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519A -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519A
KR20180054519A KR1020177036986A KR20177036986A KR20180054519A KR 20180054519 A KR20180054519 A KR 20180054519A KR 1020177036986 A KR1020177036986 A KR 1020177036986A KR 20177036986 A KR20177036986 A KR 20177036986A KR 20180054519 A KR20180054519 A KR 20180054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arameter adjustment
parameter
communication parameter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304B1 (ko
Inventor
빈 펭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5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1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an adaptation, e.g. in response to network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04L41/5025Ensuring fulfilment of SLA by proactively reacting to service quality change, e.g. by reconfiguration after service quality degradation or upgra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3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physical layer [OSI layer 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장치가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따라 제2장치와 통신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에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이다. 이로써,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구현 등 원인에 따라, 기존 무선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GSM”로 약칭), 코드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로 약칭)2000시스템,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로 약칭)시스템 및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로 약칭)등은 일반적으로 고정 또는 아주 제한된 소수의 기초 통신 파라미터, 예를 들면 반송파 대역폭, 시간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 길이, CDMA시스템의 확장인자, LTE시스템의 서브 반송파 간격 및 물리적 자원블록 과립도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차세대 무선 통신망 시스템에 수요되는 응용방식은 변화가 수없이 많으며, 효율적으로 대역폭, 시간 지연, 이동성, 커버, 통신속도, 믿음성, 사용자 수량 등 지표의 광범위한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데, 기존 시스템은 이 수요를 만족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실제 수요에 따라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가능하며,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측면에 있어서, 제1장치가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따라 제2장치와 통신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에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2측면에 있어서, 제2장치가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근거하여 제1장치와 통신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2장치가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제1장치가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구성에 대해 조정을 진행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3측면에 있어서,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따라 제2장치와 통신을 구축하고, 또한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모듈; 및 상기 제2장치에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장치가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해 조정을 진행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제4측면에 있어서,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따라 제1장치와 통신을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모듈; 및,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처리모듈이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해 조정을 진행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특징에 기반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조정 방법 및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의 단말 장치가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적용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조적인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이러한 도면을 기초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할 것이다. 다만,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는 점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각종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로 약칭)시스템, LTE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로 약칭)시스템, LTE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로 약칭),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로 약칭) 및 미래의 5G통신 시스템 등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장치(Terminal Equipment)는, 사용자 장치,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MS”로 약칭),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등으로 불리울 수도 있고,상기 사용자 장치는 무선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약칭“RAN”)통해 다른 하나 또는 다수의 코어망과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는 휴대폰(또는“셀룰러”전화라고도 함)일 수도 있고, 모바일 단말을 가지는 컴퓨터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휴대식, 포켓식, 핸드 헬드, 컴퓨터 내장 또는 차량 탑재의 모바일장치 및 미래 5G네트워크 상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진화된 PLMN네트워크 상의 단말장치 등 이다.
또한,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을 할수 있는 장치이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GSM시스템 또는 CDMA상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로 약칭)일 수도 있고, WCDMA시스템의 기지국(NodeB, “NB”로 약칭)일 수도 있고, LTE시스템상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또는 “eNodeB”로 약칭)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 스테이션, 접속 포인트, 차량탑재 장치, 장착가능 장치, 및 미래5G네트워크 상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진화된 PLMN 네트워크 상의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 또는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100)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포함된다.
S110: 제1장치는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preset configuration)에 따라 제2장치와 통신을 구축한다.
S120: 상기 제1장치는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한다.
S130: 상기 제1장치는 상기 제2장치에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communication parameter regulation indication information)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통신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의 단말 장치에서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동적으로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무선통신시스템의 성능과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이 있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고, 이때 제2장치는 단말 장치이며, 또는, 제1장치가 단말 장치일 경우, 제2장치는 다른 단말 장치이다.
