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605A - 통신 시스템, 차재기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차재기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605A
KR20190072605A KR1020197014546A KR20197014546A KR20190072605A KR 20190072605 A KR20190072605 A KR 20190072605A KR 1020197014546 A KR1020197014546 A KR 1020197014546A KR 20197014546 A KR20197014546 A KR 20197014546A KR 20190072605 A KR20190072605 A KR 20190072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ea
message
unit
br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 하라
리에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4Centralised systems, e.g. external to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2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generates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4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the source of the transmitted information selects which information to transmit to each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08G1/09682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nboar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4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dynamically recomputed based on new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1)은,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10)와, 서버(30)와, 복수의 상기 차재기(10)끼리, 및 상기 차재기(10)와 상기 서버(30)와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브로커(20)를 구비하고, 상기 차재기(10)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와,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정보 생성부와,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와,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하는 메시지 구독부와,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도 정보 생성부를 가지며, 상기 서버(30)는,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와,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생성부와, 상기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교통 정보 송신부를 갖고, 상기 브로커(20)는, 상기 차재기 및 상기 서버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차재기 및 통신 방법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차재기(車載器)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가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서버가 차재기에 의하여 취득된 차량 정보 등을 수집함과 함께, 일정 기간(예를 들면 1시간) 내에 수집한 차량 정보 등에 근거하여 생성한 교통 정보를, 중간 서버를 통하여 차재기에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는, 복수의 차재기로부터 수집한 차량 정보 등에 근거하여 정밀도가 높은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서버는, 다수의 차량 정보 등을 수집하지 않으면 정밀도가 높은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교통 정보의 갱신 빈도가 낮아지게 된다.
한편, 리얼 타임성이 요구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근방에 위치하는 차재기끼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V2V(Vehicle to Vehicle) 등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V2V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차재기는, 근방을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다른 차재기와 직접 통신을 행함으로써, 차량끼리 접근하고 있는 것, 급브레이크를 밟은 차량이 존재하는 것 등의 주행 정보를 리얼 타임으로 수집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4-81872호
상술과 같은 이미 알려진 통신 시스템은, 차재기-서버 간에 있어서의 통신과, 차재기-차재기 간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차재기는 복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할 필요가 있고, 차재기의 개발 비용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통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재기-서버 간 및 차재기-차재기 간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 차재기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통신 시스템(1)은,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10)와,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30)와, 복수의 상기 차재기끼리, 및 상기 차재기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브로커(20)를 구비한다.
상기 차재기는, 지도를 소정의 범위마다 분할한 복수의 에어리어 중, 상기 차량이 주행 중 및 주행 예정인 지점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특정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와,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지점을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정보 생성부(120)와, 복수의 상기 에어리어별로 미리 준비된 복수의 토픽 중,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지정한 토픽과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상기 브로커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101)와,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는 메시지 구독부(102)와, 상기 브로커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도 정보 생성부(130)를 갖는다.
상기 서버는, 상기 차재기의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302)와, 상기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에어리어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생성부(310)와, 상기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브로커에 송신하는 교통 정보 송신부(301)를 갖는다.
상기 브로커는, 상기 차재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당해 메시지에 관련지어진 토픽을 지정하여 구독을 요구한 상기 차재기 및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202)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차재기-서버 간, 및 차재기-차재기 간에서, 각 에어리어에 관련지어진 메시지를 브로커를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차재기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상대가 서버인지, 다른 차재기인지에 관계없이, 공통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것에 의한 차재기 개발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양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충돌할 위험성이 있다고 예측되는 위험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로서 생성한다.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가 상기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차재기의 상기 메시지 구독부는, 당해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고, 상기 차재기의 상기 유도 정보 생성부는, 자차량이 상기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1 경고 정보를, 상기 유도 정보로서 생성하며, 상기 메시지 송신부는,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지정한 토픽과 상기 제1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상기 브로커에 송신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차재기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다른 차재기의 주행 정보를, 브로커에 대하여 구독 요구한다. 또, 차재기의 유도 정보 생성부는, 자차량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1 경고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제1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과 관련지어 브로커에 송신한다. 이로써,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가 위험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에 전송되어, 차량끼리 충돌하는 등의 위험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양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는, 상기 주행 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주행 정보와, 상기 다른 차재기의 상기 주행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장애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 정보 생성부(150)를 더 갖는다. 또, 상기 차재기의 상기 메시지 송신부는, 상기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상기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상기 브로커에 송신한다.
서버는, 차재기로부터 다수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지 않으면 정밀도가 높은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교통 정보의 갱신 빈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양태에 관한 차재기는,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서버가 교통 정보를 갱신하는 빈도가 낮고, 장기간에 걸쳐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상태여도,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리얼 타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양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의 상기 유도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장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2 경고 정보를, 상기 유도 정보로서 생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차재기는, 서버가 교통 정보를 갱신하는 빈도가 낮고, 장기간에 걸쳐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상태여도, 장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2 경고 정보를 리얼 타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차재기는, 차량이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에어리어에 도달하기 전에,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촉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양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에어리어별 정체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로서 생성한다.
상기 차재기의 상기 유도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장애 정보, 상기 위험 에어리어 정보, 및 상기 정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주행 예정인 지점과는 상이한 지점을 포함하는 대체 경로를, 상기 유도 정보로서 생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차재기의 유도 정보 생성부는,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위험 에어리어 정보 또는 정체 정보에 근거하여 대체 경로를 생성할 수 있음과 함께, 서버가 위험 에어리어 정보 또는 정체 정보를 갱신하는 빈도가 낮고, 장기간에 걸쳐 위험 에어리어 정보 또는 정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상태여도,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대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는, 지도를 소정의 범위마다 분할한 복수의 에어리어 중, 상기 차량이 주행 중 및 주행 예정인 지점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특정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와,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지점을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정보 생성부와, 복수의 상기 에어리어별로 미리 준비된 복수의 토픽 중,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지정한 토픽과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서버 및 다른 차재기와의 통신을 중개하는 브로커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와,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는 메시지 구독부와, 상기 브로커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와,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와, 복수의 상기 차재기끼리, 및 상기 차재기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브로커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상기 차재기에 의하여, 지도를 소정의 범위마다 분할한 복수의 에어리어 중, 상기 차량이 주행 중 및 주행 예정인 지점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특정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 단계와, 상기 차재기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지점을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차재기에 의하여, 복수의 상기 에어리어별로 미리 준비된 복수의 토픽 중,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지정한 토픽과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상기 브로커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 단계와, 상기 차재기에 의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는 메시지 구독 단계와, 상기 차재기에 의하여, 상기 브로커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도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차재기의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는 주행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에어리어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브로커에 송신하는 교통 정보 송신 단계와, 상기 브로커에 의하여, 상기 차재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당해 메시지에 관련지어진 토픽을 지정하여 구독을 요구한 상기 차재기 및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를 갖는다.
상술한 통신 시스템, 차재기 및 통신 방법에 의하면, 공통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재기-서버 간 및 차재기-차재기 간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브로커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제1 처리 플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의 처리 플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제2 처리 플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제1 처리 플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제2 처리 플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처리 플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의 처리 플로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하드웨어 구성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에 대하여,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1)은, 예를 들면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Publish/subscribe형의 통신 시스템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은, 복수의 차재기(10a, 10b, 10c…)와, 브로커(20)와, 서버(30)를 구비하고 있다.
