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450A -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450A
KR20150025450A KR20130103290A KR20130103290A KR20150025450A KR 20150025450 A KR20150025450 A KR 20150025450A KR 20130103290 A KR20130103290 A KR 20130103290A KR 20130103290 A KR20130103290 A KR 20130103290A KR 20150025450 A KR20150025450 A KR 20150025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ouch
screen
touch trajectory
traje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815B1 (ko
Inventor
심보현
임승경
장시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815B1/ko
Priority to US14/473,980 priority patent/US10409478B2/en
Publication of KR2015002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컨텐츠 스크랩 방법에 있어서,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AND RECOVERING MEDIUM FOR CLIPPING OF CONTENTS}
본 발명은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을 용이하게 스크랩하기 위한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 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용자들은 필요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을 편집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활용에 있어서, 원하는 컨텐츠를 스크랩할 때, 전자펜으로 드로잉하여 드로잉된 영역만을 스크랩할 수 있었고, 여러 컨텐츠를 동시에 스크랩하는 기능은 없었다. 이때의 스크랩은 일반적인 캡쳐(capture)와 유사한 기능으로, 조작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드로잉은 전자펜을 이용하여 터치한 상태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터치들의 좌표를 휴대 단말 장치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사각형 이미지를 전자펜을 이용하여 스크랩하려면 각 변을 정확하게 드로잉해주거나 별도의 편집 과정이 필요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드로잉 기능을 활용하여 컨텐츠를 원본 상태로 깔끔하게 스크랩 할 수 있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스크랩 방법에 있어서,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스크랩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과; 저장부와;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하며,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스크랩 기록매체에 있어서, 터치스크린과; 저장부와;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하며,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를 사용함으로서, 이미지,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원본 그대로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기존의 클리핑(Clipping) 방식과는 다르게 필요한 컨텐츠를 깔끔하고 정확하게 스크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를 사용함으로서, 여러 컨텐츠를 간단한 조작을 통해 동시에 스크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크랩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크랩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크랩 동작의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크랩 동작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기능이 구비된 스크랩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기능이 구비된 스크랩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선택된 편집 기능의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크랩 동작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컨텐츠, 편집 기능 등과 같은 명칭, 구성 소자 등의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크랩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휴대 단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와이파이(Wi-Fi), 3G/4G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 인터넷 등과 연결되거나, 주변 장치들과 무선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간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휴대 단말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휴대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또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동작(예, 휴대 단말 장치(100)의 회전, 휴대 단말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70)은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어떤 정해진 방향에서의 각변위 또는 그 변화율을 계측하는 관성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 단말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으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과 동작 상태 및 메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 105)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105)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휴대 단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105)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105)은 호버링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하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105)의 버튼 누름 시, 호버링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전자기 유도(EMR; Electro Magnetic Resonanc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105)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값을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105)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 단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컨텐츠 스크랩 동작의 특징에 따라,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하며,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저장부(175)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터치 궤적을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크랩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210 단계에서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화면 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한 상태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터치들의 좌표를 인식하여, 화면 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의 터치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105; 이하에서는 전자펜이라 함)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210 단계 이후 230 단계에서는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때의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영상 등 미리 정해진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미리 정해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들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텍스트와 이미지가 하나의 그룹으로 정해져서, 이를 하나의 컨텐츠로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다. 230 단계 이후 250 단계에서는 선택된 컨텐츠를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 장치(100)의 화면상에서 스크랩하기를 원하는 컨텐츠가 위치한 부분에 사용자의 신체 또는 전자펜(105)으로 드로잉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스크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의 드로잉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전자펜(105) 등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터치한 상태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터치들의 좌표를 휴대 단말 장치(1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스크랩은 일반적인 캡쳐(capture)와 유사한 기능으로, 본 발명의 동작에 따라 화면상 드로잉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객체만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크랩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300 단계에서는 스크랩 기능을 실행한다. 스크랩 기능은 드로잉하여 드로잉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객체를 선택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기능을 말한다. 300 단계 이후 310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를 인식한다. 310 단계 이후 320 단계에서는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한다. 320 단계 이후 330 단계에서는 터치 궤적상에 컨텐츠가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330 단계에서 터치 궤적상에 컨텐츠가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340 단계로 진행하고, 330 단계에서 터치 궤적상에 컨텐츠가 위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320 단계로 돌아간다. 330 단계 이후 340 단계에서는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340 단계 이후 350 단계에서는 선택된 컨텐츠를 저장한다. 350 단계 이후 360 단계에서는 터치의 해제 유무를 판단한다. 360 단계에서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하고, 360 단계에서 터치가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370 단계로 진행한다. 360 단계 이후 370 단계에서는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한다. 370 단계 이후 380 단계에서는 인식된 터치 궤적 상에 컨텐츠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380 단계는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터치 궤적의 영역 또한 변경되기 때문에, 터치 궤적이 이미 선택되어 저장된 컨텐츠가 위치하는 영역에 있게 되는 경우, 후술하는 동작에 따라 이미 선택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또다시 선택하고 저장하도록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380 단계에서 인식된 터치 궤적 상에 컨텐츠가 있는것으로 판단되면390 단계로 진행하고, 380 단계에서 인식된 터치 궤적 상에 컨텐츠가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360 단계로 돌아간다. 380 단계 이후390 단계에서는 터치 궤적 상의 컨텐츠가 이전에 저장된 컨텐츠가 아닌지를 판단한다. 390 단계에서 터치 궤적 상의 컨텐츠가 이전에 저장된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340 단계로 돌아가고, 390 단계에서 터치 궤적 상의 컨텐츠가 이전에 저장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되면 360 단계로 돌아간다.
