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576A -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576A
KR20120121576A KR1020110039450A KR20110039450A KR20120121576A KR 20120121576 A KR20120121576 A KR 20120121576A KR 1020110039450 A KR1020110039450 A KR 1020110039450A KR 20110039450 A KR20110039450 A KR 20110039450A KR 20120121576 A KR20120121576 A KR 20120121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event
mobile terminal
mobile ev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혁
장용희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레인스에이치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레인스에이치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레인스에이치엘에스
Priority to KR102011003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576A/ko
Publication of KR2012012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응답시스템 및 모바일 이벤트의 발행사 서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으로서, (a) 자동응답시스템으로부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의 ARS 번호, 다이얼링 연결된 모바일 단말 번호, ARS 접속 시간,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해석하고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모바일 단말 정보,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 요청을 전송받고, 발행사 서버- 상기 발행사 서버는 발행사 앱 서버 또는 발행사 웹 서버 중의 어느 하나임-와 연동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ARS Ev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응답시스템(ARS: Automatic Response System)을 통해 수신된 이벤트 시그널 이용하여 이벤트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상품 마케팅, 전자 결제/인증/가입/구매 등의 특정 프로세스, 정보 제공 등의 이벤트를 자동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응답시스템(ARS: Automatic Response System)은 각종 정보를 음성으로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가 전화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속하면 음성으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사용법을 알려주고, 필요한 정보를 찾으면 이를 음성으로 들려 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ARS를 이용한 전화정보 서비스는 예를 들어, 전화교환기에 음성사서함장치를 설치, 각종 정보를 수록해 놓고 정보이용자가 전화를 걸어 원하는 정보를 청취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대부분 전화요금 외에 이용한 시간에 비례하여 정보이용료를 지불 해야 한다.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는 증권, 교통, 관광, 스포츠, 공연, 건강, 운세, 날씨, 이동전화 인사말, 유행곡 청취, 폰뱅킹 등 매우 다양한데, 최근에는 홈쇼핑을 위한 주문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등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자동응답시스템은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서비스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인력절감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화를 거는 사람이 최초 통화 연결로부터 원하는 정보에 도달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많은 단계를 거치거나,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그러한 복잡한 단계를 거치더라도 원하는 응답을 얻지 못할 수도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85539호(공개일자 2004.10.08.)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자동응답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예의 자동응답시스템 및 그 방법은, 자동응답시스템(ARS)에서 제공하는 음성 메뉴 절차를 음성(Voice) 확장성 생성 언어(XML) 문서로부터 메뉴화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메뉴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의 자동응답시스템 및 그 방법도 기존의 자동응답시스템의 정보 제공 방식을 근본적으로 벗어난 것은 아니었고, 다만 사용자가 순수 음성 안내 및 전화기 버튼 입력을 통해 진행하던 각 단계에 시각적인 메뉴 제공 방식을 병행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여, 근본적 해결책이 되지는 못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예의 자동응답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동응답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ARS 메뉴 화면 처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직접 구동하여 다이얼링을 시도하여야 하므로, 프로그램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접근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예의 자동응답시스템 및 그 방법은, ARS 시스템이 스테이지 메뉴화면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와 함께 해당 스테이지의 음성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구성을 취하는데, 통상적인 이동통신망에서 정보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존의 이동통신망을 근간으로 한 실제 구현 시의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자동응답시스템(ARS: Automatic Response System)을 통해 수신된 이벤트 시그널 이용하여 이벤트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상품 마케팅, 전자 결제/인증/가입/구매 등의 특정 프로세스, 정보 제공 등의 이벤트를 자동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응답시스템 및 모바일 이벤트의 발행사 서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으로서, (a) 자동응답시스템으로부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의 ARS 번호, 다이얼링 연결된 모바일 단말 번호, ARS 접속 시간,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해석하고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모바일 단말 정보,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 요청을 전송받고, 발행사 서버- 상기 발행사 서버는 발행사 앱 서버 또는 발행사 웹 서버 중의 어느 하나임-와 연동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은 다이얼링 연결된 모바일 단말에 모바일 이벤트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으로 확인된 모바일 단말로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정보를 안내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미사용'으로 확인된 모바일 