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509A -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509A
KR20190073509A KR1020197015342A KR20197015342A KR20190073509A KR 20190073509 A KR20190073509 A KR 20190073509A KR 1020197015342 A KR1020197015342 A KR 1020197015342A KR 20197015342 A KR20197015342 A KR 20197015342A KR 20190073509 A KR20190073509 A KR 20190073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plink
uplink waveform
threshold valu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608B1 (ko
Inventor
얀핑 싱
토니 엑펜용
슈에밍 판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07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 H04L25/03834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using pulse sha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공개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은,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 파형에 따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측이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파형으로서, 단말기를 위해 확정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피드백한 파형으로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관련출원의 교차참고)
본 출원은 2016년 11월 8일 중국특허청에 제출한 특허출원 No. 201610981264.9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파형은 순환 전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Cyclic Prefi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P-OFDMA)를 이용하고, 상향링크 파형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를 이용한다.
다만, 5세대 이동 통신(5G)의 새로운 에어 인터페이스(New Radio, NR)에서는, 적어도 40GHz 이하의 증강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서비스의 상향링크에 대해 CP-OFDM과 DFT-s-OFDM 이들 두 가지 파형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그 중, DFT-s-OFDM은 주로 커버리지가 제한된 시나리오에 대한 것이다.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단말기라고도 부를 수 있다)는 두 가지 파형을 동시에 지원해야 한다. 네트워크측과 UE는 UE의 상향링크 파형에 대한 이해가 일치해야  한다.
본 공개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파형에 따라, 정보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통해,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측이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파형으로서, 단말기를 위해 확정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피드백한 파형으로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통해,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통해,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를 통해,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통해,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을 통해,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이다.
나아가, 상술한 네트워크측이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파형으로서, 단말기를 위해 확정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이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확정하고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피드백한 파형으로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리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측이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확정하여 피드백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에,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획득하되,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네트워크측에 상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송신 전력 레벨 및 네트워크측의 기설정 송신 전력 문턱값을 토대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네트워크측에 상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 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측에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네트워크측이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확정하여 피드백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이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순환 전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CP-OFDM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측이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DFT-s-OFDM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네트워크측이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확정하여 피드백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이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보다 작은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DFT-s-OFDM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측이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클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CP-OFDM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전력 백오프 값을 수신하되,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의 조정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및 상기 상향링크 파형을 토대로 정보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획득 모듈은 제1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1 수신 서브 모듈, 또는 제2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통해,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파형으로서, 단말기를 위해 확정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피드백한 파형으로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 및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 및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을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을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이다.
나아가,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확정하여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제1 송신 유닛 및 제1 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한 리포트 정보를 네트워크측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측이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확정하여 피드백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에,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획득 서브 유닛, 생성 서브 유닛 및 송신 서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 서브 유닛은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 서브 유닛은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서브 유닛은 네트워크측에 상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생성 서브 유닛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방식은, 단말기의 송신 전력 레벨 및 네트워크측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문턱값을 토대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송신 서브 유닛은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측에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측이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순환 전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CP-OFDM을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이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DFT-s-OFDM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측이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DFT-s-OFDM을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이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CP-OFDM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전력 백오프 값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토대로,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토대로,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토대로,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을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토대로,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을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파형을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이다.
나아가, 상술한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리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에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고;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단말기에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 피드백을 위한 기설정 규칙을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 규칙은, 단말기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규칙이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순환 전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CP-OFDM으로 확정하는 단계;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DFT-s-OFDM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확정하는 단계;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단말기에 전력 백오프 값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확정 모듈은 제2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3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4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토대로,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확정 서브 모듈은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확정 서브 모듈은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을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을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확정 모듈이 제3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파형을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한 통보 모듈을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이다.
나아가, 상기 제4 확정 서브 모듈은 제2 수신 유닛 및 확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리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에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며;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에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 피드백을 위한 기설정 규칙을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기설정 규칙은, 단말기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규칙이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정 유닛은,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순환 전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CP-OFDM으로 확정하고;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DFT-s-OFDM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정 유닛은,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확정하고;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에 전력 백오프 값을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5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다.
제6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다.
