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982A -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982A
KR20190072982A KR1020170174182A KR20170174182A KR20190072982A KR 20190072982 A KR20190072982 A KR 20190072982A KR 1020170174182 A KR1020170174182 A KR 1020170174182A KR 20170174182 A KR20170174182 A KR 20170174182A KR 20190072982 A KR20190072982 A KR 20190072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turntable
leakage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903B1 (ko
Inventor
정인섭
Original Assignee
정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섭 filed Critical 정인섭
Priority to KR102017017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9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용기 제조부에서 제조된 입구가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입구의 위치가 조정된 캔 용기를 다음으로 인계하는 입구위치조정부, 및 상기 입구위치조정부에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캔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면서 에어를 주입하여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누설검사부를 포함하여,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캔 용기의 측면 용접부와 시밍으로 결합된 상판 및 하판의 이음매와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등에 대한 누설검사가 함께 이루어져, 상면 용접에 따른 불량품도 색출할 수 있어, 제조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Can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된 캔 용기의 입구를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및 이음매 등에 대한 누설검사를 실시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음료를 충전한 통조림 및 캔 등의 용기는 내용물의 충전 후에 기밀 상태로 밀봉되는 것이 통상이며, 따라서 핀홀(pinhole)이나 권체(seaming) 불량 혹은 내용물의 변패 등의 이상이 있으면, 외기의 침입이나 가스의 발생 등에 의해 용기의 진공도가 저하되거나, 혹은 내부의 가스의 누설 등에 의해 내압이 저하되는 등의 사태가 발생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내용물을 충전한 캔 용기 등의 용기에 대한 내압(누설)을 검사하여, 소위 불량품을 라인으로부터 배제하고 있다.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10-2004-0041996호(2004.05.20)에서는 에어 공급원, 상기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압을 조절하는 공급압력 조절부, 상기 압력게이지를 거친 에어가 저장되는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와 상기 압력게이지 사이를 온/오프 하는 개폐밸브, 상기 밀폐용기와 상기 개폐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 및 온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 및 온도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누설 상태를 판단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밀폐용기 내부의 누설여부를 외부에서 제공된 에어를 주입하여 손쉽게 검사하는 밀폐용기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공개특허 제10-2010-0053450호에서는 챔버에 보유 지지된 지지부재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챔버 내의 용기의 천장판 가장자리부를 전체 둘레에서 압박하는 무단의 링 형상을 갖는 천장판 가장자리부 압박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챔버 내에 있어서 용기의 천장판 중앙부를 압박하는 천장판 중앙 압박 부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지지 부재는 챔버의 상벽을 수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하여 상벽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봉과, 지지봉의 하단부에 고정된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연결 부재에 의해 천장판 가장자리부 압박 부재 및/또는 천장판 중앙 압박 부재를 지지한다. 이에 의해, 용기의 천장판의 압박시, 그 압박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용기의 팽창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누설 검사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은 용기의 상판 전체를 밀폐하여, 가스 또는 에어를 용기 내부에 주입하면서 누설을 검사하였는데, 이러할 경우 캔 용기 상판에 실시된 용접부 및 이음매에 대한 누설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하였다.
