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413A -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금류 사육용 사료 - Google Patents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금류 사육용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413A
KR20190071413A KR1020170172451A KR20170172451A KR20190071413A KR 20190071413 A KR20190071413 A KR 20190071413A KR 1020170172451 A KR1020170172451 A KR 1020170172451A KR 20170172451 A KR20170172451 A KR 20170172451A KR 20190071413 A KR20190071413 A KR 2019007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ry
spirulina
feed
present
feed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석
이정석
이규태
김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to KR102017017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413A/ko
Publication of KR2019007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4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7Poultry or ruminant f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룰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이를 포함하는 가금류 사육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피룰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는 해양 미세조류인 스피룰리나를 기능성 사료첨가제의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가금류의 체중증가, 육질개선, 항산화 증진, 장내 유산균수 증가, 영양소 소화흡수율 증진 및 분내 악취물질 감소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는 친환경 고품질의 가금육을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바,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동시에 국민 보건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금류 사육용 사료{Feed additives for poultry comprising spirulina and functional feed for poultry}
본 발명은 해양 미세조류인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금류 사육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가축 및 가금의 수요도 급증하여 사료의 양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사료 공급에 있어서 단순 사료의 증산뿐만 아니라 보다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가축 및 가금의 증체 효과는 물론 다양한 기능성 효과도 함께 가지는 새로운 사료첨가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가축 및 가금의 비육과 소화를 촉진시키고 기능성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의 개발은 수입대체에 따른 외화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품격 기능성 축산물을 생산하여 농가의 소득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국내 가금 산업의 전망을 어둡게 하는 주된 요인은 대외 경쟁력 부족에 있다. 가금 산업과 관련하여 국내 사료업계에 의해 생산되는 사료의 질은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이며, 가금농장의 규모도 90년대 이후 연간 3만 수 이상의 대형농장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 가금산업의 양적, 질적인 팽창에도 불구하고 출하체중, 출하 연령에 있어서는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에 비하여 크게 못 미치는 수준에 있으며, 국내 육계 출하체중이 1.5kg 전후에 불과하여 일본 2.2kg, 미국 2.0kg, 대만 2.3kg에 비하여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는 동일한 양의 사료, 인건비, 연료비 등으로 사양관리상 제한요인에 의해 선진국 수준의 출하체중으로까지 키울 수 없기 때문이며, 사양관리상 제한요인은 위생관리가 적절치 못해 전염성 질병이 빈발하고, 부화장에서는 부화율과 병아리의 생존율이 떨어지고, 육계사육장에서는 질병과 항생제의 과다투여로 인해 체중증가의 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는데 있다.
따라서 국내 가금산업의 대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축산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금류 분내의 악취와 유해 미생물의 발생을 감소시켜 가금류의 건강증진과 사육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천연물을 소재로 한 새로운 가금류 사료 첨가제 및 기능성 사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해양 미세조류는 생장이 빠르며 배양이 비교적 용이하여 의약품과 건강식품의 소재, 염료 및 화장품 소재(carotenoids, biliprotein 등), 정제 화학약품(bioflocculant, polyols, 탄수화물 등), 바이오 연료(oil, 탄화수소 등) 등에 사용될 수 있고 나아가 환경(수질과 토양 정화)과 농업 분야(생물학적 비료, 생육증진제 등)까지 그 활용도가 매우 폭넓은 우수한 생물 소재이다.
