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533B1 -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533B1
KR100830533B1 KR1020070064737A KR20070064737A KR100830533B1 KR 100830533 B1 KR100830533 B1 KR 100830533B1 KR 1020070064737 A KR1020070064737 A KR 1020070064737A KR 20070064737 A KR20070064737 A KR 20070064737A KR 100830533 B1 KR100830533 B1 KR 100830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deo call
information
service
respon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화상 통화 기반으로,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을 구축하여, 자동 응답 서비스를 화상 통화 기반으로 보면서 진행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진행상황을 한번에 조망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64737
휴대 단말기, 화상 통화, H.324, 자동 응답

Description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DEVICE FOR VISUAL RESPONS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VRS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상 통화 자동 응답 서비스 중 접속 화면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화상 통화 자동 응답 서비스 중 인증 확인 화면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화상 통화 자동 응답 서비스 중 상담원 연결 화면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 응답 서비스 중 접속 과정에 따른 시스템 간 신호 흐름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 응답 서비스 중 휴대 단말기의 접속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 응답 서비스 중 인증 확인 과정에 따른 시스템 간 신 호 흐름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 응답 서비스 중 휴대 단말기의 인증 확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담원 연결 서비스에 따른 시스템 간 신호 흐름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통화 기반으로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통신 단말기는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사람들이 서로에게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일예로서, 통신 단말기는 각 가정마다 설치되어, 집에서 집, 회사에서 회사 등으로 다양한 정보들을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수화자가 부재중인 경우에도 발신자의 메모를 수신하여 남기는 등의 자동 응답 역할까지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자동 응답 단말기는 발신자가 자동으로 응답되는 녹음 또는 기계음을 면밀히 청취한 후, 자동 응답이 요구하는 과정에 따라, 번호를 누르는 등의 행위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발신자의 상태 즉, 통화 환경이 주변 노 이즈 또는 특정 상황에 따라 좋지 않을 경우 상기 자동 응답이 전송하는 음성 등을 청취하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상술한 자동 응답은 기 설정된 음성 또는 기계음만을 제공하게 됨으로 수화자가 원하는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수화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자동 응답이 제공하는 절차를 다시 수행해야 하며 이에 따라, 이미 전송했던 음성 등을 재차 수신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화상 통화 호 요청에 따라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화상 통화 호 요청 단말기에 기 저장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화상 통화 호 요청을 수행하고,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와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기 저장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에 화상 통화 호 요청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화상 통화 호 요청에 따라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제2 단말기가 기 저정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서비스 항목이 포함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VRS 단말기는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는 단말기로 설명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휴대 단말기가 상기 VRS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즉, 특정 휴대 단말기가 발신 휴대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담원 연결 서비스를 위한 화상 통화 호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VRS 단말기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로 대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휴대 단말기가 아닌 일반 유선으로 연결된 통신 단말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접속 과정, 인증 과정 및 상담원 연결 과정으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자동 응답 서비스는 인증 과정 없이 접속 과정과 상담원 연결 과정만을 제공하거나, 접속 과정 및 상담원 연결 과정만을 제공하거나, 각 과정을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접속 화면에 표시되는 서비스 항목은 세부 항목으로 분기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항목이 신규 가입 항목인 경우, 상기 신규 가입 항목을 선택하면, 신규 가입을 위한 신상 정보 입력을 위한 항목으로 분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서비스 항목이 인증 항목인 경우, 상기 인증 확인 항목은 확인 번호 입력을 위한 하부 링크 창과 링크될 수 있다. 상기 링크 구조는 VRS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정의되며, 상기 VRS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서비스 항목 선택에 따른 키 정보를 기반으로 상 기 링크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은 화상 통화 기반으로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VRS(Visual Response Service) 단말기(200), 상기 VRS 단말기(200)와 통화 호를 형성하여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받는 휴대 단말기(100), 상기 VRS 단말기(200)와 상기 휴대 단말기(100) 간의 통신 네트웍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150), 상기 VRS 단말기(200)의 기타 기능 지원을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50)을 통하여 상기 VRS 단말기(200)에 접속하면,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화상 통 화 응답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에 표시되며,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자동 응답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가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에 신규 가입 항목과, 기타 정보 안내 항목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기타 서비스 이용에 관하여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무선주파수부(110), 키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카메라(140), 메모리(150), 표시부(17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50)을 통하여 상기 VRS 단말기(2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50)을 통하여 상기 VRS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이러한 제1 무선주파수부(110)는 화상 통화 채널을 위한 신호, 통화 채널 형성 시 전송되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상기 VRS 단말기(200)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 등으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VRS 단말기(200) 접속을 위한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VRS 단말기(200)로부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VRS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무선주파수부(110)는 상황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화상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키입력부(120)는 상기 VRS 단말기(200)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입력에 따른 키입력신호,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 중 특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신호, 상기 특정 항목에 따른 세부 정보 입력을 위한 키입력신호 및 상기 VRS 단말기(200)와의 통화 종료를 위한 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12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다수 항목 예를 들면, 다수의 상담원 중 특정 상담원을 선택하는 키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제1 무선주파수부(11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이용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여 제어부(16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진행 중일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과 동기되어 전송된다.
