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045A - 터치스크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2045A KR20190072045A KR1020170173080A KR20170173080A KR20190072045A KR 20190072045 A KR20190072045 A KR 20190072045A KR 1020170173080 A KR1020170173080 A KR 1020170173080A KR 20170173080 A KR20170173080 A KR 20170173080A KR 20190072045 A KR20190072045 A KR 201900720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on
- touch
- main
- touch screen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모바일 단말기의 연산 처리 유닛이 터치스크린의 GUI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상기 메인 아이콘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과 별개의 보조 아이콘을 생성하여 보조 아이콘을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있은 후,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매체의 더블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기 등에 마련된 터치스크린의 GUI를 손쉽게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사양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에 따라 멀티 태스킹 기능의 실행 및 제어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은 대표적인 입력장치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손으로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경우 엄지로 화면을 잡을 수 있다면 보다 안정된 파지가 가능할 것이나 터치스크린 상에는 터치만 해도 실행이 될 수 있는 GUI 컨트롤이 산재해 있어서 엄지로 전체의 화면을 용이하게 터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단말기 등에 마련된 터치스크린의 GUI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아이콘을 두 개로 제공하여 효율적인 GUI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모바일 단말기의 연산 처리 유닛이 터치스크린의 GUI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상기 메인 아이콘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과 별개의 보조 아이콘을 생성하여 보조 아이콘을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있은 후,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매체의 더블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을 생성하는 메인 아이콘 생성 과정;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을 따라서 상기 메인 아이콘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하는 메인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 및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터치 매체가 마지막으로 위치한 지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메인 아이콘을 위치시켜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이 있은 후, 메인 아이콘의 표시를 취소시킬 수 있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 생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은, 상기 메인 아이콘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과 다른 별개의 보조 아이콘을 생성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과정;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상기 보조 아이콘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하는 보조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정지될 때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보조 아이콘의 위치를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로 확정하여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비율은, 터치스크린의 화면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비율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장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가변될 수 있는 비율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이 있은 후,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 발생 후에 변경되는 고정 위치에 보조 아이콘을 위치시켜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위치 변경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는,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드래깅이 좌우로 발생되는 경우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아이콘과 보조 아이콘은, 서로 다른 기호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메인 아이콘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의 형상이 결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의 터치 아이콘을 메인 아이콘과 q보조 아이콘의 두 개로 제공하여 효율적인 G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아이콘의 생성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아이콘의 생성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경시키는 예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아이콘과 보조 아이콘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현한 예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메인 아이콘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의 형상이 다르게 표시되는 예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아이콘의 생성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아이콘의 생성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경시키는 예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아이콘과 보조 아이콘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현한 예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메인 아이콘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의 형상이 다르게 표시되는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며 하며 단말기를 말한다. 참고로, 여기서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함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MP3P(MPEG layer 3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110), 단말기 메모리(120), 단말기 표시부(130), 단말기 입력부(140), 및 단말기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 메모리(120)는, 운영체게, 프로그램, 화면 그래픽 인터페이스(GUI) 정보 등이 저장된 저장체이다. 이러한 메모리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말기 표시부(130)는, 화면상의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표되는 모듈로서, 본 발명의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이 표시된다.
단말기 입력부(140)는, 메인 아이콘(10)의 터치를 감지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단말기 표시부(130)와 단말기 입력부(140)는 터치스크린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선택을 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은, 화면 표시 수단일 뿐만 아니라 손가락, 터치펜 등의 다양한 터치 매체에 의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이다. 터치스크린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5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연산 처리 유닛(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된 모듈이다. 단말기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의 GUI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GUI를 제어함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 즉,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을 생성하며,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을 따라서 메인 아이콘(1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한 후,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터치 매체가 마지막으로 위치한 지점의 터치스크린에 메인 아이콘(10)을 위치시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가 있은 후에는, 메인 아이콘(10)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과 별개의 보조 아이콘(20)을 생성하여 보조 아이콘(20)을 표시한다. 즉, 메인 아이콘(10)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과 다른 별개의 보조 아이콘(20)을 생성하며,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보조 아이콘(2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한 후,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정지될 때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보조 아이콘(20)의 위치를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로 확정하여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가 있은 후에는,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있은 후, 상기 메인 아이콘(10)에 대한 터치 매체의 더블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아이콘의 생성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아이콘의 생성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경시키는 예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아이콘과 보조 아이콘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현한 예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메인 아이콘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의 형상이 다르게 표시되는 예시 그림이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연산 처리 유닛이 터치스크린의 GUI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10),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20), 및 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S330)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10)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하여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10)은, 메인 아이콘 생성 과정(S311), 메인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S312), 및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 생성 과정(S314)을 더 가질 수 있다.