선택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S140: 상기 제1장치는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는 상기 제2장치가 상이한 구성을 갖는 동일한 파리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장치는, 단지 제2장치가 상이한 구성을 갖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자신과 통신할 수 있음을 확정할 때에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통신 파라미터에 대한 조정을 진행한다. 다시 말하면, 본 말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서브 반송파/셀 내에서 상이한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간 주파수 자원 블록 내부에는 상이한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송신기와 수신기는 여러가지 통신 파라미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을 구비해야 하며, 장치가 상이한 파라미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에 따라 장치 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2장치는 랜덤 액세스 후 부착(Attach)과정에서, 상이한 구성을 갖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능력을 보고한다. 예들 들면, 상기 제1장치에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가 포함된 부착 요청 메시지를 송신 할 수 있다. 제2장치는 랜덤 결과 과정에서 이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시지에 능력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고, 제2장치는 제1장치에서 장치능력 조회 메시지를 송신한 후,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장치능력 조회 메시지에 근거하여, 제1장치에 이 능력을 보고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S110에 있어서, 통신 파라미터는 통신에 사용되는 다중접속방식 및/또는 상기 다중접속방식에 대응하는 기본 물리 계층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에 사용되는 다중접속방식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Access, “OFDMA”로 약칭)/싱글 반송파 분할 다중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로 약칭) 및 그로부터 파생되는 다중접속방식 또는 미래 통신 시스템의 사용가능한 다른 다중접속방식일 수도 있다. OFDMA/SC-FDMA 및 그로부터 파생되는 다중접속방식에 대응하는 기본 물리 계층 파라미터에는 아래 파라미터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즉, 서브 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OFDM부호 길이, 주기적 전치부호(Cyclic Prefix, “CP”로 약칭)길이, 샘플링 빈도, 채널추정과 복조 등 목적에 사용되는 참조부호(Reference Signal)밀도와 패턴, 참조부호의 서열 구성 및 자원윈도우 입도 등 파라미터이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의 단말 장치는 위치하는 통신망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대한 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 수요에 따라, 서브 반송파 간격, OFDM부호 길이, CP의 길이, 샘플링 빈도, 채널추정과 복조 등 목적에 사용되는 참조부호 밀도와 패턴 등을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쌍방 간에 상대적 움직임이 있을 경우, 도플러(Doppler)주파수 시프트가 발생하는 데, 상대적 움직임 속도가 빠르면 빠를 수록 Doppler 주파수 시프트가 커지고, 정확한 복조를 확보하기 위하여, 서브 반송파 간격을 크게 함과 동시에, 참조부호의 밀도도 크게 조절해야 한다. 채널환경에 변화가 생기면, 지연 확산(Delay Spread), 각도 확산(Angular Spread), 전달손실(Propagation Loss), 침투손실(Penetration Loss)등 현상이 생기며, 전송환경이 복잡할 수록 장애물이 많고 장애물의 크기가 클 수록 전송 지연 확장이 크므로, 이때에는 CP의 길이를 크게 조절해야 한다.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으로 되는 단말 장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참조부호의 서열구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부호를 생성하는 서열함수를 준직교서열로부터 무작위코드 또는 Zadoff-Chu 서열 등에로 조절할 수 있고, 실제 수요에 따라, 자원윈도우 입도(즉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에서의 자원원도우의 최소의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S110에 있어서,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은 디폴트 구성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 파라미터는 디폴트 파라미터일 수도 있으며, 장치로부터 장치(Device-to-Device, “D2D”로 약칭)통신일 경우, 단말 장치는 발견 채널(Discovery Channel)을 통해, 이 디폴트 파라미터를 통해, 이 디폴트 파라미터를 방송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주파수 대역, 상이한 지리적 지역에는 상이한 디폴트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S110에 있어서,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은 랜덤 액세스 과정 중 통신 쌍방에 의해 약정된 구성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으로 되는 단말 장치는 아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확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간의 무선 채널 전송조건,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통신능력, 및 상기 제2장치에 의해 랜덤 액세스가 개시될 때의 서비스 타입이다. 상기 제1장치는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확정한 후, 제2장치에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장치는 제2장치와 통신을 구축하기 전에, 제2장치를 제외한 다른 장치에 의해 개시된 랜덤 액세스 정보로부터 제1장치와 제2장치간의 무선채널 전송조건을 얻을 수도 있고, 또는 제1장치는 이미 제1장치와 통신을 하고 있는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시그널링 또는 피드백된 채널 상태 지시(Channel State Indicator)정보를 통해 제1장치와 제2장치간의 무선채널 전송조건을 얻을 수도 있다. 제1장치 및 제2장치의 통신능력은 송수신 안테나 수량, 발신 파워, 수신 감도, 통신에 사용되는 대역폭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으로 되는 단말 장치는 랜덤 액세스 서열 추정에 의해 얻어지는 채널조건, 확정된 통신 쌍방간의 거리 및 단말 장치가 어떤 타입의 서비스에 의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지 등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 장치가 통신망에 처음 접속할 때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확정한다.