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909B1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909B1
KR101023909B1 KR1020100077038A KR20100077038A KR101023909B1 KR 101023909 B1 KR101023909 B1 KR 101023909B1 KR 1020100077038 A KR1020100077038 A KR 1020100077038A KR 20100077038 A KR20100077038 A KR 20100077038A KR 101023909 B1 KR101023909 B1 KR 101023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s
menu
service
list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원필
Original Assignee
(주)보더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더리스 filed Critical (주)보더리스
Priority to KR102010007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원터치(one touch) 동작에 의하여 해당 ARS으로부터의 원하는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ARS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ARS 접속 서비스 장치는 유무선 인터넷망과 PSTN 및 무선통신망의 결합으로 된 네트워크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호출에 응답하여 자동응답메시지를 송출하고, 디지트 정보가 입력 시 해당 ARS 서비스를 수행하여 해당 메시지를 송출하는 ARS들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호출에 응답하며, 상기 호출 측으로부터 전송된 ARS의 메뉴목록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해당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을 상기 호출 측으로 전송하는 미들웨어타워와; 내부에 저장된 ARS 메뉴 앱의 구동에 응답하여 다수의 ARS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ARS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ARS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시에 상기 미들웨어타워로 상기 선택된 ARS의 메뉴목록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ARS 페이지메뉴목록 중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시에 선택된 ARS를 호출한 후 상기 ARS가 응답 시 상기 선택된 ARS 페이지메뉴목록의 서비스를 받기 위한 디지트 스트링을 전송하여 해당 ARS 서비스를 제공받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accessing ARS used mobile Terminal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Mobile terminals)로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에이알에스(automatic response system : 이하 "ARS"라 칭함)에 접속하여 해당 ARS 서비스를 받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원터치(one touch) 동작에 의하여 해당 ARS의 원하는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ARS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ARS는 음성으로 된 각종 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현재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ARS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위하여 매우 다양한 산업분야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사, 은행, 보험, 신용카드사, 홈쇼핑 등의 콜센터(call center)의 산업분야는 물론 고객이 요청에 의하여 자사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수요자에게 전달/제공하는 모든 산업분야로 그 이용이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금융기관의 예를 들면, ARS와 전산망을 연계하여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때 신용카드사용 내역조회, 무통장입출금 내역조회, 결제예정금액조회, 온라인송금 및 그 정보 등을 음성정보로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사는 자사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상품안내는 물론 전화이용금액, 잔여통화시간 등을 음성으로 자동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기관 또는 이동통신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다수의 ARS은 고객의 요청에 의해 고객에게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항목을 트리(tree) 구조로 배열하고 있어 하나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ARS 서비스 이용자는 많은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즉시에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OO신용카드사의 회원이 금월 결제하여야 할 금액을 조회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화기를 이용 OO신용카드사의 고객센터에 접속(연결)하여 ARS로부터 송출되는 안내멘트에 따라 전화기에 설치된 키패드를 조작하여 다이얼링 디지트(Dialing digit)를 송출하여야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키패드에 설치된 키를 안내멘트에 따라 수십 번 이상 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대다수의 ARS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하여 다음의 메뉴안내를 기계적으로 음성 합성된 안내멘트를 사용자에게 송출함으로써 기계음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필기구를 준비하지 않고서는 ARS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0-2006-0063005호(2006. 06. 12. 공개, 특허문헌 1) "이통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응답시스템 이용방법"과 공개특허 10-2010-0063985호(2010. 