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809A -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809A
KR20100130809A KR1020090049513A KR20090049513A KR20100130809A KR 20100130809 A KR20100130809 A KR 20100130809A KR 1020090049513 A KR1020090049513 A KR 1020090049513A KR 20090049513 A KR20090049513 A KR 20090049513A KR 20100130809 A KR20100130809 A KR 20100130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data
music
paymen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한
Original Assignee
유비벨록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벨록스(주) filed Critical 유비벨록스(주)
Priority to KR102009004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0809A/ko
Publication of KR2010013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인식 기반의 음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결제 인증을 이용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음악의 일부분을 녹음하여 음반 거래 서버로 전송하고 음반 거래 서버에서는 녹음/전송된 음향 인식을 통하여 해당 곡을 특정하여 주문하는 방식과, 결제시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화자 종속의 음성 인식 기술 또는 사용자의 영상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마음에 드는 음악의 일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음악 또는 음반을 구입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는 장점과, 음악 또는 음반 구입에 따른 결제시 종래의 휴대폰 결제 인증과 같이 번거로운 작업 없이 서버가 요구하는 인증용 음성 또는 인증용 영상을 입력하기만 하면 인증이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면서도, 보안성이 우수한 화자 종속 음성 인식 또는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결제 인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음반, 전자상거래, 결제, 인증, 음성 인식, 영상 인식

Description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Electronic Commerce System of Record by Ordering based on Sound Recognition and User-Authentication based on Speech or Imag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음악의 일부분을 녹음하여 음반 거래 서버로 전송하고 음반 거래 서버에서는 녹음/전송된 음향 인식을 통하여 해당 곡을 특정하여 주문하는 방식과, 결제시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화자 종속의 음성 인식 기술 또는 사용자의 영상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인터넷 및 이동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거래하는 전자상거래가 활발해 지고 있다.
음악 등이 기록된 음반의 경우에도 오프라인 구매보다 온라인 상의 전자상거래를 통해서 많이 판매되고 있는데, 종래의 음반 전자상거래의 경우 사용자가 컴퓨터나 개인 통신단말을 통해서 전자상거래 서버 등에 접속한 다음 가수이름이나 곡 명으로 검색한 다음 해당 음반을 주문하고 결제하면, 해당 음반이 배송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일부 음악을 미리 들어보고 구매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음악에 대해서는 곡명이나 가수명을 아는 경우도 있으나, 음악은 들어서 알고 있지만 해당 곡명이나 가수명을 모르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경우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구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길거리를 가거나 라디오 등을 통해서 처음듣는 음악이 들리는 경우 해당 음악의 곡명이나 가수명을 알아서 음반을 구해하기는 아주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까지는 통상 유선인터넷을 통해서 서버에 접속해서 음반을 주문하여야 하므로 이동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위와 같이 이동 중에 특정 음악이 포함된 음반을 실시간으로 주문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뿐만 아니라, 어렵게 곡명 또는 가수명을 알아내어 해당 음반을 주문하였다 하더라도, 신용카드가 있는 경우에는 결제가 비교적 간단하게 수행되지만, 신용카드가 없는 사용자는 그 결제를 위해서 구입대금을 온라인으로 송금(이체)하여야 하거나, 휴대폰 결제를 하는 경우에는 인증번호를 휴대폰으로 SMS 전송받아 다시 서버로 전송하는 등의 번거로운 인증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매를 원하는 음악의 일부 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가 해당 음악의 일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곡을 인지한 후 자동으로 주문을 접수받는 음반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반 주문시 결제를 위해서 미리 서버에 저장해 둔 데이터와 비교하는 화자 종속 음성 인식 기술 또는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음반 거래 서버는 다수의 음악 및 음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음악 DB와, 각 음악의 일부 데이터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음악 특징정보 저장부와, 사용자의 결제 인증용 음성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 저장부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매를 원하는 구매 희망 음악의 일부 데이터 및 결제 인증용 음성 데이터 또는 결제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매희망 음악의 일부데이터를 상기 음악 특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대응되는 구매희망 음악을 결정하는 음악 분석부와, 결정된 구매희망 음악 또는 구매희망 음악이 포함된 음반의 구입을 최종 질의하는 구입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 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최종 구입요청 응답을 수신하는 구입 확인부와, 상기 최종 구입요청 응답을 수신한 경우,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결제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결제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기저장된 인증용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결제 인증을 하는 결제 인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마음에 드는 음악의 일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음악 또는 음반을 구입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악 또는 음반 구입에 따른 결제시 종래의 휴대폰 결제 인증과 같이 번거로운 작업 없이 서버가 요구하는 인증용 음성 또는 인증용 영상을 입력하기만 하면 인증이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면서도, 