단말로는 일반 ARS 시나리오에 따른 정보를 안내하고, 그에 다른 일반 ARS 신호를 입력받아, 일반 ARS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더욱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DTMF 또는 음성신호, IP프로토콜 신호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해석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로부터 해당 모바일 단말의 특성 정보- 상기 특성 정보는 모바일 단말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받으며,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더욱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다운로드 하여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b)단계의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 전송 전에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체크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이 미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자동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 및 그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이뤄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은 발행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유무를 체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미설치 확인 시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해당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발행사 앱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 요청을 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다운로드 및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치 확인 시에는 바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웹 연동형인 경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해당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발행사 앱 서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과 연동한 웹 이벤트 제공 요청을 하도록 더욱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가 웹 서비스인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해당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발행사 웹 서버에 모바일 이벤트 제공 요청을 하도록 더욱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모바일 이벤트 제공이 완료된 후, 이벤트 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더욱 전송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 이벤트는 마케팅 이벤트, 프로세스 이벤트- 상기 프로세스 이벤트는 전자 결제, 인증, 가입, 구매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임-, 정보 제공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일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응답시스템 및 모바일 이벤트의 발행사 서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모바일 이벤트를 제공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서, ARS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의 ARS 번호, 다이얼링 연결된 모바일 단말 번호, ARS 접속 시간,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해석하고 처리하는 이벤트 해석/처리부;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모바일 단말 정보,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하고, 모바일 메타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 요청을 전송받고, 발행사 서버- 상기 발행사 서버는 발행사 앱 서버 또는 발행사 웹 서버 중의 어느 하나임-와 연동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이벤트를 제공하는 이벤트 수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에 포함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와 연동하며, 해당 모바일 단말의 특성 정보- 상기 특성 정보는 모바일 단말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받아 상기 이벤트 해석/처리부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처리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정보 처리부;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벤트 수행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전송 요청에 따라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기능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벤트 수행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발행사 앱 서버와 연동하여 모바일 단말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또는 실행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벤트 수행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가 웹 서비스인 경우에는, 발행사 웹 서버와 연동하여 모바일 단말에 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 단말에 모바일 이벤트 제공이 완료된 후, 이벤트 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이벤트 처리결과 저장부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동응답시스템에 일반 음성 통화 방식으로 접속하고 최소한의 입력 및 종료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비스 방식의 모바일 이벤트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TMF 또는 음성신호, IP프로토콜 신호 등의 송수신 방식을 취하는 기존의 자동응답시스템의 구성을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의 연동 구성만으로 모바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에 연동되는 발행사 앱 서버 또는 발행사 웹 서버의 확장만으로, 모바일 이벤트를 다양하게 확장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케팅 이벤트, 프로세스 이벤트, 정보 제공 이벤트 등 다양한 모바일 이벤트 특성에 맞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비스 방식의 모바일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관련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의 기능 관점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의 기능 관점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관련 전체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관련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의 기능 관점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의 기능 관점 구성도이다.
