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662A -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662A
KR20110103662A KR1020100022835A KR20100022835A KR20110103662A KR 20110103662 A KR20110103662 A KR 20110103662A KR 1020100022835 A KR1020100022835 A KR 1020100022835A KR 20100022835 A KR20100022835 A KR 20100022835A KR 20110103662 A KR20110103662 A KR 20110103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bluetooth
mobil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683B1 (ko
Inventor
김진기
Original Assignee
김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기 filed Critical 김진기
Priority to KR102010002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68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1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제1통신단말기와, 상기 제1통신단말기와 네트워크세션이 설정되고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제2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통신단말기와 제2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제3통신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2통신단말기로부터 제1통신단말기로 전송된 제3통신단말기의 프로파일정보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3통신단말기의 프로파일정보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제3통신단말기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정보를 제1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정보가 제2통신단말기를 거쳐 제3통신단말기로 중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communication method using heterogeneous networks.}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일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근거리의 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통신단말기 또는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거의 모든 사람이 각각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면서 어디에서나 서로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동통신은 고정된 위치에서 역시 고정된 위치에 있는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신을 하는 방법이다. 물론 휴대용 무선전화가 있기는 하지만 특수한 목적이나 일정 지역 내에서의 통신에만 국한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호출하는 상대가 그 장소에 있지 않으면 통신이 불가능한 단점을 완전히 해소시킨 것이 이동통신이다. 즉 자동차·항공기·열차·선박과 같은 이동체(移動體)나 보행 중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통신을 하거나 또는 고정된 위치에 있는 상대방과 통신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이다.
이동통신은 제어국(制御局)·기지국(基地局)·이동체로 구성되는데, 제어국은 여러 기지국과 연결·통제하며 제어국과 고정 통신망과의 접속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고, 기지국은 이동체와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무선 채널의 물질을 감시하는 기능을 한다. 이동체는 이동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무선 채널을 가입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여 상대방을 호출할 때마다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통신의 형태로는 이동체 상호간의 직접통신(무선송수신기), 하나의 기지국과 다수의 이동체 사이의 통신(MCA 무선), 복수의 기지국에서 근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통신(자동차전화) 등이 있으며, 공중이동통신과 전용이동통신으로 분류된다. 공중이동통신에는 자동차전화·선박전화·항공전화·이동공중전화 등이 있으며, 전용이동통신에는 경찰·구급차량·소방 등의 공공기관 업무용도 있고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상업용도 있다.
현재 채택하고 있는 통신기술인 셀룰러(Cellular) 이동통신은 주파수 재활용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시분할다중접속(TDMA), 주파수분할다중접속(FDMA),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 등이 있는데, 1989년 세계 표준방식으로 시분할다중접속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이동통신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동통신의 회선용량과 서비스를 증진시킬 수 있는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 방식이 활성화되면 무선호출 및 이동전화가 더욱 확대되어 누구나 통신기를 휴대하고 다니는 사회가 도래하여 생활에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현재는 3G, 4G 기술이 상용화되어 종래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인용컴퓨터 수준의 데이터처리가 가능해지고 모바일 범용 운영체제 위에 각종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각각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경우는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통신이 대부분 음성 또는 간단한 텍스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과 달리, 화상데이터 또는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송수신 비용이 매우 비싸서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송수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이동통신망의 가능대역이 대부분 데이터통신에 할당되어 음성데이터송수신에 큰 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는 데이터통신 인프라가 다양하게 구축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 매우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통신방법에도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블루투스는 근거리 통신으로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블루투스는 저렴한 가격에 저전력(100㎽)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둘째, 블루투스는 주파수 대역을 나누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을 여러 주파수에 걸쳐서 분할해 보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무선 전송에 따른 보안 위협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셋째, 블루투스 신호는 벽이나 가방 등을 통과해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배선이나 연결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고 장애물이 있어도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넷째, 주파수 특성도 전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므로 각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전 세계 수많은 국가가 블루투스 표준 규격을 준수하기 때문에 세계 어느 곳에서나 같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는 언제 어디서나 모든 정보기기 간의 자유로운 데이터 교환이 이뤄질 수 있다.
