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987A -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987A
KR20190071987A KR1020170172979A KR20170172979A KR20190071987A KR 20190071987 A KR20190071987 A KR 20190071987A KR 1020170172979 A KR1020170172979 A KR 1020170172979A KR 20170172979 A KR20170172979 A KR 20170172979A KR 20190071987 A KR20190071987 A KR 20190071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trol
network
terminal
targ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936B1 (ko
Inventor
김은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9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통신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상기 대상 단말 중에서 제어 대상이 되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생성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USING BLOCK PROGRAM}
본 발명은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 프로그래밍으로 작성된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대상 단말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크래치, 엔트리 등과 같이 프로그램 언어를 모르는 사용자도 프로그램을 쉽게 작성할 수 있는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이 크게 관심을 받고 있다.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미리 제공된 명령과 절차들로 구성된 블록들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쉽게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해, 초중등 학생들의 코딩교육이 사회 전반적으로 중요한 필수과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을 활용하는 학교, 학원 등이 증가하고 있고, 그 사용자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과 연동하여 주변 사물이나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 보드 및 센서 보드를 활용한 제품들도 시장에 점차 소개되고 있다. 대부분의 제어 보드는 아두이노 보드를 활용한 제품이며, PC에 설치된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에서 제작된 프로그램과 연동하도록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제품들은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이 PC에서 실행되면서, 제어 보드에 연결된 센서나 모터 등을 구동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일부 제품은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이 컴파일한 후 제어보드에 직접 탑재하여 동작하기도 한다.
선행 등록 특허 제10-1368749호는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을 이용하여 디지털 토이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작성된 프로그램을 디지털 토이의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선행 등록 특허 제10-1352383호는 블록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사용자가 작성한 블록 프로그램을 컴퓨터 언어로 변환하여 컴파일하고, 그 결과를 대상 단말에 다운로드 하는 기술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기술들이 제안하는 제어 보드와 연동되는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은, 제어 보드에 연결된 센서들의 동작을 정의한 블록만 제공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제어 보드를 제어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원격의 제어 보드(원격 단말)를 제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블록 형태로 정의하고, 네트워크에서 해당 원격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368749호, 2014년 02월 24일 공고 (명칭: 프로그래밍 학습용 디지털 예술 토이 키트)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대상 단말을 식별하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 설정 및 전송에 관한 기능을 블록으로 정의하고, 제어 명령 블록과 연동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을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블록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설정 블록, 전송 블록 및 제어 명령 블록을 새로 정의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 관련 블록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사물인터넷(IoT)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대상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표준화하여 확장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통신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상기 대상 단말 중에서 제어 대상이 되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생성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상 단말은, 상기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의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대상 단말인 경우 하나의 상기 전송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대상 단말인 경우 두 개 이상의 상기 전송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제1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제1 전송 블록, 제2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 및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제어 장치가 연결할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 정보인 IP 주소, AP 이름, 비밀번호, 암호 방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설정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의 IP 주소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름 및 주소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전송 블록이 상기 제어 명령 블록과 인접하여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은, 디지털 쓰기 블록, 디지털 읽기 블록, 아날로그 쓰기 블록 및 아날로그 읽기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는,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통신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설정부, 하나 이상의 상기 대상 단말 중에서 제어 대상이 되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 메시지 생성부, 그리고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생성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상 단말은, 상기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의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이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대상 단말인 경우 하나의 상기 전송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대상 단말인 경우 두 개 이상의 상기 전송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제1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제1 전송 블록, 제2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 및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설정부는, 상기 단말 제어 장치가 연결할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 정보인 IP 주소, AP 이름, 비밀번호, 암호 방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의 IP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름 및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전송 블록이 상기 제어 명령 블록과 인접하여 연결된 형태이고,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은, 디지털 쓰기 블록, 디지털 읽기 블록, 아날로그 쓰기 블록 및 아날로그 읽기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입력받는 단계, 통신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단말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입력받는 단계, 네트워크의 설정이 완료된 상기 대상 단말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입력받은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및 상기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대상 단말을 식별하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설정 및 전송에 관한 기능을 블록으로 정의하고, 제어 명령 블록과 연동되도록 설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을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블록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설정 블록, 전송 블록 및 제어 명령 블록을 새로 정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관련 블록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사물인터넷(IoT)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대상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표준화하여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블록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 제어용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는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으로 제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도 1의 관리자 단말(10)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스크래치나 엔트리 등과 같은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 내에서 동작하거나,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을 컴파일한 후 관리자 단말(10)에 다운로드하여 실행될 수 있다. 특히, 프로그램을 컴파일하여 다운로드한 관리자 단말(10)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임의의 대상 단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10)은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로컬 네트워크(1)나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대상 단말(2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로컬 네트워크(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로컬 단말(20_1)과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원격 단말(20_3, 20_5)에는 관리자 단말(10)의 명령에 따라 대상 단말에 연결된 동작부나 감지부 등을 구동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네트워크(1)는 관리자 단말(10)과 로컬 단말(20_1)이 중간 노드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신 가능한 환경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네트워크 등이 로컬 네트워크(1)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로컬 단말(20_1)은 로컬 네트워크(1)에 포함된 대상 단말(20)을 의미한다.