06. 14. 공개, 특허문헌 2) "자동응답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ARS시스템으로 ARS서비스항목을 요청 시, 상기 ARS시스템이 요청된 ARS서비스항목을 문자 메시지로 포맷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이용자가 문자화된 ARS서비스항목으로 ARS서비스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게시된 이통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응답시스템 이용방법은 사용자가 ARS시스템의 서비스항목을 문자메세지로 포맷하여 전송받아 사용함으로써 이용 편리성을 도모 하였으나 종래의 ARS시스템과 호환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위 특허문헌 2는 휴대단말기로 ARS서버를 접속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상기 ARS서버에 접속한 후 시각적으로 ARS항목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ARS서버가 상기 시각적 ARS항목의 요청에 응답하여 ARS메뉴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한 후 SMS 메시지의 송수신에 의해 ARS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 2에 게재된 ARS 서비스 이용 장치 또한 ARS시스템의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다이얼링(dialing)하여 접속한 후 ARS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식이고, ARS의 서비스항목을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로 송수신함으로써 종래의 ARS시스템과 호환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위 특허문헌 1과 2에 게재된 ARS 서비스 이용방법들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ARS메뉴를 제공하여 이용의 편리성을 도모한 것이기는 하나, 범용적인 ARS 시스템으로는 특허문헌 1과 2에 개시된 서비스를 사용자에 제공할 수 없어 ARS 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거나 ARS의 프로그램을 변경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과 2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미리 설정된 ARS 장치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접속한 후 해당 ARS로부터 해당 서비스메뉴의 시각적 메시지를 전송받아 서비스항목의 서비스를 요청하여 해당 ARS서비스를 받는 것이어서 그 만큼 통화 트래픽이 증가되는 요인이되어 ARS(콜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ARS 응답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ARS의 서비스항목을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메뉴에서 원터치로 서비스 받을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ARS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인터넷 또는 무선인터넷/와이-파이(Wi-Fi : Wireless-Fidelity) 접속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의 인터넷 접속을 통해 미들웨어타워(middleware tower)로부터 서비스 받고자 하는 ARS의 ARS 서비스목록정보를 수신하고, 원터치 동작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ARS를 호출정보와 ARS 서비스목록정보를 일괄 다이얼링 송출하여 ARS의 통화 트래픽을 최소화하면서 해당 AR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ARS 접속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망과 PSTN 및 무선통신망의 결합으로 된 네트워크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호출에 응답하여 자동응답메시지를 송출하고, 디지트 정보가 입력 시 해당 ARS 서비스를 수행하여 해당 메시지를 송출하는 ARS들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TCP/IP)/무선응용프로토콜(WI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의한 호출에 응답하며, 상기 호출 측으로부터 전송된 ARS의 메뉴목록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해당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을 상기 호출 측으로 전송하는 미들웨어타워(middleware tower)와; 내부에 저장된 ARS 메뉴 앱(ARS_menu application)의 구동에 응답하여 다수의 ARS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ARS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ARS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시에 상기 미들웨어타워로 상기 선택된 ARS의 메뉴목록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ARS 페이지메뉴목록 중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시에 선택된 ARS를 호출한 후 상기 ARS가 응답 시 상기 선택된 ARS 페이지메뉴목록의 서비스를 받기 위한 디지트 스트링을 전송하여 해당 ARS 서비스를 제공받는 휴대 단말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RS들 각각은 변경된 ARS 메뉴가 있을 때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미들웨어타워로 식별코드와 변경된 ARS메뉴목록을 전송하며, 상기 미들웨어타워는 상기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해당 ARS로부터 전송된 ARS메뉴목록을 페이지메뉴목록으로 가공하여 저장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ARS 메뉴 앱의 호출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ARS 페이지메뉴목록이 인증필요메뉴인 경우 상기 저장된 인증정보와 선택된 페이지메뉴목록의 디지트 스트링을 조합하여 해당 ARS를 호출하고, 상기 ARS가 응답시에 상기 조합된 디지트 스트링을 상기 ARS로 전송하여 상기 ARS가 상기 디지트 스트링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aspect)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ARS 접속 서비스 