특히, 스피룰리나(Spirulina(Arthrospira))는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에 속하는 원핵생물로 균체의 70% 이상이 고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단백질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카로틴(carotene), 오메가 3, 오메가 6-이중결합을 가진 지방산(omega 3,omega 6 polyunsaturated fatty acids)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일반 영양원에서 부족하기 쉬운 라이신, 메티오닌 등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의약품 대용 식품 또는 체질 개선용 식품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또한, 스피룰리나는 단백질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그 필수 아미노산의 조성이 매우 균형적이어서 소화 흡수율(95 % 이상) 등의 생체 이용률이 매우 높고, 많이 먹어도 인체에 축적될 수 있는 성분이 별로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지방산 조성, 미네랄 성분이 인체의 건강증진에 이상적으로 되어 있고 강력한 항산화 활성 물질인 베타-카로틴 등의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이 어떤 식품보다 높은 완전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단순한 양식어류의 먹이 사료로서 배양되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건강식품 개발, 기능성 물질인 감마-리놀렌산 추출 등 그 연구가 증가되어 가고 있는 실정으로 그 이용 범위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금류의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고급육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내 악취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피룰리나를 이용한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을 확립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579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룰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가금류 사육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을 가금류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금류 사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가금류 유래 친환경 고품질 가금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피룰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제는 가금류의 체중증가, 육질개선, 항산화 증진, 장내 유산균수 증가, 영양소 소화흡수율 증진 및 분내 악취물질 감소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거위 또는 칠면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가금류 사육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을 가금류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금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가금류 유래 친환경 고품질 가금육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룰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는 해양 미세조류인 스피룰리나를 기능성 사료첨가제의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가금류의 체중증가, 육질개선, 항산화 증진, 장내 유산균수 증가, 영양소 소화흡수율 증진 및 분내 악취물질 감소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는 친환경 고품질의 가금육을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바,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동시에 국민 보건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금육은 우육이나 돈육과 같은 다른 포유동물의 육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살코기 부분에 지방 함량이 낮아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가금육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금류의 성장률을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품질이 우수하며 친환경적인 가금육의 생산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금류의 성장률을 증가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육질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사육이 가능한 사료첨가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피룰리나를 가금류용 사료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가금류의 성장률을 증가시키고(체중증가), 육질개선, 항산화 증진, 장내 유산균수 증가, 영양소 소화흡수율 증진 및 분내 악취물질 감소 효과를 모두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해양 미세조류인 스피룰리나의 가금류용 사료첨가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피룰리나를 농도별로 달리하여 육계 사료첨가제로 사료와 함께 섭취하게 한 후, 체중변화 분석, 육질개선 변화분석, 항산화 효소 분석, 장내 유산균수 분석, 영양소 소화흡수율 분석 및 분내 악취물질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스피룰리나를 섭취하지 않은 군에 비해 스피룰리나를 사료첨가제로 섭취한 군에서 체중증가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육질특성도 현저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실험군의 육계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항산화 효소인 SOD 및 GPx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스피룰리나를 사료첨가제로 섭취하게 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이들 항산화 효소 함량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가 가금류의 항산화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내 유산균수 분포 및 조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스피룰리나를 사료첨가제로 섭취하게 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체내 유익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균의 균수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유해 미생물인 대장균수는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첨가제는 가금류의 장내 유익 미생물수를 증진시켜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군으로부터 수득한 배설물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분내 악취물질이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분내 악취물질로 알려진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총 메갑탄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는데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첨가제 섭취군에서는 이들 악취물질의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통해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첨가제는 가금류의 사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스피룰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가금류 사료첨가제를 가금류에 섭취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금류 분내의 악취물질을 저감시키는 방법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금류”는 집에서 기르는 날짐승, 즉 조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금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닭, 오리, 거위 또는 칠면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서 상기 가금류는 육계(닭)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룰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를 함유한 가금류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첨가제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의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사료첨가제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육질 개선 및 성장 능력 개선 등의 효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상기 사료첨가제 이외에, 가금류의 유지와 성장을 위해 반드시 사료로부터 공급되어야 할 필수 영양소로서 에너지, 아미노산, 광물질, 비타민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을 가금류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금류 사육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본 발명의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가금류 유래 친환경 고품질 가금육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재료준비
(1) 시험동물 및 시험설계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병아리는 1 일령 ROSS 308 (♂, ♀) 800수 공시하였고, 시험 개시 체중은 0.08 ± 0.01 Kg으로 사양시험은 35일간 동안 수행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군은 하기 표와 같이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실험군 내용
1 CON 기본 식이로 공급한 군
2 TRT1 기본 식이에 0.25% 스피룰리나를 첨가하여 공급한 군
3 TRT2 기본 식이에 0.5% 스피룰리나를 첨가하여 공급한 군
4 TRT3 기본 식이에 0.75% 스피룰리나를 첨가하여 공급한 군
5 TRT4 기본 식이에 1.0% 스피룰리나를 첨가하여 공급한 군
참고로, 닭 1마디 당 기본식이의 공급량은 1,600g/1마리 닭 체중 1kg 당으로 공급하였고, 스피룰리나의 첨가량은 기본식이 중량 대비의 첨가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TRT1, TRT2, TRT3, TRT4는 스피룰리나가 각각 4g, 8g, 12g 및 16g의 중량으로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즉, 기본식이 100중량%(1600g) 기준 0.25중량%인 4g, 0.5중량%인 8g, 0.75중량%인 12g 및 1.0중량%인 16g을 각각 첨가하여 실험군으로 사용하였다.
