는 제2 연장부(301b)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또한,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과 이웃한 제2 고정부(302)의 일측 구간은, 조립홈(H)에 삽입되도록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과 같은 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된다.
이에 따른 조립방법은 간단하다. 복수로 분할된 튜닝부재 중, 제1 커버부(101)가 있는 좌측 튜닝부재를 차량의 외측면에 먼저 부착하고, 제2 커버부(102)가 있는 우측 튜닝부재를 좌측 튜닝부재의 제1 고정부(301) 일측 구간과 중첩되게 삽입한 후, 우측 튜닝부재를 차량의 외측면에 부착하면 조립 및 설치가 끝나게 된다.
이때, 좌측 튜닝부재에 마련된 조립홈(H)은 우측 튜닝부재의 조립위치를 안내해주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튜닝부재 사이로 침투한 물이 차량의 바닥쪽으로 흘러내려가도록 하는 물받이 통로 기능을 한다.
만약, 좌측 튜닝부재와 우측 튜닝부재가 서로 중첩되지 않고 그냥 인접하게 설치된다면, 누수 방지를 위해 튜닝부재 사이의 틈새를 실리콘 등으로 메워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실리콘 라인이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는, 튜닝부재를 차량의 외측면에 위장막 형태로 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차량의 기존 부품을 탈거하지 않고 그대로 장착한 상태에서 차량의 외형 디자인을 쉽고 간단하게 바꿀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격벽과 발포체를 통해, 커버부의 휨 강성이 보강될 수 있으며, 커버부에 가해진 외력을 완충하고 커버부가 자연적으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복수로 분할된 튜닝부재가 서로 중첩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조립 및 설치를 할 수 있고, 별도의 실리콘 작업이 필요없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커버부
200 : 필러부
300 : 고정부
400 : 탈착매개체
500 : 발포체

Claims (4)

  1. 차량의 외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외측면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으며, 상기 차량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버부(100);
    상기 커버부(100)의 단부에서 상기 차량의 외측면을 향해 절곡연장되는 필러부(200);
    상기 필러부(200)의 단부에서 상기 차량의 외측면을 따라 절곡연장되는 고정부(300); 및
    상기 고정부(300)가 상기 차량의 외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매개하는 탈착매개체(4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00)가 차량의 외측면에 덧대지는 방식으로 차량의 외관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00) - 상기 필러부(200) - 상기 차량의 외측면 사이에는 공동부(C)가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커버부(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차량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공동부(C)를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110)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공동부(C)와 연결되는 주입구(120)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주입구(120)를 통해 상기 공동부(C)에 채워지는 발포체(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측면은, 가상의 구획선(L)을 따라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되고,
    상기 커버부(100)는, 상기 제1 영역(A1)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101)와, 상기 제2 영역(A2)을 커버하는 제2 커버부(102)로 구분되며,
    상기 필러부(200)는, 상기 제1 커버부(101)에서 절곡연장된 제1 필러부(201)와, 상기 제2 커버부(102)에서 절곡연장된 제2 필러부(202)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제1 필러부(201)에서 절곡연장된 제1 고정부(301)와, 상기 제2 필러부(202)에서 절곡연장된 제2 고정부(302)로 구분되되,
    상기 가상의 구획선(L)과 인접한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은, 상기 제1 필러부(201)에서 외측을 향해 절곡연장되는 제1 연장부(301a)와, 상기 제1 연장부(301a)에서 상기 제1 커버부(101)를 향해 절곡연장되어 조립홈(H)을 형성하는 제2 연장부(301b)로 이루어지고,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과 이웃한 제2 고정부(302)의 일측 구간은, 상기 조립홈(H)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 고정부(301)의 일측 구간과 중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00)의 재질로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또는 폴리염화비닐 (PVC)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KR1020170177208A 2017-12-21 2017-12-21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KR10207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08A KR102073003B1 (ko) 2017-12-21 2017-12-21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08A KR102073003B1 (ko) 2017-12-21 2017-12-21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542A true KR20190075542A (ko) 2019-07-01
KR102073003B1 KR102073003B1 (ko) 2020-02-04

Family

ID=6725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208A KR102073003B1 (ko) 2017-12-21 2017-12-21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290B1 (ko) 2020-05-21 2021-11-17 주식회사 인스타파츠 차량의 라디에이터 그릴 순정부품을 활용한 드레스 업하는 튜닝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436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 범퍼의 조립구조
KR20020024226A (ko) * 2002-02-06 2002-03-29 이형배 레저용 자동차의 악세사리 바디 및 그 바디의 제조방법
CN203713994U (zh) * 2013-12-24 2014-07-16 上海大众联合汽车改装有限公司 一种适用于汽车的宽体套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436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 범퍼의 조립구조
KR20020024226A (ko) * 2002-02-06 2002-03-29 이형배 레저용 자동차의 악세사리 바디 및 그 바디의 제조방법
CN203713994U (zh) * 2013-12-24 2014-07-16 上海大众联合汽车改装有限公司 一种适用于汽车的宽体套件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덱스크루 부천점, https://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dcbc9400 (2017-12-15 방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003B1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00595S1 (en) Motor vehicle and toy replica thereof
US6276477B1 (en) Component car system
US10377429B2 (en) Two-part motor vehicle spoiler
KR20180064664A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및 그 제조방법
CA2521914A1 (en) Motorcycle radiator arranging construction
KR20190075542A (ko) 기존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모델 변경 튜닝부재
JP2021528318A (ja) 車両トランクの扉構造装置
JP4914907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6022989B2 (ja) 車両の外部構造
CN205872273U (zh) 滑板车后挡泥板结构
JP5356103B2 (ja)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支持構造
JP2018012460A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TW201917049A (zh) 跨坐型車輛之外殼構造
CN108463400B (zh) 用于机动车的车身护罩以及机动车
AU674081B2 (en) A reinforced front part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cabins/bodies for vehicles
WO2009019384A3 (fr) Ensemble de carrosserie de vehicule
US7258366B2 (en) Wheel splash and spray suppressor
JP2016043899A (ja) ウインドシールドの支持構造
JP3177048B2 (ja) ラジエータグリル
FR2758121A1 (fr) Element de carrosserie, notamment aile, destine a un vehicule automobi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ITTO990586A1 (it) Struttura di parafango anteriore per un veicolo del tipo scooter.
CN210212331U (zh) 一种用于轻卡洗涤壶的盖板拆装结构及车辆
FR2818605A1 (fr) Bloc avant comprenant une face avant et des blocs optiques perfectionnes,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JP6007615B2 (ja) 樹脂製リッド構造
CN217320614U (zh) 摩托车前饰盖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