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890A -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 Google Patents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890A
KR20190070890A KR1020180160424A KR20180160424A KR20190070890A KR 20190070890 A KR20190070890 A KR 20190070890A KR 1020180160424 A KR1020180160424 A KR 1020180160424A KR 20180160424 A KR20180160424 A KR 20180160424A KR 20190070890 A KR20190070890 A KR 20190070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adenovirus
sequence
msc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934B1 (ko
Inventor
윤채옥
리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7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6Viruses; Subviral particles; Bacteriophages
    • A61K35/761Adeno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0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6Viral v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3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BM-MS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07/00Modified animals
    • A01K2207/12Animals modified by administration of exogenous ce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A01K2227/105Mur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01K2267/0331Animal model for proliferative dise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0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311Mastadenovirus, e.g. human or simian adenoviruses
    • C12N2710/10322New viral proteins or individual genes, new structural or functional aspects of known viral proteins or 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311Mastadenovirus, e.g. human or simian adenoviruses
    • C12N2710/10332Use of virus as therapeutic agent, other than vaccine, e.g. as cytolytic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311Mastadenovirus, e.g. human or simian adenoviruses
    • C12N2710/103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10/103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311Mastadenovirus, e.g. human or simian adenoviruses
    • C12N2710/103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10/10345Special targeting system for viral v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830/00Vector systems having a special element relevant for transcription
    • C12N2830/008Vector systems having a special element relevant for transcription cell type or tissue specific enhancer/promoter comb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로의 도입능이 우수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줄기세포로 잘 도입될 수 있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그리고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가 도입된 줄기세포는 체내 잔존능 및 종양세포에 대한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항암제로 사용 시 줄기세포의 체내 잔존 또는 간독성 등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아 특히 전신투여용으로 유용하며, 낮은 투여량으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가져,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항암제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줄기세포{RECOMBINANT ADENOVIRUS AND MESENCHYMAL STEM CELL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암 특이적 유전자 발현 조절능 및 줄기세포 도입능이 우수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가 도입된 줄기세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 및 암 특이적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 전달 벡터로서 아데노바이러스의 여러 가지 장점들이 부각되면서 암 유전자 치료에서 그 사용빈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암을 유전자 요법으로 치료할 경우,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치료 유전자의 발현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벡터로 사용되는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숙주의 면역반응이 크게 문제되지 않거나 오히려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아데노바이러스는 암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암세포 내에서만 증식할 수 있는 암세포(종양) 선택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는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어 차세대 미래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유전자 치료제로서 아데노바이러스를 전신투여 하는 경우, 아데노바이러스가 간 조직에 축적되어 독성을 유발하거나, 혈액 속에서 만들어지는 중화항체 때문에 체내 유지 시간이 짧아, 타겟 종양 부위까지 아데노바이러스가 전달되는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유전자 치료에서 아데노바이러스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종양 부위로의 표적지향성 및 전달 효율을 높인 유전자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전자 치료제의 운반체 중 하나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가 있다. MSC는 골수 등 여러 조직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체외에서 배양, 증식이 용이하다. 또한, 체 내 투여 시 손상부위로 이동하여 손상된 세포를 대체하고 다양한 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질환의 억제 및 손상부위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MSC는 종양 지향성(tumor tropism) 특성에 의한 종양으로의 이동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공동자극신호 분자(co-stimulatory molecule)가 발현되지 않아 면역 거부반응이 낮거나 없어 전신투여가 가능하며, 자가 치료뿐만 아니라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동종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면역원성이 없고 종양 표적능을 갖는 MSC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생의학적 줄기세포 치료제로 개발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중간엽 줄기세포와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 치료제를 이용하여 세포/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특정 리셉터가 결여한 중간엽 줄기세포(MSCs)에 아데노바이러스가 감염을 일으키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현재까지도 중간엽 줄기세포를 아데노바이러스의 운반체로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더욱이, 유전자 치료제 산업의 발전을 위해 자가유래 방식이 아닌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동종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 및 품질의 일관성과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제조방법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전신투여가 불가능하고 줄기세포로의 도입 효율이 낮은 아데노바이러스의 단점을 개선하고, 체 내 주입 후 타겟 부위까지 아데노바이러스를 높은 효율로 전달 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줄기세포로의 도입능이 우수하고, 암 특이적 유전자 발현 조절능이 우수한 아데노바이러스 및 상기 아데노바이러스가 도입된 줄기세포를 개발, 상기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경우 전신 투여가 가능하고, 암에 대한 표적능이 우수하여 간독성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암세포 특이적 살상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혈청형 35의 파이버(fiber) 노브(knob)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도입능이 개선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상기 혈청형 35의 파이버(fiber) 노브는 서열번호 1의 서열로 이루어지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목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발현 조절서열 및 목적 유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5'에서 3' 방향으로 (a) 6카피(copy)의 HRE(hypoxia-response elements) 도메인 서열; (b) 2카피의 AFP(Alpha-Feto Protein) 인핸서 A 서열, (c) 1카피의 AFP 프로모터의 인핸서 B 서열, 및 (d) AFP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 상기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linked) 목적 유전자; 및 혈청형 35의 파이버(fiber) 노브(knob)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함유하는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제공한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목적 유전자 및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함유하는 항암용 중간엽 줄기세포일 수 있다.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목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은 서열번호 5의 AFP 프로모터 서열 또는 서열번호 8의 TERT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는 0.01 MOI 초과 내지 100 MOI 미만 농도의 목적 유전자 및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로 50시간 이하로 형질감염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신 투여 또는 국소 투여용이다.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줄기세포로의 도입능 및 특이적 유전자 발현 조절 효과가 우수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줄기세포로의 도입이 가능한 특성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는 경우 낮은 농도에서도 줄기세포로의 감염이 우수하기 때문에, 아데노바이러스의 도입 과정에서 사멸하는 줄기세포의 비율이 낮아 유전자 치료제의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가 도입된 줄기세포는 생존능 및 암세포 살상능이 더욱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줄기세포에 탑재된 아데노바이러스는 자체 증식이 가능하여, 유전자 치료에 적용 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고, 주입된 줄기세포가 체내에 잔존하지 않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를 탑재한 줄기세포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다른 아데노바이러스 치료제와 비교해서 전신성 투여에 더욱 적합하며, 간 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면역반응을 유발하지 않아 동종 치료가 가능하고, 치료제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재조합 AFP 프로모터에 의해 루시페라아제의 발현이 조절되는 플라스미드의 프로모터 부위 및 사이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재조합 AFP 프로모터의 간암 특이적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프로모터가 삽입된 유전자의 발현이 조절되는 아데노바이러스의 셔틀벡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가 탑재된 복제불능 아데노바이러스의 상동재조합과정 및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AFP 프로모터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이 조절되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a, 6b, 6c, 6d, 6e 및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가 탑재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세포주에 따른 유전자 발현 활성 여부 및 저산소 상태에서 유전자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6d는 간암세포주에 대한 실험결과, 6e는 정상세포주 그리고 6f는 폐암세포주(A549)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아데노바이러스의 종양조직에서 GFP 발현 정도를 형광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변형된 AFP 프로모터에 의해 아데노바이러스의 복제가 조절되는 간암세포 특이적 세포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셔틀벡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변형된 AFP 프로모터에 의해 아데노바이러스의 복제가 조절되는 간암세포 특이적 세포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상동재조합과정 및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a, 10b, 10c, 10d 및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가 탑재된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세포주의 종류에 따른 살상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a, 10b 및 10c는 간암세포주에서 간암세포 특이적 살상효과를 나타내고, 도 10d 및 10e는 정상세포주에서 살상여부를 나타내며, 정상 조건(normoxia) 및 저산소 조건(hypoxia) 일 때의 각각의 살상 효과를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가 탑재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정상 조건(normoxia) 및 저산소 조건(hypoxia) 일 때의 복제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가 탑재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정상 산소 농도(종양의 주변부위; normoxia, 빨간색 박스) 및 저산소 농도(종양의 중앙 부위; hypoxia, 파란색 박스)에서의 복제능을 스페로이드 배양된 간암 조직(Hep3B organoid system)에서 형광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가 탑재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증식능 및 항종양 효과(세포고사)를 간암 피하모델(AFP+ Hep3B xenograft model) 에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가 탑재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항종양 효과를 간암 동소이식모델에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가 탑재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항종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a는 아데노바이러스 타입 35 파이버(K35)를 발현하는 복제 불능 아데노바이러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도 16b는 아데노바이러스 파이버 말단에 RGD를 발현하는 복제 불능 아데노바이러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도 16c는 아데노바이러스의 파이버(fiber) 변형에 따른 중간엽 줄기세포로의 전달 효율(trasduction efficiency)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파이버(fiber) 변형에 따른 유전자 전달 효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중간엽 줄기세포에 탑재된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암세포 살상능을 MTT 어세이에 의해 확인한 결과와 중간엽 줄기세포 내 바이러스 증식능을 Q-PCR에 의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간암 동소이식(orthotopic)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인체 간암 동소이식(orthotopic) 모델에서 종양의 생성 및 성장을 확인한 발광(루시페라아제)이미지 사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아데노바이러스가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투여 시 체내 종양조직으로의 표적지향성 및 아데노바이러스의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발광(루시페라아제, Luc)이미지 사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MSC로 유전자전달 가능한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상동재조합 과정 및 구조를 나타낸다.
도 23a 및 2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MSC로 유전자전달 가능한 Luc 발현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상동재조합 과정 및 구조를 나타낸다.
도 24a 및 2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아데노바이러스가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아데노바이러스의 파이버(fiber) 변형에 따른 유전자 전달효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아데노바이러스가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증식하여 루시페라아제(Luc) 유전자의 발현을 효율적으로 유도하는 것은 보여준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유전자를 발현하는 줄기세포 탑재용 간암 표적 아데노바이러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유전자를 발현하는 줄기세포 탑재용 sLRP6 발현 간암 표적 아데노바이러스의 상동재조합 과정 및 구조를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세포주(간암세포(Hep3B, Huh7, Hep1) 및 정상세포(HDF))의 종류에 따른 살상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중간엽 줄기세포에 대한 살상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 생존률(cell viability)를 의미하고, 그래프의 가로축은 중간엽 줄기세포를 감염시킨 아데노바이러스(Ha2bm-d19-k35/sLRP6)의 농도를 의미하며, 각 처리군은 감염 후 경과 시간(2일, 5일)을 의미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가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 내에서 아데노바이러스의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아데노바이러스의 수(Ad genome copies, VP/ml)를 의미하고, 그래프의 가로축은 중간엽 줄기세포를 감염시킨 아데노바이러스(Ha2bm-d19-k35/sLRP6)의 농도를 의미하며, 각 처리군은 감염 후 경과 시간(2일 및 5일)을 의미한다.