또한, 원격 네트워크(2)는 인터넷을 거쳐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원격 단말(20_3, 20_5)은 인터넷을 통하여 관리자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하는 대상 단말(20)을 의미한다.
특히, 원격 네트워크(2)에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원격 단말(20_3)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과 하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원격 단말(20_5)과 관리자 단말 간 패킷을 전달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에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원격 단말(20_3)은 인터넷과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네트워크 설정부(210), 제어 메시지 생성부(220) 및 제어 메시지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먼저, 네트워크 설정부(210)는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10)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또한, 네트워크 설정부(210)는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통신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20)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 및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설정부(210)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가 연결할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 정보인 IP 주소, AP 이름, 비밀번호 및 암호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 대상 단말의 IP 주소를 포함하고,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 대상 단말의 이름 및 주소,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 대상 단말의 이름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메시지 생성부(220)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 메시지 생성부(220)는 로컬 네트워크 및 원격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대상 단말들 중에서, 제어 대상이 되는 제어 대상 단말을 지정하고, 제어 대상 단말이 수행할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메시지는, 제어 대상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블록 및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메시지는 제어 대상 단말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전송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 메시지 전송부(230)는 생성한 제어 메시지를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제어 대상 단말을 결정하는 네트워크 설정 블록과, 제어 대상 단말을 결정하는 전송 블록 및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블록을 새로 정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사물인터넷(IoT) 단말 등의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단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표준화된 관리자 단말과 제어 대상 단말을 이용하여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S310).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블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여기서,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도 1의 관리자 단말(10)을 의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의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S320).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로컬 네트워크 및 원격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대상 단말들 중에서 통신을 수행할 대상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ID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블록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네트워크 설정 블록(410) 및 제어 메시지(420, 43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된 대상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하여 정의한 네트워크 블록은 네트워크 설정 블록, 전송 블록,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송 블록은 제어 명령 블록에 인접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 명령 블록에 제1 전송 블록 하나만 연결되거나, 제1 전송 블록 및 제2 전송 블록 두 개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 메시지는 제1 제어 메시지(420)와 같이 하나의 전송 블록 및 하나의 제어 명령 블록으로 구성되거나, 제2 제어 메시지(430)와 같이 두 개의 전송 블록 및 하나의 제어 명령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명령 블록에 제1 전송 블록 하나만 연결된 경우, 해당 제어 명령 블록은 제1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된다. 반면, 제어 명령 블록에 제1 전송 블록 및 제2 전송 블록이 연결된 경우, 해당 제어 명령 블록은 제1 전송 블록에 의해 결정된 대상 단말을 거쳐, 제2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된다.
그리고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도 4의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510),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520) 및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53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연결할 무선 AP의 이름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51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520)은 인터넷 연결을 위하여, 대상 단말의 주소 및 식별 ID를 설정할 수 있다.
BLE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의 대상 단말(20)들 중에서 통신을 수행할 대상 단말(제어 대상 단말)을 설정하기 위하여,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530)에는 BT(BLE ID)에 연결된 실제 대상 단말의 이름 및 주소가 입력될 수 있다.