(2) 사료공급 및 사양관리
사료는 NRC (1994) 요구량에 따라 배합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를 급여하였다. ROSS 308 병아리들은 3단 케이지에서 사육하였으며, 처리구별 위치를 조절하였고,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방법
본 발명에 따른 스피룰리나의 기능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각 분석항목별 수행한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생산성 분석
증체량(BWG)은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날로부터 7일, 21일 및 분석 종료 시(35일)에 대해 각 처리구별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사료섭취량(FI)은 체중 측정 시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고 계산하였으며, 사료요구율(FCR)은 사료섭취량을 증체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2) 장기무게 및 육질특성 분석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후, 35일째에 각 처리구별(각 실험군별) 임의로 10수씩을 선별하여 경골탈퇴 방법으로 도살한 후에 가슴육, 간, F낭, 복강지방, 비장 및 근위의 무게를 측정하여 생체중량 대비 각 장기의 무게비율로 계산하였다. pH는 pH meter (Testo 205, Testo,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육색은 색차계 (Model CR-410. Minolta Co., Japan)를 이용하여 각 가슴육 샘플 1개당 2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 색판은 L*=89.2, a*=0.921, b*=0.783으로 하였다. 저장감량 (Drip loss)은 각 샘플당 시료를 2 cm 두께의 일정한 모양으로 정형한 후 polyethylene bag에 넣어 4℃ 냉장실에서 7일간 보관하면서 1일, 3일, 5일 및 7일 후 발생되는 감량을 측정하였다.
(3) 혈액 특성
혈액 채취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후, 35일째에 각 처리당 10마리를 임의 선발한 다음, 혈액을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혈청생화학적 검사는 경정맥(Jugular)에서 K3EDTA tube (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를 이용하여 5 mL씩 혈액을 채취하고 자동혈액분석기 (ADVID 120, Bayer, USA)를 이용하여 4℃에서 4,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리된 혈청의 SOD, GPx 함량은 nephelometer (Behring, Germany) 분석기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 분내 미생물 조성분석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후, 실험 종료일인 35일째에 처리구별로 분을 채취한 뒤, 멸균된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균질화시킨 다음 10-3에서 10-6까지 계단 희석하여 생균수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처리에 의한 육계 분내의 LactobacillusE. coli 균수를 측정하기 위해 Lactobacillus에는 MRS agar (Difco, USA), E. coli에는 MacConkey agar (Difco, USA를 사용하여 37℃에서 38시간 배양 후 균수를 측정하였다.
(5) 항문지수측정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후, 실험 종료일인 35일째에 각 처리구별로 다음과 같은 수식을 이용하여 항문지수를 측정하였다. 즉, 항문의 깨끗한 상태에 따라 1점부터 5점까지를 부여하였으며, 점수가 낮을수록 더 깨끗함을 의미한다.