도 30a 및 3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가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항종양 효과를 in vivo 상태에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가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항종양 효과를 in vivo 상태에서 확인한 결과를 정량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가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항종양 효과를 ex vivo 이미지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3a 및 3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가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항종양 효과를 종양의 무게(33a) 또는 플러스(flux)값(33b)의 차이에 따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가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에 의한 생체 내에서의 간수치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의 전신 투여 시 생체 내 분포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의 간암의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3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의 간암의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38a, 38b, 38c 및 3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NTi를 발현하는 HCC-표적 oAd의 구조 및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38a는 HCC-oAd-WNTi의 구조를 나타내며, 38b는 Wnt 신호전달 경로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며, 38c는 HCC-oAd-WNTi의 HCC 살상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이고, 그리고 38d는 저산소 조건 및 정상산소 조건에서 HCC-oAd-WNTi의 HCC 살상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CC-oAd-WNTi가 적재된 중간엽 줄기세포(HCC-oAd-WNTi/MSC)의 암세포 살상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미처리군(untreated), MSC 단독 처리군(MSC), naked Ad 처리군(HCC-oAd-WNTi)은 각각 대조군으로 함께 실험되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CC-oAd-WNTi가 적재된 중간엽 줄기세포(HCC-oAd-WNTi/MSC)의 약물 동태(pharmacokinetic) 프로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중간엽 줄기세포로의 유전자 전달능이 우수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중간엽 줄기세포로 우수한 도입능을 갖고, 유전자 발현 조절능이 우수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탑재한 중간엽 줄기세포(Ad-MSC), 본 발명의 중간엽 줄기세포(Ad-MSC)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그리고 본 발명의 중간엽 줄기세포(Ad-MSC)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 기술하는 특정 실시예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파이버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가 도입된 중간엽 줄기세포(Ad-MSC)를 제공한다.
상기 아데노바이러스는 중간 정도의 게놈 크기, 조작의 편의성, 높은 타이터, 광범위한 타깃세포 및 우수한 감염성 때문에 유전자 전달 벡터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게놈의 양 말단은 100-200 bp의 ITR(inverted terminal repeat)을 포함하며, 이는 DNA 복제 및 패키징에 필수적인 시스 엘리먼트이다. 게놈의 E1 영역(E1A 및 E1B)은 전사 및 숙주 세포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단백질을 코딩한다. E2 영역(E2A 및 E2B)은 바이러스 DNA 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코딩한다. 현재 개발된 아데노바이러스 중에서, E1 영역이 결여된 복제 불능 아데노바이러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E3 영역은 통상적인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에서 제거되어 외래 유전자가 삽입되는 자리를 제공한다(Thimmappaya, B. et al., Cell, 31:543-551(1982); 및 Riordan, J. R. et al., Science, 245:1066-1073(1989)).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는 서열번호 1의 파이버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아데노바이러스는 유전자 또는 세포 치료의 전달체로 사용가능성이 연구되어 왔으나, 혈액 내에서 빠르게 제거되거나, 다른 면역반응을 일으켜 치료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간엽 줄기세포에 아데노바이러스를 탑재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중간엽 줄기세포 내로 아데노 바이러스를 도입하는 효율이 매우 낮고, 아데노바이러스의 도입율을 높이기 위해서 높은 농도의 아데노바이러스로 감염시키는 경우 줄기세포의 생존능이 약해져 줄기세포가 종양부위에 도달하기 전에 사멸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아데노바이러스를 탑재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실제 치료제에 사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파이버를 포함하도록 아데노바이러스를 재조합하는 경우, 중간엽 줄기세포로의 도입 효율이 현저히 우수하고, 낮은 바이러스 농도에서도 잘 도입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유전자 치료에서 문제가 되었던 아데노바이러스의 단점과 중간엽 줄기세포 내로의 낮은 도입 효율을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매우 중요한 특허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를 중간엽 줄기세포에 도입하는 경우 0.02 MOI에서도 중간엽 줄기세포로 벡터가 잘 도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18). 또한, 다른 벡터를 이용하는 경우 100 MOI 또는 500 MOI에서도 바이러스 벡터의 도입이 잘 되지 않았으나(도 17 및 도 24),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는 경우 5MOI에서도 벡터의 도입이 매우 잘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Ad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는 이를 이용한 항암효과 및 표적부위로 Ad-탑재된 MSC의 도달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줄기세포 내에 도입(loading)되는 아데노바이러스(Ad)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001 MOI 초과 내지 100 MOI 미만의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50시간 이하로 MSC를 형질감염 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1MOI 내지 100MOI 이하로 형질감염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50MOI 이하, 또는 0.01 MOI 초과 내지 50 MOI 이하, 또는 2 MOI 내지 10 MOI 농도의 혈청형 35의 노브(knob)를 포함하는 Ad와 함께 50시간 이하로 형질감염하여 중간엽 줄기세포 아데노바이러스를 도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아데노바이러스의 함량이 너무 많이 MSC 자체의 생존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MSC에서 Ad의 증식을 최적화할 수 있어, 체내 주입된 MSC가 목적부위에 도달할 때쯤, Ad의 증식에 의한 더욱 강력한 항암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이러스 증식과 MSC 생존률이 균형을 이루는 최적 조건의 Ad가 도입된 MSC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는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은 종래 아데노바이러스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없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은 E1A 유전자의 프로모터 서열 위치에 삽입되어 E1A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전자발현 조절서열-발현 유전자 카세트는 결실된 E1 영역(E1A 영역 및/또는 E1B 영역, 바람직하게는 E1B 영역) 및/또는 E3 영역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실된 E1 영역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전자발현 조절서열-발현 유전자 카세트는 결실된 E4 영역에도 삽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바이러스 게놈 서열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 "결실"은 해당 서열이 완전히 결실된 것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결실된 것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본 발명의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이 E1A 유전자의 업스트림에 위치하는 경우, 즉 E1A 유전자에 본 발명의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이 작동적으로 연결된 경우(HRE-Ea-Eb-AFPm-E1A),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복제가 본 발명의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에 의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이 결실된 E3 유전자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유전자발현 조절서열-목적 유전자" 발현카세트 형태로 결실된 E3유전자 영역에 삽입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이 결실된 E4 유전자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유전자발현 조절서열-목적 유전자"발현카세트 형태로 결실된 E4유전자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에 삽입되는 목적 유전자는 프로모터-목적 유전자의 발현 카세트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프로모터로서, 본 발명의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예: Ea-Eb-AFPm, Ea2-Eb-AFPm 또는 HRE6-Ea2-Eb-AFPm) 또는 통상적인 프로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목적 유전자에 결합되는 통상적인 프로모터는, 바람직하게는 동물세포,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세포에서 작동하여 목적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및 포유동물 세포의 게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를 포함하며, 예컨대, U6 프로모터, H1 프로모터, CMV(cytomegalo virus) 프로모터,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HSV의 tk 프로모터, RSV 프로모터, EF1 알파 프로모터,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베타-액틴 프로모터, 인간 IL-2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IFN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IL-4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림포톡신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GM-CSF 유전자의 프로모터, inducible 프로모터, 암세포 특이적 프로모터(예컨대, TERT 프로모터, PSA 프로모터, PSMA프로모터, CEA프로모터, E2F 프로모터 및 AFP 프로모터) 및 조직 특이적 프로모터(예컨대, 알부민 프로모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발현 컨스트럭트에서 목적 유전자의 다운스트림에 폴리아데닐화 서열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네닐화 서열은, 소성장 호르몬 터미네이터(Gimmi, E. R., et al., Nucleic Acids Res. 17:6983-6998(1989)), SV40 유래 폴리 아데닐화 서열(Schek, N, et al., Mol. Cell Biol. 12:5386-5393(1992)), HIV-1 polyA(Klasens, B. I. F., et al., Nucleic Acids Res. 26:1870- 1876(1998)), β-글로빈 polyA(Gil, A., et al, Cell 49:399-406(1987)), HSV TK polyA(Cole, C. N. and T. P. Stacy, Mol. Cell. Biol. 5:2104-2113(1985)) 또는 폴리오마바이러스 polyA(Batt, D. B and G. G. Carmichael, Mol. Cell. Biol. 15:4783-4790(1995))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데노바이러스는 야생형 게놈의 약 105%까지 패킹할 수 있기 때문에, 약 2 kb를 추가적으로 패키징 할 수 있다(Ghosh-Choudhury et al., EMBO J., 6:1733-1739(1987)). 따라서, 아데노바이러스에 삽입되는 상술한 외래 서열은 아데노바이러스의 게놈에 추가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운반되는 외래 유전자는 에피좀과 동일한 방식으로 복제되며, 이에 숙주세포에 대해 유전적 독성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 전달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가 매우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K35 파이버(fiber)"란 아데노바이러스 혈청형(serotype) 35의 파이버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의미한다. 아데노바이러스는 캡시드(capsid)를 갖는 70-90nm의 외피가 없는 바이러스로, 상기 캡시드는 세 개의 주요 노출형 구조 단백질인 헥손(hexon), 파이버(fiber)그리고 펜톤염기(penton base)로 구성되는데, 캡시드의 각 꼭지점인 펜톤 부위에서 툭 튀어나온 노브(knob) 형태의 단백질을 파이버라고 한다. 아데노바이러스는 상기 파이버 단백질을 통해서 감염 대상 세포 등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역할을 하며, 혈청형에 따라 상이한 감염 및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K35 파이버 서열은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목적 유전자를 전달하는 아데노바이러스의 파이버를 K35로 변형한 결과, 낮은 농도의 아데노바이러스로도 중간엽 줄기세포(MSC)로의 유전자 도입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데노바이러스를 중간엽 줄기세포에 도입시키기 위해서 너무 높은 농도의 바이러스로 감염시킨 중간엽 줄기세포의 경우 오히려 중간엽 줄기세포의 사멸이 일어나는 등 생존력이 낮아졌으나, 낮은 농도의 아데노바이러로 감염시킨 중간엽 줄기세포의 경우,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후 중간엽 줄기세포 내에서 아데노바이러스의 증식이 일어나 중간엽 줄기세포 투여 시 더 우수한 항암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에 포함되는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은 5'에서 3' 방향으로 (a) HRE(hypoxia-response elements) 도메인 서열, (b) AFP(Alpha-Feto Protein) 프로모터의 인핸서 A 서열,(c) AFP 프로모터의 인핸서 B 서열, 및 (d) AFP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 및 상기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linked) 목적 유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는 5'에서 3' 방향으로 (a) 6카피(copy)의 HRE(hypoxia-response elements) 도메인 서열; (b) 2카피의 AFP(Alpha-Feto Protein) 인핸서 A 서열, (c) 1카피의 AFP 프로모터의 인핸서 B 서열, 및 (d) AFP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 상기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linked) 목적 유전자; 및 혈청형 35의 파이버(fiber) 노브(knob) 서열을 포함하는 아데노바이러스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는 5MMTERT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 및 상기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목적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은 목적 유전자가 특정 조건에서만 발현 할 수 있도록,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서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AFP 프로모터"는 난황낭과 태아 발생기 동안 간에서 발현이 높은 혈청단백질인 AFP(Alpha-Feto Protein) 단백질의 발현을 촉진하는 프로모터를 의미한다. AFP 단백질은 성인 간암 환자를 제외하고는 거의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간암에 대한 유용한 표지자로 이용되며, 개인마다 혈청 내 AFP의 발현 정도는 이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인핸서의 활성의 차이로 인하여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AFP 프로모터와 인핸서들의 특정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발현조절서열을 이용할 경우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치료 유전자가 암세포 특이적으로 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FP 프로모터의 서열은 서열번호 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HRE 도메인 서열"은 저산소-반응성 인핸서 서열을 의미한다. 저산소 조건에서 세포의 특정 유전자들의 발현이 조절된다(Bunn and Poyton Physiol. Rev. 76:839-885(1996); Dachs and Stratford Br. J. Cancer 74:5126-5132(1996); Guillemin and Krasnow Cell 89:9-12(1997)). 대부분의 종양세포는 불충분한 혈액공급을 받게 되는데, 이는 종양세포들이 일반적으로 혈관을 형성시키는 내피세포보다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이며, 이는 종양에서 저산소 상태를 유발하게 된다. 대부분의 고형 종양 내에서 야기되는 이러한 저산소 상태는 해당효소(glycolytic enzyme)나 혈관신생유발 전구인자(proangiogenic factor)와 같은 생존인자의 생산을 야기함으로써 방사선 치료나 화학 항암 치료에 저항성을 가지게 된다. 저산소 반응의 주요한 매개자는 전사 복합체 HIF(hypoxia inducible factor)-1α이고, 이는 다양한 유전자의 조절 부위에 있는 HRE와 상호작용 하며, 상기 유전자는 예컨대 혈관내피성장 인자(VEGF) 유전자, 그리고 에놀라아제-1과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와 같은 당분해 효소-코딩 유전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저산소 조건에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며 HIF-1α와 상호작용하는 서열인 HRE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상기 HRE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종양세포 선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아데노바이러스의 증식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전자 발현 조절 서열은 HRE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HRE 서열에 의한 전사 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HRE 반복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유전자 발현 조절 서열은 서열번호 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1 내지 10번 반복,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번 반복,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번 반복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6카피(copy)의 HRE(hypoxia-response elements) 도메인 서열은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은 전달 유전자의 발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열번호 3의 인핸서 A의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핸서 A의 서열은 반복서열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복서열은 동일한 서열이 연속적으로 반복될 수도 있고(immediately adjacent), 또는 프로모터나 인핸서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길이의 링커 뉴클레오타이드를 사이에 두면서 불연속적으로 반복될(discontinuous repeated)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에 포함되는 인핸서 A 서열은 서열번호 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 1 내지 10번 반복된 서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번 반복된 서열,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번 반복된 서열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은 5'에서 3'방향으로 HRE 도메인 서열, 인핸서 A 서열, 인핸서 B 서열 및 AFP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HRE 서열은 6번 반복되며, 상기 인핸서 A 서열은 2번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상기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목적 유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작동적으로 연결된(operatively linked)"이란 핵산 발현 조절서열(예: 프로모터, 시그널 서열, 또는 전사조절인자 결합 위치의 어레이)과 다른 핵산 서열 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상기 조절서열은 상기 다른 핵산 서열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발현 대상의 유전자(목적 유전자)의 종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현 대상의 유전자는 목적 부위에서 유전자의 기능을 발현시키고자 하는 유전자라는 측면에서 목적 유전자라고도 할 수 있고, 상기 목적 유전자는 치료 유전자 일 수 있다. 상기 치료 유전자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치료학적 트랜스 유전자(therapeutic transgene)라는 용어로도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학적 트랜스 유전자(therapeutic transgene)"는 생체 내에서 질병 또는 증상의 개선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한다. 상기 치료학적 트랜스 유전자는 일 예로 암세포 내에서 발현되어 치료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일 수 있다.