제7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제8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모듈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모듈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공개의 목적, 기술적 수단 및 장점이 더욱 명확해지도록, 이하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공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관련된 5세대 이동 통신(5G)의 새로운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해,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여 단말기에 통보하는 명확한 솔루션이 없어, 네트워크 통신이 불완전하여 네트워크 통신에 영향을 미친다. 이 문제점에 대해, 본 공개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은 단말기측에 적용되며, 단계 11 내지 단계 12를 포함한다.
단계 11: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은 5G 새로운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에 적용되며, 5G 새로운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은 순환 전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CP-OFDM)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FT-s-OFDM)를 지원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의 상향링크 파형은 CP-OFDM과 DFT-s-OFDM을 포함한다.
단계 12: 상기 상향링크 파형에 따라, 정보 전송을 수행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기측이 자신이 송신한 정보의 상향링크 파형을 알게 되면, 후속되는 통신 프로세스에서, 상기 상향링크 파형에 따라 기지국측과의 통신을 구현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공개의 실시예가 주로 구현하는 것은, 단말측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네트워크측에서 파악한 것과 일치시킴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은 액세스 네트워크측, 즉 기지국측이다.
구체적으로, 단계 11은 아래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방식 1: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를 토대로,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방식 1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에서, 단말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식은 네트워크측이 상향링크 파형을 통보할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측과 단말기측은 모두 프로토콜의 약정에 따라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설정 조건은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또는 링크 유형일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이고, 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이 DFT-s-OFDM임을 약정한다.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일 수 있거나; 또는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은 특정 주파수 포인트를 문턱값으로 하고,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상향링크 파형을 사전에 약정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주파수가 20GHZ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로 약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로 약정한다. 단말기는 현재 작동 반송파가 속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향링크가 사용하는 파형을 확정하여, 후속 정보의 송신을 수행한다.
기설정 조건이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일 경우, 단말기는 현재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대규모 기계 유형 통신) 서비스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로, URLLC(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ication, 고 신뢰성 저지연 통신) 서비스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로 약정한다.
기설정 조건이 링크 유형일 경우, 단말기는 링크 유형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는 sidelink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로, uplink(상향링크)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로 약정하며, 단말기는 현재 링크 유형에 따라,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한다.
방식 2: 네트워크측이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단말기를 위해 확정된 파형으로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일 수 있다. 그 중, 전용 메시지는 물리 계층 제어 정보 또는 고층 전용 시그널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고층 전용 시그널링은 RRC(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확정하여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인 경우, 기지국측은 셀 반경 크기를 통해, 단말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본 셀의 단말기에 통보한다. 예를 들어, 셀 반경이 작은 경우(셀 반경이 기설정 값보다 작을 수 있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본 셀의 단말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임을 통보하며; 그렇지 않으면,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본 셀의 단말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파형이 DFT-s-OFDM임을 통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 메시지가 전용 메시지인 경우, 기지국측은 단말기의 커버리지 상황을 통해, 단말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고, 전용 메시지를 통해, 본 셀의 단말기에 통보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에어 인터페이스(New Radio, NR)가 독립적으로 배치되지 않은 경우, 즉 마스터 셀은 여전히 장기 진화(LTE) 기술을 사용하고, 세컨더리 셀은 NR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측은 마스터 셀에서 획득한 단말기의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가 NR 세컨더리 셀에서 작동하는 경우의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한 후,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 통보할 수 있다.
방식 3: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피드백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리포트 정보는 주로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가리키며, 상기 방식의 주요 구현 프로세스는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단말기가,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획득하되,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한다.