본 발명은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캔 용기의 측면 용접부와 시밍으로 결합된 상판 및 하판의 이음매와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등에 대한 누설검사가 함께 이루어져, 상면 용접에 따른 불량품도 색출할 수 있어, 제조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고, 누설검사 전에 입구위치조정부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의 입구를 캔 용기를 회전시켜 해당 위치에 일률적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인력을 동원한 입구 조정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캔 용기의 입구를 조정할 수 있고, 캔 용기의 손상이 방지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는 캔 용기 제조부에서 제조된 입구가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입구의 위치가 조정된 캔 용기를 다음으로 인계하는 입구위치조정부, 및 상기 입구위치조정부에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캔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면서 에어를 주입하여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누설검사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구위치조정부는 상기 캔 용기 제조부와 연계된 컨베이어 타측단에서 선택적으로 출현하여 상기 캔 용기 제조부에서 이송된 캔 용기를 이송 대기시키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면에 위치된 캔 용기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스톱퍼에 의해 이송 대기하는 캔 용기의 좌, 우 양측면을 각각 클램핑한 후, 상기 턴테이블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송하는 클램프와,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클램프의 이송으로 상기 턴테이블에 위치하는 캔 용기의 상면을 촬영하여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판독하는 입구위치판독수단이 포함되어, 상기 입구위치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토대로, 상기 캔 용기의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이 캔 용기를 회전시켜 캔 용기 입구를 조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램프는 그 후방에 캔 용기의 배면과 선택적으로 면접하는 푸쉬편이 연장 형성되어, 입구 위치조정을 마친 캔 용기를 밀어 상기 턴테이블에서 이탈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누설검사부는 인계받은 캔 용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상부에 좌, 우 양측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진입하는 캔 용기를 일렬로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위치센서와, 상기 이송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이송되는 캔 용기를 해당 위치에서 리프팅하여 상기 이송체인에서 이탈시키는 복수 개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들의 각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트에 의해 리프팅된 캔 용기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복수 개의 에어주입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어주입수단은 길이가 신축하는 승강수단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길이 신축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개구된 캔 용기의 입구 주변을 따라 면접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의 하강으로 캔 용기의 입구 주변과 면접하여 캔 용기를 밀폐하면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승강판의 하측 주변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이 하강되면 상기 캔 용기의 주변에 면접하여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누설검사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누설검사부에서 누설검사를 마친 정상 캔 용기들을 인계받아 해당 단위로 모아 밴딩하는 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캔 용기의 측면 용접부와 시밍으로 결합된 상판 및 하판의 이음매와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등에 대한 누설검사가 함께 이루어져, 상면 용접에 따른 불량품도 색출할 수 있어, 제조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누설검사 전에 입구위치조정부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의 입구를 캔 용기를 회전시켜 해당 위치에 일률적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인력을 동원한 입구 조정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캔 용기의 입구를 조정할 수 있고, 캔 용기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로 캔 용기가 이송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로 이송된 캔 용기를 클램핑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의 턴테이블로 캔 용기를 이송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에 의해 캔 용기의 입구가 조정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에서 입구가 조정된 캔 용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검사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검사부의 리프트에 캔 용기가 위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검사부의 에어주입수단이 캔 용기의 입국에 에어를 주입하면서 누설을 검사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검사부에서 누설 검사를 마친 캔 용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제조된 캔 용기의 입구를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및 이음매 등에 대한 누설검사를 실시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캔 용기의 제조부에 의해 캔 용기가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통상 준비된 금속판재를 말아 관 형태를 유지한 체, 그 이음매를 용접하여 상, 하측이 개구된 원통의 캔 몸체를 제조하고, 다음으로 원통형의 캔 몸체를 각형으로 성형하며, 그리고 각형으로 성형된 캔 몸체의 상, 하단을 외향으로 절곡하는 프렌지 공정을 실시한 후, 하부에 준비된 캔 용기의 하판을 접한 후 시밍 공정으로 결합하고, 다음으로 준비된 캔 용기의 상판을 접한 후 시밍 공정으로 결합하여 캔 용기를 완성한다.
