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765A -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765A
KR20190074765A KR1020170176353A KR20170176353A KR20190074765A KR 20190074765 A KR20190074765 A KR 20190074765A KR 1020170176353 A KR1020170176353 A KR 1020170176353A KR 20170176353 A KR20170176353 A KR 20170176353A KR 20190074765 A KR20190074765 A KR 2019007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information
terminal
sound pattern
transmitting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068B1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업서비스연구소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업서비스연구소, 김동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업서비스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7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068B1/ko
Priority to PCT/KR2018/014713 priority patent/WO2019124788A1/ko
Publication of KR2019007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2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n audio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4Segmentation; Word boundary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운드를 활용한 어플리케이션간의 연결(App to App)을 통해 하드웨어 특성에 독립적이고 사용자 중심에서 유연한 단말기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사운드 인식을 통해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특정 사운드를 수신받아 녹음 또는 가공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외부로 출력 및 전송하기 위한 제1 어플리케이션(110)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측 단말기(100)와;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가 출력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사운드 패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액션을 수행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210)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측 단말기(200)와; 상기 송신측 또는 수신측 단말기(100, 200)가 전송하는 사운드 패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면 송신측 단말기(100)에 수신측 단말기(200)의 사운드 패턴 정보 인식 상황을 통보하고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100, 200)의 사운드 패턴 정보를 갱신 및 처리 완료하는 웹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OUND RECOGNICITION AMONG TERMINALS}
본 발명은 단말기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운드를 활용한 어플리케이션간의 연결(App to App)을 통해 하드웨어 특성에 독립적이고 사용자 중심에서 유연한 단말기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사운드 인식을 통해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기존 하드웨어 중심에 의한 단말기들의 상호 인식 방식을 살펴보면, 첫째로 비콘을 통한 연결의 경우 1 대 불특정 다수에 신호를 보내고 정보 수신 후 실질 서비스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진입 과정이 필요하며 다량의 비콘 설치를 요구함에 따른 비용 부담이 있어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고, 둘째로 바코드를 통한 연결의 경우 미리 정의된 정보에 한정하여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행위는 사용자가 직접 진행해야 하고 활용이 제한적이며, 셋째로 고주파 단말기를 통한 연결의 경우 기 할당된 매장, 가맹점 등과 같은 곳에서 코드를 인증하는데 사용되고 바코드와 마찬가지로 활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말기들의 하드웨어 중심적인 인식 방식에 대해 종래 결제 시스템을 일례로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다음 그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기 위해서는 현금을 이용하여 지불하는 방식 이외에, 소비자가 소지한 전자적인 결제수단, 예로써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등을 매장의 POS 단말기 등에 인식시켜 결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기술된 바와 같은 전자적 결제를 위해서는 오프라인 매장에 결제를 위한 단말기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지만, 최근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이와 같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구매대금을 지불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 대금 결제 방식은 매장 단말기 및 이와 연동되는 서버와 같은 하드웨어간의 연결이 중심이 되어 결제 처리를 진행해야 때문에 하드웨어 특성에 따라 비독립적이고, 사용자 단말기, 매장 단말기 및 서버의 연결이 폐쇄적이며 공급자 중심으로 결제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32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25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운드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드웨어 특성에 구애받지 않음과 동시에 사용자 중심에서 자유로운 연결과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데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사운드를 수신받아 녹음 또는 가공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외부로 출력 및 전송하기 위한 제1 어플리케이션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측 단말기와;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출력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사운드 패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액션을 수행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측 단말기와; 상기 송신측 또는 수신측 단말기가 전송하는 사운드 패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측 단말기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면 송신측 단말기에 수신측 단말기의 사운드 패턴 정보 인식 상황을 통보하고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의 사운드 패턴 정보를 갱신 및 처리 완료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사운드의 패턴값을 추출하여 사운드 패턴 정보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출력할 경우, 복수개의 수신측 단말기가 그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액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출력할 경우, 단일한 수신측 단말기만 그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액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는 특정 사운드를 모두 수신한 다음에 녹음 또는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사운드를 