차재기(10a, 10b, 10c…)는, 각각 차량(A1, A2, A3…)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복수의 차재기(10a, 10b, 10c…)를 총칭하여 차재기(10)라고도 기재하고, 복수의 차량(A1, A2, A3…)을 총칭하여 차량(A)이라고도 기재한다.
차재기(10)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A)의 주행 정보를 취득함과 함께, 브로커(20)에 당해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주행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브로커(20)는, 차재기(10)와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접속 가능하다. 또, 브로커(20)는, 서버(30)와 유선 통신에 의하여 상시 접속되어 있다.
브로커(20)는, 차재기(10)끼리(차재기-차재기 간)의 메시지의 송수신, 및 차재기(10)와 서버(30)와의 사이(차재기-서버 간)의 메시지의 송수신을 중개한다.
서버(30)는, 브로커(20)를 통하여 차재기(10)로부터 취득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함과 함께, 브로커(20)에 당해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교통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1)에서는, 차재기(10) 및 서버(30)는, 메시지를 브로커(20)에 송신(발행)하는 퍼블리셔로서 기능함과 함께, 브로커(2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구독)하는 서브스크라이버(클라이언트)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브로커(20)는, 차재기(10) 및 서버(30)로부터 메시지를 수집함과 함께, 수집한 메시지의 각각을, 구독을 요구하는 차재기(10) 및 서버(30)에 전송함으로써, 차재기(10)와 서버(30)와의 사이의 메시지의 송수신을 중개한다.
또한, 차재기(10) 및 서버(30)는, 브로커(20)에 메시지를 송신할 때, 및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할 때,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에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송신 및 구독의 요구를 행한다. 브로커(20)는, 메시지와 관련지어진 토픽과, 차재기(10) 및 서버(30)로부터 구독의 요구 시에 지정된 토픽을 대조함으로써, 각 메시지의 전송처가 되는 차재기(10) 및 서버(30)를 특정한다.
토픽이란,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의 속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메시지마다 하나의 토픽이 지정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도를 소정의 범위마다 분할한 복수의 에어리어별로, 미리 복수의 토픽이 준비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에어리어의 각각은, 각 도로의 시점(始点)에서 종점까지를 소정의 범위로 하여 지도를 도로별로 분할한 것이어도 되고, 지도를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1km)마다 직사각형으로 분할한 것이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의 상위 계층의 토픽으로서, "전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이 준비되어 있어도 된다. 서버(30)가 브로커(20)에 대하여 "전체 에어리어" 토픽을 지정하여 구독의 요구를 행한 경우, 브로커(20)는, 복수의 에어리어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를, 전부 서버(30)에 전송한다.
또한, 에어리어 이외를 나타내는 토픽이 준비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모든 차재기(10)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토픽으로서, "전체 차재기"를 나타내는 토픽이 준비되어 있어도 된다.
차재기(10) 및 서버(30)는, 각 에어리어를 특정 가능한 지도 정보와, 미리 준비된 토픽을 기록한 토픽 일람을 갖고 있고, 지도 정보 및 토픽 일람에 근거하여, 토픽을 지정한다.
(차재기의 기능 구성)
이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1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재기(10)는, 차재기 측 통신부(100)와,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와, 주행 정보 생성부(120)와, 유도 정보 생성부(130)와, 알림부(140)와, 기억 매체(160)를 갖고 있다.
차재기 측 통신부(100)는, 브로커(2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통하여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 차재기 측 통신부(100)는,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한 기능을 실현하는 MQTT 기능부로서 기능한다.
차재기 측 통신부(100)는, 브로커(20)에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송신부(101)와, 브로커(20)에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하는 메시지 구독부(102)를 갖고 있다.
메시지 송신부(101)는, 차재기(10)가 탑재된 차량(A)의 주행 대상 에어리어(후술)를 토픽으로서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차량(A)의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브로커(20)에 송신한다.
메시지 구독부(102)는, 브로커(20)에 대하여, 차재기(10)가 탑재된 차량(A)의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토픽으로서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한다.
또, 메시지 구독부(102)는, 차재기(10)가 구독을 요구하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한다.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는, 차재기(10)가 탑재된 차량(A)이 주행 중인 지점, 및 주행 예정인 지점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특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는, 차량(A)이 주행 중인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와, 차량(A)이 주행 예정인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주행 예정 에어리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차량(A)이 주행 중인 지점인 현재 위치(위도, 경도 등)를 취득한다. 그리고, 미리 기억 매체(160)에 기억되어 있는 지도 정보로부터 당해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여, "현재 주행 에어리어"로서 특정한다.
또,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는, 현재 위치로부터 차재기(10)에 설정된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하는 도로의 조합을 나타내는 주행 경로에 근거하여, 차량(A)이 현재 주행 에어리어보다 후에 주행 예정인 지점을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지도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주행 예정 에어리어"로서 특정한다. 또한,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는, "주행 예정 에어리어"를 복수 특정해도 된다. 또,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차량(A)의 이동 속도, 진행 방향 등을 추가로 취득한다. 그리고,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는, 차량(A)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및 진행 방향에 근거하여, 차량(A)이 현재 주행 에어리어의 다음에 주행하는 에어리어를 예측하여, 당해 에어리어를 "주행 예정 에어리어"로서 특정해도 된다.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는, 차량(A)의 최신 주행 정보, 목적지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현재 주행 에어리어 및 주행 예정 에어리어를 갱신한다.
주행 정보 생성부(120)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소정 간격(예를 들면 1초)마다 차량(A)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가속도, 및 진행 방향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주행 정보 생성부(120)는, 취득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주행 정보 생성부(120)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가 특정한 현재 주행 에어리어(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브로커(20)에 대하여, 생성한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당해 현재 주행 에어리어(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관련지어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정보 생성부(120)는, 차량(A)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가속도, 및 진행 방향을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하나의 메시지로 하여 브로커(20)에 송신하는 양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행 정보 생성부(120)는, 차량(A)의 각 정보를 각각 상이한 메시지로 하여 브로커(20)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주행 정보 생성부(120)는, 토픽을 "현재 주행 에어리어/현재 위치", "현재 주행 에어리어/이동 속도"와 같이 계층화하여, 현재 주행 에어리어 및 주행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토픽과, 당해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브로커(20)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유도 정보를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접근 검출부(131)와, 경고 정보 생성부(132)를 갖고 있다.
접근 검출부(131)는,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교통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접근 검출부(131)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차량(A)이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이)거나, 또는 "주행 예정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차량(A)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접근 검출부(131)에 있어서 차량(A)(자차량)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것을 검출한 경우, 차량(A)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경고 정보(제1 경고 정보)를, 유도 정보로서 생성한다.
또,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당해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관련지어, 브로커(20)에 송신한다.
또,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당해 경고 정보를 유도 정보로서 알림부(140)에 출력한다. 이때, 알림부(140)에 출력되는 유도 정보는, 문자열, 화상 등의 시각 정보여도 되고, 버저, 경고 정보 낭독 등의 음성 정보여도 된다.
또한,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다른 차량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유도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부(140)에 출력해도 된다.
알림부(140)는, 유도 정보 생성부(130)가 생성한 유도 정보를, 차량(A)의 운전자들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알림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기능,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기능을 갖고 있다. 알림부(140)는, 표시 기능 및 음성 출력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유도 정보를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림부(140)는, 표시 기능 및 음성 출력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경고 정보 생성부(132)가 생성한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유도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차량(A)의 운전자들에게 자차량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것을 통지한다. 또, 알림부(140)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다른 차량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것을 통지해도 된다.