보안성이 우수한 화자 종속 음성 인식 또는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결제 인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반 거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인 음반 거래 서버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음반”은 일정 길이의 음악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예를 들면 하나이상의 곡이 저장된 레코드판, CD, DVD는 물론, 통신수단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는 전자 컨텐츠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음반 거래 서버는 다수의 음악 및 음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음악 DB(110)와, 각 음악의 일부 데이터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음악 특징정보 저장부(120)와, 사용자의 결제 인증용 음성 데이터 또는 결제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100)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매를 원하는 구매 희망 음악의 일부 데이터 및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결제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200)와, 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매희망 음악의 일부데이터를 상기 음악 특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대응되는 구매희망 음악을 결정하는 음악 분석부(300)와, 결정된 구매희망 음악 또는 구매희망 음악이 포함된 음반의 구입을 최종 질의하는 구입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최종 구입요청 응답을 수신하는 구입 확인부(400)와, 상기 최종 구입요청 응답을 수신한 경우,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결제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결제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기저장된 결제 인증용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결제 인증을 하는 결제 인증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악 DB(110)에는 판매할 각종 음악 및 음반에 대한 곡정보, 가격정보 등과 같이 음반 거래를 위한 기본정보가 저장/관리된다.
음악 특징 정보 저장부(120)에는 판매할 각 음반에 수록된 모든 음악의 구간별 특징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징정보는 아래에서 설명할 음악 분석부가 구매희망 음악을 결정할 때 기준 데이터로 사용된다.
특징정보는 종래의 음악 또는 음향 인식 기술에서 사용되는 핑거프린트(Fingerprint)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향 또는 음악을 비교하기 위하여 음원으로부터 추출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정보에는 음원 자체의 특징 정보 이외에 그 음원이 포함되어 있는 음악곡 정보 등이 적절한 ID 형태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특징 정보의 일 실시예인 핑거프린트 추출과정의 종래기술에 의한 일예를 살펴보면, 우선 음원을 핑거프린트를 추출하기 위한 특정한 틀로 프레이밍(Framing)하고, 프레이밍된 음원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퓨리어(Fourier) 변환을 수행한 후, 퓨리어 변환된 음원에서 주파수별 성분 ABS 값을 구하고, 주파수 별로 영역을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 별로 에너지를 구하기 위하여 각각의 ABS 값을 제곱한 후, 해당 Bit Derivation 과정을 통해 세분된 핑거프린트 값들을 구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특징정보 추출 및 음악 분석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542854호, 한국등록특허 제456408호 등 다수의 종래기술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 등을 통해서 인증에 필요한 인증용 음성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인증용 음성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특정 단어 또는 구절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그로부터 특징정보를 추출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는 화자 종속 음성인식 기술에 사용되는 종래의 여러 기술 중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대표적인 음성인식 기술로는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파를 주파수 분석하여 모음을 특징짓는 음역 또는 그것과 등가(等價)인 특징을 추출해서 분리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음성 또는 특징정보를 기저장하였다가 매 인증시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그와 비교함으로써 화자 종속 음성 인식이 가능한 한 어떠한 기술이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인증용 영상 데이터는 기본 형태 또는 미리 정해진 포즈 또는 표정 등으로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통상적인 사용자 얼굴 전면 영상이거나, 왼쪽 눈을 감은 얼굴 전면 영상(표정 특정), 오른쪽 손을 얼굴 옆에 둔 얼굴 전면 영상(포즈 특정)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인증용 영상 데이터는 회원 가입시 등에서 서버 관리자자 요청하는 형태에 맞도록 사용자가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관리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데이터 비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영상 처리를 통한 특징추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영상 처리 기술은 영상 인식 분야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기술이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수신부(2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매를 원하는 구매 희망 음악의 일부 데이터를 수신받아 그를 음악 분석부(300)에 전달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결제 인증용 영상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결제 인증부(5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악의 일부 데이터 및 인증용 음성(영상) 입력 데이터는 녹음 또는 촬영된 독립 파일의 형태로 수신될 수도 있고, 스트리밍과 같이 실시간 전송 방식으로 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는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어 또는 구절에 대해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음반 구입 요청 후 서버가 결제 인증을 위해서 “아버지”라는 단어를 음성으로 입력해줄 것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의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한 “아버지”라는 단어의 입력 음성 데이터가 곧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가 된다.