상기 목적 유전자는 일 예로 종양 억제인자 유전자, 자살 유전자, 항원성 유전자, 면역 증진 유전자, 세포독성 유전자, 세포증식 억제 유전자, 세포사멸 유전자, 항-신생 혈관 생성 유전자, 전이 억제유전자, 항체 유전자, 면역 조절 유전자 및 본 발명의 벡터에 의하여 전달될 수 있는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종양 억제인자 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는 표적 세포 내에서 발현되어 종양 표현형을 억제할 수 있거나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종양 억제 인자 유전자에는, p53 유전자, APC 유전자, DPC-4/Smad4 유전자, BRCA-1 유전자, BRCA-2 유전자, WT-1 유전자, 망막아세포종 유전자(Lee et al., Nature, 1987, 329,642), MMAC-1 유전자, 선종양 폴립증 코일 단백질(adenomatouspolyposis coil protein)(미국특허공보 5,783,666호), 결손된 결장 종양(DCC) 유전자, MMSC-2 유전자, NF-1 유전자, 염색체 3p21.3에 위치한 비인후 종양 억제인자 유전자(Cheng et al. Proc.Nat.Acad.Sci, 95:3042-3047(1998)), MTS1 유전자, CDK4 유전자, NF-1 유전자, NF-2 유전자 및 VHL 유전자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항종양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세포 내로 운반될 수 있는 외래 유전자 서열은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종양을 퇴화시키는 암 치료 유전자로서, 종양 억제 유전자, 면역 조절 유전자[예: 사이토카인 유전자, 케모카인 유전자 및 조자극 인자(costimulatory factor: B7.1과 B7.2와 같은 T 세포 활성에 필요한 보조 분자)], 항원성 유전자, 자살 유전자, 세포독성 유전자, 세포증식 억제 유전자, 친-세포사멸 유전자 및 항-신생 혈관 생성 유전자가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살 유전자는 세포가 외부 인자에 의해 살상되기 쉽도록 유도하는 물질을 발현하거나 세포에 독성 조건을 유발하는 핵산 서열이다. 이러한 자살 유전자로 잘 알려진 것은 티미딘 키나제(TK) 유전자이다(미국특허 제5,631,236호 및 제5,601,818호). TK 유전자 산물을 발현하는 세포는 간사이클로비르(gancyclovir)의 투여에 의해 선택적인 사멸에 민감하다. 종양 억제 유전자는 종양의 형성을 억제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가리킨다. 종양 억제 유전자는 포유동물에서 자연발생 유전자이며, 이 유전자의 결실 또는 불활성화는 종양 발생에 필수 전제인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종양 억제 유전자의 예로는 APC, DPC4, NF-1, NF-2, MTS1, WT1, BRCA1, BRCA2, VHL, p53, Rb, MMAC-1, MMSC-2, 망막아세포종 유전자(Lee et al. Nature, 329:642(1987)), 선종양 폴립증 장 단백질(adenomatous polyposis coli protein; 미국특허 제 5,783,666 호), 염색체 3p21.3에 위치한 비인후 종양 억제인자 유전자(Cheng et al. Proc. Nat .Acad. Sci., 95:3042-3047(1998)), 결손된 결장 종양(DCC) 유전자, MTS1, CDK4, VHL, p110Rb, p16 및 p21을 포함한 종양 억제 유전자의 INK4 계열의 일원 및 이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단편(예, p56Rb, p94Rb 등)이 포함된다. 당업자는 상기 예시된 유전자 외에 기타 알려진 항종양 유전자 모두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항원성 유전자(antigenic gene)"는 표적 세포 내에서 발현되어 면역 시스템에서 인식할 수 있는 세포 표면 항원성 단백질을 생산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한다. 이러한 항원성 유전자의 예에는 암태아성항원(carcinoembryonic antigen, CEA), HER-2, PSA(prostate specific antigen) 및 p53(Levine, A., 국제특허출원공개 WO94/02167호)이 포함된다. 면역 시스템이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항원성 유전자를 MHC 제I형 항원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세포독성 유전자(cytotoxic gene)"는 세포내에서 발현되어 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한다. 이러한 세포독성 유전자의 예에는 슈도모나스 외독소(exotoxin), 리신독소, 디프테리아 독소, CD(cytosine deaminase), Super-CD(Super-cytosine deaminase), TK(thymidine kinase) 등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세포증식 억제 유전자(cytostatic gene)" 세포 내에서 발현되어 세포 주기 도중에 세포 주기를 정지시키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한다. 이러한 세포증식 억제 유전자의 예에는 p21, 망막아세포종 유전자, E2F-Rb 융합 단백질 유전자, 사이클린-종속성 카이네이즈 억제인자를 코딩하는 유전자(예를 들면, p16, p15, p18 및 p19), 성장 중지 특이성 호메오박스(growth arrest specific homeobox: GAX) 유전자(국제특허출원공개 WO 97/16459호 및 WO96/30385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세포사멸 유전자(apoptotic gene)"는 발현되어 프로그램된 세포 소멸을 유도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한다. 이러한 친-세포사멸 유전자의 예에는 p53, TRAIL, MDA-7(IL-24), 아데노바이러스 E3-11.6K(Ad2 및 Ad5에서 유래) 또는 아데노바이러스 E3-10.5K(Ad에서 유래), 아데노바이러스 E4 유전자, p53 경로 유전자 및 카스파제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항-신생혈관생성 유전자(anti-angiogenic gene)"는 발현되어 항-신생혈관 생성 인자를 세포 밖으로 방출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한다. 항-신생혈관 생성 인자에는, 바스타틴(vastatin), 안지오스타틴, Tie 2(PNAS, 95:8795-800(1998))와 같은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의 억제 인자, 엔도스타틴, VEGF decoy 단백질, VEGF Trap, VEGF siRNA 등이 포함된다.