기억 매체(160)에는,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교통 정보, 다른 차량의 주행 정보 등이 기억된다.
또, 기억 매체(160)에는, 각 에어리어를 특정 가능한 지도 정보와, 미리 준비된 토픽을 기록한 토픽 일람이 기억되어 있다.
(서버의 기능 구성)
이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30)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30)는, 서버 측 통신부(300)와, 교통 정보 생성부(310)와, 기억 매체(320)를 갖고 있다.
서버 측 통신부(300)는, 브로커(20)와의 사이에서 유선 통신을 통하여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 서버 측 통신부(300)는,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한 기능을 실현하는 MQTT 기능부로서 기능한다.
서버 측 통신부(300)는, 브로커(20)에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교통 정보 송신부(301)와, 브로커(20)에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302)를 갖고 있다.
교통 정보 송신부(301)는, 후술하는 교통 정보 생성부(310)가 생성한 에어리어별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브로커(20)에 송신한다.
주행 정보 취득부(302)는, 서버(30)가 구독을 희망하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정보 취득부(302)는, "전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브로커(20)에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함으로써, 각각의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한다. 이로써, 주행 정보 취득부(302)는, 모든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주행 정보 취득부(302)는, 복수의 에어리어 중 하나의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에어리어별로 메시지 구독의 요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교통 정보 생성부(310)는, 브로커(20)를 통하여 복수의 차재기(10)로부터 수집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통 정보 생성부(310)는, 교통 정보로서, 차량이 충돌할 위험성이 있다고 예측되는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생성한다.
교통 정보 생성부(310)는, 이상 주행 검출부(311)와,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를 갖고 있다.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브로커(20)를 통하여 복수의 차재기(10)로부터 수집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차재기(10)가 탑재된 차량(A)의 이상 주행을 검출한다. 이상 주행이란, 예를 들면 차량(A)이 주행 중에 급브레이크, 급핸들 등의 조작을 행한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위치, 이동 속도, 가속도, 진행 방향에 근거하여, 당해 주행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A)이 이상 주행을 행한 것을 검출함과 함께, 당해 이상 주행을 검출한 에어리어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차량(A)의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가속도(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가속도)가 기준값을 하회하는 경우, 당해 차량(A)이 급브레이크의 조작을 행한 것을 검출한다. 또, 예를 들면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차량(A)의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진행 방향이 차량(A)이 위치하는 도로의 연장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또는 가속도(선회 운동에 대응하는 가속도)가 기준값을 상회하는 경우, 당해 차량(A)이 급핸들의 조작을 행한 것을 검출한다.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이상 주행이 행해진 것을 검출하면,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지정된 토픽에 근거하여, 이상 주행을 검출한 에어리어를 특정한다. 또한,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이상 주행을 검출한 지점(위도, 경도)을 특정해도 된다.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이상 주행 검출부(311)에 의한 이상 주행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이상 주행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에어리어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소정의 수집 기간 내에 이상 주행 검출부(311)가 이상 주행을 검출한 에어리어와, 이상 주행을 검출한 건수에 근거하여, 당해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이상 주행의 빈도가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소정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의 이상 주행의 건수가 소정 수(예를 들면 5건) 이상인 경우, 당해 에어리어는 이상 주행의 빈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이상 주행의 빈도가 높은 에어리어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할 위험성이 있다고 예측하여, 당해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인 것을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교통 정보로서 생성한다.
또,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과거에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생성한 에어리어에 있어서, 이상 주행이 검출되지 않게 된 경우는, 당해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가 아니게 된 것을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소정의 수집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생성하여 갱신한다. 그리고,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모든 차재기(10)에 대하여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전체 차재기"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생성한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교통 정보 송신부(301)를 통하여 브로커(20)에 송신한다.
기억 매체(320)에는,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차재기(10)의 주행 정보 등이 기억된다.
또, 기억 매체(320)에는, 각 에어리어를 특정 가능한 지도 정보와, 미리 준비된 토픽을 기록한 토픽 일람이 기억되어 있다.
(브로커의 기능 구성)
이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브로커(2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브로커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로커(20)는, MQTT 기능부(200)와, 기억 매체(210)를 갖고 있다.
MQTT 기능부(200)는, 차재기(1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통하여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함과 함께, 서버(30)와의 사이에서 유선 통신을 통하여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한다.
MQTT 기능부(200)는, 구독 정보 기억부(201)와, 메시지 전송부(202)와, 클라이언트 접속 감시부(203)를 갖고 있다.
구독 정보 기억부(201)는, 차재기(10)의 메시지 구독부(102)로부터의 구독 요구에 있어서 지정된 토픽과, 당해 차재기(10)를 특정하는 클라이언트 ID를 관련지은 구독 정보를 기억 매체(210)에 기억한다.
또, 구독 정보 기억부(201)는, 서버(30)의 주행 정보 취득부(302)로부터의 구독 요구에 있어서 지정된 토픽과, 당해 서버(30)를 특정하는 클라이언트 ID를 관련지은 구독 정보를 기억 매체(210)에 기억한다.
이와 같이, 구독 정보 기억부(201)는, 복수의 차재기(10)의 각각과, 서버(30)로부터 구독 요구된 토픽을, 구독 정보로서 기기별로 기억한다.
메시지 전송부(202)는, 차재기(10) 및 서버(3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기억 매체(210)에 기억된 구독 정보에 근거하여, 당해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하고 있는 전송처인 차재기(10) 및 서버(30)에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202)는, 각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하고 있는 전송처를, 각 메시지에 지정된 토픽을 키로 하여, 구독 정보로부터 검색하고 추출한다. 그리고, 메시지 전송부(202)는, 추출한 전송처에 대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 메시지 전송부(202)는,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하고 있는 차재기(10)와의 무선 통신이 단절되어 있는 경우, 당해 차재기(10)가 구독을 요구하고 있는 토픽에 대한 메시지를 기억 매체(210)에 기억하고 축적한다. 그리고, 메시지 전송부(202)는, 당해 차재기(10)와의 무선 통신이 재접속되었을 때에, 축적된 메시지를 기억 매체(210)로부터 독출하여 일괄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접속 감시부(203)는, 차재기(10) 및 서버(30)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라이언트 접속 감시부(203)는, 서버(30)와는 유선 통신에 의하여 상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차재기(10)와의 무선 통신이 정상적으로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만을 감시해도 된다.
기억 매체(210)에는, 차재기(10) 및 서버(3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가 기억됨과 함께, 기기별 구독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의 처리 플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의 처리 플로에 대하여, 도 5~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차재기(10a)를 탑재하는 차량(A1)과, 차재기(10b)를 탑재하는 차량(A2)은, 모두 도로 X 상을 주행하고 있다. 또, 도로 X 상에 장애물(B)이 있어, 복수의 차량이 당해 장애물(B)을 피하도록 주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황을 예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1)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제1 처리 플로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차재기(10)가 주행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차재기(10)가 탑재된 차량(A)이 주행 중인 지점을 검출한다. 그리고,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는, 기억 매체(160)에 기억되어 있는 지도 정보에 근거하여, 당해 주행 중인 지점을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를 특정한다(스텝 S111).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차재기(10a)는, 주행 중인 지점을 포함하는 에어리어인 "도로 X"를 "현재 주행 에어리어"로서 특정한다.