1점: 매우 깨끗함, 2점: 깨끗함, 3점: 보통, 4점: 더러움, 5점: 매우 더러움
(6) 분내 악취물질 분석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후, 실험 종료일인 35일째에 각 처리군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배설된 분을 채취한 후, 신선한 분 300g을 취하여 2,600mL의 밀봉된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실온에서 7일간 발효시키고 보관한 후 Gastec (Model GV-100, GASTEC, Japan)을 사용하여 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물질인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및 총 메캅탄 (Total mercaptans)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7) 영양소 소화율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후, 실험 종료일인 35일째가 되기 7일 전에 산화크롬 (Cr2O3)을 표시물로서 사료 내 0.2 %의 농도로 첨가한 후 7일간 급여하게 한 다음, 각 동물군으로부터 분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분은 60℃의 건조기에서 72시간 건조시킨 후 Willey mill로 분쇄한 다음, 영양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사료의 일반성분과 표시물로 혼합된 Cr은 AOAC (2000)의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8) 통계처리
모든 자료는 SAS (2013)의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성이 있을 경우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uncan, 1955)로 처리하여 평균간의 차이를 P<0.05에서 검정하였다.
<실시예 1>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육계용 사료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가금류(육계)의 사료에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사료 첨가제를 혼합하여 하기 표 4의 성분들로 혼합하여 제조한 후, 육계에 급여하였다. 이때 사료 급여 방법은 starter, grower, finisher의 3구간으로 나눠 처리하였는데, starter(초기사료)는 최초 1-7일 동안 급여시켰고, 이후 7~21일 까지는 grower 조합에 의한 사료(전기사료)를 급여시켰으며, 이후 21-35일 동안에는 finisher 조합에 의한 사료(후기사료)를 급여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육계사료에 첨가한 사료 첨가제로서의 스피룰리나는 본 발명자가 직접 배양 및 수득한 것을 사용하였는데, 먼저 스피룰리나의 스탁 배양액을 이용하여 대량 배양을 수행하였다. 즉, 스피룰리나 스탁 배양액 제조를 위해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배양된 스피룰리나를 멸균처리 한 해수 100ml이 담긴 배양용기에 NaNO3 50㎕, KH2PO4 50㎕, tracemetalsolution 50㎕, F/2 A, B 13.2㎕씩 첨가한 다음, 클린벤치에서 새 배지에 10%(10ml)가 되도록 접종하여 일주일 간격으로 배양하는데, 이때 온도는 28~32℃, 광량은 150 μmol/㎡/s 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광주기 조건 L(light): D(dark)는 16:8 시간으로 수행하였고, 스탁부터 2L 까지는 일주일 간격으로 배양하고 5L 부터는 11일간 배양하였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Zarrouk 배지의 조성은 하기 표 3과 같고, 5L의 배지 제조의 경우, NaHCO3 84g, K2HPO4 2.5g, NaNO3 12.5g, K2SO4 5g, NaCl 5g, MgSO4*7H2O 0.05g, CaCl2 0.2g, FeSO4*7H2O 0.05g, Na2EDTA 0.4g, Solution A5 5ml, Solution B6 5ml를 증류수 5L에 넣어 2일 정도 폭기시켜 녹인 후, 사용하였다.
제조된 Zarrouk 배지 2L에 스탁에서 자란 스피룰리나를 2L 용기의 10% (200ml)로 접종하여 일주일 간 배양하였고, 일주일 후, Zarrouk 배지 5L에 2L 용기에서 자란 스피룰리나를 5L 용기의 10% (500ml)를 접종하여 11일간 배양하였으며, 11일 후, Zarrouk 배지 15L에 5L 용기에서 자란 스피룰리나를 15L 용기의 10% (1500ml)를 접종하여 11일간 배양시키면서 스피룰리나를 대량 배양하였다. 이후 대량 배양한 스피룰리나를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시켜 본 발명의 육계 사료의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실시예 2>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에 의한 육계의 체중 증가효과 분석
해양미세조류인 스피룰리나를 이용한 사료 첨가제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사료와 함께 섭취하게 하고 7-21일차 각 실험 닭의 증체량(BWG)을 분석하였다. 증체량 분석은 상기 실험방법에서 생산성 분석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Figure pat00004
-Abbreviation: CON= Basal diet; TRT1= CON + spirulina 0.25%; TRT2= CON + spirulina 0.50%; TRT3= CON + spirulina 0.75%; TRT4= CON + spirulina 1.00%.