방법은,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ARS 메뉴 앱의 구동에 응답하여 다수의 ARS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다수의 ARS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ARS들의 서비스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미들웨어타워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된 ARS의 메뉴목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미들웨어타워로부터 전송되는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페이지메뉴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해당 페이지메뉴목록의 디지트 스트링을 조합한 후 해당 ARS를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된 ARS가 호출에 응답하였을 때 응답하여 조합된 상기 디지트 스트링을 전송하여 해당 ARS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ARS 접속 서비스 방법은 상기 ARS에 변경된 ARS 메뉴가 있을 때 상기 미들웨어타워로 자신의 식별부호와 ARS목록을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단계는 ARS 메뉴 앱의 호출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 목록이 인증필요메뉴인 경우 상기 인증정보와 선택된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의 디지트 스트링을 조합한 후 해당 ARS를 호출하고, 상기 ARS가 응답 시에 상기 조합된 디지트 스트링을 상기 ARS로 전송하여 상기 ARS가 상기 디지트 스트링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호출에 응답하여 자동안내메세지를 송출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링 디지트에 의해 ARS메뉴가 변환되어 해당 메시지를 송출하거나 ARS서비스를 수행하는 ARS의 서비스 중 원하는 서비스를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페이지단위로 표시되는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을 이용하여 원터치에 의해 선택하여 ARS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범용 ARS의 통화 트래픽을 최소화하면서 최단시간에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ARS 접속 서비스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ARS 접속 서비스 방법의 호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메뉴목록의 선택전개과정에 의해 디지트 스트링이 조합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ARS 접속 서비스 장치(10, 이하 'ARS 접속 서비스 장치'라 칭한다)는 유무선 인터넷망과 PSTN 및 무선통신망 등이 결합되어 휴대단말기(5) 상호간의 음성 및 데이터통신, 또는 컴퓨터와 컴퓨터 상호간의 데이터통신, 컴퓨터와 휴대단말기(5)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12)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12)에는 액세스포인터(Access Point, AP)(14)가 접속되어 무선단말기(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휴대단말기(5)라 함은 통상의 휴대폰, 유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유무선 전화기 및 스마트폰을 총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폰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네트워크(10)에는 TCP/IP 또는 WIP에 의한 접속 호출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미들웨어타워(16)와, PSTN 등과 같은 유무선망을 통한 호출에 응답하여 자동응답메시지(음성안내멘트)를 송출하고 안내멘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다이얼링 디지트에 다른 ARS서비스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RS1~3(18~23)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5)와 미들웨어타워(16)들 상호간은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TCP/IP 또는 WAP에 의해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미들웨어타워(16)와 ARS1~3(18~22)들 상호간 역시 이하 같다. 또한 상기 ARS1~3(18~22)들은 자신에게 부여된 전화번호로 호출되었을 때 자동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자동응답메시지를 호출 측으로 송출하고, 호출 측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지트에 대응하는 ARS서비스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RS1~3(18~22)들은 도 2의 S10과정에서 자신의 ARS 서비스 메뉴 변경 사항이 발생 되었는지를 검색하여, ARS 서비스 메뉴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도 2의 S12과정에서 자신의 식별코드, 예를 들면, 전화번호와 변경된 ARS메뉴목록을 상기 미들웨어타워(16)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미들웨어타워(16)는 S14과정에서 상기 ARS1~3(18~22)로부터 전송되는 ARS메뉴목록을 해당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면, 1588-0000의 전화번호를 식별코드 갖는 ARS1~3(18~20)이 변경된 서비스메뉴목록을 네트워크(10)를 통해 미들웨어타워(12)로 전송하면, 상기 미들웨어타워(12)는 S14과정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어드레스로 하여 수신된 서비스메뉴목록을 페이지메뉴목록으로 가공하여 저장한 후 S17과정에서 갱신완료통보 메시지를 해당 ARS1~3(18~20)으로 전송한다. 