BLE ID는 블록 프로그램에서 BLE 상의 대상 단말을 식별하는 가상 ID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단말의 이름은 실제 BLE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대상 단말의 이름을 의미하며, 대상 단말의 주소는 대상 단말의 하드웨어 주소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동일 제품의 BLE 단말들은 동일한 이름을 가질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상에서의 주소를 이용하여 대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도 3에 대하여 설명하면,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제어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S330).
도 6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 제어용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은 제어 대상 단말의 입출력(I/O)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용 블록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 제어용 블록은 디지털 쓰기 블록(610), 아날로그 쓰기 블록(620), 디지털 읽기 블록(630) 및 아날로그 읽기 블록(640)만을 제공한다.
디지털 쓰기 블록(610)은 입력한 핀(Pin) 번호에 디지털 값(0 또는 1)을 쓰는 기능을 수행하고, 아날로그 쓰기 블록(620)은 입력한 핀 번호에 아날로그 값을 쓰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디지털 읽기 블록(630)은 설정한 핀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값(0 또는 1)을 읽어오고, 아날로그 읽기 블록(640)은 설정한 핀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값을 읽어온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 중에서 연결할 대상 단말(제어 대상 단말)을 설정하는 블록 및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블록은 제공하지 않는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으로는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을 식별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에서는 관리자 단말과 로컬 단말간에 1대1 통신으로 로컬 단말의 입출력(IO)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블록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이전에 별도로 관리자 단말과 로컬 단말간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도 7과 같이, 기존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 정의된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블록 중 전송 블록(711, 713, 721, 723, 731, 733, 741, 743)은 각 네트워크에서 식별 가능한 ID를 입력하여, 통신을 수행할 대상 단말인 제어 대상 단말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 대상 단말은 원격 단말이거나, 로컬 단말일 수 있다.
전송 블록(711, 713, 721, 723, 731, 733, 741, 743)은 기존의 블록 프로그래밍 플랫폼이 제공하는 제어 명령 블록(715, 725, 735, 745)에 인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송 블록(711, 713, 721, 723, 731, 733, 741, 743) 및 제어 명령 블록(715, 725, 735, 745)이 포함된 제어 메시지(710, 720, 730, 740)는 전송 블록(711, 713, 721, 723, 731, 733, 741, 743)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읽기 블록(745) 앞에 BLE 네트워크 전송 블록(743) 및 NET 네트워크 전송 블록(741)이 연결된 경우,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NET 네트워크 전송 블록(741)이 결정하는 대상 단말을 거쳐, BLE 네트워크 전송 블록(743)이 결정하는 원격 단말로, 아날로그 읽기 블록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블록(745)을 전송한다.
도 7에서 전송 블록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읽기 블록(745) 앞에 BLE 네트워크 전송 블록(743)만 있는 경우, 해당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는 제어 대상 단말은 로컬 BLE 네트워크에서 BLE 네트워크 전송 블록(743)이 지정한 로컬 단말이다.
또한, 아날로그 읽기 블록(745) 앞에 NET 네트워크 전송 블록(741)만 있는 경우, 해당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는 제어 대상 단말은 인터넷을 거쳐 NET 네트워크 전송 블록이 지정한 원격 단말이다.
다시 도 3에 대하여 설명하면, 마지막으로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한다(S340).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S330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제어 메시지의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단말(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 대상 단말(20)은 제어 메시지의 제어 명령 블록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블록 프로그램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810)에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인 관리자 단말(10)이 연결할 AP의 설정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무선 AP의 이름은 AP-01로 설정하고, 비밀번호는 123456789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820)에는 제어 대상 단말(20_3)의 IP 주소를 입력하고, 해당 제어 대상 단말(20_3)을 식별하기 위한 인터넷 단말 ID를 1로 설정하며, IP 주소를 1.1.2.10으로 입력한다.
제1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830)에는 원격 BLE 네트워크에 연결된 원격 단말(20_5)의 이름 및 주소를 입력한다. 여기서, 해당 원격 단말(20_5)의 BLE 단말 ID를 2로 설정하고, 이름을 BlkPeri-02로 설정하며, 주소를 01:02:03:44:55:66으로 입력할 수 있다.