이때 캔 용기의 상판은 그 상면 중앙 측에 손잡이가 용접되어 결합되고, 내부와 연통하는 입구는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되어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는 상기한 캔 용기 제조부에서 제조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캔 용기의 내부 누설을 검사하는 것으로, 캔 용기의 입구를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입구위치조정부(200)와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봉하면서 에어를 주입하여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누설검사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입구위치조정부(200)를 살펴보면, 상기 입구위치조정부(200)는 스톱퍼(210)와, 텐테이블(220)과, 클램프(230)와, 입구위치판독수단(240)이 포함되어, 캔 용기 제조부(100)에서 제조된 입구가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를 컨베이어 등의 이송수단으로 인계받아 캔 용기의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입구의 위치가 조정된 캔 용기를 다음 단계로 인계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210)는 캔 용기 제조부와 연계된 컨베이어의 타측단과 텐테이블(220) 사이에 위치되고, 캔 용기 제조부와 연계된 컨베이어의 타측단과 텐테이블(220)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출현하여 상기 캔 용기 제조부에서 이송된 캔 용기가 더 이상이송되지 않고, 대기하는 상태인 이송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210)는 이송 대기 상태의 캔 용기가 클램프(230)에 의해 이송되면, 하측으로 사라져 상기 캔 용기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톱퍼(210)는 캔 용기 제조부와 연계된 컨베이어의 타측단과 텐테이블(220) 사이에 위치되어, 선택적인 승강으로 출몰하여 캔 용기가 클램프(23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캔 용기를 이송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210)의 타측에는 턴테이블(220)이 구비되는데, 상기 턴테이블(220) 상면에는 캔 용기가 놓이게 되고, 상면에 캔 용기를 놓인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면에 놓인 캔 용기를 회전시켜 입구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상기 텐테이블(220)은 원판 형태의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는 스텝모터 또는 액츄레이터가 구비되어, 각형의 캔 용기의 입구를 조정할 시에는 상기 테이블이 한 스텝에 90°로 회전하여, 상기 테이블 상에 놓인 캔 용기의 입구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램프(230)는 상기 스톱퍼(210)에 의해 이송 대기 상태인 캔 용기의 좌, 우 양측면을 각각 클램핑한 후,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으로 캔 용기를 슬라이딩 이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클램프(230)는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측에서 상기 턴테이블(220)을 사이에 두고 좌, 우에 각각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바(231)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바(231) 각각의 상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고정블럭(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블럭(232)에는 캔 용기를 좌, 우 방향으로 압박하여 클램핑되도록 하는 클램프바(233)가 구비되는데, 상기 클램프바(233)는 캔 용기의 좌, 우측면이 각각 파지되는 파지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캔 용기의 좌, 우 방향에서 캔 용기로 이동하여, 상기 캔 용기의 좌, 우측면을 압박하면서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바(233)는 상기 고정블럭(232)에 구비된 실린더(235)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235)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블럭(232)에 구비된 실린더(235)의 좌, 우에는 가이드봉(236)이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바(233)의 이동을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바(233)는 상기 고정블럭(232)에 구비된 실린더(235)의 피스톤로드 길이 신축으로 상기 캔 용기의 좌, 우 방향에서 캔 용기로 이동하여 상기 캔 용기의 좌, 우측면을 압박하면서 클램핑하고, 또한 상기 클램프바(233)의 타측방향으로 푸쉬편(234)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푸쉬편(234)이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 놓인 캔 용기의 배면과 선택적으로 면접되어, 입구 위치조정을 마친 캔 용기를 밀어 상기 턴테이블(220)에서 이탈시켜,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서 이탈된 캔 용기가 다음 공정을 위한 컨테이너 상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클램프(230)는 상기 스톱퍼(210)에 의해 이송 대기 상태인 캔 용기의 좌, 우 양측면을 상기 클램프바(233)로 각각 클램핑한 후,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으로 캔 용기를 슬라이딩 이송하면서,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 먼저 놓인 캔 용기는 상기 클램프바(233)의 푸쉬편(234)이 캔 용기를 밀어 상기 턴테이블(220)에서 이탈시켜, 다음 공정을 위한 컨테이너 상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부에는 입구위치판독수단(2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입구위치판독수단(240)은 상기 클램프(230)의 이송으로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 위치하는 캔 용기의 상면을 촬영하여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판독한다.
상기 입구위치판독수단(240)에서 판독한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토대로, 상기 캔 용기의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턴테이블(220)이 캔 용기를 회전시켜 캔 용기 입구를 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구위치조정부(200)는 스톱퍼(210)와, 텐테이블(220)과, 클램프(230)와, 입구위치판독수단(240)이 포함되는데, 상기 스톱퍼(210)로 상기 캔 용기 제조부에서 인계된 캔 용기가 이송 대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230)로 이송 대기 상태인 캔 용기를 클램핑하여,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으로 캔 용기를 슬라이딩 이송하며, 상기 입구위치판독수단(240)으로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 놓인 캔 용기의 상면을 촬영하여, 그 캔 용기의 입구를 위치를 파악하면서, 해당 위치로 조정하기 위한 입구 조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턴테이블(220)에 하달하고, 상기 턴테이블(220)은 하달된 입구 조정값을 토대로 회전하여 캔 용기의 입구를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30)는 다음 캔 용기를 상기 턴테이블(220)로 이송할 시, 상기 클램프바(233)의 푸쉬편(234)으로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서 입구 조정을 마친 캔 용기를 밀어 상기 턴테이블(220)에서 이탈시키면서 다음 공정을 위한 컨테이너 상으로 이송한다.
상기한 입구위치조정부(200)에 의해 해당 위치로 입구가 위치하도록 입구가 조정된 캔 용기들은 다음 누설검사부(300)로 제공되는데,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누설검사부(300)는 이송체인(310)과 가이드바(320)와, 위치센서(330)와, 리프트(340)와, 에어주입수단(350)이 포함된다.