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서비스의 수요 또는 다른 정보에 근거하여, 어떤 한 단말 장치에 할당함으로써 해당 단말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주 대역을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이 주파수 대역은 단말 장치가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고, 단말 장치가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주파수 대역이 아닐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장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장치에 상기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송신 할 수 있고, 상기 제1장치는 상기 제2장치에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포함하는 다른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장치에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송신 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S120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는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간의 채널환경,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가 위치하는 통신망의 부하 및 간섭, 데이터 속도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와 에너지 소모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통신과정에서 네트워크 상태에 변화가 생길 경우,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으로 되는 단말 장치는 실시간으로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태의 변화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서비스 중인 기지국과 인근기지국) 또는 통신 쌍방 단말 장치의 채널환경 변화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과정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안테나 및 이동성에 따른 채널 변화, 또는 통신 쌍방 단말 장치의 이동성에 따른 채널환경의 변화 등이 포함된다. 네트워크 상태의 변화는 네트워크 부하와 간섭으로 인한 변화일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상태의 변화는 네트워크 중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속도에 대한 수요 및/또는 에너지 소모에 대한 수요로 인한 변화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쌍방의 단말 장치는 자체로 측정을 통해 얻어지는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의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 또는 통신 쌍방의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보고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S1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한 조정을 요청하기 위한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2장치는 서비스 개시 또는 서비스에 변화가 생기거나 무선신호 환경에 변화가 생길 경우, 제1장치에 파라미터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장치는 제1장치에 통신 파라미터 조정을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제1장치는 상기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자체로 네트워크 상태를 측정하며, 예를 들면,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의 품질을 통해 네트워크 상태의 변화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통신망중에서 상기 제2장치와 동일한 타입의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보고서를 통해,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구체적으로 어느 몇 가지의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하는가를 확정하고, 조정 완료후 조정된 결과를 제2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드셔이킹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1장치가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제2장치에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확인 정보를 송신해야 한다(예를 들면, 하나의 확인 ACK프레임을 응답할 수 있음). 제2장치가 약정된 시간내에 제1장치의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을 받지 못했을 경우, 제2장치는 제1장치에 다시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송신하거나, 여전히 파라미터 조정 요청전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사용하여, 제1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제1장치는 조정전과 조정후의 파라미터로 정보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1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네트워크 상태 및/서비스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2장치는 제1장치에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보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비스 변화, 환경변화로 인한 채널품질 변화(상기 도플러 주파수 시프트, 전송로스, 지연확산 등 측정결과 또는 측정결과의 계량화에 따른 채널 품질지시) 등 상태 정보이며, 제1장치는 제2장치로부터 보고되는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수신한 후, 능동적으로 통신 파리미터의 조정을 진행하며, 조정된 결과를 제2장치에 통지한다. 제2장치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1장치에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보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2장치는 제1장치에 통신 파라미터의 조정을 요청하는 조정 요청 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자신이 측정한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제1장치에 보고하며, 제1장치는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제2장치로부터 보고된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함과 동시에, 조정후의 결과를 제2장치에 통지한다.
선택적으로, 제1장치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2장치에 상기 조정 지시 정보를 송신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쌍방간은 복수의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로 약칭)로 연결되며, 상이한 RRC 연결은 상이한 통신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고, 각 링크(반송파 또는 기지국)에 대해, 그 통신 파라미터의 조정은 통일적(즉 복수의 연결에 공용되는) 또는 당해 연결의 독립적인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통지할 수 있으며, 당해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은 새로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일 수도 있다.