인식하게 된 시점부터 녹음 또는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호간에 호환 가능하도록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 수신측 단말기 및 웹서버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를 통해 암호화된 형태로 상호간에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특정 사운드를 수신받아 녹음 또는 가공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제1 어플리케이션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측 단말기를 통해 외부로 출력 및 전송하는 사운드 패턴 생성 단계와;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출력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제2 어플리케이션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측 단말기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사운드 패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액션을 수행하는 단말기 액션 단계와; 웹서버를 통해 상기 송신측 또는 수신측 단말기가 전송하는 사운드 패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측 단말기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면 송신측 단말기에 수신측 단말기의 사운드 패턴 정보 인식 상황을 통보하고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의 사운드 패턴 정보를 갱신 및 처리 완료하는 사운드 패턴 피니싱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액션 단계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반복하여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운드 패턴 피니싱 단계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에 액션 완료 및 액션 완료 표시가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송신측 단말기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수신 완료하였는지 폴링(Polling)하고,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액션 완료를 진행하였는지 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운드 처리를 위한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매립된 송수신측 단말기와 웹서버간의 통신이 사운드 패턴 정보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드웨어 특성에 구속되지 않으면서도 송수신측 단말기를 1:N 또는 N:1로 구성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부여하여 사운드를 통해 그러한 기능을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과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송신측 단말기(100), 수신측 단말기(200) 및 웹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특정 사운드를 수신받아 녹음 또는 가공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외부로 출력 및 전송하기 위한 제1 어플리케이션(110)이 매립된 것으로, 온라인 상에서 통신이 가능한 어떠한 것이라도 무관하며 일례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110)은 특정 사운드의 패턴값을 추출하여 사운드 패턴 정보로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송신측 단말기(100)의 소유자가 발화(發話)를 하게 되면 해당 사운드의 파장을 등록한 다음 다른 사운드와 구분 가능하도록 고유한 패턴값을 추출하여 사운드 패턴 정보로 가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10)은 발화된 특정 사운드를 모두 수신한 발화 끝점을 인식 시작점으로 하여 해당 사운드의 녹음 또는 가공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발화 시작 후 특정 사운드를 인식하게 된 시점부터 녹음 또는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사운드 인식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송신측 단말기(100)가 출력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사운드 패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액션을 수행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210)이 매립된 것으로 송신측 단말기(100)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통신이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210)이 수행하는 미리 정의된 액션은 인증, 결제, 화면표시를 포함하여 수신측 단말기(200)기가 수행할 수 있는 종래 공지된 어떠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110, 210)은 그 각각이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을 단독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나, 상호간에 호환 가능하도록 동일한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송신측 또는 수신측 단말기(100, 200) 또한 액션 관련하여 역전된 기능을 수행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가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출력할 경우, 복수개의 수신측 단말기(200)가 그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액션을 수행하게 되거나, 단일한 수신측 단말기(200)만 그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액션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사운드 인식 및 액션에 대한 일례를 결제와 관련토록 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소비자 단말기 입장의 스마트 폰과 같은 송신측 단말기(100) 1개와 매장 단말기 입장의 태블릿과 같은 수신측 단말기(200) 1개가 소비자 개인별 고유 사운드 패턴 정보를 통해 매장 단말기와 1:1로만 통신하며 결제 처리가 되도록 할 수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매장 단말기 입장의 송신측 단말기(100) 1개가 매장 단말기 고유 사운드 패턴 정보를 출력하여 소비자 단말기 입장의 수신측 단말기(200) 1개와 1:1로만 통신하며 결제 처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송신측 또는 수신측 단말기(100)를 1:1 연결에 국한시키지 않고 N:1 또는 N:N으로 확장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다수 단말기간의 동시 다발적 기능 처리 또한 가능하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웹서버(300)는 송신측 또는 수신측 단말기(100, 200)가 전송하는 사운드 패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면 송신측 단말기(100)에 수신측 단말기(200)의 사운드 패턴 정보 인식 상황을 통보하고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100, 200)의 사운드 패턴 정보를 갱신 및 처리 완료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웹서버(300)와 송신측 단말기(100) 및 수신측 단말기(200)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를 통해 암호화된 형태로 상호간에 통신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Rest API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통신상에서 메세지 자체를 읽는 것만으로도 본래 용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쉽게 이해 가능하고, HTTP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인프라를 요구치 않으며, 세션과 요청 내용이 연관되지 않기 때문에 요청이 수행 컨텍스트(Context)에 독립적임에 따라 이해와 사용이 용이하다.