통신 네트워크(10,20)를 통하여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이 자동응답시스템(100) 및 모바일 이벤트의 발행사 서버(400,500),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자동응답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10, PSTN 또는 이동통신망)를 통해 다이얼링 접속된 모바일 단말(200)에 ARS 시나리오에 따른 음성 안내를 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또는 음성 신호(음성 인식 기능 구비의 경우)로 입력받아 ARS 시나리오에 따른 각종 서비스(증권, 교통, 관광, 스포츠, 공연, 건강, 운세, 날씨, 이동전화 인사말, 유행곡 청취, 폰뱅킹, 홈쇼핑 주문 등)를 제공하는 통상의 자동응답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은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BSC), 교환국(Mobile Switching Controller: MSC) 등이 포함된 통상의 이동통신망이 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ARS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서, 안테나, 무선신호 처리부, 모뎀, 스피커, 마이크 폰, 코덱, 키 입력부(또는 터치 스크린), 램(RAM), 플래시 롬(FLASH ROM), 이이피롬(EEPROM), LCD 표시부, 중앙처리장치 등을 구비한 통상의 모바일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웹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의 통상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기능 관점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은 중앙처리유닛, 시스템 DB, 시스템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의 컴퓨팅 요소를 구비한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의 통상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기능 관점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발행사 서버(400,500)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와 연동하여, 각종 모바일 서비스(증권, 교통, 관광, 스포츠, 공연, 건강, 운세, 날씨, 이동전화 인사말, 유행곡 청취, 폰뱅킹, 홈쇼핑 주문 등)를 모바일 이벤트 형태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고자 하는 발행사의 서버로서, 제공되는 모바일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발행사 앱(App) 서버(400) 또는 발행사 웹(web) 서버(500)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응답시스템(100) 및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 발행사 서버(400,500)는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물리적 단위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상에 논리적 단위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모바일 단말(200)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사 서버(600)가 구비된다. 이동통신사 서버(600)에는 모바일 단말(200)의 특성 정보(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은, ARS 인터페이스부(302)를 통해 상기 자동응답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해석하고 처리하는 이벤트 해석/처리부(304)를 구비한다.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자동응답시스템(100)의 ARS 번호, 다이얼링 연결된 모바일 단말(200) 번호, ARS 접속 시간,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200)의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해석/처리부(330)는 모바일 이벤트 DB(330)에 저장된 이벤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해석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이벤트 DB(330)에는 ARS 번호 및 ARS 접속 시간 등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모바일 이벤트의 내용이 저장될 수 있으며, 각 모바일 이벤트별 시나리오가 저장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200)의 입력 신호를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구체적인 시나리오 동작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은, 상기와 같은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의 해석/처리 결과에 따라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모바일 메타데이터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306)를 구비한다.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모바일 단말 정보,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에 의해 해당 모바일 단말(200)에 설치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해당 모바일 단말(200)이 자동응답시스템(100)을 통해 최소한의 신호 입력을 통해 요청한 모바일 이벤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 요청을 전송받고, 발행사 서버(400,500)와 연동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200)로 모바일 이벤트를 제공하는 이벤트 수행부(310)를 구비한다.
상기 이벤트 수행부(310)는, 상기 모바일 단말(200)로부터의 전송 요청에 따라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기능을 또한 구비한다.
상기 이벤트 수행부(310)는, 상기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발행사 앱 서버(400)와 연동하여 모바일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또는 실행이 이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수행부(310)는, 상기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가 웹 서비스인 경우에는, 발행사 웹 서버(500)와 연동하여 모바일 단말(200)에 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DTMF 또는 음성신호, IP프로토콜 신호 중의 어느 하나의 신호 형태로 상기 자동응답시스템(100)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으로 전송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ARS 인터페이스부(302)는 일반 IP 프로토콜용의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DTMF 또는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음성통신용의 인터페이스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에 포함된 상기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600)와 연동하며, 해당 모바일 단말(200)의 특성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이벤트 해석/처리부(304)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처리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정보 처리부(320)를 구비한다.