블루투스라는 명칭은 10세기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일한 바이킹 헤럴드 블루투스(Harald Bluetooth; 910∼985)의 이름에서 따왔다. 그는 블루베리를 즐겨 먹어 치아가 항상 푸른빛을 띠고 있어 '푸른 이빨'로 불렸다고 한다. 블루투스가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통일한 것처럼 PC와 휴대폰 및 각종 디지털기기 등을 하나의 무선통신 규격으로 통일한다는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다. 처음에는 프로젝트명으로 사용했으나 브랜드 이름으로 발전했다.
1994년 세계적인 통신기기 제조회사인 스웨덴의 에릭슨은 휴대폰과 그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무선 솔루션을 고안해 케이블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즉 휴대폰과 주변기기 간에 소비전력은 적으면서 값싼 무선 인터페이스를 연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에릭슨은 다른 휴대장치 제조사와 제휴를 추진했고 마침내 1998년 2월 에릭슨을 주축으로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 등의 대표적인 첨단 IT 기술회사로 구성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가 발족했다. 블루투스 SIG에는 현재 모토로라·마이크로소프트, 루슨트테크롤로지, 스리콤 등 세계적인 기업이 참여하며 전 세계적인 표준 규격으로 자리잡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가 근거리에 있으며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이용하여 저렴한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가 근거리에 있으며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가 근거리에 있으며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사용하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한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1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제1통신단말기와, 상기 제1통신단말기와 네트워크세션이 설정되고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제2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통신단말기와 제2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제3통신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2통신단말기로부터 제1통신단말기로 전송된 제3통신단말기의 프로파일정보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3통신단말기의 프로파일정보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제3통신단말기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정보를 제1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정보가 제2통신단말기를 거쳐 제3통신단말기로 중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3통신단말기로부터 제2통신단말기로 전송된 상황정보를 제1통신단말기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텍스트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1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제1통신단말기와, 상기 제1통신단말기와 네트워크세션이 설정되고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제2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통신단말기와 제2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제2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2통신단말기로부터 제1통신단말기로 전송된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자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자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의 호설정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2이동통신단말기와의 호설정요청을 제1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호설정요청이 제2통신단말기를 거쳐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중계되는 단계,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호설정요청을 수락하면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가 제1통신단말기 및 제2통신단말기를 통해 중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할 때,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2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세션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호설정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1통신단말기를 통해 제2통신단말기로부터 제2블루투스세션 종료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호설정요청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근거리에 있으며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이용하여 저렴한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근거리에 있으며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통신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근거리에 있으며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사용하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한 통신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주소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은 제1이동통신단말기(101), 제1통신단말기(102), 제2통신단말기(103), 제3통신단말기를 포함한다.
제1이동통신단말기(101)는 셀룰러폰, 스마트폰, 화상통화폰 등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로서 근거리 이동통신으로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제1통신단말기(102)는 블루투스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반 네트워크(100)망과도 연결되어 인터넷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써 구성된다.
네트워크(100)는 인터넷, 인트라넷, 홈네트워크 등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및 통신망의 집합체로서 구성된다.
제2통신단말기(103)는 상기 네트워크(100)망의 단말에 연결된 또 다른 통신단말기로서 제1통신단말기(102)와 마찬가지로 일반의 개인용컴퓨터, 셋톱박스, PDA, 데이터중계기 등 데이터의 처리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다.
제3통신단말기는 제2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블루수트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로서, 제1이동통신단말기처럼 이동통신이 가능한 제2이동통신단말기(105)로써 구성되거나, 집안에 설치되어 문 밖의 상황을 관찰하고 현관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인터폰(104)로써 구성되거나, 전자레인지(미도시) 또는 밥솥(미도시)로써 구성되거나, 기타 블루투스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장치로써 구성될 수 있다.
제1이동통신단말기(101)는 제1통신단말기(102)와 제1블루투스세션을 설정하여 블루투스 통신한다. 제1통신단말기(102)는 네트워크(100)망에 연결되어 있고, 원격에 있는 제2통신단말기(103) 역시 네트워크(100)망에 연결되어 제1통신단말기와 네트워크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하다. 제3통신단말기로서 인터폰(104), 제2이동통신단말기(105) 또는 기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단말기들은 제2통신단말기(103)와 제2블루투스세션을 설정하여 블루투스 통신한다.