이밖에도, 제1장치는 페이징(Paging)채널 또는 방송 채널 등 채널을 통해, 파라미터 조정 결과를 제2장치에 보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장치는 단지 조정을 진행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조정결과 만을 선택하여, 제2장치에 송신할 수 있고, 제1장치는 조정된 통신 파라미터와 조정되지 않은 통신 파라미터를 모두 선택하여, 제2장치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조정결과는 절대치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고, 상대치의 형식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조정전의 서브 반송파 간격을 15kHz으로 할 경우, Doppler주파수 시프트로 인한 신호의 정확한 복조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서브 반송파간의 간격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때, 제1장치는 직접 제2장치에 조정후의 서브 반송파 간격이 20kHz임을 통지할 수 있으며, 제2장치에 조정후의 서브 반송파 간격이 조정전의 서브 반송파 간격보다 5kHz큼을 통지할 수도 있다. 본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의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도1과 도2에 결합하여 제1장치 측으로부터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으며, 아래에는 도3과 도4에 결합하여 제2장치 측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해해야 할 점이다면 제1장치 측에서 설명된 제1장치와 제2장치의 인터랙션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제2장치 측의 설명에 대응하므로,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반복되는 부분을 적당히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의 조정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200)에는 아래 내용이 포함된다.
S210: 제2장치는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근거하여 제1장치와 통신을 구축한다.
S220: 상기 제2장치는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제1장치가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구성에 대해 조정을 진행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의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에는 아래 내용이 포함된다.
S230: 상기 제2장치는 상기 제1장치에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는 상기 제2장치가 상이한 구성을 갖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S23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장치에 부착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부착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장치는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은 상기 제1장치에 의해 아래 파라미터중의 적어도 하나로 확정된다. 즉,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간의 무선채널 전송조건,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통신능력, 및 상기 제2장치가 랜덤 액세스를 개시 할 때의 서비스타입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제2장치는 상기 제1장치에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에 대한 조정을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장치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장치는 제1장치에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송신한 후,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했음을 확인하는 확인(ACK) 정보를 수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제2장치는 상기 제1장치에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송신하여, 제1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S220은 구체적으로, 물리 계층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통신에 사용되는 다중접속방식 및/또는 상기 다중접속방식에 대응하는 기본 물리 계층 파라미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는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간의 채널환경,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가 위치하는 통신망의 부하와 간섭,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속도에 대한 수요 및 애플리케이션의 에너지 소모에 대한 수요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는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는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신 파라미터의 조정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쌍방의 단말은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동적으로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모듈들이 포함된다.
처리모듈(11)은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따라 제2장치와 통신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처리모듈(11)은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모듈(12)은 상기 제2장치에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처리모듈이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해 조정을 진행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는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동적으로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가능함으로써,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적용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12)은 또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는 상기 제2장치로 하여금 상이한 구성을 갖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게 함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1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가 포함된 부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모듈(11)은 아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장치와 상기 제2장치간의 무선채널 전송조건, 상기 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통신능력, 및 상기 제2장치가 랜덤 액세스를 개시할 때의 서비스 타입이다.
여기서, 상기 송수신모듈(12)은 또한, 상기 제2장치가 상기 처리모듈(11)에 의해 확정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12)은 또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한 조정을 요청하는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처리모듈(11)은 또한 상기 송수신모듈(12)이 수신한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12)은 또한, 상기 제2장치에 상기 조정 요청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했음을 확인하는 확인(ACK)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12)은 또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네트워크 상태 및/서비스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처리모듈(11)은 또한 상기 송수신모듈(12)이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12)은 구체적으로, 물리 계층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2장치에 상기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통신에 사용되는 다중접속방식 및/또는 상기 다중접속방식에 대응하는 기본 물리 계층 파라미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는 상기 장치와 상기 제2장치간의 채널환경, 상기 장치와 상기 제2장치가 위치하는 통신 네트워크 의 부하와 간섭,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속도에 대한 수요와 애플리케이션의 에너지 소모에 대한 수요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는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는 다른 단말 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는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100)의 실행에 대응되고, 장치(10)의 각 모듈의 상술한 내용 및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기 도1과 도2의 각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흐름임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여기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모듈(11)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고, 송수신모듈(12)은 수신기와 송신기에 의해 실현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에는 프로세서(101), 수신기(102), 송신기(103) 및 메모리(104)가 포함되며, 여기서,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1)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등의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장치(100)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105)을 통해 커플링되며, 버스 시스템(105)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10)에 대응되고, 본 발명 실시예를 실행하는 방법의 상응하는 주체에 대응하며, 장치(100)의 각 모듈의 상기 및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기 도1과 도2의 각 방법의 상응하는 흐름을 실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여기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로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20)는 다음과 같은 모듈들이 포함된다.