단계 2: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3: 네트워크측에 상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한다.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는 경로 손실의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의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 및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의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고; 상향링크 전력 정보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 및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계 2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방식은, 단말기의 송신 전력 레벨 및 네트워크측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문턱값을 토대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네트워크측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문턱값은 네트워크측이 사전에 설정하여 단말기에 통보한 것이다.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즉, 하향링크 측정량이 경로 손실임)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단말기는 경로 손실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 Lmeas를 획득하고, 단말기는 기지국에 경로 손실 측정 결과 또는 경로 손실 측정 결과와 기지국의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리포트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기가 기지국에 경로 손실 측정 결과와 기지국의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리포트하는 경우, 기지국은 사전에 단말기에 상기 사전 설정된 문턱값 Lthreshold을 통보하며, 단말기는 공식
Figure pct00001
을 토대로 양자의 차이값 S1을 연산하여, 기지국에 상기 차이값 S1을 리포트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기지국에 정량화한 경로 손실 측정 결과와 기지국측의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리포트하거나, 또는 단말기는 기지국에 S1이 0보다 작은지(또는, 0 또는 0보다 작은지)를 리포트한다. 나아가, 기지국은 또한 단말기가 당해 기지국에 상기 차이값을 리포트하는 기설정 규칙을 약정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 규칙은 단말기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규칙이다. 단말기는 상기 기설정 규칙을 수신하여, 조건에 부합하면 리포트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S1이 특정 문턱값보다 작은(또는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기가 정량화한 경로 손실 측정 결과와 네트워크측의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리포트하도록 미리 설정하거나; 또는 S1이 0보다 작은(또는 0 또는 0보다 작은) 경우, 단말기가 1비트의 정보를 리포트하도록 약정한다.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즉, 하향링크 측정량이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임)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단말기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Figure pct00002
를 측정하고, 단말기는 기지국에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와 기지국측의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리포트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가 기지국에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와 기지국측의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리포트하는 경우, 기지국측은 단말기에 최소 하향링크 수신 전력
Figure pct00003
, 셀에서 허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Figure pct00004
및 하나의 파워 오프셋
Figure pct00005
를 통보한다. 단말기는 측정한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를 토대로, 아래 공식
Figure pct00006
에 따라 차이값 S2를 연산한다. 그 중,
Figure pct00007
는 단말기의 송신 전력 레벨이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측은 셀의 최대 경로 손실 또는 최대 결합 손실(coupling loss)을 토대로, 최소 하향링크 수신 전력
Figure pct00008
를 확정하고, CP-OFDM이 상향링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따라, 파워 오프셋
Figure pct00009
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기지국측에 정량화한 S2를 리포트하거나, 또는 단말기는 기지국측에 S2가 0보다 작은지(또는 0 또는 0보다 작은지)를 리포트한다. 나아가, 기지국은 단말기가 당해 기지국에 상기 차이값을 리포트하는 기설정 규칙을 약정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 규칙은 단말기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부호는 ≤),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부호는 ≥),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규칙이다. 단말기는 상기 기설정 규칙을 수신하여, 조건에 부합하면 리포트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S2가 특정 문턱값보다 작은(또는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기가 정량화한 S2를 리포트하도록 미리 설정하거나; 또는 S2가 0보다 작은(또는 0 또는 0보다 작은) 경우, 단말기가 1비트의 정보를 리포트하도록 약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인 경우는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인 경우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데이터가 단말기의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단말기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확정한다. 상기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은 순간 송신 전력, 하나의 특정 프로세스에서의 특정 메시지에 대한 송신 전력, 또는 하나의 특정 시간대의 평균 송신 전력일 수 있다. 단말기는 정량화한 송신 전력 레벨을 리포트하거나, 단말기는 기지국측의 기설정 송신 전력와의 차이값을 리포트하거나, 또는 단말기는 최대 송신 전력에 도달하였는지를 리포트한다. 나아가, 단말기가 기지국측에 리포트하는 조건을 약정하거나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송신 전력 레벨이 특정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리포트를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하거나, 또는 단말기가 최대 송신 전력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리포트를 수행하도록 약정하는 등이다.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데이터가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단말기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확정하고,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에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리포트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기지국측이 하나의 참조 대역폭을 설정하고, 단말기가 최대 송신 전력와 상기 참조 대역폭에서 송신하는 데 필요한 송신 전력 간의 차이값을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으로 연산하여 리포트한다.
기지국측은 상술한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경로 손실이 특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특정 문턱값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설정한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이 특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특정 문턱값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설정한다. 단말기의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이 특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특정 문턱값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설정한다.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이 특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특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설정한다.