본 발명은,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1통신단말기(102), 이에 연결된 네트워크(100), 이에 연결된 제2통신단말기(103)를 이용하여, 제2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단말기로서 제3통신단말기와 데이터송수신을 하거나 이로써 제3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황파악을 할 수 있는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2통신단말기(103)는 제3통신단말기의 프로파일정보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제1통신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위 정보는 제1블루투스세션을 통해 제1이동통신단말기(101)로 중계하여 전송된다(S201). 이 때, 프로파일정보란 제3통신단말기의 식별번호, 위치정보, 하드웨어일련번호, 제3통신단말기의 설명정보를 포함한 제3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이고,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란 제2통신단말기와 제3통신단말기간에 블루투스를 이용한 세션이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의미한다. 만일 제3통신단말기가 제2이동통신단말기(105)라면 상기 프로파일정보는 제2이동통신단말기(105)의 식별번호로서 이동통신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제3통신단말기의 프로파일정보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는 제1이동통신단말기(101)화면에 표시된다(S211). 만일 제3통신단말기가 가정에 비치된 인터폰(104), 가스레인지, 밥솥 등의 기기라면, 제1이동통신단말기(101)에 인터폰(104), 가스레인지, 밥솥 등이 각각 제2블루투스세션이 연결되어 통신가능한 상태인지 리스트로 화면에 표시된다. 만일 제3통신단말기가 제2이동통신단말기(105)인 경우에는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105)의 전화번호와 함께 현재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105)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를 보고, 제3통신단말기에 제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221). 예를들어, 인터폰(104)에 연결된 현관 외부카메라의 화상정보를 전송받고자 한다면, 인터폰(104)를 선택한 후에 “외부카메라화상정보전송”기능을 선택하여 제어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현관문잠금”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다. 가스레인지를 선택한 후에 “가스밸브잠금”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고, 밥솥을 선택하여 “백미취사시작”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정보는 제1이동통신단말기(101)로부터 제1통신단말기(102)로 전송되고, 다시 제2통신단말기(103)를 거쳐 각각의 제3통신단말기로 중계 전송된다(S231).
상기 제어정보를 전달받은 인터폰(104)은 외부카메라화상정보를 제2통신단말기(103)로 전송하고, 제2통신단말기(103)는 이를 다시 제1통신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제1통신단말기(102)는 제1이동통신단말기(101)로 전송하며, 가스레인지는 가스밸브를 잠근 후에 가스밸브의 현재상태(잠겼는지 여부)에 관한 상황정보를 위와 같은 경로를 거쳐 중계 전송하며, 밥솥은 백미취사기능을 시작한 후, 현재 취사기능의 진행정도에 관한 상황정보(몇 분 경과하였고, 취사준비완료까지 몇 분 남았는지)를 위와 같은 경로를 거쳐 중계 전송한다(S241).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통신단말기가 제2이동통신단말기(105)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어정보로서 텍스트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망의 MMS 또는 SMS 서버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보내면 약 30원의 정보이용로가 과금되는데,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전혀 과금되지 않는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비슷하지만, 제3통신단말기가 제2이동통신단말기(105)인 경우이며, 이 때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101)는 이동통신기지국(311)과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제2이동통신단말기(105)는 또 다른 이동통신기지국(312)과 연결되어 이동통신망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1이동통신단말기(101)는 제2통신단말기로(103)부터 제2이동통신단말기(105)의 식별자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제1통신단말기(102)를 통해 중계 전송받는다(S401). 제1이동통신단말기(101)는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105)의 식별자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S4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105)의 식별자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는 제1이동통신단말기(101)에 저장된 주소록과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도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제1이동통신단말기(101)의 화면(500)에는 종래의 핸드폰 화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소록(50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이름(502)과 핸드폰번호(503)가 나타나 있다. 이 때,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핸드폰번호의 옆에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가 표시된다. 도5의 주소록에서 김시우, 이성은, 최나연의 핸드폰으로부터는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받지 못해,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가 가운데가 채워져 있지 않은 원형상의 아이콘(‘연결불가’상태) 이 표시되어 있다. 박정환, 김미연, 강창희의 핸드폰으로부터는 핸드폰의 식별자로서 각 전화번호(018-8851-8536, 011-8725-9771, 010-4485-2529)와 함께,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받았기 때문에, 제2블루투스세션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가운데가 채워져 있는 원형상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제1이동통신단말기(101)의 사용자는 주소록을 보면서 각각의 상대방이 블루투스통신을 통한 무료전화통화가 가능한 상태인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화통화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태인지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리스트 중에서 선택을 하여 통화연결신호로서 호설정신호(“통화버튼”)를 입력할 수 있다(S421).