처리모듈(21)은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근거하여 제1장치와 통신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모듈(22)은 상기 제1장치로부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처리모듈이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한 조정을 진행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는, 상기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동적 조정을 진행한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신함으로써,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22)은 또한 상기 제1장치에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이한 구성을 갖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22)은 구체적으로, 제1장치에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가 포함된 부착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22)은 또한,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은 상기 제1장치에 의해 아래 파라미터중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이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장치간의 무선채널 전송조건,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장치의 통신능력 및 상기 장치로부터 랜덤 액세스가 개시될 때의 서비스타입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22)은 또한 상기 제1장치에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해 조정을 진행하기 위한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장치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22)은 또한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했음을 확인하는 확인(ACK)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22)은 또한 상기 제1장치에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모듈(22)은 구체적으로 물리 계층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1장치의 의해 송신되는 상기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통신에 사용되는 다중접속방식 및/또는 상기 다중접속 방식에 대응되는 기본 물리 계층 파라미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는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장치간의 채널환경,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장치가 위치하는 통신망의 부하와 간섭,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속도에 대한 수요와 애플리케이션의 에너지소모에 대한 수요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장치는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다른 단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200)에 대응되며, 장치(20)의 각 모듈의 상기 및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기 도3과 도4중의 각 방법의 상응하는 흐름을 실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여기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모듈(21)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며, 송수신모듈(22)은 수신기와 송신기에 의해 실현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0)에는 프로세서(201), 수신기(202), 송신기(203) 및 메모리(204)가 포함된다. 여기서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1)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등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장치(200)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205)을 통해 커플링되며, 여기서 버스 시스템(205)에는 데이터 버스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20)에 대응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행하는 방법의 상응하는 주체에 대응하며, 장치(200)중의 각 모듈의 상기 및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기 도3과 도4의 각 방법의 상응하는 흐름을 실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여기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각 예시적인 유닛 또는 알고리즘 단계를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구속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가라면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인정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설명상 편의와 간결을 위해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해당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몇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분리는 단지 논리적 기능상의 분리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 시에 다른 분리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부품은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 또는 언급된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도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즉 하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적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 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인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공헌을 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이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약간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포함된다.
이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 범위내에서 변화 또는 치환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고, 이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준한다.