제2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840)은 로컬 BLE 네트워크에 연결된 로컬 단말(20_1)의 이름 및 주소를 입력한다. 이때, 해당 로컬 단말(20_1)의 BLE 단말 ID는 3으로 설정하고, 이름을 BlkPeri-03로 설정하며, 주소를 01:02:03:44:55:77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자 단말(10)은 제1 제어 메시지(850)를 NET 네트워크 전송 블록(851)에 상응하는 원격 단말(20_3)로 전송한다. 그리고 원격 단말(20_3)은 제1 제어 메시지(850)에서 NET 네트워크 전송 블록(851)을 제거한 후, 원격 BLE 단말(20_5)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 메시지(850)를 수신한 원격 BLE 단말(20_5)은 BLE 네트워크 전송 블록(853)을 제거하고, 제어 명령 블록인 디지털 쓰기 블록(855)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10)은 제2 제어 메시지(860)를 BLE 네트워크 전송 블록(861)에 상응하는 로컬 BLE 단말(20_1)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 제어 메시지(860)를 수신한 로컬 BLE 단말(20_1)은 BLE 네트워크 전송 블록(861)을 제거한 제어 메시지의 제어 명령 블록에 따라, 디지털 쓰기 블록(865)을 실행할 수 있다.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인 관리자 단말(10)이 블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로컬 단말 및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원격 단말을 식별하고,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때,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도 9의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입력받는다(S910).
이때,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가 연결할 AP의 설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단말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입력받는다(S920).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단말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 및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920 단계에서 단말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입력받아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 설정이 완료된 후,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대상 단말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입력받는다(S930).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제어 대상 단말의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 블록을 생성하고,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 명령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및 제어 명령 블록을 연결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제어 메시지를 제어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한다(S940).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200)는 제어 메시지의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 대상 단말은,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대상 단말은 제어 명령의 실행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 대상 단말이, 응답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처리하는 프로그램은 블록 프로그램으로 작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0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000)은 버스(10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0), 메모리(10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0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050) 및 스토리지(10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000)은 네트워크(10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030)나 스토리지(10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030) 및 스토리지(10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1031)이나 RAM(10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태양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 로컬 네트워크 2: 원격 네트워크
3: 게이트웨이 10: 관리자 단말
20: 대상 단말
200: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210: 네트워크 설정부 220: 제어 메시지 생성부
230: 제어 메시지 전송부 410: 네트워크 설정 블록
420, 430: 제어 메시지 510: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
520: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 530: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
610: 디지털 쓰기 블록 620: 아날로그 쓰기 블록
630: 디지털 읽기 블록 640: 아날로그 읽기 블록
710, 720, 730, 740: 제어 메시지
711, 713, 721, 723, 731, 733, 741, 743: 전송 블록
715, 725, 735, 745: 제어 명령 블록
810: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
820: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
830, 840: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
850, 860: 제어 메시지 851: NET 네트워크 전송 블록
853: BLE 네트워크 전송 블록 855: 디지털 쓰기 블록
861: BLE 네트워크 전송 블록 865: 디지털 쓰기 블록
1000: 컴퓨터 시스템 1010: 프로세서
1020: 버스 1030: 메모리
1031: 롬 1032: 램
10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105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
1060: 스토리지 10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80: 네트워크

Claims (20)

  1.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 제어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통신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상기 대상 단말 중에서 제어 대상이 되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생성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은,
    상기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의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대상 단말인 경우 하나의 상기 전송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대상 단말인 경우 두 개 이상의 상기 전송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제1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제1 전송 블록, 제2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 및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제어 장치가 연결할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 정보인 IP 주소, AP 이름, 비밀번호, 암호 방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름 및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전송 블록이 상기 제어 명령 블록과 인접하여 연결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은,
    디지털 쓰기 블록, 디지털 읽기 블록, 아날로그 쓰기 블록 및 아날로그 읽기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12.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단말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통신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설정부,