또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기는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와 상응하게, 네트워크측은 리포트 정보를 수신한 후, 확정된 상향링크 파형을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의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랜덤으로 액세스한 첫 번째 메시지(Msg1), 즉 preamble을 통해, 기지국측에 하향링크 측정 결과 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리포트하며, 기지국측은 Msg1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서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설정하며, 단말기는 상향링크 파형의 재설정을 수신하기 전에, Msg1의 응답 메시지에서의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Msg1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측에 명시적으로 통보하거나, 또는 단말기는 랜덤 액세스 자원을 통해 네트워크측에 묵시적으로 통보하는 것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전에 랜덤 액세스 자원을, 각각 서로 다른 하향링크 측정 결과 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에 대응하도록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경로 손실을 예로 들면, 사전에 랜덤 액세스 자원을 2개 부분으로 구분하되, 한 부분은 사전 설정된 문턱값보다 큰 경로 손실 측정 결과에 대응되고, 다른 부분은 사전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지 않은 경로 손실 측정 결과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랜덤으로 액세스한 세 번째 메시지(Msg3)에서 기지국측에 하향링크 측정 결과 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리포트하고, 기지국측은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를 위해 상향링크 파형을 설정하며, 단말기는 상향링크 파형의 재설정을 수신하기 전에, 전용 시그널링의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한다. Msg3 자체에 대하여, 사전에 정의된 상향링크 파형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는 일괄적으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약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랜덤 액세스한 후의 상향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기지국측에 하향링크 측정 결과 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리포트하고, 네트워크측은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를 위해 상향링크 파형을 설정하며, 단말기는 상향링크 파형의 재설정을 수신하기 전에, 전용 시그널링의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한다. 단말기가 네트워크측의 상향링크 파형의 설정을 획득하기 전에는, 사전에 정의된 상향링크 파형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는 일괄적으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약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실제 적용에서, 단말기가 상향링크 파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목적을 구현하도록, 상술한 상황을 조합할 수 있다.
실제 적용 시 하나의 구현 방식으로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기지국측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본 셀에 통보한다. 나아가, 단말기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리포트하며, 기지국측은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여 단말기에 통보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측은 상향링크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이 DFT-s-OFDM임을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본 셀의 단말기에 통보한다. 나아가, 단말기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확정하여 기지국측에 리포트하고, 기지국측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여 단말기에 통보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기가 네트워크측에 설정된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기 전에, 상향링크 파형은 모두 DFT-s-OFDM를 사용하며; 기지국측의 설정을 획득한 후에는, 기지국측이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토대로 설정한 상향링크 파형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한다.
또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CP-OFDM은 DFT-s-OFDM의 피크대 평균비보다 더 높으므로, 단말기에 필요한 파워 백오프가 더 높다. 단말기가 송신 전력를 조절하도록, 기지국은 하나의 전력 백오프 값을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전력 백오프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의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기지국측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통보하거나 또는 단말기와 기지국이 통신하는 임의의 시점에 기지국이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향링크 파형을 변경하도록 기지국측이 단말기에 통보할 경우,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을 함께 단말기에 통보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는, 5G 새로운 에어 인터페이스에서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함으로써, 단말기가 상기 상향링크 파형에 따라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5G 새로운 에어 인터페이스에서의 네트워크 통신 프로세스를 보충하여, 네트워크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모듈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따른 본 공개의 실시예는 단말기(20)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20)는,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21)과, 상기 상향링크 파형을 토대로 정보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전송 모듈(2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모듈(21)은 제1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1 수신 서브 모듈, 또는 제2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단말기를 위해 확정한 파형으로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피드백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확정하여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제1 송신 유닛 및 제1 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리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측이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확정하여 피드백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에,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획득 서브 유닛, 생성 서브 유닛 및 송신 서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 서브 유닛은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 서브 유닛은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서브 유닛은 네트워크측에 상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생성 서브 유닛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방식은, 단말기의 송신 전력 레벨 및 네트워크측의 기설정 송신 전력 문턱값을 토대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송신 서브 유닛은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측에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측이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순환 전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CP-OFDM을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이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DFT-s-OFDM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측이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DFT-s-OFDM을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이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CP-OFDM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20)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전력 백오프 값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단말기의 실시예는 상술한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의 실시예와 일일이 대응되는 단말기이며, 상술한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모든 구현 방식은 모두 상기 단말기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도 실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따른 본 공개의 실시예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31); 및 버스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31)와 서로 연결된 메모리(33)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33)는 상기 프로세서(3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31)는 상기 메모리(33) 속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하는 경우,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는 프로세스; 상기 상향링크 파형에 따라, 송수신기(34)을 통해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프로세스; 또는 네트워크측이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단말기를 위해 확정된 파형으로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송수신기(34)를 통해 수신하는 프로세스; 또는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피드백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송수신기(34)를 통해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그 중, 송수신기(34)는 버스 인터페이스(3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31)의 제어하에, 네트워크측이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도 3에서, 버스 구성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3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구성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34)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35)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기기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기기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31)는 버스 구성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33)은 프로세서(3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체 또는 일부 단계는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의 일부 또는 전체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매체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따른 본 공개의 실시예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1: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한다.