Claims (44)

  1. 제1장치가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따라 제2장치와 통신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에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는 상기 제2장치가 상이한 구성을 갖는 동일한 파리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간의 무선채널 전송조건,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통신능력, 및 상기 제2장치에 의해 랜덤액세스가개시될때의서비스타입중적어도하나의파라미터에의해상기통신파라미터의사전설정구성을확정하는단계; 및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에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한 조정을 요청하기 위한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의 성공적인 수신에 대한 확인(ACK) 정보를 상기 제2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에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물리 계층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2장치에 상기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통신에 사용되는 다중접속방식 및/또는 상기 다중접속방식에 대응하는 기본 물리 계층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는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간의 채널환경,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가 위치하는 통신망의 부하와 간섭, 데이터 속도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및 에너지 소모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는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는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12. 제2장치가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근거하여 제1장치와 통신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2장치가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제1장치가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구성에 대해 조정을 진행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가 상기 제1장치에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는 상기 제2장치가 상이한 구성을 갖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장치외의 통신이 가능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에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장치에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가,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은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간의 무선채널 전송조건,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통신능력 및 상기 제2장치에 의해 랜덤 액세스가 개시될 때의 서비스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의해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16.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상기 제1장치에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한 조정을 요청하기 위한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의 성공적인 수신에 대한 확인(ACK)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18.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도록, 상기 제1장치에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19.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물리 계층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1장치에 의해 송신된 상기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20.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통신에 사용되는 다중접속방식 및/또는 상기 다중접속방식에 대응하는 기본 물리 계층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21.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는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간의 채널환경,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가 위치하는 통신망의 부하와 간섭, 데이터 속도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및 에너지 소모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22.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는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는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23.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따라 제2장치와 통신을 구축하고, 또한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모듈; 및
    상기 제2장치에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장치가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해 조정을 진행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는 상기 제2장치가 상이한 구성을 갖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26.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또한,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간의 무선채널 전송조건,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통신능력, 및 상기 제2장치에 의해 랜덤 액세스가 개시될 때의 서비스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의해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처리모듈에 의해 확정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상기 제2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27.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한 조정을 요청하기 위한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모듈은 또한, 상기 송수신모듈이 수신한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2장치에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의 성공적인 수신에 대한 확인(ACK)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29.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2장치로부터 송신된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모듈은 또한, 상기 송수신모듈이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30.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물리 계층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2장치에 상기 파라미터 조정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31.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통신의 다중접속방식 및/또는 상기 다중접속방식에 대응하는 기본 물리 계층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32.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는 상기 장치와 상기 제2장치간의 채널환경, 상기 장치와 상기 제2장치가 위치하는 통신 네트워크 의 부하와 간섭, 데이터 속도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및 에너지 소모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33.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는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는 다른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34.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에 따라 제1장치와 통신을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모듈; 및,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는 상기 처리모듈이 통신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해 조정을 진행한 조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1장치에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는 상기 장치가 상이한 구성을 갖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제1장치에 상기 처리능력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37.