추가로, 미리 설정된 효과(색상 및 형태)를 적용하여 상기 터치 궤적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화면을 사용자의 신체 또는 전자펜(105) 등을 이용하여 터치한 상태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키면, 즉, 화면을 사용자의 신체 또는 전자펜(105) 등을 이용하여 드로잉하면, 해당 터치 지점에 미리 설정된 효과가 적용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효과는 미리 설정된 펜, 연필, 색연필, 붓 등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듯한 효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가 각각의 컨텐츠로 설정되었을 때, 상술한 본 발명의 동작에 따라, 각각의 컨텐츠가 선택 및 저장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의 (a) 내지 도 4의 (d)와 같이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위에 그려진 선의 형태로 전자펜(105)을 이용하여 드로잉하여 궤적을 그리면, 상술한 본 발명의 동작에 따라, 그려진 선의 형태와 같은 궤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순으로 각각 스크랩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동작에 따라, 터치 궤적에 위치되는 각 컨텐츠(각 텍스트, 각 이미지, 비디오)가 각각 스크랩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은 선의 형태로 드로잉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동작에 따라, 그려진 선의 형태와 같은 궤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도 5의 (b)와 같은 선의 형태로 드로잉하면, 선택된 각 컨텐츠의 저장 유무를 선택하도록 하는 팝업 창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화면상 컨텐츠가 위치한 영역에 드로잉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스크랩 기능을 실행할지를 확인하는 팝업창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저장된 컨텐츠 즉, 스크랩된 컨텐츠를 팝업창으로 화면에 표시하여 미리보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팝업창에 표시된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해 간단한 편집 기능을 팝업창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의 (a)와 도 6의(b)를 참조하면, 스크랩된 컨텐츠는 이미지 텍스트 URL을 포함하는 객체일 수 있으며, 편집 기능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의 편집 기능은 드로잉 메모(10)를 추가하는 기능, 태그(20)를 추가 기록하는 기능,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기능(30) 등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드로잉 메모(10)를 추가하는 기능을 실행하면 도 7의 (a)와 같은 메모를 입력 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20)를 추가 기록하는 기능을 실행하면 도 7의 (b) 또는 도 7의 (c)와 같은 태그를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기능(30)을 실행하면 도 7의 (d)와 같은 형태로 다양한 카테고리들을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 표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잉하여 선택되는 모든 컨텐츠를 하나의 컨텐츠로 생성하여 스크랩할 수 있다. 즉,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을 모두 선택하여 하나의 컨텐츠로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의 (a)와 같이, 텍스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에서, 텍스트와 이미지가 위치한 부분에 드로잉하여 도 8의 (b)와 같은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 텍스트와 이미지를 하나의 컨텐츠로 하여 스크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이미지 및 두 개의 텍스트 위치한 부분에 드로잉하여 도 9와 같은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 하나의 이미지 및 두 개의 텍스트를 하나의 컨텐츠하여 스크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나,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각각의 동작들은 그 전체 또는 일부가 병력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드로잉하여 한 번 그린 궤적을 되돌아 올 경우 선택된 컨텐츠의 선택을 해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컨텐츠, 제2 컨텐츠, 제3 컨텐츠 순으로 각 컨텐츠가 위치한 부분에 드로잉하여 궤적을 그린 후, 반대로 제 3 컨텐츠, 제2 컨텐츠, 제1 컨텐츠 순으로 각 컨텐츠가 위치한 부분에 드로잉하여 궤적을 그리면, 상기 제1 컨텐츠, 제2 컨텐츠, 제3 컨텐츠 순으로 각 컨텐츠가 위치한 부분에 드로잉하여 궤적을 그리는 동작에 따라 선택된 제1 컨텐츠, 제2 컨텐츠, 제3 컨텐츠의 선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작에 따라 화면상에서 선택되는 컨텐츠들을 선택되지 않은 컨텐츠들과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선택되는 컨텐츠들의 형태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Claims (23)

  1. 컨텐츠 스크랩 방법에 있어서,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궤적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컨텐츠가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궤적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컨텐츠가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궤적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되는 상기 컨텐츠가 이전에 저장된 컨텐츠이면, 상기 컨텐츠를 선택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하나의 컨텐츠 및 미리 정해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들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상기 화면은,
    편집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기능은,
    태그 추가 기능, 메모 추가 기능, 상기 저장된 컨텐츠의 카테고리 설정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궤적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궤적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색상 및 형태를 적용하여 상기 터치 궤적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을 모두 선택하여 하나의 컨텐츠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컨텐츠를 형태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는,
    직접 터치, 호버링,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구비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의 인식되는 호버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방법.