2) 클라이언트(송수신측 단말기)는 Rest API를 통해 서버(웹서버)와 정보를 주고 받고, 서버 입장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수행 컨텍스트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단지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내용만 처리해서 응답하면 됨에 따라, HTTP 프로토콜만 서비스하면 되기 때문에 플랫폼과도 독립적이어서 멀티 플랫폼 상황에서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게 해준다.
3) 헤더 부분에 URI에 대한 처리 메소드를 명시하고, 필요한 실제 데이터는 바디 부분에 표현하도록 분리시켜 페이로드 부분을 JSON, XML, YAML 등 원하는 표현 언어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인식 결제 처리 방법은 기본적으로 사운드 패턴 생성 단계(S10), 단말기 액션 단계(S20) 및 사운드 패턴 피니싱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운드 패턴 생성 단계(S10)에서는 특정 사운드를 수신받아 녹음 또는 가공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제1 어플리케이션(110)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측 단말기(100)를 통해 외부로 출력 및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져, 송신측 단말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 패턴 정보의 소리 신호를 근거리에서 수신측 단말기(200)가 수신하게 되고 온라인 상으로 사운드 패턴 정보가 웹서버(300)로 전송된다.
상기 단말기 액션 단계(S20)에서는 송신측 단말기(100)가 출력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제2 어플리케이션(210)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측 단말기(20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사운드 패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인증, 결제, 화면 표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액션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액션 단계(S20)는 송신측 단말기(1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반복하여 송출하는 단계와,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 대기하는 단계와,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웹서버(300)가 사운드 패턴 정보의 출력 여부와 수신측 단말기(200)의 사운드 패턴 인식 여부를 확인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사운드 패턴 피니싱 단계(S30)에서는 웹서버(300)를 통해 송신측 또는 수신측 단말기(100, 200)가 전송하는 사운드 패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면 송신측 단말기(100)에 수신측 단말기(200)의 사운드 패턴 정보 인식 상황을 통보하고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100, 200)의 사운드 패턴 정보를 갱신 및 처리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패턴 피니싱 단계(S30)는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면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100, 200)에 해당 액션 완료 및 액션 완료 표시가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소비자 및 판매자 입장에서 결제 완료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가 백그라운드에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측 단말기(200)가 수신 완료하였는지 폴링(polling)하고, 수신측 단말기(200)는 송신측 단말기(100)가 액션 완료를 진행하였는지 폴링하도록 하여, 웹서버(300)와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100, 200) 사이의 단기간의 통신 상태 불량으로 인해 액션 진행이 지연되는 현상을 보완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 수신측 단말기(200) 및 웹서버(300)는 기술된 바와 같은 Rest API를 통해 암호화된 형태로 상호간에 통신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과정을 결제와 관련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하여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방법의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도 4에 따르면, 고객 입장의 사용자 핸드폰을 통해 매장의 패드가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대금을 결제할 경우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사용자 핸드폰과 매장 패드 각각이 암호화된 형태로 해당 결제 사운드 패턴 정보 Rest API를 호출하여 결제를 위한 해당 결제번호 사운드 패턴을 웹서버로부터 수신
2) 사용자 핸드폰에서 결제 버튼을 눌러 사운드를 반복적으로 송출
3) 매장 패드에서 결제 대기 버튼을 누르고 사운드 수신을 대기
4) 매장 패드가 사운드를 인식하면 암호화된 해당 결제 매장 사운드 수신 완료 처리 Rest API를 호출하고 웹서버는 DB를 업데이트
5) 사용자 핸드폰은 백그라운드에서 해당 결제 매장 패드가 사운드를 수신 완료하였는지 폴링하고 암호화된 해당 결제 매장 완료 체크 Rest API를 호출
6) 사용자 핸드폰으로 매장 결제 완료를 확인하여 결제 완료 페이지를 표시하며 암호화된 해당 결제 고객 사운드 수신 완료 처리 Rest API를 호출하고 웹서버는 DB를 업데이트
7) 매장 패드로 백그라운드에서 고객 결제 완료가 되었는지 폴링하고 암호화된 해당 결제 고객단 완료 체크 Rest API 호출하고 결제 완료 페이지 표시