침윤에 의한 전이를 억제하는 "전이 억제 유전자로"서, 예를 들어 BRMS1, CRSP3, DRG1, KAI1, KISS1, NM23 및 다양한 TIMP(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용어 "항체 유전자(antibody gene)"는 정상세포와 달리 암세포에서 우선적 또는 독점적으로 발현되는 항원들에 결합하여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특정 항체를 생산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한다. 이러한 항체 유전자의 예에는 anti-DR4/DR5, anti-CTLA-4, anti-PD-1, anti-PD-L1, anti-Her2/neu, anti-VEGF, anti-VEGFR, anti-cMet, anti-Survivin, anti-EGFR, anti-Wnt, anti-Ly49 등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 조절 유전자(immune-related gene, immune-modulating gene)"는 면역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모든 유전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이토카인(예, 인터페론-알파, -베타, -델타 및 -감마), 인터루킨(예, IL-1, IL-2, IL-4, IL-6, IL-7, IL-10, IL-12, IL-17, IL-18, IL-19, IL-20 및 IL-23) 및 콜로니 자극 인자(예, GM-CSF 및 G-CSF)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케모카인 그룹(단핵구 화학 주성단백질 1(MCP-1), 단핵구 화학 주성 단백질 2(MCP-2), 단핵구 화학 주성단백질 3(MCP-3), 단핵구 화학 주성 단백질 4(MCP-4), 대식구 염증성 단백질 1α(MIP-1α), 대식구 염증성 단백질 1β(MIP-1β), 대식구 염증성 단백질 1γ(MIP-1γ), 대식구 염증성 단백질 3α(MIP-3α), 대식구 염증성 단백질 3β(MIP-3β), 케모카인(ELC), 대식구 염증성 단백질 4(MIP-4), 대식구 염증성 단백질 5(MIP-5), LD78β, RANTES, SIS-엡실론(p500), 흉선 활성화-조절되는 케모카인(TARC), 에오탁신, I-309, 인간 단백질 HCC-1/NCC-2, 인간 단백질 HCC-3, 마우스 단백질 C10 등) 및 보조자극 인자(costimulatory factor: B7.1과 B7.2와 같은 T 세포 활성에 필요한 보조 분자)등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벡터에 의하여 전달될 수 있는 뉴클레오타이드는 CD44v3/6, ADP(Adenovirus death protein), IFN-γ, HIF-1α siRNA, IDO2(idolamine 2,3-dioxygenase2) siRNA, Wnt decoy 단백질, VEGF decoy 단백질, cMet siRNA, microRNA(microRNA-26a), miR-99a, miR-143, miR-193a-3p, miR-206, miR-506(fokhead box Q1), shAkt1, shMYO6, NIS(sodium-iodine symporter), HSV-TK, LMP2A/LMP1, IP-10/CXCL10, PF-4var/CXCL4L1, oncostatin M, CD 147을 타겟팅하는 인간-마우스키메릭 항체(human-mousechimeric antibody), 인간 항체(humanized antibody), Lin28을 타겟팅하는 징크 핑거 단백질, VEGF 타겟팅 징크 핑거 단백질, cMet 타겟팅 징크 핑거 단백질, Cas 9 단백질과 guiding RNA, TALEN 단백질, TRAIL 단백질, 또는 PTEN(phosphatase and tensin homolog protein) 코딩 유전자가 있고, 본 발명의 치료학적 트랜스 유전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miR-99a는 mTOR, AKT1 및 FGFR3를 타겟팅하고, miR-193a-3p는 PSEN1 유전자를 타겟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캡시드 단백질 인코딩 뉴클레오타이드에 형광성 단백질 인코딩 뉴클레오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된 세포 내 아데노바이러스의 위치 추적이 용이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데노바이러스의 캡시드를 구성하는 단백질에 형광 표지자 단백질을 삽입할 경우 실시간으로 바이러스의 경로 및 분포를 추적할 수 있다. 바이러스의 유전자 내에 표지 유전자가 삽입된 경우 DNA가 단백질로 전환된 후에야 단백질의 발현이 확인된 반면, IX 단백질에 표지 단백질이 결합된 바이러스의 경우 바이러스의 감염 경로에 관계없이 바이러스의 감염 초기부터 단백질의 발현 및 바이러스의 위치추적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용한 비침습적 분자영상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캡시드 단백질은 pIX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형광성 단백질은 GFP(green fluorescent protein), RFP(red fluorescent protein), CFP(cyan fluorescent protein), YFP(yellow fluorescent protein), BFP(blue fluorescent protein), EGFP(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CFP(enhanced cyan fluorescent protein), EYFP(enhanced yellow fluorescent protein), ERFP(enhanced red fluorescent protein), EBFP(enhanced blue fluorescent protein) 및 루시퍼라제(lucifer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는 성체 줄기세포의 일종으로, 지방세포, 골아세포, 연골세포 등 다양한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유전자 운반체 중 하나로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특정 리셉터 등이 결여되어 있어, 아데노바이러스가 감염을 일으키지 않아,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파이버 단백질의 변형에 의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로의 도입능이 개선되어, 체 내의 원하는 부위로 목적 유전자를 전달하는 유전자 전달체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중간엽 줄기세포의 경우 아데노바이러스의 도입이 어려워 유전자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입 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아데노바이러스가 필요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생존능 및 특성이 저하되고, 중간엽 줄기세포의 빠른 사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중간엽 줄기세포에 탑재하는 경우 낮은 농도의 MOI에서도 아데노바이러스의 도입이 잘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탑재한 줄기세포(Ad-MSC)의 경우 다른 줄기세포와 비교해서 높은 생존능을 가지고 있고, 탑재된 아데노바이러스가 증식할 수 있는 배양체 역할을 하면서, 그 자체로 면역원성을 일으키지 않은, 유전자 치료에서 우수한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줄기세포는 전신성 투여 또는 국부 투여가 가능한 것 일 수 있다. 일 예로, 전신성 투여는 정맥투여와 복강내 투여, 폐강투여, 그리고 요도 내 주입(intravesical injection)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유전자 치료에서 아데노바이러스 자체를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하는 경우, 자체의 면역원성 등에 의하여 체 내 주입 후 목적 부위에 도달하기 전에 소멸되거나 간독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Ad-MSC)의 경우 면역 반응이 낮거나 없어, 전신투여가 가능하고, 종양세포로 타겟성이 우수하여 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은 전신성 투여용 일 수 있다. 종래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만을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하는 경우, 전신투여가 불가능하고, 목적부위에 도달하기 전에 체 내 면역세포 등에 의하여 아데노바이러스 벡터가 소실되는 유전자 전달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원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를 탑재한 줄기세포(Ad-MSC)의 경우 암 특이적인 특성 외에, 면역 반응이 낮거나 없어, 전신투여가 가능하고, 종양세포로 타겟성이 우수하며 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있어, 유전자 전달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수 등에서 분리할 수 있고, 환자 자신 또는 혈액은행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동종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를 유전자 전달체로 이용하는 경우 자가 치료뿐 아니라 동종의 치료도 가능한 바, 유전자 치료의 단가를 더욱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자 발현 조절 서열 및 목적 유전자를 포함하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중간엽 줄기세포 내로 도입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 도입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이러스 감염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 목적 유전자 및 K35 파이버를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상술한 바와 같고, 기재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가 도입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은 암 특이적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아데노바이러스에 포함된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은 간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유전자의 발현이 가능한 프로모터 및 인핸서로 설계 된 것 일 수 있고, 더욱이 저산소 조건에서 유전자 발현이 우수하도록 HRE 도메인 서열을 포함하는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AFP 양성 간암 세포는 물론, AFP 음성 간암 세포 모두에서 특이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나타나며, 정상세포에는 목적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는 것을 확인 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암종의 종류에 구분없이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전암 특이적 암세포 살상용 아데노바이러스(pan-cancer specific oncolytic Ad)를 이용하여, 종양조직에서 특이적으로 치료효과를 가짐을 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은 목적유전자의 종류에 따라서 효과를 달리 할 수 있으므로, 암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줄기세포에 대하여 앞서 기술된 내용과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하고, 상술한 내용을 준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5'에서 3' 방향으로 (a) HRE(hypoxia-response elements) 도메인 서열, (b) AFP(Alpha-Feto Protein) 프로모터의 인핸서 A 서열,(c) AFP 프로모터의 인핸서 B 서열, 및(d) AFP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 상기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linked) 치료 유전자; 그리고 혈청형 35(K35) 파이버(FIBER)의 노브(knob)를 코딩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가 도입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암 치료용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암의 종류는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에 삽입되는 치료 유전자의 종류 및 프로모터의 종류 등에 따라서 치료 대상으로 하는 암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암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암의 구체적인 예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위암, 폐암, 간암, 자궁경부암, 백혈병, 췌장암, 소아고형암, 결장암, 피부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방광암, 신장암, 두경부암, 뇌암, 골육종, 전립선암, 연조직암, 갑상선암, 상인두암, 식도암, 안구암, 유방암 또는 담도암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일 예로 전암(pan cancer) 특이적 종양살상형(oncolytic) 아데노바이러스로도 효과를 확인하였는바 상기 암종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또한, 간암 치료용 유전자를 삽입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간암 치료용 일 수 있다.
상기 암은 암세포 또는 종양조직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는 AFP 양성 간암세포 및 AFP 음성 간암세포 모두에서 치료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암세포 살상능을 나타낼 수 있는바, 간암세포의 표현형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를 탑재한 줄기세포(Ad-MSC)를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경우, 암 특이적으로 치료 유전자 발현이 가능하여, 다른 정상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고, 면역 반응이 낮거나 없어, 전신투여가 가능하며, 종양세포로 타겟성이 우수하며 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있어, 유전자 전달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체 내 주입 후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하여 중간엽 줄기세포 자체가 사멸하는 바, 중간엽 줄기세포의 체 내 잔존에 의한 부작용 발생 우려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질환과 관련된 임상적 상황을 억제하거나 완화하여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치료는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예상되는 생존율과 비교하여 증가된 생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치료는 치료적 수단 이외의 예방적 수단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치료는 일 예로 종양세포의 사멸 또는 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체"는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개, 고양이, 생쥐, 인간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또는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및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조직 또는 장기에 주입하기에 적합한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등장성 멸균 용액, 또는 경우에 따라 멸균수나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주사 가능한 용액이 될 수 있는 건조 제제(특히 동결 건조제제)로 제형화할 수 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진제,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및 활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정맥 내 투여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은 목적하는 치료되어야 할 특정 질환의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하거나 전적으로 중지 시키는 데 필요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조성물은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준비예 ] 실험의 준비 및 실험방법
1. 실험재료 및 준비
본 발명의 실험에서 사용된 세포주, 예를 들어, HEK293 (아데노바이러스 E1 영역을 발현하는 인간 배아 신장 세포주), A549 (인간 폐암 세포주), AFP-양성 HCC (Hep3B), AFP-음성 HCC (Hep1),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바, ATCC(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는 10% 소 태아 혈청 (FBS: Gibco BRL), 페니실린 (100 IU/mL), 및 겐타마이신 (20μg/mL)으로 보충된 Dulbecco's 변형된 Eagle's 배지 (Gibco BRL, Gaithersburg, MD)에서 배양하였다. 모든 세포주는 37℃, 5% CO2의 가습된 인큐베이터에서 보관되었다. 건강한 성인 남성 기증자에서 골수 흡인으로부터 분리된 인간 MSC를 Pharmicell Co., Ltd.(성남, 한국)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냉동보관된(cryopreserved) MSC 세포를 해동시켜, 연구에 사용 하였다. MSC는 10% FBS (Gibco BRL), 페니실린 (100 IU/mL), 스트렙토 마이신 (50 mg/mL) 및 겐타 마이신 (20 μg/mL)이 포함된 낮은-글루코스 Dulbecco's 변형된 Eagle's 배지로 37℃, 5% CO2의 가습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되었다.
본 발명에서 간암 특이적으로 WNTi를 발현하는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한 표기로 Ha2bm-d19-k35/sLRP6, Ha2bm-d19-k35/WNTi 또는 HCC-oAd-WNTi를 교환적으로 사용하였다.
2. 통계 분석
데이터는 평균±표준 편차(SD)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양측 Student T-test 또는 One-way Anova 검정(SPSS 13.0 소프트웨어, SPSS, Chicago, IL)에 의해 결정하였다. 0.05 미만의 P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 실시예 1]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제작
시험예 1-1. AFP 프로모터의 인핸서(enhancer)와 사이렌서( silencer ) 부위를 재조합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의 제작
간암 특이적 아데노바이러스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간암 환자들에게서 발현이 높은 AFP 단백질의 프로모터 부위를 재조합하여 각각의 프로모터 활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5.1 Kb의 AFP 프로모터 부위가 삽입된 phAFP5.1로부터 인핸서 A(enhancer A, 365 bp, 서열번호 3), 인핸서 B(enhancer B, 193 bp, 서열번호 4), 디스탈 사이렌서(distal silencer, 90 bp), 프록시멀 사이렌서(proximal silencer, 156 bp), AFP 미니멀 프로모터(AFP minimal promoter, 300 bp, 서열번호 5)부위를 각각 PCR로 증폭하여 DNA조각을 얻고 표지유전자로서 루시페라아제(luciferase)가 삽입된 벡터인 pGL3-Basic vector에 각각의 조각들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변형된 AFP 프로모터들을 제작하였다(도 1).