그 중, 상기 단계 41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된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된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파형을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중,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리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에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며;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기지국이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단말기에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 피드백을 위한 기설정 규칙을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 규칙은, 단말기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규칙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순환 전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CP-OFDM으로 확정하고;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DFT-s-OFDM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확정하고;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단말기에 전력 백오프 값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에 관한 모든 설명은 모두 상기 기지국에 적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기지국과 동일한 기술적 효과도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모듈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따른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지국(50)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50)은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51)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확정 모듈(51)은 제2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3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4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확정 서브 모듈은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확정 서브 모듈은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된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된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모듈이 제3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50)은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파형을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한 통보 모듈을 더 포함하며, 그 중,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확정 서브 모듈은 제2 수신 유닛 및 확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리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에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한다.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에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 피드백을 위한 기설정 규칙을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기설정 규칙은, 단말기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규칙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정 유닛은,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순환 전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CP-OFDM으로 확정하고;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DFT-s-OFDM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정 유닛은,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확정하고;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50)은 단말기에 전력 백오프 값을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기지국의 실시예는 상술한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의 실시예와 일일이 대응되는 기지국이며, 상술한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모든 구현 방식은 모두 상기 기지국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도 실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따른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61); 및 버스 인터페이스(62)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61)와 서로 연결된 메모리(63)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63)는 상기 프로세서(6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61)는 상기 메모리(63) 속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하는 경우,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그 중, 상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프로세스는, 프로토콜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프로세스; 또는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프로세스; 또는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프로세서(61)는 상술한 기지국의 기타 임의의 모듈의 기능을 더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도 6에서, 버스 구성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6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구성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61)는 버스 구성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63)는 프로세서(61)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공개는, 5G 새로운 에어 인터페이스에서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함으로써,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상향링크 파형에 따라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5G 새로운 에어 인터페이스에서의 네트워크 통신 프로세스를 보충하여, 네트워크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체 또는 일부 단계는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의 일부 또는 전체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매체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이상 본 공개의 선택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공개에서 설명한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개량과 윤색을 진행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량과 윤색도 본 공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66)

  1.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파형에 따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는 단계는,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측이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파형으로서, 단말기를 위해 확정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피드백한 파형으로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 및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 및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인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네트워크측이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파형으로서, 단말기를 위해 확정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이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확정하여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피드백한 파형으로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리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네트워크측이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확정하여 피드백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술한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술한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획득하되,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네트워크측에 상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술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송신 전력 레벨 및 네트워크측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문턱값을 토대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네트워크측에 상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측에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네트워크측이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확정하여 피드백한 파형으로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는,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네트워크측이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CP-OFDM(Cyclic Prefi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측이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네트워크측이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확정하여 피드백한 파형으로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는 단계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네트워크측이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DFT-s-OFDM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측이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CP-OFDM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전력 백오프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를 조정하기 위한 것인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17.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및
    상기 상향링크 파형을 토대로 정보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획득 모듈은 제1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1 수신 서브 모듈, 또는 제2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파형으로서, 단말기를 위해 확정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피드백한 파형으로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 및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그 중,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인 단말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확정하여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제1 송신 유닛 및 제1 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리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측이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확정하여 피드백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 네트워크측에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획득 서브 유닛, 생성 서브 유닛 및 송신 서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 서브 유닛은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 서브 유닛은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서브 유닛은 네트워크측에 상기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생성 서브 유닛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상기 참조값을 토대로, 상기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단말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술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방식은,
    단말기의 송신 전력 레벨 및 네트워크측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문턱값을 토대로, 단말기의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을 획득하는 것인 단말기.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송신 서브 유닛은,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측에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송신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네트워크측이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CP-OFDM을 수신하거나; 또는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측이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DFT-s-OFDM을 수신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네트워크측이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DFT-s-OFDM을 수신하거나;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측이 확정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으로서 CP-OFDM을 수신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32. 제17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전력 백오프 값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를 조정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33.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술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술한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술한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상술한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37. 제33항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파형을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인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되,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술한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술한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고;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단말기에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은,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 피드백을 위한 기설정 규칙을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 규칙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단말기가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규칙인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47. 제33항에 있어서,
    단말기에 전력 백오프 값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를 조정하기 위한 것인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48.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확정 모듈은 제2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3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4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기설정 조건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확정 서브 모듈은 주파수 대역,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 링크 유형, 셀 반경 크기 또는 단말기 커버리지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확정 서브 모듈은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기지국.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주파수 대역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작동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토대로,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인가 주파수 대역인지에 따라 구분한, 인가 주파수 대역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1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구분한,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가 제2 기설정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기지국.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기지국.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프로토콜를 통해 사전에 약정한 링크 유형과 상향링크 파형의 대응 관계 및 단말기의 현재 링크 유형에 따라,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기지국.