다음으로 도 5에 따르면, 매장의 패드를 통해 고객 입장의 사용자 핸드폰이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대금을 결제할 경우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매장 패드와 사용자 핸드폰 각각이 암호화된 해당 결제 사운드 패턴 정보 Rest API를 호출하여 결제를 위한 해당 결제번호 사운드 패턴을 웹서버로부터 수신
2) 매장 패드에서 결제 버튼을 눌러 사운드를 반복적으로 송출
3) 사용자 핸드폰에서 결제 대기 버튼을 누르고 사운드 수신을 대기
4) 사용자 핸드폰이 사운드를 인식하면 암호화된 해당 결제 고객 사운드 수신 완료 처리 Rest API를 호출하고 웹서버는 DB를 업데이트
5) 매장 패드는 백그라운드에서 해당 결제 고객이 사운드를 수신 완료하였는지 폴링하고 암호화된 해당 결제 매장 완료 체크 Rest API를 호출
6) 매장 패드로 고객 결제 완료를 확인하여 결제 완료 페이지를 표시하며 암호화된 해당 결제 매장 사운드 수신 완료 처리 Rest API를 호출하고 웹서버는 DB를 업데이트
7) 사용자 핸드폰으로 백그라운드에서 매장 결제 완료가 되었는지 폴링하고 암호화된 해당 결제 매장단 완료 체크 Rest API 호출하고 결제 완료 페이지 표시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특정 사운드를 수신받아 녹음 또는 가공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외부로 출력 및 전송하기 위한 제1 어플리케이션(110)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측 단말기(100)와;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가 출력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사운드 패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액션을 수행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210)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측 단말기(200)와;
    상기 송신측 또는 수신측 단말기(100, 200)가 전송하는 사운드 패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면 송신측 단말기(100)에 수신측 단말기(200)의 사운드 패턴 정보 인식 상황을 통보하고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100, 200)의 사운드 패턴 정보를 갱신 및 처리 완료하는 웹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110)은,
    특정 사운드의 패턴값을 추출하여 사운드 패턴 정보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가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출력할 경우,
    복수개의 수신측 단말기(200)가 그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액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가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출력할 경우,
    단일한 수신측 단말기(200)만 그 특정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액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는,
    특정 사운드를 모두 수신한 다음에 녹음 또는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사운드를 인식하게 된 시점부터 녹음 또는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110, 210)은,
    상호간에 호환 가능하도록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 수신측 단말기(200) 및 웹서버(300)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를 통해 암호화된 형태로 상호간에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8. 특정 사운드를 수신받아 녹음 또는 가공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제1 어플리케이션(110)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측 단말기(100)를 통해 외부로 출력 및 전송하는 사운드 패턴 생성 단계(S10)와;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가 출력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제2 어플리케이션(210)이 매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측 단말기(20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사운드 패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액션을 수행하는 단말기 액션 단계(S20)와;
    웹서버(300)를 통해 상기 송신측 또는 수신측 단말기(100, 200)가 전송하는 사운드 패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면 송신측 단말기(100)에 수신측 단말기(200)의 사운드 패턴 정보 인식 상황을 통보하고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100, 200)의 사운드 패턴 정보를 갱신 및 처리 완료하는 사운드 패턴 피니싱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액션 단계(S20)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반복하여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패턴 피니싱 단계(S30)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가 사운드 패턴 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100, 200)에 액션 완료 및 액션 완료 표시가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가 수신 완료하였는지 폴링(polling)하고,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가 액션 완료를 진행하였는지 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 수신측 단말기(200) 및 웹서버(300)는,
    Rest API를 통해 암호화된 형태로 상호간에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방법.