상기 카메라(140)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140)가 촬영한 데이터 신호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시 저장되거나 반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카메라(14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모듈로 작용할 경우, 현재 촬영되는 영상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4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중인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현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외부로 전송하게 되며, 이때, 전송되는 영상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은 메모리(150)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나, 메모리(150) 용량을 고려하여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지 않고 임시 저장된 후, 삭제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40)는 화상 통화 연결 시,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활성화 될 수 있으며, 화상 통화 연결 해제 시,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는 발신자의 영상이 송출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140)는 화상 통화라 하더라도, VRS 단말기(200)와 접속하는 경우, 활성화되지 않을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4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 여 상담원과 연결할 경우에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화상 통화 시 생성되는 영상을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며, 화상 통화 중 송수신되는 신호를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화상 통화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화상 통화를 위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기타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가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 및 화상 통화 채널 형성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시 저장 또는 선 택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VRS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화상 통화 응답 정보에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VRS 단말기(200)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또는 색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화면 데이터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상 통화 채널 형성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들의 전달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입력되는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화상 통화 채널 형성에 관련된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70)는 화상 통화 채널 형성이 완료된 경우, 통화 채널 완료와 관련된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화상 통화 채널 형성이 실패할 경우, 실패에 관련된 영상 예를 들면, 실패에 관련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되는 팝업 메시지는 화상 통화 패널 형성 실패의 원인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7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7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표시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모뎀(MODEM) 및 상기 화상 통화 시 이용되는 영상의 압축 등을 위하여 코덱(CODEC)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을 엔코딩(Encoding) 및 압축하는 영상 코덱과, 영상 코덱으로부터 생성된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 및 기타 화상 통화를 위해 필요한 제어 신호를 다중화 하여 상기 제1 무선주파수부(110)에 전송하는 먹스/디먹스(MUX/DEMUX)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상기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상기 VRS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는 영상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표시부(170) 상에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텍스트 정보를 하나의 화면 구역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영상정보 상에 상기 텍스트 정보를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텍스트 정보를 별도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구분된 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항목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키 정보를 상기 제1 무선주파수부(110)를 통하여 상기 VRS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상기 VRS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다음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의 VRS 단말기(200)와의 신호 흐름에 대하여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화상 통화 기반으로 자동 응답을 제공하는 VRS 단말기(200)에 접속하여, 상기 화상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RS 단말기(20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VRS 단말기(200)는 제2 무선주파수부(210), 저장부(250), VRS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VRS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50)을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자동 응답 요청 서비스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V_data)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화상 통화 기반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VRS 단말기(200)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 무선주파수부(210)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50)을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V_data)를 VRS 제어부(260)의 제어 하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2 무선주파수부(210)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50)을 이용하며 화상 통화가 가능한 통신모듈 예를 들면 WCDMA, HSDPA 및 와이브로 통신모듈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할 화상 통화 응답 정보(V_data)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에 가입했을 경우,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주민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V_data)는 영상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VRS 단말기(200)가 기 저장한 영상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게 제공할 자동 응답 서비스 항목을 포함한 정보이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텍스트 정보의 내용과 관계된 영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서비스 항목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예를 들어 금융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입출금 내역, 잔액조회, 계좌 이체 및 현금 서비스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의 경우, 상기 서비스 항목은 신규 가입, 통신 요금, 이달에 보낸 문자, 요금 변경 등 다양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RS 제어부(2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VRS 단말기(200)와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면, 상기 VRS 저장부(250)에 저장된 화상 통화 응답 정 보(V_data)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VRS 제어부(2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V_data)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키 