  12. 컨텐츠 스크랩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과;
    저장부와;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하며,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궤적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컨텐츠가 위치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터치 궤적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컨텐츠가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하나의 컨텐츠 및 미리 정해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들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은,
    편집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기능은,
    태그 추가 기능, 메모 추가 기능, 상기 저장된 컨텐츠의 카테고리 설정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궤적을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색상 및 형태를 적용하여 상기 터치 궤적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을 모두 선택하여 하나의 컨텐츠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되는 컨텐츠를 형태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는,
    직접 터치, 호버링,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구비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의 인식되는 호버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스크랩 장치.
  23. 컨텐츠 스크랩 기록매체에 있어서,
    터치스크린과;
    저장부와;
    이동되는 터치 지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서 터치 궤적을 인식하며, 상기 터치 궤적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컨텐츠 스크랩 기록매체.
KR1020130103290A 2013-08-29 2013-08-29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186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290A KR102186815B1 (ko) 2013-08-29 2013-08-29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14/473,980 US10409478B2 (en) 2013-08-29 2014-08-29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scrapping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290A KR102186815B1 (ko) 2013-08-29 2013-08-29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450A true KR20150025450A (ko) 2015-03-10
KR102186815B1 KR102186815B1 (ko) 2020-12-04

Family

ID=5258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290A KR102186815B1 (ko) 2013-08-29 2013-08-29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09478B2 (ko)
KR (1) KR102186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829A1 (ko) * 2018-07-26 2020-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50581S (en) * 2013-02-22 2013-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with ic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51587S1 (en) * 2013-04-30 2016-03-1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1655293S (ko) * 2017-09-27 2020-03-23
US11023093B2 (en) * 2018-05-30 2021-06-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uman-computer interface for computationally efficient placement and sizing of virtual objects in a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of a real-world environment
US11080941B2 (en) 2018-12-20 2021-08-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lligent management of content related to objects displayed within communication sess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2171A (ja) * 2002-10-31 2004-05-27 Niigata Canotec Co Inc 情報処理装置、オブジェクト選択方法、オブジェクト選択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90035333A (ko) * 2007-10-05 2009-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보관함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0122987A (ja) * 2008-11-20 2010-06-03 Canon Inc オブジェクト処理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6952A (en) * 1994-01-03 1996-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the formation of a correctly structured instruction for data processing systems
US20080104571A1 (en) * 2001-02-15 2008-05-01 Denny Jaeger Graphical object programming methods using graphical directional indicators
US6660989B2 (en) * 2001-07-11 2003-12-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MOS imager having asynchronous pixel readout in order of pixel illumination
JP4095458B2 (ja) * 2002-02-18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管理装置、文書管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KR100469422B1 (ko) * 2002-04-08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섬 네일 이미지 브라우징 방법
US8584050B2 (en) 2009-03-16 2013-11-12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KR20130052743A (ko) 2010-10-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항목 선택 방법
KR20130020380A (ko) 2011-08-19 2013-02-27 김재경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의 웹 컨텐츠 편집을 위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2171A (ja) * 2002-10-31 2004-05-27 Niigata Canotec Co Inc 情報処理装置、オブジェクト選択方法、オブジェクト選択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90035333A (ko) * 2007-10-05 2009-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보관함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0122987A (ja) * 2008-11-20 2010-06-03 Canon Inc オブジェクト処理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829A1 (ko) * 2018-07-26 2020-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372498B2 (en) 2018-07-26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put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815B1 (ko) 2020-12-04
US20150067615A1 (en) 2015-03-05
US10409478B2 (en)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386B2 (en) Mobile device connected with externa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64836B1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40076261A (ko)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US20140365950A1 (en)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method in portable terminal
KR20140042544A (ko)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KR10214557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90330A (ko)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레이아웃 방법 및 장치
KR20140064089A (ko) 근접 터치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86815B1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20140281962A1 (en)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00705A (ko) 터치키 동작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9261996B2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touch screen supporting multi-touch inpu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035710B (zh) 具有在对象上的预执行的功能的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40131051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9324A (ko) 필기 입력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146832B1 (ko)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6110A (ko) 아이콘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10248263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8785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7867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30123794A (ko)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KR10223901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1170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7621B1 (ko)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231888B1 (ko) 컨텐츠의 스크롤 시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