  52.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이 제3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기설정 메시지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파형을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한 통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인 기지국.
  54.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확정 서브 모듈은 제2 수신 유닛 및 확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리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측정 결과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전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리포트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기지국.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랜덤 액세스 중 또는 랜덤 액세스 후, 단말기가 송신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기지국.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참조 데이터는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현재 송신 전력 레벨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며;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 또는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기지국.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또는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 및 참조 데이터의 참조값을 토대로 생성한 리포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리포트 정보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 또는 참조값과 상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차이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 간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기지국.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에 사전 설정된 문턱값을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정보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단말기의 리포트 정보 피드백을 위한 기설정 규칙을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기설정 규칙은,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값과 사전 설정된 문턱값의 차이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 단말기가 리포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규칙인 기지국.
  60.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정 유닛은,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확정하고;
    만약 경로 손실 또는 현재 송신 전력 레벨의 참조값이 제1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기지국.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가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정 유닛은,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DFT-s-OFDM으로 확정하고;
    만약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전력,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수신 품질 또는 상향링크 전력 잔여량의 참조값이 제2 기설정 문턱값보다 크거나 또는 제2 기설정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면, 단말기의 정보 전송 시 사용되는 상향링크 파형을 CP-OFDM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기지국.
  62. 제48항에 있어서,
    단말기에 전력 백오프 값을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백오프 값은 단말기의 상향링크 파형이 CP-OFDM과 DFT-s-OFDM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단말기가 송신 전력를 조정하기 위한 것인 기지국.
  63. 프로세서;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기.
  64. 프로세서;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33항 내지 제4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기지국.
  65.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
  66.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33항 내지 제4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
KR1020197015342A 2016-11-08 2017-11-02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KR102224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981264.9A CN108064049B (zh) 2016-11-08 2016-11-08 一种上行波形获取、反馈方法、终端及基站
CN201610981264.9 2016-11-08
PCT/CN2017/109141 WO2018086480A1 (zh) 2016-11-08 2017-11-02 上行波形获取方法、上行波形反馈方法、终端及基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509A true KR20190073509A (ko) 2019-06-26
KR102224608B1 KR102224608B1 (ko) 2021-03-05

Family

ID=6211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342A KR102224608B1 (ko) 2016-11-08 2017-11-02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01774B2 (ko)
EP (1) EP3541032A4 (ko)
JP (1) JP2020501408A (ko)
KR (1) KR102224608B1 (ko)
CN (1) CN108064049B (ko)
WO (1) WO20180864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64A1 (ko) * 2020-07-22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송신 신호 파워 조절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4471B (zh) * 2017-01-04 2022-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其终端设备、网络设备
KR102409785B1 (ko) * 2017-03-23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9134085A1 (zh) * 2018-01-04 2019-07-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557842B (zh) * 2018-06-01 2021-12-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方法、装置及系统
CN111212009B (zh) * 2018-11-21 2022-05-13 中国移动通信集团山东有限公司 一种频谱效率增强方法及系统
WO2020191608A1 (en) * 2019-03-26 2020-10-01 Qualcomm Incorporated Waveform configuration and indic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CN112566146B (zh) * 2019-09-25 2022-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上行传输方法及终端