KR1020170176353A 2017-12-20 2017-12-20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KR10213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53A KR102139068B1 (ko) 2017-12-20 2017-12-20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PCT/KR2018/014713 WO2019124788A1 (ko) 2017-12-20 2018-11-27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53A KR102139068B1 (ko) 2017-12-20 2017-12-20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765A true KR20190074765A (ko) 2019-06-28
KR102139068B1 KR102139068B1 (ko) 2020-07-29

Family

ID=6699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353A KR102139068B1 (ko) 2017-12-20 2017-12-20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9068B1 (ko)
WO (1) WO201912478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809A (ko) * 2009-06-04 2010-12-14 유비벨록스(주)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JP2014229137A (ja) * 2013-05-23 2014-12-08 株式会社 ペンジュラム 決済システム及びその決済方法
KR20160123264A (ko) 2016-10-05 2016-10-25 최옥재 자기장을 이용한 비콘 접근방향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결제시스템
KR20170035169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비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KR101762582B1 (ko) 2016-12-12 2017-07-28 주식회사 유비케어 바코드 인식을 통한 약품 결제 장치 및 방법
KR20170087979A (ko) * 2014-02-20 2017-07-31 삼성 페이,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체크아웃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019A (ko) * 2007-06-01 2009-01-09 이바도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권한부여 시스템
KR20170128048A (ko) * 2016-05-13 2017-11-22 모비두 주식회사 음파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809A (ko) * 2009-06-04 2010-12-14 유비벨록스(주)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JP2014229137A (ja) * 2013-05-23 2014-12-08 株式会社 ペンジュラム 決済システム及びその決済方法
KR20170087979A (ko) * 2014-02-20 2017-07-31 삼성 페이,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체크아웃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5169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비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KR20160123264A (ko) 2016-10-05 2016-10-25 최옥재 자기장을 이용한 비콘 접근방향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결제시스템
KR101762582B1 (ko) 2016-12-12 2017-07-28 주식회사 유비케어 바코드 인식을 통한 약품 결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068B1 (ko) 2020-07-29
WO2019124788A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7918B2 (en) Dynamic and cryptographically secure augmentation of participants in programmatically established chatbot sessions
US20110270758A1 (en)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transaction using mobile phones
CN104144093A (zh) 一种智能设备控制方法及相关设备、系统
CN103246977A (zh) 一种电视支付信息发送、接收方法
US20180247299A1 (en) Watch with SIM and Web browser
CN109087468B (zh) 一种显码播报设备、账号绑定与支付业务处理方法及装置
US10861454B2 (en) Interactive voice-activated bot with visual cue
WO2016132458A1 (ja) 携帯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M519775U (zh) 可與多個第三方支付平台進行支付作業的支付服務設備
JP5981009B1 (ja) 決済処理装置、通販受発注システム、決済処理方法、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74765A (ko)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067900B (zh) 信息输出方法、装置及设备
KR20170051916A (ko) 접속 정보 확인에 기초한 모바일 간편 결제 보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5099930A (zh) 金融业务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4449497A (zh) 一种售货终端交互方法、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A3039705C (en) Dynamic and cryptographically secure augmentation of participants in programmatically established chatbot sessions
US202102485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s securely
US10708779B2 (en) Electronic devices for wave pattern data transfer
CN109816395B (zh) 受限设备的支付方法、系统和设备
TWI841979B (zh) 支付語音播放系統
TWM633407U (zh) 支付語音播放系統
KR20120121576A (ko)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TW202349304A (zh) 支付語音播放系統
CN108960814B (zh) 一种扫码支付方法及商户终端
KR10067251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정보 수신 장치 및 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