모바일 정보 처리부(320)는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에 포함된 상기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신규 전송된 것인 경우에는 해당 이동 통신사 서버(600)로부터 해당 모바일 단말(200)의 특성 정보를 새로이 요청하여 전송받지만,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에 포함된 상기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기 사용 번호인 경우에는 기존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200)에 모바일 이벤트 제공이 완료된 후, 이벤트 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전송받아 모바일 이벤트 로그 DB(340)에 저장하는 이벤트 처리결과 저장부(312)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모바일 단말(200)의 기능 관점의 구성을 설명한다.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200)이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과 연동하여 모바일 이벤트 제공 처리를 하기 위한 기반 프로그램으로서, 모바일 단말(200)에 설치 및 실행되어 후술하는 각 기능 요소를 단말 특성에 맞게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200)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예, 모바일 폰의 OS 및 그 버전, 단말기 화면 크기) 등에 따라 최적화된 형태로 복수의 버전이 구비되며, 해당 모바일 단말에 최적화된 버전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단말(200)은,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300)으로부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전송받는 모바일 이벤트 인터페이스 모듈(220)을 구비한다.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모바일 단말 정보,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이벤트 자체에 대한 정보와, 이를 특정 모바일 단말에서 구현하기 위한 구현 정보가 함께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하고자 하는 모바일 이벤트가 특정 업체의 고객 안내 이벤트라고 한다면, 그 안내의 내용이나 종류 등이 이벤트 자체에 대한 정보로 볼 수 있으며, 해당 이벤트가 앱 이벤트인지 또는 웹 이벤트인지에 대한 정보, 이를 특정 OS 상에서 구현하기 위한 공통 포맷/프로토콜/UI 등에 대한 정보가 구현 정보로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신된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제어부(262)에 구비된 이벤트 포맷터(202)에 의해 해석되며, 해당 모바일 이벤트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가 당초 의도한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각종 안내 및/또는 질의, 선택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제공하게 된다.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인 경우에, 발행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유무를 체크 및 전송 요청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다운로드 및 실행되도록 하는 모바일 앱 모듈(206)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가 웹 서비스인 경우에는, 발행사 웹 서버에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요청하고 웹 연동으로 모바일 이벤트가 실행되도록 하는 모바일 웹 모듈(204)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모바일 이벤트의 실행은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에 따라 자동으로 이뤄질 수도 있으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에 따라 각종 안내 및/또는 질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 확인 또는 선택 입력을 하고, 그 입력 내용에 따라 모바일 이벤트의 실행이 이뤄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의 디렉토리부(218)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가 저장되는 포맷터 메타데이터 디렉토리(208)와 이벤트 관리 내역이 저장되는 이벤트 관리 디렉토리(210)가 구비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에는 각종 송수신 정보의 암호화 및 해제, 인증 처리 등을 위한 모바일 암호화 모듈(2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및 이벤트 제공 환경 설정을 위한 조회/환경 설정모듈(240), 이벤트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이벤트 이력관리 모듈(25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관련 전체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통화 조작에 의해 네트워크(이동통신망)를 통해 모바일 단말이 자동응답시스템에 다이얼링 접속된다(S102).
자동응답시스템은 ARS 안내 시나리오에 따라 다이얼링 연결된 모바일 단말에 모바일 이벤트 사용 여부를 질의한다(S104). 상기 모바일 이벤트는 예를 들어, 마케팅 이벤트, 프로세스 이벤트, 정보 제공 이벤트 등이 될 수 있다.
마케팅 이벤트는 예를 들어, 특정 상품/서비스에 관한 경품 응모 이벤트, 퀴즈 이벤트 등이 될 수 있다. 프로세스 이벤트는 전자 결제, 인증, 가입, 구매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이며, 예를 들어, 전자 결제 이벤트는 홈쇼핑에서의 상품 구매 또는 각종 서비스 용역(예, 물품 배달)에 대한 모바일 결제 처리 등이 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이벤트는 예를 들어, 특정 캠페인에 대한 정보 안내, 교통/날씨/각종 전문분야 상식에 대한 안내, 특정 업체의 고객 안내 등이 될 수 있다.
자동응답시스템은 '사용'으로 확인된 모바일 단말로는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정보를 음성 안내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신호를 입력받는다(S106). 상기 신호는 상기 음성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모바일 이벤트에 관한 선택 번호를 모바일 단말의 버튼 조작을 통하여 입력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보다 간략하게는 특정 ARS 번호로 전화 통화를 하여 접속된 후 안내 음성의 완료 후 접속 해제하는 최소한의 동작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자동응답시스템(100)은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생성하여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110).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자동응답시스템의 ARS 번호, 다이얼링 연결된 모바일 단말 번호, ARS 접속 시간, 기타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다양한 모바일 단말의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의 전송 완료 후,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안내 및 인사말이 모바일 단말로 전송된다(S112).