정보에 해당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V_data)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VRS 단말기(200)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 응답 단말기 인 경우,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V_data)는 사용자 입출금 내역, 잔액조회, 계좌 이체 및 현금 서비스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VRS 제어부(2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예를 들면 잔액조회 서비스 항목에 해당하는 키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인증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V_data)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상기 VRS 제어부(260)는 인증 확인에 해당하는 키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계좌 정보 중 잔액 조회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V_data)에 포함시켜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RS 제어부(260)는 금융 서비스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RS 제어부(260)는 금융 서비스를 위한 자동 응답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서비스, 게임 서비스, 메일링 서비스, 상품 판매 서비스 등 다양한 사회 경제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2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연결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외부 연결 인터페이 스(22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이에서 신호의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220)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상 통화 연결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변경하면, 상기 제2 무선주파수부(2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의 화상 통화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2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예를 들어 상담원 연결 등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50)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상 통화 연결을 위한 수신자 번호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변경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50)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2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데이터가 필요한 서비스 제공이 요청될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정보 송수신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22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는 직렬 통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네트웍통신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등 다양한 통신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220)는 상기 VRS 제어부(260)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220)의 역할을 상기 VRS 제어부(260)가 수행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RS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게 화상 통화 기반의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자동 응답 서비스로는 특정 사이트의 회원 가입, 금융 서비스, 게임 서비스, 상담 서비스, 운세 서비스, 알람 서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자동 응답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VRS 단말기(200)로서 명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대체 가능하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부재중 자동 응답을 화상 통화 자동 응답 서비스로 설정해 놓을 경우,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화상 통화 호 설정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기 저장된 영상 및 문자 정보를 상기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정보에는 음성 및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남길지 여부를 묻는 항목을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5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VRS 단말기(200) 간의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50)은 화상 통화를 지원하는 기지국,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 및 화상 통화에 따른 비용 산정을 수행하는 빌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선택에 따fms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담원 연결을 위한 서비 스를 요청할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특정 상담원에 해당하는 단말기와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상담원 연결 서비스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VRS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동 응답 서비스를 상기 VRS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상담원 연결과 같은 특정 서비스는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특정 서버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즉,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담원과 연결될 수 있는 화상 통화 단말기라면 유선 또는 무선, 휴대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은 자동 응답을 화상 통화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서, 자동 응답시 선택해야 하는 다양한 서비스 항목들을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하면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항목의 식별 및 선택이 용이하고, 보다 빠른 자동 응답 진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70) 화면 인터페이스 중 상기 VRS 단말기(200) 접속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70)는 제1 화면 인터페이스(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VRS 단말기(200)와 화상 통화 연결을 위한 전화번호 및 화상 통화 호 연결 시도에 따른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 스(10)는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정보가 기 저장된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정보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VRS 단말기(200)와 화상 통화 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제2 화면 인터페이스(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전송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170)는 일측에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타측에 텍스트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항목들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텍스트 정보와 연관된 영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70) 일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영상이 표시되고, 화상 통화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70)는 화상 통화 연결에 따라, 카메라(14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상기 표시부(170)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40)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상기 VRS 단말기(200)로 전송되지 않아도 됨으로, 상기 표시부(170)에 표시되지 않을 수 도 있다. 