본 명세서에서 결제 인증용 영상 입력 데이터는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음반 구입 요청 후 서버가 결제 인증을 위해서 “얼굴 전면 사진”을 입력해 줄 것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한 자신의 얼굴 전면 영상이 곧 결제 인증용 영상 입력 데이터가 된다.
음악 분석부(300)는 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매희망 음악의 일부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징 정보(핑거프린트 등)를 추출한 후, 음악 특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여러 특징 정보 데이터 중 일치되는 데이터를 비교/검색한 후, 일치되는 데이터가 포함된 음악을 식별하고, 그 음악을 구매희망 음악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음악 분석부(300)는 앞서 설명한 음악 특징정보 저장부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신된 음악 데이터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야 한다.
구입 확인부(400)는 음악 분석부에서 결정된 구매희망 음악 또는 그가 포함된 음반을 최종 구입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구입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입확인 메시지에는 확인된 구매희망 음악(음반) 정보와 함께 최종 구입 여부를 묻는 질문이 문장 형태로 생성되어 SMS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3을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구입확인 메시지에는 안내 문구 이외에 구입확인 또는 취소를 번호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1. 확인”, “2.취소”의 안내 문구를 메시지에 포함하여 간단하게 버튼 하나만으로 구입 여부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제 인증부(500)는 구입 확인부(400)를 통해서 구매자의 최종 구입요청 응 답을 수신한 경우 결제를 위하여,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결제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인증 요청 메시지는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기저장된 특정 단어 또는 구절의 음성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로서, 예를 들면 “결제 인증을 위하여 『아버지』라는 음성 입력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음성 인증의 경우), 또는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기저장된 인증용 영상 데이터와 대응될만한 형식의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로서, 예를 들면 “결제 인증을 위해서 『왼쪽 눈을 감은 얼굴 전면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해 주시기 바랍니다”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증 요청 메시지는 ARS와 같은 음성 안내를 통하거나 또는 SMS와 같은 문자메시지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에는 미리 1명의 사용자에 대하여 여러 단어 또는 구절의 인증용 음성 데이터와 여러 가지 형태의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결제 인증부(500)는 매 결제 인증시 그 중 하나의 인증용 데이터를 선택하여 그에 대응되는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입력 데이터를 입력해줄 것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인증 데이터 중에서 어떠한 것을 사용할 것인지는 결제 인증부가 무작위로 선택하게 하거나, 일정한 순서를 가지고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증용 음성 데이터로서 A, B, C, D와 같이 4개의 단어 또는 구절에 대한 인증용 음성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두고, 매 결제 인증시마다 4개의 인증용 음성 데이터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사용(즉, 입력하라고 요청하는 것) 하는 것이 그 예이다.
이렇게 1명의 사용자에 대해서 여러 가지의 인증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게 함으로써, 보안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만일, 하나의 인증용 음성 데이터 또는 하나의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불법적인 사용자(친구 또는 자녀 등)가 미리 해당 사용자의 인증용 음성을 녹음해 두거나 인증용 영상을 촬영해 놓고 그를 무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지만, 위와 같이 여러 인증용 데이터 중 하나를 그때 그때마다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제 인증부(500)는 인증요청 메시지에 어떠한 음성 또는 영상을 입력하라는 내용 없이 사용자가 사전에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 특정 단어 또는 구절에 해당되는 특정 인증용 음성 데이터나, 특정 포즈 또는 표정에 해당되는 특정 인증용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도 있다.