상기 이송체인(310)을 먼저 살펴보면, 상기 이송체인(310)은 컨베이어와 같이 전동장치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메인스프로킷이 일측에 배치되고, 거리를 두고 타측에는 종동스프로킷이 배치되며, 그리고 체인이 상기 메인스프로킷 및 종동스프로킷을 감싸면서 무한궤도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스프로킷의 회전에 체인이 이동하면서 종동스프로킷이 회전하면서 체인 상에 놓인 물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체인(310)은 상기 입구위치조정부(200)에서 인계받은 캔 용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체인(310)의 상부에는 가이드바(32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바(320)는 좌, 우 양측에 평행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쌍의 가이드바(320) 사이에 캔 용기를 진입시켜, 한 쌍의 가이드바(320) 사이로 진입하는 캔 용기가 일렬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320)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롤러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바(320)를 따라 진입된 캔 용기가 미끄러져 안내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320)의 하측에는 복수 개의 위치센서(330)가 구비되는데, 상기 복수 개의 위치센서(330)는 상기 가이드바(320)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320)를 따라 이동하는 캔 용기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위치센서(330)에 의해 감지된 캔 용기의 위치는 복수 개의 리프트(340)에 각각 하달되는데, 상기 복수 개의 리프트(340)는 상기 이송체인(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이송체인(310)에 의해 이송되는 캔 용기를 해당 위치에서 리프팅하여 상기 이송체인(310)에서 이탈시킨다.
또한, 상기 리프트(340)는 캔 용기의 누설 검사가 완료되면, 다시 하강하여 누설검사를 마친 캔 용기를 상기 이송체인(310)에 복귀시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340)들의 각 상부에는 에어주입수단(350)이 각각 배치되는데, 상기 에어주입수단(350)은 리프트(340)에 의해 리프팅된 캔 용기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주입한다.
이때 주입되는 에어의 누설을 측정하여 상기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에어주입수단(35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에어주입수단(350)은 길이가 신축하는 승강수단의 하단에는 승강판(351)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길이 신축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351)의 하측에는 에어노즐(352)이 구비되는데, 상기 에어노즐(352)은 개구된 상기 캔 용기의 입구 주변을 따라 면접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351)의 하강으로 캔 용기의 입구 주변과 면접하여 캔 용기를 밀폐하면서 에어를 주입한다.
이때 상기 에어노즐(352)의 내부에는 주입압을 측정하는 센서가 함께 구비되어, 에어의 주입과 함게 상기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한 에어주입수단(350)의 구성에 의해 상기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종래에는 실시하지 못했던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및 이음매 등에 대한 누설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351)의 하측 주변에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353)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351)이 하강되면 상기 캔 용기의 주변에 면접하여 지지하면서 에어의 주입에 따른 캔 용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검사부(300)는 상기 가이드바(320)를 따라 복수 개의 리프트(340) 및 에어주입수단(350)이 일렬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캔 용기를 그룹으로 한꺼번에 누설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설검사부(300)의 타측에는 밴딩부(400)가 배치되고, 상기 누설검사부(300)에서 누설검사를 마친 정상 캔 용기들을 인계받아 해당 단위로 모아 밴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설검사부(300)와 밴딩부(400) 사이에 상기 불량 캔 용기를 색출하는 불량 캔 용기 색출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누설검사부(300)에서 불량 판정을 받은 캔 용기를 색출하여 라인 상에서 이탈시켜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캔 용기 제조부 200: 입구위치조정부
210: 스톱퍼 220: 텐테이블
230: 클램프 231: 슬라이딩바
232: 고정블럭 233: 클램프바
234: 푸쉬편 235: 실린더
240: 입구위치판독수단 300: 누설검사부
310: 이송체인 320: 가이드바
330: 위치센서 340: 리프트
350: 에어주입수단 351: 승강판
352: 에어노즐 353: 지지부재

Claims (6)

  1. 캔 용기 제조부에서 제조된 입구가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입구의 위치가 조정된 캔 용기를 다음으로 인계하는 입구위치조정부; 및
    상기 입구위치조정부에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캔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면서 에어를 주입하여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누설검사부;를 포함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위치조정부는
    상기 캔 용기 제조부와 연계된 컨베이어 타측단에서 선택적으로 출현하여 상기 캔 용기 제조부에서 이송된 캔 용기를 이송 대기시키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면에 위치된 캔 용기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스톱퍼에 의해 이송 대기하는 캔 용기의 좌, 우 양측면을 각각 클램핑한 후, 상기 턴테이블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송하는 클램프와;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클램프의 이송으로 상기 턴테이블에 위치하는 캔 용기의 상면을 촬영하여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판독하는 입구위치판독수단;이 포함되어,