상기 아이콘은 스피커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 카메라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 시간 정보 아이콘 등 휴대 단말기(100)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화면 인터페이스는 제3 인터페이스(12)에서와 같이 화상 코덱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표시부(17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VRS 단말기(200)와의 화상 통화 채널 형성 시, 통화 환경에 대한 협상의 결과로서, 선택할 수 있는 코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표시된 코덱 중 특정 코덱 을 선택하면, 선택된 코덱에 따라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표시부(170)는 표시 영역의 활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140)가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생략하고,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 만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텍스트 정보만을 표시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응답 서비스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접속화면을 제공함으로 서비스 항목 선택의 식별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자동 응답 서비스의 다음 과정 진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확인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VRS 단말기(200)에 접속하고, 특정 서비스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 항목 이용에 필요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전송한 인증 확인을 포함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170)는 인증 확인에 필요한 키 정보를 입력하는 텍스트 표시 영역과, 상기 인증 확인과 연관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텍스트 표시 영역은 입력해야 하는 입력 정보 예를 들면, 주민 번호, 아이디 및 기타 개인 식별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주민 번호, 아이디 및 기타 개인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창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정보를 직접적으로 표시함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현재 어떠한 키가 입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을 위하여, 상기 입력창에 표시되는 키 정보는 "xxx"로 표시되는 등의 보안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영역은 상기 텍스트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정보와 연관된 정보 예를 들면,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영상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큰 글자로 표시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70)는 화상 통화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영역 및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140) 활성화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은 상기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의 표시 효율을 위하여 생략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응답 서비스는 인증 확인에 필요한 확인 정보 입력을 화상을 통하여 확인하면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인증 확인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상담원 서비스를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상담원 서비스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VRS 단말기(200)와 접속한 이후,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상담원 서비스 항목을 선택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사익 VRS 단말기(200)는 상담원들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상기 상담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전송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가 선택한 상담원 서비스 항목에 대응하는 상담원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상담원 서비스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보유한 다양한 상담원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인상착의, 이전 사용자들의 상담 평, 이용을 위한 예상 대기 시간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170)는 제4 화면 인터페이스(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영역에 다수의 상담원들에 정보가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상담원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부(170)에 표시된 각 상담원들은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텍스트 표시 영역은 상기 영상 표시 영역 중 지정된 상담원들에 대한 간략 정보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담원들에 대한 지정이 변할 경우, 상기 간략 정보 표시도 그에 대응하여 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0)는 화상 통화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영역 및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140) 활성화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은 상기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의 표시 효율을 위하여 생략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제4 화면 인터페이스(20)에서 특정 상담원이 지정된 경우,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지정된 상담원과 연결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상 통화 채널을 상기 지정 상담원의 전화번호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상담원과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170)는 제5 화면 인터페이스(2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담원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영역과, 상담원에 대한 정보를 문자 등으로 나타낸 텍스트 표시 영역,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 호상 통화 환경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텍스 표시 영역은 화상 통화 연결에 따른 영상 표시 효율 개선을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담원에 대한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으므로, 선호하는 상담원에 대한 연결시도가 가능하며, 자신이 상담한 상담원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및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자동 응답 서비스 중 서비스 접속을 위한 시스템 간 신호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자동 응답 서비스 접속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자동 응답 서비스 접속 과정은 먼저,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S101 단계에서 키입력부(120)로부터 키입력 발생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키입력이 발생하면, S103 단계에서 발생된 키입력이 화상 통화를 위한 키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S103 단계에서, 화상 통화 입력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105 단계에서 상기 키입력이 지시하는 해당 기능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0)의 음성 통화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MP3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S103 단계에서, 화상 통화를 위한 키입력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107 단계에서 상기 VRS 단말기(200)와 화상 통화 호 연결요청을 시도한다.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화상 통화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S109 단계에서 그에 따른 응답을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VRS 단말기(200)는 S111 단계에서 화상 통화 환경을 위한 협상을 실시한다. 