한편, 상기 S104 단계에서 모바일 이벤트 '미사용'으로 확인된 모바일 단말로 자동응답시스템은 일반 ARS 시나리오에 따른 정보를 안내하고, 그에 다른 일반 ARS 신호를 입력받아, 일반 ARS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108).
상기와 같은 각 시나리오에 따른 안내 및 입력 처리가 완료된 후, 자동응답시스템에서의 ARS 서비스는 일단 종료된다(S114).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은 상기 S110 단계에서 자동응답시스템이 전송한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수신한다(S302).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DTMF 또는 음성신호, IP프로토콜 신호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 전송되므로, 기존의 자동응답시스템의 신호 처리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은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에 포함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도면 미도시)와 연동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의 특성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특성 정보는 모바일 단말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은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에 포함된 자동응답시스템의 ARS 번호, ARS 접속 시간, 기타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다양한 모바일 단말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모바일 이벤트 제공과 관련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은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의 해석 및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308).
이후,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은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S310),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S312).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모바일 단말 정보,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는, 자동응답시스템에 접속하여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최소한의 요구 정보를 입력하고 ARS 접속을 종료하면 되며,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생성된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가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어, 기존의 음성 안내에 따른 복잡한 입력 과정 없이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 구동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모바일 이벤트 형태로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바일 단말은 상기 S312 단계에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전송한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모바일 이벤트를 시작한다(S202,S204).
모바일 이벤트의 진행을 위하여, 모바일 단말에는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해석하고 그에 따른 각종 이벤트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된다.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이 네트워크(이동통신망)를 통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에 접속하여 미리 다운로드 받아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 전송(S312) 단계 전에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체크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이 미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자동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체크 프로그램은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관련 안내 SMS와 함께 푸쉬 프로그램 형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된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확인 조작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와 같은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설치 확인 및 결과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푸쉬 프로그램에 관한 기술은 기존에 다수 공지된 형태가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S206)이 이뤄진다.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S206)에 의해,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당초 의도한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각종 안내 및/또는 질의, 선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제공하게 된다(S208).
이후, 상기 각종 안내 및/또는 질의, 선택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 확인 또는 선택 입력을 하게 되며(S210), 이에 따라 해당 모바일 이벤트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확인 또는 선택 입력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은 발행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유무를 체크한다(S212).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미설치 확인 시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해당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S214), 발행사 앱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 요청을 하여(S316)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다운로드 및 실행되도록 한다(S216,S218,S402).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치 확인 시에는 바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S218,S402).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모바일 단말에서 독자적으로 구동되는 형태가 아닌 웹 연동형인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해당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발행사 앱 서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과 연동한 웹 이벤트 제공 요청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확인 또는 선택 입력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가 웹 서비스인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해당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S232), 발행사 웹 서버에 모바일 이벤트 제공 요청을 하도록 구성된다(S314).
모바일 이벤트 제공 요청을 받은 발행사 웹 서버는 해당 모바일 이벤트를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여 제공한다(S234,S502).
상기와 같은 앱 이벤트의 예로서, 전자 결제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모바일 이벤트 제공이 이뤄지는 전자 결제 이벤트를 들 수 있다. 이때 발행사 앱 서버는 전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결제사의 서버가 될 수 있다.