-BWG, Body weight gain; FI, Feed intake; FCR, Feed conversion ratio
-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 (P < 0.05)
그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섭취군이 스피룰리나가 없는 사료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1.0중량%의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섭취군(TRT4)이 0.25중량%(TRT1), 0.5중량%(TRT2) 및 0.75중량%(TRT3)의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섭취군에 비해 체중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료 요구율(FCR) 결과도 스피룰리나가 없는 사료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군에 비해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전체 시험기간 동안의 증체량 역시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섭취군이 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사료 요구율에 있어서는 대조군(스피룰리나가 없는 사료첨가제; CON) 및 TRT1 처리군이 1.0중량%의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섭취군(TRT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룰리나 함유한 사료첨가제를 사용할 경우, 육계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으며 사료 요구율 또한 감소시킬 수 있어, 적은 사료 사용만으로도 체중 증가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에 의한 육계의 육질특성 분석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 섭취에 의한 육계의 육질특성 향상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실험방법으로 수득한 각 장기별 무게, 육색 및 저장 감량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하기 표 6의 약어는 상기 표 5의 기재와 같다.
Figure pat00005
그 결과,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능적 검사의 육색 중 Lightness(L*)에 대해, TRT4 처리구가 대조군(스피룰리나 무첨가 군; CON)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7일째에 대한 저장 감량 측정 결과, TRT1, TRT2, TRT3 및 TRT4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냄으로써 저장 시간에 따른 육계 감량 정도가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실시예 4>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에 의한 육계의 혈액특성 분석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 섭취에 의한 육계의 혈액특성 분석 결과는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SOD 분석 결과, TRT1, 2, 3 및 TRT4 처리군이 대조군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P<0.05), GPx는 TRT3 및 TRT4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Figure pat00006
본 실험에서 분석한 상기 SOD(Super Oxide Dismutase)는 활성산소의 독성(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할 수 있는 유해 산소 제거능을 갖는 효소이며, GPx(glutathion peroxidase) 역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효소를 말한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스피룰리나를 사료 첨가제로서 사용할 경우, 가금류의 혈액 내 항산화 효소를 증진시킬 수 있어, 활성산소로 인한 가금류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건강이 더욱 증진된 가금류를 생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5>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에 의한 육계의 분내 미생물 분석 및 항문지수 분석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 섭취하게 한 날로부터 35일째에 각 처리군별로 분을 채취한 뒤, 멸균된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균질화시킨 다음, 분내 함유 미생물 수를 10-3에서 10-6까지 계단 희석하여 생균수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처리에 의한 육계 분내의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및 대장균(E. coli ) 균수를 측정하기 위해 Lactobacillus에는 MRS agar (Difco, USA), E. coli에는 MacConkey agar (Difco, USA를 사용하여 37℃에서 38시간 배양 후 균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항문지수 측정은 각 육계의 항문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하기와 같이 매우 깨끗한 경우 1점으로 하고 매우 더러운 경우 5점으로 하는 5점 척도법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해양미세조류를 이용한 육계 사료 첨가제가 육계 분내 미생물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Lactobacillus에 있어 TRT4 처리구가 CON 및 TRT1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1점: 매우 깨끗함
2점: 깨끗함
3점: 보통
4점: 더러움
5점: 매우 더러움
Figure pat00007
분석 결과,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사료 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장내 유익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의 분포는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해 미생물인 대장균의 분포는 현저하게 억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사료 첨가제가 가금류의 장내 유익 미생물의 수를 증진시키고 동시에 유해 미생물인 대장균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장내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소화 흡수를 증진시킬 수 있고,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에 의한 육계의 분내 악취물질 감소효과 분석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 섭취하게 한 날로부터 35일째에 각 처리군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배설된 분을 채취한 후, 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물질인 암모니아 (NH3), 황화수소 (H2S) 및 총메캅탄 (Total mercaptans)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8
분석 결과,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사료 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분내 악취물질인 암모니아 (NH3), 황화수소 (H2S) 및 총메캅탄 (Total mercaptans) 모두를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는 이를 섭취한 가금류의 배설물 내에서 악취물질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사육 환경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에 의한 육계의 영양소 소화율 증진효과 분석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첨가제 섭취하게 한 날로부터 35일째에 육계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위해, 앞서 기술한 실험 방법에 따라 질소 소화율 정도를 분석하였다.