다음으로, 주행 정보 생성부(120)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소정 간격(예를 들면 1초)마다 차량(A)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가속도, 및 진행 방향을 취득한다. 그리고, 주행 정보 생성부(120)는, 취득한 각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12).
다음으로, 주행 정보 생성부(120)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가 특정한 현재 주행 에어리어(도로 X)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주행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과, 생성한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브로커(20)에 송신한다(스텝 S113).
이와 같이, 차재기(10)는, 스텝 S111~S113의 처리를 소정 간격마다 반복하여 실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의 처리 플로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서버(30)가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교통 정보로서 생성 및 송신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행 정보 취득부(302)는, 브로커(20)에 대하여, "전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각 에어리어에 관련하는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한다. 그리고, 주행 정보 취득부(302)는,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와, 당해 메시지에 관련지어진 토픽에 근거하여,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수집한다(스텝 S311).
다음으로,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주행 정보 취득부(302)가 수집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A)의 이상 주행을 검출한다(스텝 S312).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로 X 상에 장애물(B)이 있는 경우, 장애물(B)의 부근을 주행하는 차량(A2)은, 장애물(B)의 앞쪽에서 감속(급브레이크)을 행하거나, 장애물(B)을 피하도록 진행 방향을 바꾸는(급핸들) 등의 조작을 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위치, 이동 속도, 가속도, 및 진행 방향에 근거하여, 급브레이크, 급핸들 등을 행한 것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가속도(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가속도)가 기준값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 급브레이크의 조작(이상 주행)이 행해진 것을 검출한다.
또한,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진행 방향이 도로 X의 연장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즉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뻗는 가상선과, 도로 X와의 각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급핸들의 조작(이상 주행)이 행해진 것을 검출한다. 또한,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가속도(선회 운동에 대응하는 가속도)가 기준값을 상회하는 경우, 급핸들의 조작(이상 주행)이 행해진 것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관련지어진 토픽에 근거하여, 이상 주행이 검출된 에어리어를 특정한다. 또한,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차량(A)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급브레이크, 급핸들 등의 이상 주행이 검출된 지점(위도, 경도)을 특정한다.
다음으로,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소정의 수집 기간(예를 들면 30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3).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수집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313: NO), 수집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 동안, 서버(30)는, 스텝 S311로 되돌아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수집 기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313: YES), 다음의 스텝 S314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이상 주행 검출부(311)에 의한 이상 주행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이상 주행의 빈도가 높은 위험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314).
구체적으로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소정 에어리어(도로 X)에 있어서, 소정의 건수(예를 들면 5건) 이상의 이상 주행이 검출된 경우, 도로 X는 이상 주행의 빈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도로 X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할 위험성이 있다고 예측하여, 도로 X가 위험 에어리어인 것을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교통 정보로서 생성한다.
또한,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각 에어리어를 추가로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각 에어리어 중 어느 구역에 있어서 이상 주행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이상 주행 검출부(311)가 이상 주행을 검출한 지점에 근거하여, 이상 주행이 검출된 구역을 특정한다. 그리고,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있어서의 이상 주행의 건수가 소정의 건수 이상인 경우, 당해 구역을 포함하는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인 것을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이 경우,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이상 주행의 빈도가 높은 구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위험 에어리어 정보에 포함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도로 X가 위험 에어리어인 것을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생성하면, "전체 차재기"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교통 정보 송신부(301)를 통하여 브로커(20)에 송신한다(스텝 S315).
이와 같이, 서버(30)는, 상술한 스텝 S311~S315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위험 에어리어 정보의 생성(갱신) 및 송신을 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제2 처리 플로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차재기(10)가 위험 에어리어에 대한 접근 경고를 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는, 차재기(10)의 메시지 구독부(102)는, 브로커(20)와의 무선 통신이 확립되었을 때에, 모든 차재기(10)를 대상으로 하여 발행된 메시지를 구독하기 위하여, "전체 차재기"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전체 차재기"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브로커(20)에 의하여, 서버(30)가 생성한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각 차재기(10)에 전송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접근 검출부(131)는,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주행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4).
접근 검출부(131)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에 현재 주행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현재 주행 에어리어는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스텝 S114: NO). 이 경우, 접근 검출부(131)는, 처리의 선두로 되돌아간다. 또한, 접근 검출부(131)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는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현재 주행 에어리어 또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가 갱신될 때까지, 스텝 S114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대기해도 된다.
한편, 도 5 및 도 7의 예와 같이, 서버(30)의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에 의하여 도로 X가 위험 에어리어인 것을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도 7의 스텝 S314~S315), 차재기(10)에는 당해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접근 검출부(131)는, 당해 위험 에어리어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주행 에어리어(도로 X)는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된다고 판단한다(스텝 S114: YES). 이 경우, 접근 검출부(131)는, 다음의 스텝 S115로 진행된다.
또, 접근 검출부(131)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예정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다음으로, 메시지 구독부(102)는, 접근 검출부(131)에 있어서 현재 주행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된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114: YES), 현재 주행 에어리어를 토픽으로서 지정하여, 현재 주행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한다(스텝 S115).
예를 들면, 도 5의 예에서는, 접근 검출부(131)에 있어서, 현재 주행 에어리어인 도로 X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로 인하여, 메시지 구독부(102)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인 도로 X를 토픽으로서 지정하여, 당해 도로 X에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한다.
또한, 메시지 구독부(102)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인 도로 X가 위험 에어리어가 아니게 된 것을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취득한 경우, 브로커(20)에 대하여, 당해 도로 X에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해제하는 요구를 행한다.
다음으로, 차재기(10a)의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차량(A1)(자차량)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경고 정보(제1 경고 정보)를 생성한다. 또,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메시지 송신부(101)를 통하여, 생성한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관련지어, 브로커(20)에 송신한다(스텝 S116).
다음으로, 차재기(10a)의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자차량(A1)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경고 정보를, 유도 정보로서 알림부(140)에 출력한다(스텝 S117). 알림부(140)는, 당해 유도 정보를 차량(A1)의 운전자들에게 통지함으로써, 자차량(A1)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이며, 주행에 주의를 필요로 하는 것을 경고한다.
또,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다른 차량(A2)으로부터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다른 차량(A2)이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유도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부(140)에 출력해도 된다. 알림부(140)는, 이와 같은 유도 정보를 접수한 경우도, 당해 유도 정보를 차량(A1)의 운전자들에게 통지한다.
또한, 차재기(10b)에 있어서도, 상술한 처리가 실행되어, 차량(A2)의 운전자들에 대하여 경고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차재기(10)는, 상술한 스텝 S114~S117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은, 차량(A)에 탑재된 차재기(10)와,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30)와, 복수의 차재기(10)끼리, 및 차재기(10)와 서버(30)와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브로커(20)를 구비한다.
차재기(10)는, 지도를 소정의 범위마다 분할한 복수의 에어리어 중, 차량(A)이 주행 중인 지점을 포함하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와, 주행 예정인 지점을 포함하는 주행 예정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한쪽을 주행 대상 에어리어로서 특정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110)와, 차량(A)의 현재 위치(차량(A)의 주행 중인 지점), 이동 속도, 가속도, 및 진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정보 생성부(120)와,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브로커(20)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101)와,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하는 메시지 구독부(102)와, 주행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한 주행 정보와, 메시지 구독부(102)가 구독한 메시지에 근거하여, 현재 주행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도 정보 생성부(130)를 갖는다.