위와 같은 ARS1~3(18~22)들의 메뉴목록전송은 실시간 이루어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페이지메뉴목록이라 함은 트리구조로 하나의 근 노드(root node)에서 트리(tree)구조로 하여 하위노드로 펼쳐진 메뉴를 페이지단위로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보여줄 수 있는 표시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5)의 내부에는 다수의 ARS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ARS서비스를 최단시간에 서비스받기 위한 ARS 메뉴 앱(ARS_menu application 또는 Text_app)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ARS 메뉴 앱은 현재 스마트 폰 등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사용하는 방법으로 다운로드하여 내부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필요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구동)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ARS 메뉴 앱이 선택되면, 스마트폰(5)은 도 2의 S16과정에서 ARS 메뉴 앱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 S18과정에서 표시창에 인증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인증창을 팝업 시킨다. 여기서 인증번호라 함은 계좌번호와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또는 카드번호/주민등록번호와 비밀번호 등이 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인정정보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창에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스마트폰(5)은 S20과정에서 키패드/터치스크린상의 터치키에 의해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도 2의 S22과정에서 ARS 목록을 표시한다. 여기서 ARS목록이라 함은 다수의 ARS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이름과 전화번호가 페이지단위로 표시된다. 즉, OO은행 1588-00XX, OO카드 1588-0000, OO홈쇼핑 1590-0000 등 하나의 화면에 다수의 ARS시스템을 접속하기 위한 초기화면을 보여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스마트폰(5)의 사용자가 특정 ARS로부터 ARS서비스를 받기 위해 해당 ARS를 선택한 경우(S24과정), 스마트폰(5)은 S26과정에서 무선인터넷의 채널을 이용하여 미들웨어타워(16)로 선택된 ARS의 메뉴목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는 휴대단말기(5)를 스마트폰(5)으로 가정하여 설명한 예이나, 인터넷 전화인 경우 TCP/IP제어에 의한 인터넷 접속도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다수의 ARS의 목록이 표시된 화면에서 OO카드 1588-0000를 선택한 경우라면, 상기 스마트폰(5)은 무선인터넷 채널을 통해 상기 미들웨어타워(16)로 "OO카드 1588-0000"의 메뉴목록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미들웨어타워(16)는 S28과정에서 수신된 "OO카드 1588-0000"의 메뉴목록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OO카드 1588-0000"의 페이지메뉴목록을 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액스하여 상기 스마트폰(5)으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메이지메뉴목록이라 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근노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인메뉴와, 메인메뉴 중 하나의 근노드가 선택되었을 때 그 하부노드의 메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ARS목록에서 "OO카드 1588-0000"를 선택한 경우, 전술한 S22과정 내지 S28과정의 동작에 의해 스마트폰(5)의 표시창에는 도 3의 M과 같은 메인메뉴가 표시된다. 도 3의 메인메뉴(M)의 표시상태에서 사용자가 "1"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의 하위노드(트리메뉴)를 도 3의 T1과 같이 표시하며, 도 3의 T1에서 "1"이 선택된 경우에는 그 하위노드를 도 3의 T2와 같이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스마트폰(5)상에 표시된 ARS 메뉴 앱의 실행키 또는 폰의 확인키를 선택하면(S30, S32)하면, 스마트폰(5)의 ARS 메뉴 앱은 도 2의 34과정에서 인증이 필요한 메뉴가 선택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은 메인메뉴(M)에서 "1번 내지 5"번의 메뉴가 선택되었는지를 검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도 3의 메이지메뉴목록 중 T3의 "1"번을 선택한 경우 스마트폰(5)의 ARS 메뉴 앱은 도 2의 S34과정에서 인증이 필요한 메뉴라고 판단하고, S36과정에서 선택된 메뉴와 인증정보를 조합한다. 예를 들면, 카드번호가 1234-4567-9012-000이고 비빌빈호가 XX01인 경우, 16자리의 카드번호와 4자리의 비빌번호 및 선택된 페이지메뉴목록의 디지트 스트링 "1-1-1-1"(여기서 "1-1-1-1"은 도 3의 메인메뉴 M의 "1", 하위노드 T1의 1, 하위노드 T2의 "1" 및 하위노드 T3의 "1"의 디지트를 순차적으로 조합한 것임)를 조합하여 내부 메모리에 "1234-4567-9012-000-XX01-1111"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스마트폰(5)은 도 2의 S38과정에서 상기 S24과정에서 선택한 ARS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해당 ARS를 호출한다. 상기 해당 ARS가 상기 스마트폰(5)의 호출에 응답하여 S40과정에서 자동응답메세지를 송출하면, 스마트폰(5)은 해당 ARS가 호출에 응답하였다고 판단하고, S42과정에서 선택된 메뉴정보, 즉, S36과정에서 조합된 디지트스트링을 일괄하여 순차적으로 ARS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ARS은 수신된 디지트 스티링에 대응한 ARS서비스를 수행하여 해당 결과정보를 상기 스마트폰(5)으로 전송한다.
이때, ARS서비스의 결과정보는 ARS처리된 음성정보 또는 상담원을 연결하는 정보일 수 있다.
위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은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ARS를 변경하지 아니하고서도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ARS의 ARS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 ARS의 트래픽 증가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는 최단시간에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 : 휴대단말기, 10 : ARS 접속 서비스 장치.