시험예 1-2. AFP 프로모터의 인핸서와 사이렌서 부위를 재조합한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의 활성 비교
상기 시험예 1-1에서 제작된 AFP 프로모터들에 의한 조직 특이적인 루시페라아제(luciferase)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CC 세포주 중 AFP 발현이 높은 Huh7, 중간 정도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Hep3B와 HepG2, AFP를 발현하지 않는 Hep1, 간암 외의 다른 조직의 암 세포로 뇌 암 세포주인 U343, 폐암 세포주인 A549, 인체 정상 세포주인 BJ, WI38, CBHEL, IMR90에 각각의 DNA를 형질주입(transfection)하고 48시간 후 세포를 용해(lysis)시켜 루시페라아제 활성 분석(luciferase activity assay)을 수행하였다(도 2).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FP를 발현하는 HCC 세포주인 Huh7, Hep3B, HepG2세포주에서 루시페라아제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AFP를 발현하지 않는 hep1 및 다른 조직의 암세포, 정상세포 모두에서 거의 루시페라아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에 이용된 프로모터들 중 2 카피(copy)의 인핸서 A와 1 카피의 인핸서 B가 미니멀 프로모터(minimal promoter)와 결합된 a2bm에 연결된 루시페라아제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상기 플라스미드가 간암에서 특이적으로 발현 되는 조직 특이성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3. 변형된 AFP 프로모터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이 조절되는 아데노바이러스의 셔틀벡터 제작
상기 시험예 1-2의 다양한 재조합 프로모터에 의해 루시페라아제의 발현이 조절되는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실험(루시페라아제 분석)결과에서 가장 뛰어난 유전자전달 효율을 나타내는 프로모터인 a2bm과 a2bSm 선택하고, 이들의 음성 대조군으로 AFPm을 이용하여, 각각 복제불능 아데노바이러스의 유전자에 삽입하여 바이러스를 제작하였다.
복제불능 아데노바이러스는 우선 아데노바이러스의 E1 셔틀벡터인 p△E1sp1A에 HindIII와 EcoRI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GFP 유전자를 삽입하여 p△E1sp1A/GFP 셔틀벡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벡터를 XhoI과 BglII로 자른 부위에 AFPm 프로모터가 삽입된 p△E1sp1A/AFPm/GFP, a2bm 프로모터가 삽입된 p△E1sp1A/a2bm/GFP, a2bSm 프로모터가 삽입된 p△E1sp1A/a2bSm/GFP 벡터를 각각 제작하였다. 또한 저산소 상태에서도 바이러스의 활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혈관신생인자인 VEGF의 HRE 도메인을 6 카피(copy) 반복하여 AFP 프로모터(promoter)의 상위 MluI 부위에 삽입한 p△E1sp1A/Ha2bm/GFP와 p△E1sp1A/Ha2bSm/GFP 셔틀벡터를 제작하였다(도 3).
시험예 1-4. 변형된 AFP 프로모터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이 조절되는 아데노바이러스의 제작
시험예 1-3에서 제작된 5종류의 E1 셔틀벡터를 Xmn 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선형화시키고, 아데노바이러스 토탈벡터인 dE1은 BstB 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선형화시킨 후, 셔틀벡터와 토탈벡터를 함께 대장균 BJ5183에서 상동 재조합시켜 최종적으로 아데노바이러스 AFPm-dE1/GFP, a2bm-dE1/GFP, a2bSm-dE1/GFP, Ha2bm-dE1/GFP와 Ha2bSm-dE1/GFP를 제작하였다(도 4).
그 다음, 상기 시험예 1-3에서 제작된 5종류의 플라스미드 DNA를 Pac 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선형화시킨 후, 아데노바이러스 생산 세포주인 HEK293에 리포펙타민(lipofectamine)을 이용해 형질 전환하여 바이러스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아데노바이러스들은 HEK293 세포주에 재감염시켜 CsCl 밀도구배(CsCl gradient)법으로 아데노바이러스를 농축하여 순수 분리한 후 한계 희석 검정(limiting dilution assay)과 바이러스 유전체(viral genome)의 흡광도에 의한 광학밀도(optical density, O.D)로 아데노바이러스의 역가를 결정하였다.
시험예 1-5. 변형된 AFP 프로모터에 의한 간암 특이적 유전자 발현 조절 여부 확인
상기 시험예 1-1에서 제조된 재조합 AFP 프로모터(AFPm, a2bm, a2bSm, Ha2bm, Ha2bSm)를 포함하고 간암 특이적으로 유전자의 발현이 조절되는 아데노바이러스의 GFP 유전자의 발현 조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AFP 발현 수준이 다른 간암 세포주(Huh7, HepG2, Hep3B 및 Hep1) 및 다른 조직의 암 세포주(A549), 인체 정상 세포주(HaCaT)에 복제불능 아데노바이러스(AFPm-dE1/GFP, a2bm-dE1/GFP, a2bSm-dE1/GFP, Ha2bm-dE1/GFP 및 Ha2bSm-dE1/GFP)를 각각 감염시키고 48시간 후 FACS를 이용하여 GFP를 발현하는 세포의 군(population)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산소(hypoxia) 상태에서의 프로모터 활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군들은 각각의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후 저산소(1% O2) 조건에서 배양 후 다시 정상산소 농도조건으로 배양하는 것을 2 사이클(cycle)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도 6a, 6b, 6c, 6d, 6e 및 6f에 나타내었다.
도 6a, 6b, 6c, 6d 및 6f에 나타낸 바와 같이, AFP 발현 간암세포주(Huh7, HepG2 및 Hep3B)에서 Ha2bm-dE1/GFP에 의한 GFP 발현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Ha2bSm-dE1/GFP가 높았다. 또한, AFP가 양성인 간암세포주(Huh7, HepG2, 또는 Hep3B)뿐만 아니라 AFP가 발현되지 않는 간암세포주(Hep1)와 폐암세포주(A549)에서도 Ha2bm-dE1/GFP 및 Ha2bSm-dE1/GFP는 저산소(hypoxia)조건에서 정상산소(normoxia) 조건 보다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정상세포(HaCaT, 도 6e)에서는 모든 벡터에서 GFP의 발현양이 아주 낮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프로모터가 암 특이적인 프로모터로서 5가지 후보 바이러스 중 Ha2bm-dE1/GFP가 가장 우수한 암 특이적 유전자 발현 바이러스임을 확인하였고, 이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1-6. 간암 조직에서 변형된 AFP 프로모터에 의한 간암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 조절 여부 확인
상기 시험예 1-4에서 제조된 아데노바이러스가 암 조직 내에서 간암 특이적으로 AFP 프로모터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간암 세포주인 Hep3B를 이용하여 종양을 형성하고, a2bm-dE1/GFP 또는 Ha2bm-dE1/GFP 아데노바이러스를 종양 내로 주입하여 GFP 발현 여부를 형광으로 관찰하였다.
간암 조직에서 변형된 AFP 프로모터에 의한 간암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 조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6주령의 누드마우스 피하에 1x107 개의 Hep3B 세포를 주입하여 종양을 형성하고 종양의 크기가 200 mm3 정도 되었을 때 5x109 VP의 a2bm-dE1/GFP 또는 Ha2bm-dE1/GFP을 각각 이틀 간격으로 3회 종양에 직접 주입하였다. 3일 후 종양을 적출하여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고, 이를 3 ㎛ 두께로 절단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한 후 자일렌(xylene), 100%, 95%, 80%, 70% 에탄올 용액에 차례로 담가 파라핀을 제거(deparafinization)하였다. 이를 0.5% NP40 용액에 담가 조직의 투과성(permeability)을 높여준 후 저산소 상태를 표지하는 항-피모니다졸(anti-pimonidazole) 항체(HP1-100, Chemicon, Temecula, CA, USA)와 4℃에서 하룻밤 동안(overnight) 반응시켜, 저산소 부위(hypoxic region)를 붉은색(Red)으로 염색하였다. 다음 날, 알렉사 568(alexa 568)이 결합된 이차 항체로 상온에서 2시간 혼성화(hybridization) 시키고, anti-GFP 항체(MAB3580, Chemicon, Temecula, CA, USA)와 다시 4℃에서 하룻 밤 동안(overnight) 반응시켜, GFP 단백질을 녹색(Green)으로 염색했다. 다음 날, 알렉사 448(alexa 488)이 결합된 이차 항체와 상온에서 2시간 반응 시킨 후 DAPI로 염색(세포핵은 파란색(Blue)으로 염색)하고 형광 전용 마운팅(mounting) 용액으로 마운팅하여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confocal microscopy)으로 관찰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양세포 내에서 HRE가 포함되지 않은 프로모터에 비해 HRE가 포함된 프로모터를 탑재한 아데노 바이러스(Ha2bm-dE1/GFP)의 유전자 발현이 높았고, HRE의 삽입으로 정상산소 부위뿐만 아니라 종양 내 저산소 부위에서도 GFP의 발현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7. 변형된 AFP 프로모터에 의해 아데노바이러스의 복제가 조절되는 간암세포 특이적 세포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제작
앞서 복제불능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진행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여러 종류의 프로모터들 중 가장 효율성과 특이성이 높은 a2bm과 Ha2bm 프로모터를 선택하여 간암세포 특이적 세포살상 아데노바이러스를 제작하였다.
간암 표적화 아데노바이러스(HCC-targeting oAd vector)를 제작하기 위해, p△E1sp1A/a2bAFPm와 p△E1sp1A/Ha2bAFPm 벡터를 XhoI과 BglII로 자른 후 a2bm과 Ha2bm 프로모터를 각각 E1B19Dka이 제거되어 세포 살상능이 우수한 아데노바이러스 셔틀벡터에 삽입하여 p△E1sp1A/a2bAFPm/d19과 p△E1sp1A/Ha2bAFPm/d19 셔틀벡터를 제작하였다(도 8).
다음으로, 상기 2 종류의 셔틀벡터와 대조군인 p△E1sp1A/d19 셔틀벡터를 Xmn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선형화하고, 아데노바이러스 토탈벡터 dE1를 BetB 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선형화시킨 후, 셔틀벡터와 토탈벡터를 함께 대장균 BJ5183에 형질전환시켜 E1 상동 재조합시키고, 최종적으로 대조군 바이러스와 2종류의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인 d19, a2bm-d19, 또는 Ha2bm-d19를 제작하였다(도 9).
제작된 플라스미드 DNA를 Pac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선형화시킨 후, 아데노바이러스 생산 세포주인 HEK293에 리포펙타민을 이용하여 형질 전환하여 바이러스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아데노바이러스들은 HEK293 세포주에 재감염시켜 CsCl 농도구배법 으로 아데노바이러스를 농축하여 순수 분리한 후 한계 희석 검정과 바이러스 유전체의 흡광도에 의한 광학밀도(O.D)로 아데노바이러스의 역가를 결정하였다.