서버(30)는,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302)와,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생성부(310)와,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브로커(20)에 송신하는 교통 정보 송신부(301)를 갖는다.
브로커(20)는, 차재기(10) 및 서버(3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당해 메시지에 관련지어진 토픽을 지정하여 구독을 요구한 차재기(10) 및 서버(30)에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202)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차재기(10)-서버(30) 간, 또는 차재기(10)-차재기(10) 간에서, 각 에어리어에 관련지어진 메시지를 브로커(20)를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차재기(10)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상대가 서버(30)인지, 다른 차재기(10)인지에 관계없이, 공통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것에 의한 차재기(10)의 개발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서버(30)의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A)이 충돌할 위험성이 있다고 예측되는 위험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교통 정보로서 생성한다.
현재 주행 에어리어(주행 대상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경우, 차재기(10)의 메시지 구독부(102)는, 당해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한다. 또, 차재기(10)의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자차량이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고 정보(제1 경고 정보)를, 유도 정보로서 생성한다. 또한, 차재기(10)의 메시지 송신부(101)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지정한 토픽과 제1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브로커(2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메시지 구독부(102)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 현재 주행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브로커(20)를 통하여 취득(구독)한다. 또,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자차량이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1 경고 정보를 생성함과 함께, 메시지 송신부(101)를 통하여, 당해 제1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현재 주행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과 관련지어 브로커(20)에 송신한다. 이로써, 제1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위험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에 전송되어, 차량끼리 충돌하는 등의 위험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생성한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유도 정보를, 알림부(140)를 통하여 차량(A)의 운전자들에게 통지함으로써, 운전자들에게 위험 에어리어를 주행 중인 것을 인식시켜, 차량(A)끼리 충돌하는 등의 위험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에 대하여, 도 9~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차재기의 기능 구성)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10)는, 장애 정보 생성부(150)를 더 갖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차재기(10)의 메시지 구독부(102)는, 접근 검출부(131)에 있어서 현재 주행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된다고 판단된 경우, 브로커(20)에 대하여, 현재 주행 에어리어를 토픽으로서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하고 있었다(도 8의 스텝 S115).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10)의 메시지 구독부(102)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현재 주행 에어리어 및 주행 예정 에어리어의 각각을 토픽으로서 지정하여, 각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브로커(20)에 요구한다. 이로 인하여, 메시지 구독부(102)는, 차재기(10)와 브로커(20)와의 사이의 통신이 확립된 타이밍, 및 주행 대상 에어리어가 갱신된 타이밍에, 그때마다 브로커(20)에 대하여 메시지의 구독 요구를 행한다.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한 주행 정보와, 상기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장애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장애란, 차량(A)의 주행을 지연시키는 사상(事象), 급브레이크, 급핸들 등의 조작이 요구되는 사상을 나타내는 것이며, 예를 들면 도로 상의 장애물, 정체, 사고 등이다.
(차재기의 처리 플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제1 처리 플로이다.
이하, 차재기(10)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주행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장애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행 정보 생성부(120)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소정 간격(예를 들면 1초)마다 차량(A)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가속도, 및 진행 방향을 취득하여, 주행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21).
다음으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한 최신의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주행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2).
구체적으로는,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위치, 이동 속도, 가속도, 진행 방향에 근거하여,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가속도(차량(A)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가속도)가 기준값을 하회하는 경우, 급브레이크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또, 예를 들면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진행 방향이 차량(A)이 위치하는 도로의 연장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또는 가속도(선회 운동에 대응하는 가속도)가 기준값을 상회하는 경우, 급핸들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예를 들면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이동 속도가 소정의 정체 판정 속도 미만인 경우, 차량(A)의 현재 위치에 있어서 정체 등의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정체 판정 속도는, 기억 매체(160)에 기억된 지도 정보에, 미리 제한 속도 등에 근거하여 도로별로 정해져 있다.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2: YES), 다음의 스텝 S123으로 진행된다.
한편,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현재 주행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2: NO), 차재기(10)는, 스텝 S121로 되돌아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2: YES), 당해 현재 주행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장애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23).
또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각 에어리어를 추가로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구역을 특정해도 된다. 또,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위치를,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장애 지점으로서 특정해도 된다. 이 경우, 장애 정보 생성부는,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구역, 또는 장애 지점(위도, 경도)을 장애 정보에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메시지 송신부(101)는, 현재 주행 에어리어를 토픽으로서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브로커(20)에 송신한다(스텝 S124).
이와 같이, 차재기(10)는, 스텝 S121~S124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제2 처리 플로이다.
이하,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여, 차재기(10)가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장애 발생 경고를 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브로커(20)를 통하여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1).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한 경우(스텝 S131: YES), 다음의 스텝 S132로 진행된다. 한편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31: NO), 스텝 S133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취득한 경우(스텝 S131: YES), 취득한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관련지어진 토픽으로부터 다른 차재기(10)의 현재 주행 에어리어를 특정함과 함께, 다른 차재기(10)의 현재 주행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2).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재기(10a)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도로 X를 나타내는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로서, 다른 차재기(10b)의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한 것으로 한다. 차재기(10a)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다른 차재기(10b)의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위치, 이동 속도, 가속도, 진행 방향에 근거하여, 급브레이크, 급핸들 등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장애, 정체 등의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차재기(10a)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차재기(10b)의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가속도(차량(A2)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가속도)가 기준값을 하회하는 경우, 차량(A2)의 현재 위치에 있어서 급브레이크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또, 예를 들면 차재기(10a)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차재기(10b)의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진행 방향이 차량(A2)이 위치하는 도로 X의 연장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또는 가속도(선회 운동에 대응하는 가속도)가 기준값을 상회하는 경우, 차량(A2)의 현재 위치에 있어서 급핸들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예를 들면 차재기(10a)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차재기(10b)의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이동 속도가 소정의 정체 판정 속도 미만인 경우, 차량(A2)의 현재 위치에 있어서 정체 등의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차재기(10a)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차재기(10b)의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도로 X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32: YES), 스텝 S134로 진행된다.
한편, 차재기(10a)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다른 차재기(10b)의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도로 X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32: NO), 스텝 S133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브로커(20)를 통하여 다른 차재기(10)의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3).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다른 차재기(10)의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한 경우(스텝 S133: YES), 당해 메시지의 토픽이 나타내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특정함과 함께, 당해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S134로 진행된다.
한편, 다른 차재기(10)의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33: NO), 스텝 S131로 되돌아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다른 차재기(10)의 현재 주행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32: YES, 또는 스텝 S133: YES), 다른 차재기(10)의 현재 주행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장애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34).
또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각 에어리어를 추가로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구역을 특정해도 된다. 또,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위치를,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장애 지점으로서 특정해도 된다. 이 경우, 장애 정보 생성부는,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구역, 또는 장애 지점(위도, 경도)을 장애 정보에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메시지 송신부(101)는,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한 장애 정보를, 브로커(20)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장애 정보를 생성하면, 당해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현재 주행 에어리어 또는 주행 예정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고 정보(제2 경고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35). 그리고,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생성한 경고 정보를, 유도 정보로서 알림부(140)에 출력한다. 알림부(140)는, 유도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차재기(10)의 운전자들에게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통지하여 경고한다.