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 구성은,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장치간의 무선채널 전송조건,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장치의 통신능력 및 상기 장치에 의해 랜덤 액세스가 개시될 때의 서비스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장치에 의해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38.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1장치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상기 제1장치에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한 조정을 요청하기 위한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1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파라미터 조정 요청 정보의 성공적인 수신에 대한 확인(ACK)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40.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1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의 구성을 조정하도록, 상기 제1장치에 네트워크 상태 및/또는 서비스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41.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은 또한, 물리 계층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1장치에 의해 송신된 상기 파라미터 조정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42.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4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통신에 사용되는 다중접속방식 및/또는 상기 다중접속 방식에 대응되는 기본 물리 계층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43.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4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는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장치간의 채널환경,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장치가 위치하는 통신망의 부하와 간섭, 데이터 속도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및 에너지 소모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44.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4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장치는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다른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조정 장치.
KR1020177036986A 2015-09-16 2015-09-16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2473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89792 WO2017045176A1 (zh) 2015-09-16 2015-09-16 调整通信参数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519A true KR20180054519A (ko) 2018-05-24
KR102473304B1 KR102473304B1 (ko) 2022-12-01

Family

ID=5828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986A KR102473304B1 (ko) 2015-09-16 2015-09-16 통신 파라미터 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3) US10715386B2 (ko)
EP (1) EP3300304B1 (ko)
JP (1) JP6910967B2 (ko)
KR (1) KR102473304B1 (ko)
CN (2) CN115243323A (ko)
AU (2) AU2015409334A1 (ko)
BR (1) BR112018000816B1 (ko)
CA (1) CA2990488A1 (ko)
HK (1) HK1245529A1 (ko)
IL (1) IL257430B (ko)
MX (1) MX2018000946A (ko)
MY (1) MY198684A (ko)
PH (1) PH12018500182A1 (ko)
RU (1) RU2697695C1 (ko)
SG (1) SG11201710873TA (ko)
WO (1) WO2017045176A1 (ko)
ZA (1) ZA2017086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2538B (zh) * 2015-10-13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的方法、设备及系统
EP3445115A4 (en) * 2016-04-15 2019-12-04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8632005B (zh) * 2017-03-24 2023-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参考信号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9392103B (zh) * 2017-08-04 2020-08-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及装置
CN111869177A (zh) * 2018-03-12 2020-10-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ue策略的更新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US10642214B2 (en) * 2018-08-13 2020-05-05 Viavi Solutions Inc. Optical security device based on a surface of revolution
US10477418B1 (en) 2018-12-17 2019-11-12 Loon Llc Operation of sectorized communications from aerospace platform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CN111866913B (zh) * 2020-06-19 2024-04-26 青岛海洋科技中心 无线配置方法及配置系统
US11588607B2 (en) * 2021-03-17 2023-02-21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assisted information for full-duplex user equipment
CN114363871B (zh) * 2021-05-14 2023-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连接的方法以及电子设备
US20230208714A1 (en) * 2021-12-28 2023-06-29 Uab 360 It Updating communication parameters in a mesh net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2379A (ja) * 2005-06-14 2006-12-28 Ntt Docomo Inc 無線パラメータ群を生成する装置、送信機及び受信機
KR20090036966A (ko) * 2007-10-10 2009-04-15 엘지노텔 주식회사 기지국의 전송전력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0050731A2 (en) * 2008-10-27 2010-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ynamic cyclic prefix length change method and wireless system therefor
JP2013518508A (ja) * 2010-07-01 2013-05-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けるmimoパケット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40045A (zh) 2001-12-05 2005-07-13 高通股份有限公司 调整通信系统服务质量的系统与方法
CN1735224A (zh) 2004-08-10 2006-02-1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限制p2p通信干扰的方法和装置
US8045998B2 (en) * 2005-06-08 2011-10-2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using position information
JP2009033632A (ja) 2007-07-30 2009-02-12 Nec Corp WiMAX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無線基地局
EP2264959B1 (en) 2008-03-31 2012-07-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dia gateway, media gateway controller,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of multimedia phones
CN101686178B (zh) * 2008-09-28 2012-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提高多媒体通话质量方法和系统、媒体控制和处理设备
CN102342058B (zh) 2009-01-16 2016-02-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通信设备、通信方法和集成电路
WO2010085048A2 (ko) * 2009-01-21 2010-07-29 (주)엘지전자 다중 셀 환경에서의 셀 간 동기화 방법 및 장치
WO2010113490A1 (ja) * 2009-03-31 2010-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SG169910A1 (en) * 2009-09-24 2011-04-29 3Rd Brand Pte Ltd Company Registration No 2007 Network monitoring and analysis tool