    하나 이상의 상기 대상 단말 중에서 제어 대상이 되는 제어 대상 단말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 메시지 생성부, 그리고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생성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은,
    상기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의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이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대상 단말인 경우 하나의 상기 전송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대상 단말인 경우 두 개 이상의 상기 전송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제1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제1 전송 블록, 제2 전송 블록 및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전송 블록에 상응하는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 및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설정부는,
    상기 단말 제어 장치가 연결할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 정보인 IP 주소, AP 이름, 비밀번호, 암호 방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NET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의 IP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BLE 네트워크 설정 블록은,
    상기 원격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어 대상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름 및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전송 블록이 상기 제어 명령 블록과 인접하여 연결된 형태이고,
    상기 제어 명령 블록은,
    디지털 쓰기 블록, 디지털 읽기 블록, 아날로그 쓰기 블록 및 아날로그 읽기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20.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AP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입력받는 단계,
    통신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단말 네트워크 설정 블록을 입력받는 단계,
    네트워크의 설정이 완료된 상기 대상 단말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입력받은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어 대상이 되는 대상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및 상기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KR1020170172979A 2017-12-15 2017-12-15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1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79A KR102013936B1 (ko) 2017-12-15 2017-12-15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79A KR102013936B1 (ko) 2017-12-15 2017-12-15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987A true KR20190071987A (ko) 2019-06-25
KR102013936B1 KR102013936B1 (ko) 2019-08-23

Family

ID=6706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979A KR102013936B1 (ko) 2017-12-15 2017-12-15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061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디앤에이보이 블록코딩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기능 설정 장치, 방법 및 임베디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662A (ko) * 2010-03-15 2011-09-21 김진기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KR20130053714A (ko) * 2011-11-16 2013-05-24 주식회사 한백전자 Vpl을 이용한 프로그램 개발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368749B1 (ko) 2012-10-25 2014-02-28 전석주 프로그래밍 학습용 디지털 예술 토이 키트
KR20170055040A (ko) * 2015-11-10 2017-05-19 (주)이산솔루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감성반응 스마트 로봇의 제어 시스템
WO2017150788A1 (ko) * 2016-03-03 2017-09-08 전석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662A (ko) * 2010-03-15 2011-09-21 김진기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KR20130053714A (ko) * 2011-11-16 2013-05-24 주식회사 한백전자 Vpl을 이용한 프로그램 개발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368749B1 (ko) 2012-10-25 2014-02-28 전석주 프로그래밍 학습용 디지털 예술 토이 키트
KR20170055040A (ko) * 2015-11-10 2017-05-19 (주)이산솔루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감성반응 스마트 로봇의 제어 시스템
WO2017150788A1 (ko) * 2016-03-03 2017-09-08 전석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061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디앤에이보이 블록코딩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기능 설정 장치, 방법 및 임베디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936B1 (ko)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871B1 (ko) 인공지능 학습문제 생성 및 풀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379228A (zh) 一种在线编程教学方法和系统
KR20090078244A (ko)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
Mamat et al. Mobile learning application for basic router and switch configuration on Android platform
Kamaludeen et al. Guideline-based approach for IoT home application development
JP2008299068A (ja) 操作訓練システムおよび操作訓練方法
CN107562422B (zh) 控制器人机界面的编程方法以及提供此编程工具的服务器
CN109547259A (zh) 应用配置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90071987A (ko)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13757B1 (ko) 웹 기반 로봇 프로그래밍 시스템 및 방법
Choi et al. Development of robot scenario script language and tool for non-expert
Frydenberg Alexa, Help Me Learn about the Internet of Things!.
Degreef et al. Low-cost, open-source automation system for education, with Node-RED and raspberry Pi
CN103116286A (zh) 基于网络的机器人开发平台的实现方法和设备
JP2008165324A (ja) 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
Koza et al. Architectural overview and hedgehog in use
US10498843B2 (en) Tool for providing actionable functionality on a website
WO2016135821A1 (ja) 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Losilla et al. An educational to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JP2007172128A (ja) I/oシミュレータ装置
Tsang et al. Remote control for SMART classroom with bluetooth networks
CN114398693B (zh) 物联网系统搭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Obele et al. On an embedded software design architecture for improving the testability of in-vehicle multimedia software
US202302813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nomous driving simulation architecture with switchable models
KR20220115154A (ko) 구독 모델 기반의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