이와 같이, 차재기(10)는, 상술한 스텝 S131~S135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도 11의 처리 플로는 일례이며, 처리의 순번 등은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스텝 S133을 먼저 실행하도록 해도 되고, 스텝 S131 및 스텝 S133을 병행하여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10)는, 주행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한 주행 정보와,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장애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 정보 생성부(150)를 더 갖고 있다.
또,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장애 정보를 생성한 경우, 메시지 송신부(101)는,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상기 브로커(20)에 송신한다.
서버(30)는, 차재기(10)로부터 다수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지 않으면 정밀도가 높은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교통 정보의 갱신 빈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10)가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메시지 송신부(101)를 통하여,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브로커(20)에 송신함으로써, 다른 차재기(10)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서버(30)로부터의 교통 정보가 갱신되는 빈도가 낮고, 장기간에 걸쳐 교통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상황이어도, 차재기(10)는, 다른 차재기(10)로부터 취득한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리얼 타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생성한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는 경고 정보(제2 경고 정보)를, 유도 정보로서 생성한다. 그리고,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생성한 경고 정보를, 알림부(140)를 통하여 차재기(10)의 운전자들에게 통지하여 경고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서버(30)로부터 교통 정보가 갱신되는 빈도가 낮고, 장기간에 걸쳐 교통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상황이어도,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생성한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고 정보(제2 경고 정보)를 리얼 타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 경고 정보 생성부(132)는, 생성한 경고 정보를, 알림부(140)를 통하여 차량(A)의 운전자들에게 통지함으로써, 차량(A)이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에어리어에 도달하기 전에, 차량(A)의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촉구하여, 차량(A)이 장애물, 다른 차량(A) 등에 충돌할 위험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차재기(10a)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하나의 차재기(차재기(10b))의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장애 정보를 생성하는 양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재기(10a)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복수의 다른 차재기(10b, 10c…)의 주행 정보 각각에 근거하여, 장애 정보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예를 들면 도로 X에 있어서, 이상 주행이 행해졌다고 판단된 다른 차재기(10b, 10c…)의 대수가, 소정의 대수(예를 들면 5대) 이상인 경우, 당해 도로 X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서버(30)의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는, 소정의 수집 기간 내에, 소정 에어리어에 있어서, 복수의 차재기(10)로부터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브로커(20)를 통하여 취득한 경우, 당해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이상 주행 검출부(311)는 생략해도 된다. 이로써, 서버(30)의 교통 정보 생성부(310)의 구성 및 처리를 간편화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에 대하여, 도 12~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차재기의 기능 구성)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10)는, 유도 정보 생성부(130)가 대체 경로 생성부(133)를 더 갖는 점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한 주행 정보와,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장애 정보를 생성하는 양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서버(30)의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가 생성한 위험 에어리어 정보, 또는 서버(30)의 정체 정보 생성부(313)가 생성한 정체 정보(후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브로커(20)를 통하여 취득하고, 위험 에어리어 정보 또는 정체 정보에 근거하여 추가로 장애 정보를 생성하는 점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 중, 다른 차재기(10)가 생성한 장애 정보, 서버(30)의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312)가 생성한 위험 에어리어 정보, 및 서버(30)의 정체 정보 생성부(313)가 생성한 정체 정보(후술)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주행 예정의 지점과는 상이한 지점을 포함하는 대체 경로를, 유도 정보로서 생성한다.
(서버의 기능 구성)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30)는, 교통 정보 생성부(310)가 정체 정보 생성부(313)를 더 갖는 점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중, 차재기(10)의 주행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한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근거하여, 각각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소정의 수집 기간(예를 들면 1시간)에 있어서 취득한 복수의 주행 정보를 에어리어별로 해석하여,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이동 속도로부터 에어리어별 평균 이동 속도를 산출한다.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소정 에어리어의 평균 이동 속도가 정체 판정 속도 미만인 경우, 당해 에어리어에 있어서 정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소정 에어리어에 있어서 정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당해 에어리어의 정체 정보를 생성한다.
또,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에어리어에 관련지어진 토픽을 지정하여, 생성한 정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교통 정보 송신부(301)에 의하여 브로커(20)에 송신한다.
(차재기의 처리 플로)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처리 플로이다.
이하, 차재기(10)가 대체 경로를 생성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위험 에어리어 정보 또는 정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 및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한쪽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1).
예를 들면,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인 것을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취득하고 있는 경우, 주행 대상 에어리어는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된다고 판단한다(스텝 S141: YES). 또,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에어리어(예를 들면 도로 X)를 나타내는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로서, 정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한 경우, 당해 에어리어(도로 X)는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정체 발생 에어리어에 포함된다고 판단한다(스텝 S141: YES).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 및 정체 발생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한쪽에 포함된다고 판단하면, 스텝 S145로 진행된다.
한편,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중 어느 것도 위험 에어리어 또는 정체 발생 에어리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41: NO), 스텝 S142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중 어느 것도 위험 에어리어 또는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에어리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41: NO), 브로커(20)를 통하여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 또는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2).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 또는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한 경우(스텝 S142: YES), 다음의 스텝 S143으로 진행된다. 한편,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42: NO), 스텝 S141로 되돌아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 또는 장애 정보를 취득한 경우(스텝 S142: YES), 취득한 주행 정보 또는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3).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 또는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제2 실시형태의 스텝 S132~S133(도 11)의 처리와 동일하다.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43: YES), 스텝 S144로 진행된다.
한편,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43: NO), 스텝 S141로 되돌아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다른 차재기(10)의 주행 정보 또는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43: YES),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장애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44). 또한, 장애 정보 생성부(150)는, 복수의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주행 대상 에어리어별로 복수의 장애 정보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 정체 정보 및 장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위험 에어리어, 정체 발생 에어리어, 및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하나를 피한 대체 경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5).
구체적으로는,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하나가 위험 에어리어 및 정체 발생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한쪽에 포함되는 경우(스텝 S141: YES), 위험 에어리어 및 정체 발생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한쪽에 포함되는 에어리어를 회피 대상 에어리어로서 설정한다. 또한,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복수의 주행 대상 에어리어가 위험 에어리어 및 정체 발생 에어리어 중 적어도 한쪽에 포함되는 경우, 복수의 회피 대상 에어리어를 설정해도 된다.
또,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생성한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에어리어를 회피 대상 에어리어로서 설정한다. 또한,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복수의 장애 정보를 생성하고 있는 경우, 즉 복수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복수의 회피 대상 에어리어를 설정해도 된다.
그리고,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회피 대상 에어리어를 피하는(회피 대상 에어리어를 사용하지 않는) 대체 경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복수의 회피 대상 에어리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적어도 하나의 회피 대상 에어리어를 피하는 대체 경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위험 에어리어 정보에 근거하여 도로 X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주행 예정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도로(지점) 중, 도로 X를 피하여, 도로 X와는 상이한 다른 도로를 포함하는 대체 경로를 탐색한다.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도로 X를 피한 대체 경로를 탐색할 수 있었던 경우(스텝 S145: YES), 다음의 스텝 S146으로 진행된다.