12 : 네트워크, 14 : AP(Access pointer)
16 : 미들웨어타워, 18~22 : ARS1~ARS3

Claims (6)

  1. 유무선 인터넷망과 PSTN 및 무선통신망의 결합으로 된 네트워크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호출에 응답하여 자동응답메시지를 송출하고, 디지트 정보가 입력 시 해당 ARS 서비스를 수행하여 해당 메시지를 송출하는 ARS들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호출 측으로부터 전송된 ARS의 메뉴목록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해당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을 상기 호출 측으로 전송하는 미들웨어타워와; 내부에 저장된 ARS 메뉴 앱의 구동에 응답하여 다수의 ARS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ARS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ARS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시에 상기 미들웨어타워로 상기 선택된 ARS의 메뉴목록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ARS 페이지메뉴목록 중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시에 선택된 ARS를 호출한 후 상기 ARS가 응답 시 상기 선택된 ARS 페이지메뉴목록의 서비스를 받기 위한 디지트 스트링을 전송하여 해당 ARS 서비스를 제공받는 휴대 단말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RS들 각각은 변경된 ARS 메뉴가 있을 때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미들웨어타워로 식별코드와 변경된 ARS메뉴목록을 전송하며, 상기 미들웨어타워는 상기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해당 ARS로부터 전송된 ARS메뉴목록을 표시 가능한 페이지메뉴목록으로 가공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ARS 메뉴 앱의 호출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ARS 페이지메뉴목록이 인증필요메뉴인 경우 상기 저장된 인증정보와 선택된 페이지메뉴목록의 디지트 스트링을 조합하여 해당 ARS를 호출하여 해당 디지트 스트링에 대응한 ARS서비스를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4.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ARS 접속 서비스 방법은,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ARS 메뉴 앱의 구동에 응답하여 다수의 ARS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다수의 ARS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ARS들의 서비스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미들웨어타워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된 ARS의 메뉴목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미들웨어타워로부터 전송되는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페이지메뉴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해당 페이지메뉴목록의 디지트 스트링을 조합한 후 해당 ARS를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된 ARS가 호출에 응답하였을 때 응답하여 조합된 상기 디지트 스트링을 전송하여 해당 ARS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ARS 접속 서비스 방법은 상기 ARS에 변경된 ARS 메뉴가 있을 때 상기 미들웨어타워로 자신의 식별부호와 ARS목록을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계는 ARS 메뉴 앱의 호출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 목록이 인증필요메뉴인 경우 상기 인증정보와 선택된 ARS의 페이지메뉴목록의 디지트 스트링을 조합한 후 해당 ARS를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ARS가 응답 시에 상기 조합된 디지트 스트링을 상기 ARS로 전송하여 상기 ARS가 상기 디지트 스트링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방법.
KR1020100077038A 2010-08-10 2010-08-10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023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038A KR101023909B1 (ko) 2010-08-10 2010-08-10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038A KR101023909B1 (ko) 2010-08-10 2010-08-10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909B1 true KR101023909B1 (ko) 2011-03-22

Family

ID=4393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038A KR101023909B1 (ko) 2010-08-10 2010-08-10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9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394A (ko) * 2013-09-10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영역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양방향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단말기
WO2015041449A1 (ko) * 2013-09-17 2015-03-26 (주)티아이스퀘어 시각적 ars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151667A1 (ko) *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응답 시스템으로 개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539A (ko) * 2003-03-31 2004-10-08 조승호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자동 응답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저장한 기록매체
KR20060063005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응답시스템 이용 방법
KR100830533B1 (ko) 2007-06-28 2008-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90007193A (ko) * 2007-07-13 2009-01-16 (주) 콜게이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제어 기능을 통한 화면 ars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539A (ko) * 2003-03-31 2004-10-08 조승호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자동 응답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저장한 기록매체
KR20060063005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응답시스템 이용 방법
KR100830533B1 (ko) 2007-06-28 2008-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90007193A (ko) * 2007-07-13 2009-01-16 (주) 콜게이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제어 기능을 통한 화면 ars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394A (ko) * 2013-09-10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영역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양방향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2037728B1 (ko) * 2013-09-10 201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영역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양방향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단말기
WO2015041449A1 (ko) * 2013-09-17 2015-03-26 (주)티아이스퀘어 시각적 ars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151667A1 (ko) *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응답 시스템으로 개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126747B2 (en) 2018-01-31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125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1552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83458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CN100462945C (zh) 一种指示接收到电子消息的通信设备和方法以及一种用于提供计算机化图标订购服务的服务器、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CN103250402A (zh) 语音屏幕ars业务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20040203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dependent information download to a mobile telephone
US20010056479A1 (en) Voice searching system of internet information to be used for cellular phone
CN101107837A (zh) 数据处理的过程
US201900820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US201702893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IVR Menu
WO2011087998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ustomer service on a mobile device
KR101023909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2387806B1 (ko) 전화 통화시 음성과 데이터를 결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888369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heterogeneous network-linked data and method therefor
KR20060013293A (ko)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KR1006245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문자로 자동 응답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KR20090006370A (ko) Ars 자동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565440B1 (ko) 대화형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음성정보 제공장치에서의음성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90100724A (ko) 고객상담센터 연결 방법 및 장치와 운영서버
US20110028119A1 (en) Unique ID Based, Data File Exchange and Synchroniz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s
KR101440527B1 (ko) 음성 안내 절차 없이 고객과 상담원을 직접 연결하는 바로 콜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로 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KR2002006991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신상정보 변경방법
CN101933309A (zh) 通信系统中为用户提供提示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00119962A (ko) 브랜드명을 이용한 폰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KR20140057021A (ko) 화면이 표출되는 스마트 텔레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