만일 제2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상대방이어서 무료전화통화가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여(S431), 가능한 경우에는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2이동통신단말기와의 호설정요청을 제1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호설정요청이 제2통신단말기를 거려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중계 전송된다(S441). 제2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설정요청을 수락(통화버튼을 누르거나 응답)하면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호가 설정되고(S451) 이들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데이터가 제1통신단말기 및 제2통신단말기를 통해 중계 송수신된다(S481).
만일 제2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되지 않은 상대방일 경우에는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종래의 이동통신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2이동통신단말기에 호설정요청을 하고(S461), 제2이동통신단말기와 호가 설정되어(S471), 통화한다(S481).
만일 제2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상태로 보고 받고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1통신단말기를 통해 제2통신단말기로 호설정요청이 송신되었는데, 제2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제2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설정종료된 상황인 경우에는,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제1통신단말기를 통해 제1이동통신단말기로 제2블루투스세션 종료신호를 송신하고, 제1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호설정요청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 제1이동통신단말기 102 : 제1통신단말기
103 : 제2통신단말기 104 : 인터폰
105 : 제2이동통신단말기
311, 312 : 이동통신기지국

Claims (7)

  1.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1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제1통신단말기와, 상기 제1통신단말기와 네트워크세션이 설정되고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제2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통신단말기와 제2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제3통신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2통신단말기로부터 제1통신단말기로 전송된 제3통신단말기의 프로파일정보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3통신단말기의 프로파일정보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제3통신단말기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정보를 제1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정보가 제2통신단말기를 거쳐 제3통신단말기로 중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3통신단말기로부터 제2통신단말기로 전송된 상황정보를 제1통신단말기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텍스트메시지를 포함하는,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4.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1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제1통신단말기와, 상기 제1통신단말기와 네트워크세션이 설정되고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제2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통신단말기와 제2블루투스세션이 설정된 제2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2통신단말기로부터 제1통신단말기로 전송된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자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자 및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의 호설정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2이동통신단말기와의 호설정요청을 제1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호설정요청이 제2통신단말기를 거쳐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중계되는 단계;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호설정요청을 수락하면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가 제1통신단말기 및 제2통신단말기를 통해 중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할 때,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는,
    (i-1) 상기 제2블루투스세션 연결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2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세션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호설정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i-2)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1통신단말기를 통해 제2통신단말기로부터 제2블루투스세션 종료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호설정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KR1020100022835A 2010-03-15 2010-03-15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KR101078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835A KR101078683B1 (ko) 2010-03-15 2010-03-15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835A KR101078683B1 (ko) 2010-03-15 2010-03-15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662A true KR20110103662A (ko) 2011-09-21
KR101078683B1 KR101078683B1 (ko) 2011-11-01

Family

ID=4495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835A KR101078683B1 (ko) 2010-03-15 2010-03-15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6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548A1 (ko) * 2012-06-01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존에 연결된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381307B1 (ko) * 2012-02-02 2014-04-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71987A (ko) * 2017-12-15 2019-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5325A (en) * 2004-06-15 2005-12-21 Mitel Networks Corp Spontaneous discovery of remote service profi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07B1 (ko) * 2012-02-02 2014-04-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3180548A1 (ko) * 2012-06-01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존에 연결된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71987A (ko) * 2017-12-15 2019-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683B1 (ko)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3128B (zh) 短距离无线移动终端方法和系统
CN105101058A (zh) 多个蓝牙耳机协同工作的实现方法及设备
CN110771222B (zh) 寻呼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02761988A (zh) 可配合的短距离移动终端和中继器
CN111357239A (zh) 通信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EP2224708A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2740724A (zh) 资源选择方法、资源选择装置及存储介质
KR101078683B1 (ko) 이종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CN201928440U (zh) 无线中继装置、移动无线通信终端及无线通信系统
CN111279669A (zh) 具有数字双向无线电功能的智能电话和蓝牙耳机
US9491570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202043183U (zh) 短距离无线中继系统
US20060240817A1 (en) Multi-wireless connection device
JP2014003516A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US20230091685A1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2534914B (zh) 资源分配方法及装置、消息帧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1279778A (zh) 通信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JP5109702B2 (ja) 通信システム
CN113170292B (zh) 侧行链路的配置方法及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JP2013239907A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CN202160284U (zh) 一种无线中继装置及其带有该装置的无线通信系统
CN111357306B (zh) 通信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30095073A (ko) 멀티심 모바일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7032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연결 방법
KR2009001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