    상기 입구위치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토대로, 상기 캔 용기의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이 캔 용기를 회전시켜 캔 용기 입구를 조정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그 후방에 캔 용기의 배면과 선택적으로 면접하는 푸쉬편이 연장 형성되어, 입구 위치조정을 마친 캔 용기를 밀어 상기 턴테이블에서 이탈시키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검사부는
    인계받은 캔 용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상부에 좌, 우 양측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진입하는 캔 용기를 일렬로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위치센서와;
    상기 이송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이송되는 캔 용기를 해당 위치에서 리프팅하여 상기 이송체인에서 이탈시키는 복수 개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들의 각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트에 의해 리프팅된 캔 용기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복수 개의 에어주입수단을 포함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수단은
    길이가 신축하는 승강수단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길이 신축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개구된 캔 용기의 입구 주변을 따라 면접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의 하강으로 캔 용기의 입구 주변과 면접하여 캔 용기를 밀폐하면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승강판의 하측 주변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이 하강되면 상기 캔 용기의 주변에 면접하여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검사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누설검사부에서 누설검사를 마친 정상 캔 용기들을 인계받아 해당 단위로 모아 밴딩하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KR1020170174182A 2017-12-18 2017-12-18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KR10204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182A KR102042903B1 (ko) 2017-12-18 2017-12-18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182A KR102042903B1 (ko) 2017-12-18 2017-12-18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982A true KR20190072982A (ko) 2019-06-26
KR102042903B1 KR102042903B1 (ko) 2019-11-08

Family

ID=6710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182A KR102042903B1 (ko) 2017-12-18 2017-12-18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960A (ko) * 2021-03-08 2022-09-15 씨케텍주식회사 리크 테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881B1 (ko) * 2022-11-23 2023-08-09 주식회사 시스템알앤디 생산공정에서 이송되는 용기형 제품의 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검사장치
KR20240106087A (ko) * 2022-12-29 2024-07-08 (주)메카스 자동 누설 검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8615B2 (ja) * 1997-12-24 2006-08-16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容器位置決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8615B2 (ja) * 1997-12-24 2006-08-16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容器位置決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960A (ko) * 2021-03-08 2022-09-15 씨케텍주식회사 리크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903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2982A (ko)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EP2044408B1 (en) Sterile syringe leak testing method and machine
JP6034961B2 (ja) シェアログラフィック撮像マシン及び方法
CN101738295A (zh) 泄漏检查装置
JPH0658281B2 (ja) 充填物を充填した密閉容器のシ−ル性を検査する方法と装置
CN111112131A (zh) 一种用于食品包装的对夹式检测设备及其工作方法
CN115445955A (zh) 自动氦检设备
CN110000113B (zh) 一种热交换器氦检设备
JP6348294B2 (ja) チューブ容器検査装置
WO2016088713A1 (ja) チューブ容器検査装置
EP3074745B1 (en) A leak detector and package integrity testing mechanism and testing method for vacuum-sealed packages
US11543323B2 (en) Leak tester
KR102147853B1 (ko) 자동포장장치
JP3227037B2 (ja) 圧力容器耐圧試験装置
CN219244910U (zh) 真空舱组件
WO20232380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the tightness of containers closed by respective membranes
JP2001235411A (ja) 圧力容器の耐圧試験装置
CN216284115U (zh) 一种燃料电池双极板气密性检测装置及双极板生产设备
CN111256756A (zh) 检测装置
KR101365265B1 (ko) 실링 체크 장치
CN110465503B (zh) 一种智能变压器油箱试漏系统
JP3138826B2 (ja) 密閉合成樹脂製容器のリーク検査方法とその装置
CN114247660A (zh) 传感器气密性自动化检测设备
US4091939A (en) Barrel storage and handling apparatus
KR102231223B1 (ko) 화장품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