상기 S111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상기 VRS 단말기(200) 간에 형성될 수 있는 화상 통화 채널의 품질을 결정하는 과정으로서, 화상 전송 속도, 사용될 코덱의 종류 등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통화 환경 협상에 따른 과정을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통화 환경에서 지원 가능한 코덱의 종류 및 화상 전송 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화 환경 협상이 완료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VRS 단말기(200)는 S113 단계에서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VRS 단말기(200)는 S115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전송한 다.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는 접속 화면에 필요한 영상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VRS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하면, S117 단계에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를 해당 영역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영상 정보 상에 상기 텍스트 정보를 오버레이 시켜 표시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기반의 자동 응답 서비스는 화상 통화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 만을 표시부(170)에 표시하고, 카메라(140)를 비활성화하여 자신의 영상을 표시/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와 VRS 단말기(200) 간의 인증 확인에 필요한 신호 흐름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인증 확인에 필요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9 및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기반의 자동 응답 인증 확인 과정은 먼저, S201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VRS 단말기(200) 간에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전송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S203 단계에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항목 들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S205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항목 중 특정 항목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20)로부터의 입력신호 또는 상기 표시부(170)가 터치패널로 형성된 경우, 터치 이벤트에 따른 신호로 상기 서비스 항목 중 특정 서비스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205 단계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203 단계로 분기하여 서비스 항목 표시 과정을 유지한다.
한편, 상기 S205 단계에서, 특정 서비스 항목이 선택 되었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S207 단계에서 상기 선택 항목에 대한 키 정보를 상기 VRS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상기 키 정보는 H.324M 기준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VRS 단말기(200) 간에 형성되는 T120 채널을 통하여 송수신 될 수 있다. 상기 T120 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키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VRS 단말기(200)는 키 핸들러(Key Handl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VRS 단말기(200)는 S209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전송한 키 정보에 따라, 해당 서비스 항목이 인증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이 필요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인증 확인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는 인증 확인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VRS 단말기(200)로부터 인증 확인을 위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하면, S211 단계에서 상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증 확인을 위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인증 확인에 필요한 키 정보를 키입력부(120)로부터 수신하고, S213 단계에서 상기 확인 번호에 해당하는 키 정보를 상기 VRS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상기 확인 번호에 해당하는 키 정보는 상기 키입력부(120)가 입력한 신호를 통합하여 상기 VRS 단말기(2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 번호에 해당하는 키 정보는 상기 T120 채널을 통하여 상기 VRS 단말기(200)에 실시간 전송될 수 도 있다.
상기 VRS 단말기(200)는 S215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확인 번호 키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확인 번호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확인 번호가 기 저장된 확인 번호와 동일하여 유효하다고 판단할 경우, S217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선택한 서비스 항목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S219 단계에서 상기 VRS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기반의 자동 응답 서비스 중 상담원 연결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담원 연결 서비스는 먼저, S3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VRS 단말기(200) 간에 화상 통화 채널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VRS 단말기(200)로부터 상담원 연결 서비스 항목이 포함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화상 통 화 응답 정보를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70)에 표시된 서비스 항목 중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 항목이 포함된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VRS 단말기(200)로부터 상담원 연결 서비스를 위한 정보가 포함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에 해당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에 해당하는 화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담원에 대한 간략 정보, 신상 정보 및 상담 평 등을 포함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상기 다수의 상담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220)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상담원이 표시된 화면에서 특정 상담원을 선택하는 키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S305 단계에서 상기 선택 상담원에 해당하는 키 정보를 상기 VRS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키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VRS 단말기(200) 간에 형성되는 H.324M 기반의 T120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정보는 DTMF 톤으로 상기 VRS 단말기(200)에 전송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선택 상담원에 대한 키 정보를 수신한 경우, S307 단계에서 해당 상담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달하거나, 상기 상담원과 화상 통화 연결이 가능한 전화번 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상 통화 호를 변경한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S309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상담원과 화상 통화 연결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VRS 단말기(200)와의 화상 통화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담원 연결 서비스에서,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독립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VRS 단말기(20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휴대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자동 응답 서비스를 화상으로 지원함으로써, 자동 응답 서비스 이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기호에 맞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Claims (28)

  1. 삭제
  2. 화상 통화 호 요청에 따라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화상 통화 호 요청 단말기에 기 저장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는
    자동 응답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텍스트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는
    상기 자동 응답 서비스 항목에 링크되는 하부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는
    사용자 인증 확인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는