메인 아이콘 생성 과정(S311)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등의 터치 매체가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 등에서 등장하여 최초 터치되면, 터치 매체가 감지되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메인 아이콘(10)의 형상을 원형으로 표시하였지만,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메인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S312)은,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을 따라서 상기 메인 아이콘(1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매체가 터치스크린상에서 드래깅되어 이동되면, 이동되는 움직임 궤적을 따라서 메인 아이콘(10)이 표시된다.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13)은,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터치 매체가 마지막으로 위치한 지점의 터치스크린에 메인 아이콘(10)을 위치시켜 표시한다. 즉,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따라 드래깅되는 터치 매체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초) 이상 정지되는 경우, 정지된 지점에 메인 아이콘(10)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이 고정되어 표시된 후, 생성된 메인 아이콘(10)을 취소시킬 수 있는 버튼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13)이 있은 후, 메인 아이콘(10)의 표시를 취소시킬 수 있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30)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 생성 과정(S314)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구석에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30)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30)을 터치시에는, 메인 아이콘(10)이 화면상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10)이 있은 후, 메인 아이콘(10)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과 별개의 보조 아이콘(20)을 생성하여 보조 아이콘(20)을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20)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20)은, 보조 아이콘 생성 과정(S321), 보조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S322), 및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23)을 가질 수 있다. 이밖에 보조 아이콘 위치 변경 과정(미도시)을 추가로 더 가질 수 있다.
보조 아이콘 생성 과정(S321)은, 메인 아이콘(10)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과 다른 별개의 보조 아이콘(20)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즉,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에 위치한 손가락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 아이콘(20)이 생성되어 표시된다.
보조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S322)은,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보조 아이콘(2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보조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S322)은, 보조 아이콘(20)이 메인 아이콘(10)에서 최초 표시된 후,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상기 보조 아이콘(2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한다. 즉,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동기화되는 보조 아이콘(20)이 이동되며 표시된다. 여기서 확장 비율은 터치 매체의 움직임 거리와 보조 아이콘(20)의 표시 거리간의 비율을 말한다. 따라서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드래깅 위치와 보조 아이콘(20)의 표시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조금만 움직여도 터치스크린 전체에 걸쳐서 보조 아이콘(2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손가락 움직임 거리:보조 아이콘(20) 움직임 거리" = "1:3" 인 경우, 손가락의 터치 매체가 보조 아이콘(2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사분면 방향의 45°각도로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1cm 움직이는 경우, 보조 아이콘(20)은 1사분면 방향의 45°각도로 3cm 이동되어 터치스크린상에서 표시된다.
이러한 확장 비율은 터치스크린의 화면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확장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가변될 수 있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보조 아이콘(20)의 이동 표시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23)은,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정지될 때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보조 아이콘(20)의 위치를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로 확정하여 표시한다. 즉,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정지 순간의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을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로 확정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
상기의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20)이 있은 후에는,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있은 후, 메인 아이콘(10)에 대한 터치 매체의 더블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S330)을 가진다. 즉,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인 아이콘(10)에 대하여 더블 터치하는 경우,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클릭)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을 직접 터치하지 않더라도, 메인 아이콘(10)의 더블 터치만으로도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을 터치(클릭)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조금만 움직여도 터치스크린 전체 화면을 대상으로 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23)이 있은 후, 표시된 보조 아이콘(20)의 위치를 변경시킬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아이콘 위치 변경 요청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23)이 있은 후,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조 아이콘(20)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20) 이동 이벤트 발생 후에 변경되는 고정 위치에 보조 아이콘(20)을 위치시켜 표시한다.
이러한 보조 아이콘(20) 이동 이벤트는, 메인 아이콘(10)에 대한 터치 드래깅이 좌우로 발생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에 대한 터치 드래깅이 좌우로 발생되면 보조 아이콘(20)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그 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보조 아이콘(2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은, 서로 동일한 원형의 형상을 가짐을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의 형상은 제한을 받지 않는다.