즉, 회원 가입시 미리 사용자가 특정 단어 또는 구절을 선택한 후 그를 특정 인증용 음성 데이터로 입력/저장해두거나, 미리 사용자가 특정 표정/부위/포즈의 영상을 촬영하여 그를 특정 인증용 영상 데이터로 입력/저장해 두고, 매 인증시마다 그를 이용함으로써 인증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 가입시 사용자가 자신만 아는 특정한 부위의 영상(예컨대, 좌측 45도 각도에서 찍은 얼굴 이미지)을 촬영하여 그를 특정 인증용 영상 데이터로 저장해 두고, 매 인증시 결제 인증부는 특정한 안내 없이 회원가입시 등록한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라는 내용의 인증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 우, 불법적인 사용자는 그 영상의 부위 또는 포즈를 알 수 없는 한 인증이 불가능한 것이다.
즉, 위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면, 특정 인증용 음성 데이터를 구성하는 특정 단어 또는 구절이나, 특정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특정 포즈/부위/표정 자체가 하나의 암호가 되므로 보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결제 인증부(500)은 인증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 다음, 이동통신 단말에서 그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한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결제 인증용 영상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 후 전술한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에서 처리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특징 정보를 추출한 후,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기저장된 해당 인증용 음성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이 된 경우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결제 처리는 이동통신 요금에 합산되도록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금 서버로 과금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음반 주문 및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되는 음반이 오프라인으로 구매자에게 배송되거나, 온라인으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저장됨으로써 음반 구입 절차가 종료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반 거래 서버는 단독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동통신 단말 또는 기타 사용자 단말과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연결된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독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된 경우에는 상기 여러 구성요소 들이 각각의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된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에 설치되어 구현되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부는 컴퓨터 장치의 하드디스크 상에 소정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런 경우 시스템 관리자가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입력부를 구비하며,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음반 거래 서버가 서버 형태로 구현된 경우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는 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 프로그램에 추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하며, 상기 각 프로그램 모듈들은 소정의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며,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반 거래 서버를 이용하여 음반을 구입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구매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구매를 희망하는 음악의 일부 또는 전부 데이터를 스트리밍 또는 녹음된 음악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면, 음반 거래 서버의 수신부는 그를 수신한다.(S211)
음반 거래 서버의 음악 분석부는 수신한 음악의 일부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징정보(핑거프린트 등)를 추출한다.(S212) 음악의 일부 데이터로부터의 특징정보 추출은 음악 특징 정보 저장부(120)와 관련하여 채택된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된 음악 일부 데이터에 대한 특징정보를 음악 특징정보 저장부에 기저장된 여러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한 특징정보를 가지는 음악(곡)을 확인하여(S213), 해당 음악(곡)이 검색된 경우에는 구입확인부가 그 음악이 포함된 해당 음반을 구입할지에 대한 구입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214)
해당 음악(곡)이 없는 경우에는 원하는 음악이 없다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종료한다.(S221)
구입확인 메시지는 예를 들면 “귀하가 입력한 음악은 『김장훈』의 『나와 같다면』입니다. 해당 음반을 구입하시겠습니까? 1. 구입 2. 취소”와 같은 텍스트 형태 또는 음성 메시지일 수 있으며, 텍스트 메시지인 경우에는 SMS로 전송되고, 음성메시지인 경우에는 자동응답시스템(ARS)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구입확인 메시지는 그 형태와 무관하게 무선인터넷 상의 패킷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서버의 구입 확인부는 구매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최종 구입요청 응답 신호가 전송되는지 확인(S216)한, 최종 구입을 희망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인증을 위한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최종 구입을 취소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 소정의 안내메시지를 출력(S221)한 후 종료한다.