    상담원 연결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 항목은
    각 상담원 신상 정보, 상담 평 정보, 이용 가능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원 연결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원 연결 시 화상 통화 호를 상기 상담원과 연결할 수 있는 단말기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화상 통화 호 요청을 수행하고,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와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기 저장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화상 통화 호 형성을 위한 제1 무선주파수부;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된 정보 중 특정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및
    상기 제1 무선주파수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이용에 따른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항목은
    상담원 연결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 이용 시,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화상 통화 호 요청에 따라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제2 무선주파수부;
    기 저장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항목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인증 확인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인증 확인 번호를 미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항목은
    상담원 연결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각 상담원 신상 정보, 상담 평 정보, 이용 가능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는
    자동 응답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텍스트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
  21.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에 화상 통화 호 요청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화상 통화 호 요청에 따라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제2 단말기가 기 저정된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서비스 항목이 포함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응답 정보표시 과정은
    자동 응답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인증 확인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확인 과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특정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항목 정보에 해당하는 키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인증 확인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인증 확인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기가 인증 확인을 위한 키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키 정보와 기 저장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와 상담원을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원 연결 과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화상 통화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상담원 연결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상담원과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상담원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상담원들 중 특정 상담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원들에 대한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상담원들의 인상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상담원들의 상담 평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상담원들의 이용 대기 시간을 표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064737A 2007-06-28 2007-06-28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KR100830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37A KR100830533B1 (ko) 2007-06-28 2007-06-28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37A KR100830533B1 (ko) 2007-06-28 2007-06-28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533B1 true KR100830533B1 (ko) 2008-05-22

Family

ID=3966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737A KR100830533B1 (ko) 2007-06-28 2007-06-28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5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909B1 (ko) 2010-08-10 2011-03-22 (주)보더리스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037765B1 (ko) 2009-04-17 2011-05-27 주식회사 어니언텍 3g망을 통한 vrs아웃바운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225A (ko) * 1996-02-02 1997-09-12 구자홍 자동응답 화상전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225A (ko) * 1996-02-02 1997-09-12 구자홍 자동응답 화상전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65B1 (ko) 2009-04-17 2011-05-27 주식회사 어니언텍 3g망을 통한 vrs아웃바운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23909B1 (ko) 2010-08-10 2011-03-22 (주)보더리스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3624B2 (en) Service interfacing for telephony
CN105554324B (zh) 支持将语音呼叫转换成数据对话的蜂窝电话系统
US8494123B2 (en) On-hold visual menu from a user's communications device
CN103548331A (zh) 可视电话装置、系统和方法
WO2011087998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ustomer service on a mobile device
CN101048004B (zh) 在移动终端中存储/呼叫电话号码的设备和方法
US8705721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multimedia ringback based on deduced user intent
CN105915521A (zh) 多方通话管理的方法、装置及终端
US20070165800A1 (en)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0830533B1 (ko)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GB2479100A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ternet telephone servic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JP5663994B2 (ja) 電話システム、センタ装置及び音声応答制御プログラム
KR101203152B1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00046697A1 (en) Telephonic connection support for internet browser
KR100402414B1 (ko) 캐릭터정보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7645B1 (ko)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문자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9008632B1 (en) Mobile station with interactive multimedia response and call intercept mode
KR20040046312A (ko) 문자 및 음성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933309A (zh) 通信系统中为用户提供提示信息的方法和装置
TW201840174A (zh) 同時提供客服電話及多元內容存取的系統及方法
KR101149785B1 (ko)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110092741A (ko) 대화형 영상 홈페이지를 발신단말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3841A (ko) 브이오아이피 서비스에서의 단축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00083602A (ko)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60103049A (ko) 인터넷 메신저의 대화 대기용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