US20220183012A1 (en) * 2020-12-08 2022-06-09 T-Mobile Usa, Inc. Dynamic switching between uplink waveforms
US11540331B2 (en) * 2021-01-07 2022-12-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dapting communication procedures based on device characteristics
CN114900413B (zh) * 2022-05-11 2023-06-16 瑞斯康达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基站侧上行波形选择方法和基站
US20240048417A1 (en) * 2022-07-28 2024-02-08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parameter based waveform paramet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9632A1 (en) * 2008-03-28 2010-12-08 Ntt Docomo, Inc. User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1698B2 (en) * 2006-06-29 2011-1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on mechanism between OFDM-MIMO and LFDM-SIMO
PT2078402E (pt) * 2006-11-01 2012-03-30 Qualcomm Inc Utilização conjunta de esquemas de multiplexagem de portadora múltipla ou portadora única para comunicações sem fios
CN101978730A (zh) * 2008-03-25 2011-02-16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方法、终端装置、基站装置及无线通信系统
US8483134B2 (en) 2008-06-17 2013-07-09 Panasonic Corporation Radio transmission appratus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that switch between communication methods
US8379581B2 (en) 2008-12-08 2013-02-19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power control
JP5072999B2 (ja) 2010-04-05 2012-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CN102377536B (zh) * 2010-08-06 2014-12-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反馈信息的传输方法及设备
CN103620980A (zh) * 2011-06-21 2014-03-0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选择上行多天线发送以增强覆盖
CN103298090B (zh) * 2012-03-02 2017-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基站和用户设备
EP3342217A1 (en) * 2015-08-26 2018-07-04 IDAC Holdings, Inc. Systms and methods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systems
US10764832B2 (en) * 2016-09-28 2020-09-01 Idac Holdings, Inc. Uplink power control
TW201826847A (zh) * 2016-09-28 2018-07-16 美商Idac控股公司 多波形資料傳輸公共控制通道及參考符號
US11140715B2 (en) * 2016-10-26 2021-10-05 Qualcomm Incorporated Waveform-dependent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US10575258B2 (en) * 2016-10-27 2020-02-2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uplink power control
WO2018085790A1 (en) * 2016-11-04 2018-05-11 Motorola Mobility Llc Identifying a resource for transmitting a first uplink chan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9632A1 (en) * 2008-03-28 2010-12-08 Ntt Docomo, Inc. User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288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64A1 (ko) * 2020-07-22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송신 신호 파워 조절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96954A1 (en) 2019-09-26
EP3541032A1 (en) 2019-09-18
US11201774B2 (en) 2021-12-14
EP3541032A4 (en) 2020-02-12
CN108064049A (zh) 2018-05-22
CN108064049B (zh) 2020-03-24
KR102224608B1 (ko) 2021-03-05
JP2020501408A (ja) 2020-01-16
WO2018086480A1 (zh)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608B1 (ko) 상향링크 파형의 획득 방법, 상향링크 파형의 피드백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US11303343B2 (e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for beam failure management and beam recovery
CN110754106B (zh) 一种无线链路监控方法和装置
JP6489338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送信方法及びユーザイクイップメント
US92107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mobile communications link establishment
US11259335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AU2021203632B2 (en) Power control enhancement for random access
JP2020503803A (ja) 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端末デバイス
CN110574488A (zh) 在终端与基站之间建立连接的方法和装置
CN113271604A (zh) 波束失败恢复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54519A (ko)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및 장치
JP2020509664A (ja) 通信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WO2020215922A1 (zh) 直流分量的频域位置的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基站
JP2019522910A (ja) 信号を伝送する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端末装置
CN116193495A (zh) 用于网络维护的测量报告的方法和系统
CN110741718B (zh) 用于随机接入配置的方法和设备
US2023000674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handling interference caused by one or more wireless terminals served by a radio network node
US11297637B2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uplink grant, and terminal device thereof
US1004536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CN111385843B (zh) 测量结果上报方法、获取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6367307A (zh) 波束失败确定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699851A (zh) Csi-rs测量的优化
CN113748720A (zh) 一种信息上报方法及装置和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