시험예 1-8. 변형된 AFP 프로모터에 의해 복제가 조절되는 간암 특이적 세포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세포 살상능 확인
상기 시험예 1-7에서 제작된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간암 특이적 세포 살상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양한 세포주(Huh7, Hep3B, Hep1, IMR90 및 MRC5)에 d19, a2bm-d19, 또는 Ha2bm-d19 아데노바이러스를 각각 감염시킨 후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10a, 10b, 10c, 10d 및 10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에 이용된 암세포(Huh7, Hep3B, Hepl)와 정상세포(IMR90, MRC5) 모두에서 d19 아데노바이러스의 세포 살상능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그러나, a2bm-d19 아데노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경우 세포주의 AFP발현 정도가 높은 세포에서만 살상능을 보였고, 특히 정상세포인 IMR90과 MRC5에서의 세포 생존률은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세포군과 거의 비슷하거나 더 높았다. 또한, HRE가 추가로 삽입된 Ha2bm-d19 아데노바이러스를 감염시켰을 때 저산소 조건에서 AFP를 발현하는 세포의 세포 살상능이 눈이 띄게 증가하였다. 특히, Hep3B 세포주에서는 강력한 세포 살상능을 지닌 d19 아데노바이러스와 비슷한 수준의 세포 살상능을 나타냈다. 그러나, IMR90과 MRC5와 같은 정상 세포주에서는 바이러스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과 비슷한 세포 생존률을 보여 본 발명의 변형된 AFP 프로모터를 탑재한 아데노바이러스가 간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살상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P를 발현하지 않는 Hep1세포주의 경우 Ha2bm-d19 아데노바이러스를 감염시켰을 때 저산소 조건에서 세포 살상능이 약 60% 증가한 것으로 보아 이질성(heterogeneity)이 높은 간암 조직 내에서 AFP를 발현하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AFP를 발현하지 않는 암세포 또한 제거할 수 있어 더 우수한 암세포 살상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시험예 1-9. 변형된 AFP 프로모터에 의해 복제가 조절되는 간암 특이적 세포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바이러스 복제능 확인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저산소 상태에서 세포 살상능이 현저히 증가된 현상이 바이러스의 복제능 증가와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ep3B 간암세포주와 A549 폐암세포주에 a2bm-d19 또는 Ha2bm-d19 아데노바이러스를 각각 감염시킨 후 세포 배양액과 살아있는 세포 모두를 수거하여 HEK293세포주에 재감염시켜 한계 희석 검정을 수행하였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암세포주에서는 a2bm-d19와 Ha2bm-d19 아데노바이러스의 복제능의 차이가 없지만, Ha2bm-d19 아데노바이러스가 감염된 Hep3B 세포주에서 저산소 상태에서도 바이러스의 복제가 저해되지 않고 오히려 정상산소 조건과 비교했을 때와 a2bm-d19 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와 비교했을 때 40배 이상 복제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10. 스페로이드 ( Spheroid ) 내에서 간암 특이적 세포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복제능 검증
생체 외에서 자연적으로 암 조직 내부에 저산소 구역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누드마우스에 간암 세포주인 Hep3B를 주입하여 형성된 종양을 적출하여 스페로이드 배양(spheroid culture)를 수행하였다. 스페로이드 배양(Spheroid culture) 시 두 종류의 아데노바이러스 a2bm-d19 또는 Ha2bm-d19를 각각 감염시킨 스페로이드(spheroid) 부분(section)으로 아데바이러스의 복제와 관련된 E1A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조직면역염색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2bm-d19를 감염시킨 조직에서는 바이러스의 접근이 용이한 정상산소 구역일 것으로 예상되는 스페로이드 마진(margin) 부분에서만 E1A가 관찰된 반면, Ha2bm-d19를 감염시킨 조직에서는 스페로이드 마진(margin)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저산소 조건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조직 내부에서도 E1A 단백질이 관찰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암 특이적 세포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인 Ha2bm-d19가 생체 외뿐만 아니라 생체 내 저산소 조건에서도 복제능이 저해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시험예 1-11. 생체 내 간암 특이적 세포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복제능과 세포 살상능 검증
생체 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생체 내에서 간암 특이적 세포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세포 살상능과 복제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누드마우스의 피하에 Hep3B 세포주를 주입하여 형성된 종양에 PBS, 아데노바이러스 a2bm-d19 또는 아데노바이러스 Ha2bm-d19를 각각 투여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종양 조직 내에서 아데노바이러스의 복제와 관련된 E1A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 TUNEL 어세이를 통하여 세포살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데노바이러스의 E1A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염색법을 시행한 결과 HRE가 삽입된 Ha2bm-d19를 처리한 실험군의 경우 a2bm-d19를 처리한 실험군에 비해, E1A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Ha2bm-d19 그룹의 종양 조직은 E1A가 조직의 넓은 범위 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UNEL 어세이 결과에서도 E1A와 마찬가지로 HRE가 탑재된 Ha2bm-d19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TUNEL 염색 양성인 세포고사가 진행된 세포들이 종양 조직 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종양조직내의 저산소 조건에서도 HRE가 포함된 Ha2bm-d19의 경우 HRE가 없는 a2bm-d19에 비해 바이러스 복제능의 저해 없이 우수한 세포살상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12. 동소이식 모델을 이용한 생체 내 간암 특이적 복제가능 아데노바이러스의 항종양 효과 검증
동물 실험은 6주령의 수컷 누드 생쥐(BALB/c-nu)를 오리엔트(Orient Inc., Korea)에서 구입하여 시행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온도는 22 ± 2℃, 습도는 55 내지 60% 로 유지되었으며, 명암 순환이 12시간 단위로 조절되게 하였고, 방사선 조사로 멸균한 고형사료(중앙 실험동물, Seoul, Korea)와 멸균된 급수를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였다.
실제 종양형성 모델에 가장 가까운 동소이식 모델을 확립하기 위하여 6주령 수컷 누드마우스의 복부 피하를 절개하여 20 ㎕ 의 HBSS로 부유시킨 1x106 개의 루시페라아제(luciferase)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Hep3B 세포를 마트리겔(matrigel, BD Bioscience, San Jose, CA, USA) 20 ㎕와 섞어 좌측 간엽에 직접 주입하고 다시 봉하였다. 세포 주입 2주 후 마우스들에게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AFP ELISA 키트(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혈액 내 AFP 발현량을 측정하고, AFP 발현량이 700 ng/mL 이상인 마우스들을 세 그룹으로 나눠 실험에 이용하였다. PBS 또는 두 종류의 아데노바이러스(a2bm-d19, Ha2bm-d19)를 2.5x1010 VP씩 이틀 간격으로 세 번 꼬리를 통해 정맥주사 하고 1주일 간격으로 200 mg/kg의 루시페린(luciferin, Promega, Madison, WI, USA)을 복강 내 투여한 후 IVIS 100(Xenogen, Alameda, CA, USA)을 이용하여 optical imaging을 실시하였다. 이미징(Imaging)을 통해 얻은 신호는 IGOR-PRO Living Image software(Xenogen, Alameda, CA, USA)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바이러스 주입한 지 5주 후 혈액을 채취하고 혈청을 분리하여 혈액 내 AFP 발현량을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간암 조직은 적출하여 무게를 잰 후 파라핀 블록으로 제작하였다. PBS, a2bm-d19 또는 Ha2bm-d19를 각각 정맥 주사한 후, 일주일마다 광학 사진(optical imaging)을 이용하여 항종양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데노바이러스를 주입한 주 5주가 지난 후 세 그룹간의 항종양 효과가 가장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a2bm-d19 바이러스를 투여한 그룹의 경우 6마리 모두에서 종양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Ha2bm-d19를 투여한 그룹의 경우 대부분의 마우스에서 종양의 성장 속도가 둔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바이러스를 투여하고 5주가 지났을 때 Ha2bm-d19를 투여한 그룹이 a2bm-d19를 투여한 그룹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더욱 작아진 것을 확인 하였다. 종양의 크기 변화를 전체(total) 플럭스(flux) 수치를 이용하여 정량화 해보면, 바이러스 투여 5주 후 Ha2bm-d19를 투여한 그룹은 a2bm-d19를 투여한 그룹에 비해 5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약 82%의 종양 성장 억제효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Ha2bm-d19 투여가 우수한 항종양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암 특이적 세포살상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항종양 효과를 이미지와 동시에 혈청 내 AFP 발현양(바이러스 투여 5주 후)을 비교해보면 전체 플럭스(total flux) 수치와 마찬가지로 Ha2bm-d19를 투여한 그룹이 a2bm-d19를 투여한 그룹에 비해 5배 낮은 농도의 AFP를 발현하였다.
[실시예 2]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탑재용 줄기세포 제작
시험예 2-1. MSC로의 아데노바이러스의 유입효율 최적화
중간엽 줄기세포(MSC, 파미셀주식회사) 대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전달 효율(trasduction efficiency)을 확인하기 위하여 LacZ 유전자를 발현하는 파이버(fiber)가 서로 다른 세 종류의 바이러스인 dE1/LacZ, dEl-k35/LacZ, dEl-RGD/LacZ를 이용하여 중간엽 줄기세포(MSC, 파미셀주식회사)에 각각의 바이러스를 0~200 MOI로 감염시키고 이틀 후에 X-gal염색을 통하여 LacZ 발현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파이버 변형 아데노바이러스는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의 아데노바이러스 타입 35(혈청형 35)의 파이버 서열을 삽입한 아데노바이러스 셔틀벡터인 pSK5543-K35를 GFP 유전자가 아데노바이러스 E1 부위에 삽입 된 복제 불능 아데노바이러스인 dE1/GFP와 상동재조합을 통해 dE1-35/GFP 바이러스를 제작하였다(도 16a). 또한 아데노바이러스 파이버 말단에 RGD를 삽입한 아데노바이러스 셔틀벡터인 pSK5543-RGD를 GFP 유전자가 아데노바이러스 E1 부위에 삽입된 복제 불능 아데노바이러스인 dE1/GFP와 상동재조합을 통해 dE1-RGD/GFP 바이러스를 제작하였다(도 16b). 제작된 아데노바이러스는 HEK293 세포주에 형질 전환 시켜, 대량 증식을 통해 아데노바이러스를 생산하였다.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dEl-k35/LacZ 바이러스로 MSC를 감염시킨 경우, 가장 높은 유전자 전달효율을 보였다.
또한, Ad의 MSC로 최적 도입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상이한 파이버(fiber) 형을 갖는 GFP-발현 Ad5를 이용해서 형질도입 효율을 확인하였다: dE1/GFP(야생형 파이버를 갖는 Ad5 벡터), dEl-k35/GFP(Ad 혈청형 35의 파이버 노브(knob)를 갖는 키메릭 Ad5), dEl-RGD/GFP(Ad 파이버의 HI 루프에 RGD 포티브를 포함하는 Ad5 벡터), dE1-k3S/GFP(Ad5의 절단된 파이버 샤프트(shaft) 및 Ad3의 파이버 노브를 함유하는 키메릭 Ad5), dE1-VSVG(12L)/GFP, dE1-VSVG(12C)/GFP 및 dE1-VSVG(12R)/GFP. 유전자 전달 전에, 24시간 동안 MSC를 24-well에 5Х104 cells/well의 밀도로 접종하였다. 상기 MSC 세포를 각각의 Ad로 0, 5, 20 또는 100 MOI로 처리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인큐베이팅하였다. GFP 발현은 형광 현미경(Olympus IX81; Olympus Optical, Tokyo, Japan)으로 측정되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MOI(multiplicities of infection)에서 dE1/GFP 및 dE1-RGD/GFP는 MSC로 형질도입 효율은 유의적으로 매우 낮았다. dE1-k3S/GFP의 경우 용량 의존적으로 더 높은 GFP 발현 수준을 보였으나, 효율은 유의적으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dE1-k35/GFP의 경우 MSC로 매우 높은 전달 효율을 보였다. 이는 LacZ 발현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특히 서열번호 1의 Ad 혈청형 35의 파이버 노브를 갖는 아데노바이러스의 경우 중간엽 줄기세포에 대하여 5 MOI에서도 감염이 잘 일어나는바, 중간엽 줄기세포에 탑재하기 위한 아데노바이러스로서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후, 서열번호 1의 파이버(fiber)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2-2. MSC에서의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MSC의 세포 살상능과 바이러스 복제능 검증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H5cmT-Rd19-k35/Luc)를 0.02, 0.05, 0.1, 0.2, 0.5 또는 1 MOI의 역가로 MSC에 감염시키고 세포 살상능을 MTT 어세이(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MSC에서 생성되는 바이러스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Q-PCR을 통하여 바이러스 증식능을 확인하였다.