최종 구입요청 응답 신호는 ARS 또는 SMS 형태로 전송된 구입확인 메시지에 대하여 구매자가 이동통신 단말의 정해진 버튼을 눌러 생성한 후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는 구매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최종 구입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 결제 인증을 위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S217)
인증 요청 메시지는 음성 인증의 경우에는 사용자 음성 인증에 사용되는 특정 단어 또는 구절의 음성 입력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입력해 달라는 취지의 메시지로서, 예를 들면, “결제를 위해서 인증 단어인 『아버지』의 사용자 음성을 『삐』소리 이후에 입력해 주세요”와 같은 음성 또는 텍스트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인증의 경우 인증 요청 메시지는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기저장되어 있는 인증용 영상 데이터 중 하나와 대응되는 영상을 입력해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로서, 예를 들면 “결제를 위해서 인증 영상인 『얼굴 전면 영상』을 촬영해 전송해 주세요”라는 음성 또는 텍스트 메시지 일 수 있다.
그 다음, 서버의 결제 인증부는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입력/전송되는 인증용 음성 또는 영상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S218)
이동통신 단말에서 음성 입력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삐” 소리 후에 이 동통신 단말의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영상 입력 데이터의 입력은 인증 요청 메시지를 받은 후 “카메라” 버튼을 클릭하여 촬영한 후 “전송”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의 결제 인증부는 수신한 인증용 음성 또는 영상 입력 데이터를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시 취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한 후 특징 정보를 추출한 다음, 기저장된 인증용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와 비교한다.(S219)
예를 들면, 수신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가 “아버지”라는 단어에 대한 음성 신호인 경우 그의 주파수, 피치 등의 특징 정보를 추출한 다음, 동일한 단어인 “아버지”에 대해서 해당 사용자가 기저장한 음성 신호의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용 음성/영상 입력 데이터와 기저장된 인증용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결제방식으로 처리를 수행한다.(S220, S222) 물론, 입력된 인증용 데이터가 기저장된 인증용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의 안내메시지를 출력한 후 종료한다.
결제 방식은 이동통신 요금에 합산 청구하는 방식과,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반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과정 동안의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최초 사용자가 음반에 포함된 음악의 전부 또는 일부 데이터를 전송 하여 음반 구입을 요청하는 과정의 화면으로서, 메뉴 중에서 “음악 전송을 통한 음반 구매”를 선택하면 “음악의 일부(적어도 1소절 이상)를 녹음한 후 『#』키를 누르십시오”와 같은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는 화면이다. 안내메시지에 따라 일정 곡의 일부 데이터를 녹음한 후 전송을 요청하면 도 3a의 맨우측 화면과 같이 “음악 데이터 전송중...”과 같은 안내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3b는 서버가 해당 구매 희망음악을 인식한 다음 해당 음반의 구입을 최종 질의하는 구입확인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귀하가 입력한 음악은 『김장훈』의 『나와 같다면』입니다. 해당 음반을 구입하시겠습니까? 1. 구입 2. 취소”와 같은 구입 확인 메시지가 SMS 형태로 전송된 예를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입확인 메시지는 ARS와 같은 음성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구입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1”버튼을 클릭하여 최종 구입요청 응답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면 도 3b의 우측과 같이 “『김장훈 제3집』을 주문하였습니다”라는 확인메시지가 출력된다.