한편,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도로 X를 피한 대체 경로를 탐색할 수 없었던 경우(스텝 S145: NO), 스텝 S141로 되돌아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대체 경로 생성부(133)가 도로 X를 피한 대체 경로를 탐색할 수 없었던 경우, 경고 정보 생성부(132)가 도로 X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고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부(140)를 통하여 당해 경고 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경고 정보를 생성, 통지하는 처리는, 제2 실시형태의 스텝 S135(도 11)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도로 X)를 피한 대체 경로를 탐색할 수 있었던 경우(스텝 S145: YES), 당해 대체 경로를 유도 정보로서 생성한다(스텝 S146). 또,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생성한 대체 경로를, 알림부(140)를 통하여 차량(A)의 운전자들에게 제시함으로써, 운전자들에게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에어리어를 피하여 주행할 것을 촉구한다.
이와 같이, 차재기(10)는, 상술한 스텝 S141~S146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서버의 처리 플로)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의 처리 플로이다.
이하, 서버(30)가 정체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행 정보 취득부(302)는, 브로커(20)에 대하여, "전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각 에어리어에 관련하는 메시지의 구독을 요구한다. 그리고, 주행 정보 취득부(302)는, 브로커(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와, 당해 메시지에 관련지어진 토픽에 근거하여,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수집한다(스텝 S321).
다음으로,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소정의 수집 기간(예를 들면 1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22).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수집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322: NO), 수집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 동안, 서버(30)는, 스텝 S321로 되돌아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수집 기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322: YES), 다음의 스텝 S323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스텝 S321에 있어서 수집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에어리어별 정체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323).
예를 들면,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도로 X에 관련지어진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복수 취득하여, 각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이동 속도로부터 평균 이동 속도를 산출한다.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평균 이동 속도가 정체 판정 속도 미만인 경우, 당해 도로 X에 있어서 정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정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정체 판정 속도는, 기억 매체(320)에 기억된 지도 정보에, 미리 제한 속도 등에 근거하여 도로별로 정해져 있다. 또, 도로별로 복수의 정체 판정 속도를 설정하여, 정체의 정도(극심한 정체, 약간 정체 등)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로 X의 제1 정체 판정 속도가 시속 40km이며, 제2 정체 판정 속도가 시속 20km인 경우,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평균 이동 속도가, 제1 정체 판정 속도 미만인 경우는 "약간 정체"라고 판정하고, 제2 정체 판정 속도 미만인 경우는 "극심한 정체"라고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에어리어와, 정체의 정도를 링크한 정체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또,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각 에어리어를 추가로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구역별로 정체의 정도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에어리어와, 각 구역의 정체의 정도가 링크된 정체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에어리어별 정체 정보를 생성하면, 다음의 스텝 S324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생성한 정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교통 정보 송신부(301)를 통하여 브로커(20)에 송신한다(스텝 S324).
이와 같이, 서버(30)는, 상술한 스텝 S321~S324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 서버(30)의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브로커(20)를 통하여 차재기(10)로부터 취득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에어리어별 정체 정보를 교통 정보로서 생성한다.
또, 차재기(10)의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장애 정보, 위험 에어리어 정보, 및 정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주행 예정인 지점과는 상이한 지점을 포함하는 주행 경로를, 유도 정보로서 생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대체 경로 생성부(133)는, 서버(30)에 의하여 생성된 교통 정보(위험 에어리어 정보 또는 정체 정보)에 근거하여 대체 경로를 생성할 수 있음과 함께, 서버(30)가 위험 에어리어 정보 또는 정체 정보를 갱신하는 빈도가 낮고, 장기간에 걸쳐 위험 에어리어 정보 또는 정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상태여도, 다른 차재기(10)로부터 취득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장애 정보를 생성함과 함께, 당해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장애 대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버(30)의 정체 정보 생성부(313)가, 차재기(10)의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근거하여, 에어리어별 정체 정보를 생성하는 양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정체 정보 생성부(313)는, 차재기(10)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생성한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근거하여, 정체 정보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주행 정보 취득부(302)는, 브로커(20)에 대하여, 차재기(10)의 장애 정보 생성부(150)가 생성한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구독을 추가로 요구한다.
이와 같이, 차재기(10)가 생성한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정체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정체 정보 생성부(313)에 있어서의 처리를 간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재기의 하드웨어 구성)
도 16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의 하드웨어 구성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기(1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컴퓨터(900)는, CPU(901), 주 기억 장치(902), 보조 기억 장치(903), 입출력 인터페이스(904), 통신 인터페이스(905)를 구비한다.
상술한 차재기(10)는, 컴퓨터(900)에 실장된다. 그리고, 상술한 차재기(10) 각 처리부의 동작은, 프로그램 형식으로 각각의 컴퓨터(900)가 갖는 보조 기억 장치(903)에 기억되어 있다. CPU(901)는, 프로그램을 보조 기억 장치(903)로부터 독출하여 주 기억 장치(902)에 전개하고, 당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처리를 실행한다. 또, 차재기(10)의 CPU(901)는, 프로그램에 따라, 기억 매체(160)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을 주 기억 장치(902)에 확보한다. 또, CPU(901)는,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 중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을 보조 기억 장치(903)에 확보한다. 또한, 컴퓨터(9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904)를 통하여, 외부 기억 장치(910)와 접속되어 있고, 차재기(10)의 기억 매체(160)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은 외부 기억 장치(910)에 확보되어도 된다. 또, 컴퓨터(900)는, 통신 인터페이스(905)를 통하여, 외부 기억 장치(920)와 접속되어 있고, 차재기(10)의 기억 매체(160)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은 외부 기억 장치(920)에 확보되어도 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조 기억 장치(903)는, 일시적이지 않은 유형(有形) 매체의 일례이다. 일시적이지 않은 유형 매체의 다른 예로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904)를 통하여 접속되는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DVD-ROM,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 프로그램이 통신 회선에 의하여 컴퓨터(900)에 전송되는 경우, 전송을 받은 컴퓨터(900)가 당해 프로그램을 주 기억 장치(902)에 전개하여, 상기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또, 당해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당해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을 보조 기억 장치(903)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하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소의 설계 변경 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1)이 하나의 서버(30)를 구비하는 양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신 시스템(1)은,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복수의 서버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30)가 갖는 각 기능부를 분산하여 갖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술한 통신 시스템, 차재기 및 통신 방법에 의하면, 공통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재기-서버 간 및 차재기-차재기 간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통신 시스템
10 차재기
100 차재기 측 통신부
101 메시지 송신부
102 메시지 구독부
110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
120 주행 정보 생성부
130 유도 정보 생성부
131 접근 검출부
132 경고 정보 생성부
133 대체 경로 생성부
140 알림부
150 장애 정보 생성부
160 기억 매체
20 브로커
200 MQTT 기능부
201 구독 정보 기억부
202 메시지 전송부
203 클라이언트 접속 감시부
210 기억 매체
30 서버
300 서버 측 통신부
301 교통 정보 송신부
302 주행 정보 취득부
310 교통 정보 생성부
311 이상 주행 검출부
312 위험 에어리어 정보 생성부
313 정체 정보 생성부
320 기억 매체
A 차량

Claims (7)

  1.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와,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와,
    복수의 상기 차재기끼리, 및 상기 차재기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브로커를 구비하고,
    상기 차재기는,
    지도를 소정의 범위마다 분할한 복수의 에어리어 중, 상기 차량이 주행 중 및 주행 예정인 지점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특정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와,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지점을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정보 생성부와,
    복수의 상기 에어리어별로 미리 준비된 복수의 토픽 중,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지정한 토픽과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상기 브로커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와,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는 메시지 구독부와,
    상기 브로커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도 정보 생성부를 가지며,
    상기 서버는,
    상기 차재기의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와,
    상기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에어리어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생성부와,
    상기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브로커에 송신하는 교통 정보 송신부를 갖고,
    상기 브로커는,
    상기 차재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당해 메시지에 관련지어진 토픽을 지정하여 구독을 요구한 상기 차재기 및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갖는, 통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충돌할 위험성이 있다고 예측되는 위험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위험 에어리어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로서 생성하며,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가 상기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차재기의 상기 메시지 구독부는, 당해 위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고,
    상기 차재기의 상기 유도 정보 생성부는, 자차량이 상기 위험 에어리어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1 경고 정보를, 상기 유도 정보로서 생성하며,
    상기 메시지 송신부는,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지정한 토픽과 상기 제1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상기 브로커에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는, 상기 주행 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주행 정보와, 상기 다른 차재기의 상기 주행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장애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 정보 생성부를 더 갖고,
    상기 차재기의 상기 메시지 송신부는, 상기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상기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상기 브로커에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의 상기 유도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장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장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2 경고 정보를, 상기 유도 정보로서 생성하는, 통신 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에어리어별 정체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로서 생성하고,
    상기 차재기의 상기 유도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장애 정보, 상기 위험 에어리어 정보, 및 상기 정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주행 예정인 지점과는 상이한 지점을 포함하는 대체 경로를, 상기 유도 정보로서 생성하는, 통신 시스템.