CN101765000B (zh) 2009-11-27 2012-10-24 广东亿迅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网络的车载视频监控系统的实现方法
US9148375B2 (en) 2010-03-15 2015-09-29 Fujitsu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link adaptation based on mobility
US8989156B2 (en) * 2010-06-18 2015-03-24 Sharp Kabushiki Kaisha Selecting a codeword and determining a symbol length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CN102447546B (zh) * 2010-09-30 2019-05-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的传输方法和设备
US8422577B1 (en) * 2011-03-25 2013-04-16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cyclic prefix length based on signal quality reports
US8792369B2 (en) 2011-05-02 2014-07-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for setting a mobile node specific cyclic prefix in a mobile communication
EP2735204A1 (en) 2011-07-21 2014-05-28 BlackBerry Limited Dynamic cyclic prefix mode for uplink radio resource management
CN103428829B (zh) 2012-05-14 2017-03-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优化通信终端功耗的方法及一种通信终端
CN107743301B (zh) * 2012-09-19 2021-04-09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系统信息的方法和装置
WO2014070321A1 (en) 2012-11-01 2014-05-08 Maruti Gupta Signaling qos requirements and ue power preference in lte-a networks
CN104010382B (zh) * 2013-02-25 2019-02-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EP2779738B1 (en) 2013-03-12 2018-05-0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power transmission level for a communica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WO2015002432A1 (ko) * 2013-07-01 2015-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전송 방법 및 전송 장치
US10004064B2 (en) 2013-07-01 2018-06-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rec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f terminal in idle mode using similar random access procedures, and device therefor
US9184968B2 (en) * 2013-07-17 2015-11-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lecting a cyclic prefix length
KR20150064595A (ko) 2013-12-03 2015-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 가능한 보호 구간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N103997434B (zh) 2014-05-21 201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传输状况的探测方法和相关设备
US9692494B2 (en) * 2014-08-12 2017-06-2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witching between wireless multiple access schemes
CN104333465B (zh) * 2014-10-31 2019-06-11 北京奇安信科技有限公司 一种心跳间隔设置的方法、装置及系统
JPWO2016068072A1 (ja) * 2014-10-31 2017-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HUE043644T2 (hu) * 2015-04-22 2019-08-28 Intel Ip Corp Alacsony várakozási idejû, versenyzésre alapozott ütemezési kérelem
WO2016182228A1 (ko) * 2015-05-10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용량의 산발적 패킷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611985B1 (en) * 2015-07-17 2021-04-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Uplink data packet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06506125A (zh) * 2015-09-08 2017-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建立、拆除块确认通信机制的方法和装置
JP7290853B2 (ja) 2018-12-19 2023-06-14 株式会社井村木工場 床下地材、床形成部材、床構造及び床構造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2379A (ja) * 2005-06-14 2006-12-28 Ntt Docomo Inc 無線パラメータ群を生成する装置、送信機及び受信機
KR20090036966A (ko) * 2007-10-10 2009-04-15 엘지노텔 주식회사 기지국의 전송전력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0050731A2 (en) * 2008-10-27 2010-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ynamic cyclic prefix length change method and wireless system therefor
JP2013518508A (ja) * 2010-07-01 2013-05-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けるmimoパケット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0967B2 (ja) 2021-07-28
MX2018000946A (es) 2018-06-07
US11394613B2 (en) 2022-07-19
RU2697695C1 (ru) 2019-08-16
CA2990488A1 (en) 2017-03-23
AU2015409334A8 (en) 2018-02-22
EP3300304B1 (en) 2023-12-06
CN115243323A (zh) 2022-10-25
US11863387B2 (en) 2024-01-02
BR112018000816B1 (pt) 2024-01-30
AU2015409334A1 (en) 2018-01-18
EP3300304A4 (en) 2018-11-14
WO2017045176A1 (zh) 2017-03-23
US10715386B2 (en) 2020-07-14
IL257430B (en) 2022-05-01
US20200304370A1 (en) 2020-09-24
AU2021200786A1 (en) 2021-03-04
ZA201708690B (en) 2018-11-28
JP2018531526A (ja) 2018-10-25
EP3300304A1 (en) 2018-03-28
PH12018500182A1 (en) 2018-07-30
KR102473304B1 (ko) 2022-12-01
IL257430A (en) 2018-04-30
BR112018000816A2 (pt) 2018-09-04
MY198684A (en) 2023-09-15
HK1245529A1 (zh) 2018-08-24
CN107615713B (zh) 2022-06-24
US20220311666A1 (en) 2022-09-29
AU2021200786B2 (en) 2022-07-14
CN107615713A (zh) 2018-01-19
US20180220405A1 (en) 2018-08-02
SG11201710873TA (en)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07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communication parameters
EP3562245A1 (en) Terminal, network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184937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arrier aggregation and dual connectivity
JP2018531526A6 (ja) 通信パラメータ調整方法及び装置
JP2020503803A (ja) 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端末デバイス
US10531508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arrier aggregation and dual connectivity
JP2020504986A (ja) データ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端末装置とネットワーク装置
US9019860B2 (en) Method,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starting compressed mode
US10560911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arrier aggregation and dual connectivity
US20210144728A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JP7197533B2 (ja) 通信パラメータ調整方法及び装置
CN114503773A (zh) 用于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CN114175777A (zh) 通信方法、设备及其计算机可读介质
IL273668B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22155979A1 (zh) 功率控制方法和装置
CN112789925B (zh) 用于指示空间关系信息的方法和设备
JP2024514131A (ja) 処理能力が制約されたシナリオにおいてマルチrtt測位を改善するためにprsとsrsとの関連付けを定義するこ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