웹 이벤트의 예로서, 특정 업체의 고객 안내를 웹 브라우징 방식으로 제공하는 모바일 정보 제공 이벤트를 들 수 있다. 이때 발행사 웹 서버는 해당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의 웹 서버가 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에 모바일 이벤트 제공이 완료된 후, 모바일 단말은 이벤트 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 생성 및 전송할 수 있으며(S220),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은 상기 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S318).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10,20: 통신 네트워크 100: 자동응답시스템
200: 모바일 단말 300: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400: 발행사 앱 서버 500: 발행사 웹 서버

Claims (21)

  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응답시스템 및 모바일 이벤트의 발행사 서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으로서,
    (a) 자동응답시스템으로부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의 ARS 번호, 다이얼링 연결된 모바일 단말 번호, ARS 접속 시간,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해석하고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모바일 단말 정보,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 요청을 전송받고, 발행사 서버- 상기 발행사 서버는 발행사 앱 서버 또는 발행사 웹 서버 중의 어느 하나임-와 연동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은 다이얼링 연결된 모바일 단말에 모바일 이벤트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으로 확인된 모바일 단말로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정보를 안내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미사용'으로 확인된 모바일 단말로는 일반 ARS 시나리오에 따른 정보를 안내하고, 그에 따른 일반 ARS 신호를 입력받아, 일반 ARS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더욱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DTMF 또는 음성신호, IP프로토콜 신호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해석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로부터 해당 모바일 단말의 특성 정보- 상기 특성 정보는 모바일 단말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받으며,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더욱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다운로드 하여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b)단계의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 전송 전에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체크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이 미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자동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 및 그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은 발행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유무를 체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미설치 확인 시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해당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발행사 앱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 요청을 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다운로드 및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치 확인 시에는 바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웹 연동형인 경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해당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발행사 앱 서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과 연동한 웹 이벤트 제공 요청을 하도록 더욱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가 웹 서비스인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해당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발행사 웹 서버에 모바일 이벤트 제공 요청을 하도록 더욱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모바일 이벤트 제공이 완료된 후, 이벤트 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더욱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는 마케팅 이벤트, 프로세스 이벤트- 상기 프로세스 이벤트는 전자 결제, 인증, 가입, 구매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임-, 정보 제공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응답시스템 및 모바일 이벤트의 발행사 서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모바일 이벤트를 제공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서,
    ARS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의 ARS 번호, 다이얼링 연결된 모바일 단말 번호, ARS 접속 시간, 모바일 이벤트 시나리오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해석하고 처리하는 이벤트 해석/처리부;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모바일 단말 정보,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모바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하고, 모바일 메타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 제공 요청을 전송받고, 발행사 서버- 상기 발행사 서버는 발행사 앱 서버 또는 발행사 웹 서버 중의 어느 하나임-와 연동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이벤트를 제공하는 이벤트 수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은, DTMF 또는 음성신호, IP프로토콜 신호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에 포함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와 연동하며, 해당 모바일 단말의 특성 정보- 상기 특성 정보는 모바일 단말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받아 상기 이벤트 해석/처리부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시그날을 처리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정보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수행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전송 요청에 따라 모바일 이벤트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기능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수행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발행사 앱 서버와 연동하여 모바일 단말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또는 실행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수행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요청된 모바일 이벤트가 웹 서비스인 경우에는, 발행사 웹 서버와 연동하여 모바일 단말에 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모바일 이벤트 제공이 완료된 후, 이벤트 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이벤트 처리결과 저장부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이벤트는 마케팅 이벤트, 프로세스 이벤트- 상기 프로세스 이벤트는 전자 결제, 인증, 가입, 구매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임-, 정보 제공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벤트 시스템.
KR1020110039450A 2011-04-27 2011-04-27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KR20120121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50A KR20120121576A (ko) 2011-04-27 2011-04-27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50A KR20120121576A (ko) 2011-04-27 2011-04-27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76A true KR20120121576A (ko) 2012-11-06

Family

ID=4750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450A KR20120121576A (ko) 2011-04-27 2011-04-27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5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388A (ko) *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 롯데닷컴 간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50094859A (ko) * 2014-02-11 2015-08-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388A (ko) *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 롯데닷컴 간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50094859A (ko) * 2014-02-11 2015-08-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2914B2 (en) Devices and method for tagging media
US202303681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805495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6877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201801460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4063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3458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22393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6819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553859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telephony
KR20140100840A (ko) 그룹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N102971758A (zh) 用于提供自动化支付的方法和装置
US8880120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telephony
US862575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JP5914415B2 (ja) 通話管理システム、通話管理方法及び通話管理プログラム
US873114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5942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86770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KR20080030723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관련 서비스 수행 방법
US200701553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based obligation enforcement in an electronic equipment
KR20120121576A (ko) 모바일 이벤트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KR101023909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268762B1 (ko)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0589482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응답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070041157A (ko) Sms 전송 시 레터링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동통신교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