  6.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로서,
    지도를 소정의 범위마다 분할한 복수의 에어리어 중, 상기 차량이 주행 중 및 주행 예정인 지점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특정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부와,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지점을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정보 생성부와,
    복수의 상기 에어리어별로 미리 준비된 복수의 토픽 중,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지정한 토픽과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서버 및 다른 차재기와의 통신을 중개하는 브로커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와,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는 메시지 구독부와,
    상기 브로커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차재기.
  7.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와,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와,
    복수의 상기 차재기끼리, 및 상기 차재기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브로커를 이용한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차재기에 의하여, 지도를 소정의 범위마다 분할한 복수의 에어리어 중, 상기 차량이 주행 중 및 주행 예정인 지점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특정하는 주행 대상 에어리어 특정 단계와,
    상기 차재기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지점을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차재기에 의하여, 복수의 상기 에어리어별로 미리 준비된 복수의 토픽 중,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지정한 토픽과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관련지어 상기 브로커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 단계와,
    상기 차재기에 의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토픽을 지정하여, 당해 토픽과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는 메시지 구독 단계와,
    상기 차재기에 의하여, 상기 브로커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도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차재기의 상기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구독을, 상기 브로커에 요구하는 주행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에어리어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브로커에 송신하는 교통 정보 송신 단계와,
    상기 브로커에 의하여, 상기 차재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당해 메시지에 관련지어진 토픽을 지정하여 구독을 요구한 상기 차재기 및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를 갖는 통신 방법.
KR1020197014546A 2016-11-30 2016-11-30 통신 시스템, 차재기 및 통신 방법 KR201900726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5510 WO2018100661A1 (ja) 2016-11-30 2016-11-30 通信システム、車載器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605A true KR20190072605A (ko) 2019-06-25

Family

ID=6224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546A KR20190072605A (ko) 2016-11-30 2016-11-30 통신 시스템, 차재기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71180A1 (ko)
JP (1) JP6774503B2 (ko)
KR (1) KR20190072605A (ko)
GB (1) GB2570607B (ko)
WO (1) WO20181006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489A (ko) * 2020-12-14 2022-06-21 김선영 차량 소통 기반의 정보 제공 및 차량 제어 시스템, 그리고 하이브리드 정보 제공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2149B2 (ja) * 2017-11-20 2021-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装置
US20190173951A1 (en) * 2017-12-01 2019-06-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communication using publish-subscribe messaging protocol
US11295615B2 (en) * 2018-10-29 2022-04-05 Here Global B.V. Slowdown events
JP6816093B2 (ja) * 2018-12-19 2021-01-20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衝突危険通知装置、通信端末装置、車両、衝突危険通知システム、衝突危険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408214A1 (en) * 2020-05-19 2022-12-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v2x service, and server using same
JP2023037418A (ja) 2021-09-03 2023-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2023083111A (ja) * 2021-12-03 2023-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459976A (zh) * 2022-08-31 2022-12-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mqtt的车辆信息监测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1872A (ja) 2012-10-18 2014-05-08 Denso Corp 車両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2226B2 (ja) * 1998-08-10 2006-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位計測装置を備えた液体タンク設備
JP2001038148A (ja) * 1999-07-30 2001-02-13 Japan Pionics Co Ltd 塩化ケイ素を含有するガスの浄化剤及び浄化方法
JP2005006064A (ja) * 2003-06-12 2005-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センター装置及び移動体装置及び情報収集システム
JP4773823B2 (ja) * 2005-12-28 2011-09-1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交通状況予測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9134704A (ja) * 2007-11-05 2009-06-18 Fujitsu Ten Ltd 周辺監視装置、安全走行支援システム、及び車両
JP5861280B2 (ja) * 2011-06-23 2016-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交通情報提供装置
DE102015007020A1 (de) * 2015-06-02 2016-12-08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und 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1872A (ja) 2012-10-18 2014-05-08 Denso Corp 車両情報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489A (ko) * 2020-12-14 2022-06-21 김선영 차량 소통 기반의 정보 제공 및 차량 제어 시스템, 그리고 하이브리드 정보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71180A1 (en) 2019-12-05
GB2570607A (en) 2019-07-31
GB2570607B (en) 2022-04-06
GB201907073D0 (en) 2019-07-03
JPWO2018100661A1 (ja) 2019-10-17
WO2018100661A1 (ja) 2018-06-07
JP6774503B2 (ja)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2605A (ko) 통신 시스템, 차재기 및 통신 방법
US10421451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US2018021045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authorization of autonomous vehicle operation
US1103938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acquiring terminal, computer program,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adopt provided information
JP6537631B2 (ja) 予測装置、予測システム、予測方法および予測プログラム
KR20180066191A (ko) 차량의 차선 변경을 위해 2개의 차량 사이의 트래픽 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시스템
US20090309757A1 (en) Real time traffic aide
CN110192231B (zh) 用于向至少一个接收车辆通知错误行驶车辆的方法及服务器设备和机动车
US20170098371A1 (en)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5225366A (ja) 事故防止システム、事故防止装置、事故防止方法
US1039553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and motor vehicle
JP2017163253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US11970159B2 (en) Vehicle control system
EP3637051B1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09537367A (ja) 車両の衝突を回避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2049988A (ja) 情報提供方法
KR20140054673A (ko) 차량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JP6520697B2 (ja) 交通支援システム、センタ、検出装置、路側中継機、車載通信装置、車車間通信機、及び、路側表示器
JP2013214225A (ja) 交通情報システム、中央サーバ、サービスサーバ、及び、交通情報提供方法
JP5811898B2 (ja) 交通情報受信システム及び交通情報受信プログラム及び交通情報受信方法、並びに交通情報システム
JP7276653B2 (ja) 車両交通管理装置、車載装置、車両交通管理システム、車両交通管理方法および車両交通管理プログラム
JP2022108034A (ja)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JP2019175492A (ja) 予測装置、予測システム、予測方法および予測プログラム
WO2012156773A1 (en) Speed variation monitoring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2019056985A (ja) メッセージ配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テレマティクスセ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