Figure pat00009
분석 결과, 상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사료 첨가제를 섭취하게 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질소 소화율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가 가금류의 사료 섭취에 따른 영양소 소화율을 증가시켜 체중 증가 및 건강 증진 효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스피룰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제는 가금류의 체중증가, 육질개선, 항산화 증진, 장내 유산균수 증가, 영양소 소화흡수율 증진 및 분내 악취물질 감소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거위 또는 칠면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4. 제1항의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가금류 사육용 사료조성물.
  5. 제4항의 사료조성물을 가금류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금류 사육방법.
  6. 제5항의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가금류 유래 친환경 고품질 가금육.
KR1020170172451A 2017-12-14 2017-12-14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금류 사육용 사료 KR20190071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51A KR20190071413A (ko) 2017-12-14 2017-12-14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금류 사육용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51A KR20190071413A (ko) 2017-12-14 2017-12-14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금류 사육용 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13A true KR20190071413A (ko) 2019-06-24

Family

ID=6705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451A KR20190071413A (ko) 2017-12-14 2017-12-14 스피룰리나를 함유한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금류 사육용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4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790B1 (ko) 2014-02-21 2016-03-24 시원해양 주식회사 해조류 추출물, 이들의 사료 및 비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790B1 (ko) 2014-02-21 2016-03-24 시원해양 주식회사 해조류 추출물, 이들의 사료 및 비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95075B (zh) 一种屎肠球菌ef08及包含它的饲料添加物和饲料
CN105475624B (zh) 微生物发酵饲料及其生产方法与应用
CN106562038B (zh) 一种改善猪肉品质的功能性饲料
CN103027187A (zh) 抗应激发酵蛋白饲料及其生产方法
CN101683125A (zh) 一种猪用生物发酵饲料的制备方法
CN103535323A (zh) 一种畜禽的养殖模式
CN105746931A (zh) 一种消减肉鸡粪便臭味的饲料添加剂预混剂及其应用
CN104585506A (zh) 一株植物乳杆菌p-8的用途
CN102511661A (zh) 一种复合大型食用真菌的有益菌饲料添加剂及养殖风味猪的方法
Jeong et al. Effect of astaxanthin produced by Phaffia rhodozyma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broilers
CA2910035A1 (en) Use of tall oil fatty acid
CA2748979A1 (en) Sodium stearoyl-2-lactylate derivatives as an animal feed additive for improving fat utilization efficiency
CN104872384A (zh) 金针菇菇脚饲料添加剂
CN105815550B (zh) 一株可降低大规模肉鸡养殖中粪臭素、吲哚释放的植物乳杆菌及其应用
RU2682389C1 (ru) Стимулирующая прирост массы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корм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и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Shambhvi et al. Effect of feeding Azolla pinnata in combination with direct-fed microbial on broiler performance
CN104719618A (zh) 一种复合除臭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20093996A (ko) 사료 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33043B1 (ko) 미역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첨가제
CN102696920A (zh) 一种养鳖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546653B (zh) 一种新型发酵乳酸杆菌及其在饲料领域和处理污水领域的应用
CN107373164A (zh) 一种小球藻肉鸡饲料以及喂养方法
CN107041456B (zh) 一种发酵豆渣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6282276A (zh) 一种芽孢杆菌抗菌肽的制备方法和应用
CN105831465B (zh) 一株植物乳杆菌在降低大规模肉鸡养殖时抗生素残留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