H5cmT-Rd19는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6개의 HRE 인핸서(서열번호 6)를 포함하며, 5MMTERT프로모터에 의해 E1A 유전자의 발현이 조절되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아데노바이러스 전체 유전자를 주형으로 하여 Rb7△19/E1B55 부위를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로 증폭하여, 원하는 유전자 부위를 얻었다. 센스 프라이머(Sense primer)로 5'-GCGGAATTCACTCTTGAGTGCCAGCGAGTA-3'와 안티센스 프라이머(antisense primer로 5'-CGCGGATCCACATTTCAGTACCTCAATCTG-3'을 사용하였으며, 클로닝 상의 편의를 위해 EcoRI과 BamHI 제한효소 부위를 삽입하였다. 생성된 PCR 산물을 EcoRI과 BamHI으로 절단한 후, pBluescriptⅡSK(+)벡터에 삽입하고, 본 연구실에서 제조한 5MMTERT 프로모터를 포함하고 있는 벡터를 ClaI과 EcoRI으로 절단한 후, 삽입하였다. 마지막으로, 6개의 HRE 서열을 첨가하기 위해 XhoI과 SalI으로 절단하여 앞서 제작된 pBluescriptⅡSK(+)/5MMTERT/Rb7△19 벡터로 전달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pBluescriptSK(+)/HRE65MMTERT/Rb7△19로부터 재조합한 인핸서와 프로모터를 E1 셔틀벡터인 pΔE1sp1B에 삽입하기 위해 XhoI과 BamHI으로 절단하여 삽입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작된 E1 셔틀 벡터를 XmnI 제한효소로 절단한 후 BstB제한효소 처리로 단일가닥이 된 아데노바이러스 dl324BstB과 함께 대장균 BJ5183에 동시에 형질 전환시켜, 유전자 상동 재조합(homologous recombination)을 유도하였다. BJ5183에서 획득한 재조합된 플라스미드 DNA는 다시 DH5α 대장균에 형질 전환시켜 DNA를 증폭시켰다. DH5α 대장균으로부터 상동 재조합된 플라스미드 DNA를 수득하고 HindIII 제한효소로 처리하여 각각의 재조합된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체들을 선별하였다. 상기 H5cmT-Rd19를 백본으로한 바이러스의 knob부분을 k35(서열번호 1) 서열로 치환하고, 영상화를 진행할 수 있게 Luc 유전자를 삽입하여 사용하였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암 특이적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감염시간, 또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살상능과 바이러스 증식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세포치료제 전달체로서 MSC를 이용하는 경우, 세포 살상능을 갖는 바이러스의 증식에 의하여 더 높은 암세포 살상을 유도할 수 있어, 다른 전달체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우수한 항암 효과를 가짐을 확인 하였다. 또한, 생체 내 주입 후, 일정 시간 이후에는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MSC가 제거가 되는바, 종래 MSC를 세포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 생체 내 MSC의 잔존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MSC 내에 아데노바이러스를 탑재한 세포 치료제는 바이러스의 생산량을 증가시켜 항암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MSC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시험예 2-3. 인체 간암 동소이식(orthotopic) 모델 구축
실제 종양형성 모델에 가장 가까운 동소이식 모델을 확립하기 위하여 6주령 수컷 누드마우스의 복부 피하를 절개하고, 20 ㎕의 HBSS로 부유시킨 1x106 개의 루시페라아제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Hep3B 세포를 매트리겔(matrigel) 20 ㎕와 섞어 좌측 간엽에 직접 주입하였다(도 19). 세포 주입 2주 후, 마우스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AFP ELISA kit를 이용하여 혈액 내 AFP 발현량을 측정하고, AFP 발현량이 300 ng/ml 이상인 마우스들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또한, 발광 이미지(luminescence imaging)를 통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루시페라아제를 발현하는 간암세포주가 투여된 누드마우스 내의 종양생성 및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하였다(도 20).
시험예 2-4.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에 의한 유전자치료제의 암 표적
간암 동소이식 모델에서 Ad-MSC의 종양 특이적 로컬리제이션(localization)과 간암 선택적인 아데노바이러스의 복제를 확인하기 위해서 먼저 H5cmT-Rd19-k35/Luc를 0.2 MOI, 0.5 MOI 및 1 MOI로 MSC에 각각 감염시켰다. 24시간후에 각각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마우스 1 마리당 1X106 cells로 간암 동소이식 모델(누드마우스)에 꼬리 정맥을 통해 투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PBS를 간암 동소이식 모델에 꼬리 정맥을 통해 투여하였다. 투여 후 2시간부터 28일 까지 발광 이미지(luminescence imaging)를 통하여 바이러스의 이동과 복제능을 실시간으로 관찰하였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암 특이적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해서 0.5 MOI 및 1 MOI의 농도로 감염된 Ad-MSC를 투여한 처리군에서 Ad-MSC가 성공적으로 종양부위에 전달되었고, 투여 후 28일째까지도 바이러스가 존재하면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종양살상 바이러스는 바이러스의 복제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종양에서 오랜 기간 동안 바이러스가 유지하면서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시험예 2-5. 줄기세포 탑재용 암 표적 아데노바이러스의 제작 및 생산
실시예 1의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의 활성을 비교하는 실험을 통하여 크기가 작으면서 프로모터의 활성이 우수한 a2bm을 선정하였고 저산소(hypoxia) 조건에서도 바이러스 복제가 가능한 HRE가 삽입된 Ha2bm를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로 최종 선정하였다. 또한, 시험예 2-1의 결과를 토대로 MSC에서 유전자전달효율이 뛰어난 서열번호 1의 파이버(fiber)를 선정하였으며, 유전자전달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리포터유전자인 Luc를 삽입하여 최종 Ha2bm-d19-k35/Luc를 후보물질로 선정하였다. 바이러스를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E1sp1A/Ha2bm/d19 셔틀벡터를 Xmn I으로, dE1-k35 토탈벡터를 BstB I으로 선형화하고 BJ5183 E- coli에 형질전환시켜 E1 상동재조합을 통해 Ha2bm-d19-k35를 제작하였다(도 22).
다음으로, 반딧불이 루시페라제를 발현 카세트를 Ad E3 셔틀벡터(pSP72E3)로 연결시켜, pSP72ΔE3/Luc Ad E3 셔틀벡터를 제조하였다. WNTi-발현하는 HCC 표적화 oAd 벡터를 만들기 위해서, WNTi를 코딩하는 서열을 pCA14-sLRP6E1E2 [60]로부터 서브 클로닝 한 다음, pSP72ΔE3에 연결시켜 pSP72ΔE3/WNTi_Ad E3 셔틀 벡터를 생성하였다. Ad E3 셔틀벡터(pSP72ΔE3/Luc 및 pSP72ΔE3/WNTi)는 XmnI를 이용해서 선형화하고, SpeI으로 선형화된 HCC-oAd(Ha2bm-d19-k35)[48]와 함께 대장균 BJ5183 세포로 동시-형질전환하여, 상동 재조합을 통해, Ha2bm-d19-k35/Luc(HCC-oAd-Luc) 또는 Ha2bm-d19-k35/WNTi(HCC-oAd-WNTi)를 각각 함유하는 플라스미드를 제조하였다(도 23a). 동종 재조합 Ad 플라스미드를 PacI로 절단하고 생산세포주인 HEK293 세포에 리포펙타민(lipofectamine)을 이용하여 형질감염시켜 HCC-표적화 HCC-oAd-Luc 및 HCC-oAd-WNTi를 제조하였다(도 23b). HEK293 세포에서 바이러스 입자가 생성되면 HCC-oAd-Luc 및 HCC-oAd-WNTi를 A549 세포에서 증식시키고 CsCl 구배 원심 분리로 정제하였다. 260 nm(OD260)에서 흡광도 1(OD260 = 1)일 때 VP의 수는 1.1x1012VP/mL인 광학 밀도 측정값으로부터 계산되었다. 정제된 바이러스를 사용할 때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시험예 2-6. MSC에서의 줄기세포 탑재용 간암 표적 아데노바이러스의 형질도입 효율 비교
MSC에 대한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형질도입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예 2-1에서 제조한 GFP를 발현하도록 설계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500 MOI로 중간엽 줄기세포에 도입한 후, 24시간 후에 GFP 유전자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Luc 유전자를 발현하는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인 Ha2bm-d19-k35/Luc(HCC-oAd-Luc)를 이용하여 MSC에 바이러스를 0, 50, 100, 또는 200 MOI로 감염시키고 이틀 후(감염 48시간 이후)에 IVIS 이미징 시스템(Xenogen Corp, Alameda, CA)을 이용해서, 루시페라제 신호를 확인하였다. 생물발광 (bioluminescence) 신호 강도는 관심영역으로부터 초당 획득된 광자(photon)(p/s)로 얻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경우 dE1-k35/GFP의 경우만 MSC로 유전자 도입이 원활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고, 50, 100 및 200 MOI의 oAd로 MSC를 형질전환시켰을 때, 아데노바이러스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Luc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 <0.001).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Ad의 경우 MSC로 효율적으로 도입되어, 전이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시험예 2-7. 치료유전자를 발현하는 줄기세포 탑재용 간암 표적 아데노바이러스의 제작 및 생산
간암 특이적 프로모터의 활성을 비교하는 실험을 통하여 크기가 작으면서 프로모터의 활성이 우수한 a2bm을 선정하였고 저산소(hypoxia) 조건에서도 바이러스 복제가 가능한 HRE가 삽입된 Ha2bm를 프로모터로 최종 선정하여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를 제작하였다. 종양세포의 살상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beta-catenin/wnt 신호전달(signaling)을 차단할 수 있는 sLRP6유전자를 발현하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제작하기 위하여, Ha2bm-d19-k35 토탈벡터 Spe I으로, pSP72dE3/sLRP6 셔틀벡터를 Xmn I으로 선형화하고 BJ5183 E- coli에 형질전환시켜 E3 상동재조합을 통해 Ha2bm-d19-k35/sLRP6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다(도 25 및 도 26).