특히,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은, 서로 다른 기호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을 혼동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의 형상을 각각 다르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은 원형 형상으로 구현하며, 보조 아이콘(20)은 마우스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메인 아이콘(10)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20)의 형상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을 사각형으로 할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파워포인트 파일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메인 아이콘(10)은 사각형으로 하며 보조 아이콘(20)을 손가락 아이콘 모양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모바일 단말기
S310: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S320: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S330: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
S310: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S320: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S330: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
Claims (10)
- 모바일 단말기의 연산 처리 유닛이 터치스크린의 GUI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상기 메인 아이콘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과 별개의 보조 아이콘을 생성하여 보조 아이콘을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있은 후,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매체의 더블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을 생성하는 메인 아이콘 생성 과정;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을 따라서 상기 메인 아이콘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하는 메인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 및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터치 매체가 마지막으로 위치한 지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메인 아이콘을 위치시켜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이 있은 후,
메인 아이콘의 표시를 취소시킬 수 있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 생성 과정;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은,
상기 메인 아이콘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과 다른 별개의 보조 아이콘을 생성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과정;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상기 보조 아이콘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하는 보조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정지될 때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보조 아이콘의 위치를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로 확정하여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장 비율은,
터치스크린의 화면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비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확장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가변될 수 있는 비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이 있은 후,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 발생 후에 변경되는 고정 위치에 보조 아이콘을 위치시켜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위치 변경 과정;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는,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드래깅이 좌우로 발생되는 경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아이콘과 보조 아이콘은, 서로 다른 기호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메인 아이콘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의 형상이 결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080A KR102033710B1 (ko) | 2017-12-15 | 2017-12-15 | 터치스크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080A KR102033710B1 (ko) | 2017-12-15 | 2017-12-15 | 터치스크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2045A true KR20190072045A (ko) | 2019-06-25 |
KR102033710B1 KR102033710B1 (ko) | 2019-10-17 |
Family
ID=6706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3080A KR102033710B1 (ko) | 2017-12-15 | 2017-12-15 | 터치스크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371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3565A (ja) * | 1992-09-02 | 1994-03-25 | Fuji Electric Co Ltd | 画面形表示装置 |
KR20090121992A (ko) | 2008-05-23 | 2009-11-26 |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부입력키의 크기 조정이 가능한 웰패드 및 그 제어방법 |
KR20140079959A (ko) * | 2012-12-20 | 2014-06-3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제어영역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
KR20150062883A (ko) * | 2013-11-29 | 2015-06-08 | 주식회사 데이사이드 |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US20150331573A1 (en) * | 2014-05-15 | 2015-11-19 | Hisense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Co., Ltd. | Handhel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ndows of same |
KR20160019762A (ko) * | 2014-08-12 | 2016-02-22 | 박병서 | 터치 스크린 한손 제어 방법 |
-
2017
- 2017-12-15 KR KR1020170173080A patent/KR1020337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3565A (ja) * | 1992-09-02 | 1994-03-25 | Fuji Electric Co Ltd | 画面形表示装置 |
KR20090121992A (ko) | 2008-05-23 | 2009-11-26 |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부입력키의 크기 조정이 가능한 웰패드 및 그 제어방법 |
KR20140079959A (ko) * | 2012-12-20 | 2014-06-3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제어영역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
KR20150062883A (ko) * | 2013-11-29 | 2015-06-08 | 주식회사 데이사이드 |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US20150331573A1 (en) * | 2014-05-15 | 2015-11-19 | Hisense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Co., Ltd. | Handhel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ndows of same |
KR20160019762A (ko) * | 2014-08-12 | 2016-02-22 | 박병서 | 터치 스크린 한손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3710B1 (ko) | 2019-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81430B2 (en) | Electronic device using auxiliar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9013368B1 (en) | Fold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973631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EP2409208B1 (en) | Dual mode portable device | |
KR101934822B1 (ko) |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 |
KR10201697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974852B1 (ko) |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 |
US1039442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unlocking function | |
US2014009608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to select object within image and image input device | |
KR101657117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090102498A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3010283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074141A (ko) |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 |
JP2017536585A (ja) | アイコン位置交換方法及び装置 | |
US20150042584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object using touch input | |
KR20130132679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50025450A (ko) |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 |
US10346033B2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ulti-touch inpu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50012945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40114242A (ko) |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
KR20190072045A (ko) | 터치스크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
KR102146832B1 (ko) |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30006777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30089476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2157621B1 (ko) |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