도 3c는 결제 인증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서버로부터 “결제를 위해서 인증 단어인 『아버지』의 사용자 음성을 『삐』소리 이후에 입력해 주세요”와 같은 인증요청 메시지가 전송/출력된 화면을 도시한다. 인증요청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되는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이 된 경우 도 3c의 우측과 같이 “인증이 완료되었습니다. 결제 방식을 선택해 주세요. 1. 휴대폰 요금 합산, 2. 신용카드”와 같은 메시지가 전송/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 아 해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여러 다양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기술적 요소들이 모두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최적의 모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최적의 모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소들은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 모두가 결합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재한 각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마음에 드는 음악의 일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음악 또는 음반을 구입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악 또는 음반 구입에 따른 결제시 종래의 휴대폰 결제 인증과 같이 번거로운 작업 없이 서버가 요구하는 인증용 음성 또는 인증용 영상을 입력하기만 하면 인증이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면서도, 보안성이 우수한 화자 종속 음성 인식 또는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결제 인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반 거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인 음반 거래 서버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반 거래 서버를 이용하여 음반을 구입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반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과정 동안의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데이터베이스부 110 : 음악 DB
120 : 음악 특징정보 저장부 130 : 인증 데이터 저장부
200 : 수신부 300 : 음악 분석부
400 : 구매 확인부 500 : 결제 인증부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음반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반 거래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음악 및 음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음악 DB;
    각 음악의 일부 데이터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음악 특징정보 저장부;
    사용자의 결제 인증용 음성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 저장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매를 원하는 구매 희망 음악의 일부 데이터 및 결제 인증용 음성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매희망 음악의 일부데이터를 상기 음악 특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대응되는 구매희망 음악을 결정하는 음악 분석부;
    결정된 구매희망 음악 또는 구매희망 음악이 포함된 음반의 구입을 최종 질의하는 구입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최종 구입요청 응답을 수신하는 구입 확인부;
    상기 최종 구입요청 응답을 수신한 경우,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결제 인증용 음성 입력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입력 데이터를 기저장된 결제 인증용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결제 인증을 하는 결제 인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반 거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결제 인증용 음성 데이터 또는 인증용 영상 데이터는 1명의 사용자에 대해서 복수의 인증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결제 인증부는 매 결제 인증시마다 상기 복수의 인증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반 거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인증부는 매 결제시마다 상기 복수의 인증 데이터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반 거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인증용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가 미리 정하여 저장해 둔 특정 단어 또는 구절의 특정 인증용 음성 데이터이고, 상기 결제 인증용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가 미리 정하여 저장해 준 특정 부위, 포즈 또는 표정의 특정 인증용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반 거래 시스템.
KR1020090049513A 2009-06-04 2009-06-04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100130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513A KR20100130809A (ko) 2009-06-04 2009-06-04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513A KR20100130809A (ko) 2009-06-04 2009-06-04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809A true KR20100130809A (ko) 2010-12-14

Family

ID=4350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513A KR20100130809A (ko) 2009-06-04 2009-06-04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08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911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디오티스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KR20190074765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기업서비스연구소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256160A1 (ko) * 2019-06-17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홈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911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디오티스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KR20190074765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기업서비스연구소 단말기간 사운드 인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256160A1 (ko) * 2019-06-17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홈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365B2 (en) Identity challenges
US20130023241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portable terminal
US20110307403A1 (en) Systems and method for providing monitoring of social networks
US10956907B2 (en) Authorization of transactions based on automated validation of customer speech
CA2897649C (en) Audio-based electronic transaction authorization system and method
EP3887982B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US20030200447A1 (en) Identification system
CN110324314B (zh) 用户注册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JP2020038659A (ja) 電子チケット入場検証偽造防止システムと方法
EP40092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interoperability through the use of interconnected voice verification system
JP2004535009A (ja) 話し手の検証を使用した多重形態の認証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900453B2 (en) Digital identity sign-in
CN105141427A (zh) 一种基于声纹识别的登录认证方法、装置及系统
KR102631387B1 (ko) 상품 후기 기반의 상품 검색 방법
KR101391980B1 (ko) 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424962B1 (ko) 음성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0809A (ko)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JPH11195004A (ja) 開放型ネットワークに接続するサービス要求装置の自動認証方法、自動認証に基づく通信販売システム、サービス要求装置およびサービス処理装置
US20220199092A1 (en) Method for processing a payment transaction, and corresponding device, system and programs
JP4211193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個人認証装置
CN113971555A (zh) 家庭账户业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0875919B1 (ko) 서명된 콜백 유알엘 메시지를 이용한 개인정보 공유 서비스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29241B1 (ko) 음파를 기반으로 하는 상품 후기 자동 등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TWI234762B (en) Voiceprint identification system for e-commerce
KR20220037263A (ko) Ipin-ci기반 본인명의 단말기 여부를 확인하는 본인 확인 검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