제작된 플라스미드 DNA를 Pac 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선형화시킨 후, 아데노바이러스 생산세포주인 HEK293에 리포펙타민(lipofectamine)을 이용하여 형질 전환하여 바이러스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아데노바이러스는 HEK293 세포주에 재감염시켜 CsCl 밀도구배(gradient) 방법으로 아데노바이러스를 농축하여 순수 분리한 후 한계 희석 검정(limiting dilution assay)과 바이러스 유전체(viral genome)의 흡광도에 의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O.D)로 아데노바이러스의 역가를 결정하였다.
시험예 2-8.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간암세포 및 정상세포에 대한 살상능 비교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Ha2bm-d19-k35/sLRP6의 간암세포 특이적인 살상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0.1, 0.5, 2, 10 및 50 MOI로 각각 간암세포주인 Hep3B, Huh7, 그리고 Hep1와 정상세포인 HDF에 감염시킨 후 72시간 지났을 때 MTT 분석(assay)을 통하여 세포 살상능을 확인하였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암세포주 Hep3B, Huh7, 그리고 Hep1에서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농도에 따라 살상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상세포인 HDF에서는 살상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Ha2bm-d19-k35/sLRP6가 정상세포에는 살상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암세포에 대해서만 우수한 표적능을 가짐을 의미한다. 또한, AFP 양성(Hep3B, Huh7)인 간암세포뿐 아니라 AFP 음성(Hep1)인 간암세포에서도 Ha2bm-d19-k35/sLRP6가 뛰어난 암세포 살상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Ha2bm-d19-k35/sLRP6이 다양한 표현형의 임상 간암환자에서의 적용이 가능한 우수한 치료능을 가짐을 의미한다.
시험예 2-9. oAd의 MSC에 도입되는 양(dose) 최적화
전신 순환을 통해서 표적 조직에 도달하기 전에, 세포가 조기에 용해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전달체로서 MSC에 도입된 oAd의 도입량(loading dose)을 최적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MSC에 대한 oAd의 최적 도입량을 평가하였다.
MSC에서의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세포 살상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Ha2bm-d19-k35/sLRP6를 0.5, 1, 2, 5, 10, 20 및 50 MOI로 각각 MSC에 감염시킨 후 2, 5째에 MTT 분석을 진행하여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 생존률을 비교하였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MSC의 생존률은 모든 로딩량에서 감염 후 5일째 되는 경우 2일째 되는 경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01). 바이러스 농도의 증가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세포 살상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MSC가 종양표적을 하여 암조직에 도달하였을 때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살상 효과에 의하여 종양세포뿐 아니라 MSC도 생체 내에서 제거 될 수 있어, 종래 MSC를 세포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 생체 내 MSC의 잔존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MSC 내에 아데노바이러스를 탑재한 세포 치료제는 암조직으로 이동하는 시간 동안 MSC 내에서 증식되는 효과를 통해 바이러스의 함량이 증가되 항암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암조직에 도달 한 후에는 MSC를 제거하여 MSC가 생체 내 잔존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세포치료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oAd-로딩된 MSC를 더욱 최적화하기 위해서, MSC에서 바이러스 증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2-10. MSC에서 아데노바이러스의 생성량 확인
MSC에서의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생산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MSC에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Ha2bm-d19-k35/sLRP6를 0.5, 1, 2, 5, 10, 20, 50 및 100 MOI로 각각 MSC에 감염시킨 후 2, 5일째에 QPCR을 진행하여 바이러스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염 후 2일째에 0.5 내지 5MOI에서 바이러스 양의 10-배(fold)증가는 5000배(fold) 더 높은 수준의 바이러스 생산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5 내지 50 MOI에서 비슷한 수준의 증가는 약 1.8배(fold)의 최소한의 증가만을 나타냈다. 바이러스 생산 수준의 증가가 5MOI 이상의 MOI에서 안정된 상태를 보였고, MSC 생존률에서 현저한 함량-의존적 감소가 동일한 바이러스 함량 범위로부터 관찰되었기 때문에, oAd-로딩된 MSC를 제조할 때, 바이러스 증식과 MSC 생존률이 균형을 이루는 최적 조건으로서 5 MOI 및 2일 감염으로 수행하였다.
시험예 2-11.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 HCC - oAd -WNTi/MSC )의 항종양 효과 검증
2-11-1. WNTi를 발현하는 HCC-표적 타겟팅 oAd의 특성 확인
인핸서 부위-변형된 AFP 프로모터(Ha2bm)를 이용하여 WNTi를 발현하는 HCC-특이적 oAd, 즉, HCC-oAd-WNTi(도 38a)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HCC-oAd-WNTi가 Wnt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HCC-oAd로 감염되거나 HCC-oAd-WNTi로 감염된 Hep3B 세포에서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을 통해 Wnt 및 Wnt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된 다양한 다운스트림 요소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다.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HCC-oAd-WNTi 처리는 대조군 oAd(HCC-oAd) 또는 음성대조군(처리되지 않은 그룹)으로 감염된 세포보다 Hep3B 세포에서 현저히 낮은 수준의 Wnt 발현을 유도하였다. 또한 HCC-oAd-WNTi 처리는 빠른 암세포 증식 및 EMT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β-catenin 및 p-MEK(phospho-MAPK/ERK)와 같은 다양한 다운스트림 요소의 발현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간엽 표지자인 E-cadherin(epithelial cadherin)의 발현 수준은 HCC-oAd-WNTi 감염 Hep3B 세포에서 미처리 세포 또는 HCC-oAd 감염 세포에서 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HCC 세포의 Wnt 신호 경로가 HCC-oAd-WNTi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궁극적으로 EMT를 방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HCC-표적 oAd에 의한 WNTi 발현이 HCC 세포에서 oAd의 암세포 살상 효과를 향상시키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AFP-양성 HCC 세포를 임상적으로 승인된 oAd(H101), 동족 대조군 HCC-oAd 또는 HCC-oAd-WNTi로 다양한 MOI에서 감염시켰다. 도 3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HCC-oAd-WNTi는 AFP-양성 Hep3B 세포의 모든 MOI에서 H101 또는 대조군 HCC-oAd와 비교하여 용량 의존적으로 그리고 현저하게 우수한 암세포 살상 효과를 유도하였다(P <0.001). 이는, WNTi 발현이 간세포 암종(HCC) 특이적 oAd의 암세포 살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HCC-oAd-WNTi는 AFP-양성 HCC 세포(Hep3B)에 대하여 10MOI에서 H101 또는 대조군 HCC-oAd보다 5.46-배 또는 2.29-배 더 많은 세포 독성을 보였다.
Ha2bm 프로모터가 저산소 상태에서 Ad 복제의 저산소증 매개 억제를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우리는 Ha2bm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서 HCC-oAd-WNTi가 저산소 상태에서보다 강력한 암세포 살상 효과를 유도 할 수 있는지 평가했다. 도 3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HCC-oAd-WNTi는 저산소 및 정상산소 환경 모두에서 HCC-oAd보다 암 세포 살상 효과를 증가시켰다. 또한, HCC-oAd-WNTi는 저산소 상태에서 정상 산소보다 1.2 배 더 높은 암 세포 살상 효능을 보였다(P <0.001). 이러한 결과는 HCC-oAd-WNTi가 AFP 양성 간세포 암에서 강력한 세포 살상 효과를 이끌어 내고 저산소증에 의한 바이러스 복제의 하향 조절을 극복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11-2. HCC-oAd-WNTi/MSC의 강력한 간암(hepatoma) 치료 효과
HCC-oAd-WNTi/MSC의 HCC에 대한 종양살상능을 평가하기 위해 Hep3B 세포와 HCC-oAd-WNTi/MSC(5MOI의 바이러스로 2일 동안 감염된 MSC)를 세포비율 1:1로하여 공동배양하였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 1일째부터 5일째까지 정상 산소 및 저산소 조건 모두에서 미처리군과 MSC 투여군의 Hep3B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MSC가 암세포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대조적으로, HCC-oAd-WNTi 및 HCC-oAd-WNTi/MSC 처리군은 정상산소 및 저산소 조건 모두에서 처리 후 3일 및 5일째에, 미처리군 또는 MSC 처리군과 비교하여 Hep3B 생존률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므로, naked HCC-oAd-WNTi와 MSC에 로드된 Ad 모두 AFP-양성 HCC 세포 살상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HCC-oAd-WNTi로 처리되거나 HCC-oAd-WNTi/MSC로 처리된 Hep3B 세포 모두는 처리 1일째에는 미처리군과 유사한 수준의 생존력을 나타내며, 그 이후부터 암세포 생존율이 oAd-포함하는 군에 의해 감소하는 것은 증기-매가 세포 변성 효과임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HCC-oAd-WNTi와 HCC-oAd-WNTi/MSC는 Ha2bm 프로모터에 의하여, 치료 3일째와 5일째에 정상산소 상태보다 저산소 조건에서 더 높은 암세포 살상 효과를 나타냈다. 참고로, HCC-oAd-WNTi/MSC에 의한 처리는 정상산소 상태 또는 저산소 상태(P <0.05, P <0.01)에서 치료 3일 또는 5일째에 HCC-oAd-WNTi보다 유의적으로 더 강력한 간세포 암 살상 효과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HCC 세포에 바이러스를 전달하는 동안 MSC에서 HCC-oAd-WNTi의 효율적인 바이러스 복제가 oAd의 세포 사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2-11-3. 전신 투여된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 HCC -oAd-WNTi/MSC )의 항종양 효과 검증간암 동소 이식 모델( orthotopic HCC tumor model )에서 전신 투여된 oAd-로딩된 MSC(Ad-MSC)의 치료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루시퍼라제 발현 동소 Hep3B 종양 모델 마우스에 PBS, MSC(1x106 세포), HCC-oAd-WNTi(5x108 VPs) 또는 HCC-oAd-WNTi/MSC(5x108 VP로 18시간 동안 감염된 1x106 MSC)를 꼬리-정맥 주사를 통해서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간암세포 이식 후, 8일째와 12일째에 각각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인 HCC-oAd-WNTi(Ha2bm-d19-k35/sLRP6)를 5 MOI로 MSC에 감염시키고, 24시간 후에 1X106의 MSC를 간암 동소 이식 모델(누드마우스)에 꼬리정맥을 통해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 PBS와 바이러스를 감염시키지 않은 동량(1X106 cells)의 MSC, 또는 MSC에 감염시킨 동량의 Ad(5X108 VP)를 꼬리 정맥으로 투여하였다.
도 30a 및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그룹(PBS)에서는 급속한 종양의 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지만, Ad-MSC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종양의 성장이 확연히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30a 및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HCC-oAd-WNTi/MSC의 전신투여는 이식 후 35일(P <0.01)에서 HCC-oAd-WNTi 또는 MSC 단독 그룹보다 현저하게 높은 항종양 활성을 나타냈으며, PBS, MSC 또는 HCC-oAd-WNTi 각각에 비해 44.7배, 24.0배, 또는 8.1배 이상의 치료 효과를 보였다. 이는 또한, 동소 종양모델 마우스의 ex-vivo 사진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PBS, MSC, 또는 HCC-oAd-WNTi 처리된 간에서는 더 큰 종양이 관찰되었으나, HCC-oAd-WNTi/MSC 처리된 간에서는 현저하게 작은 HCC 종양이 관찰되었다(도 32 및 도 33a). 이러한 경향은, 종양을 무게 측정에 의해 평가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다(도 33b). 참고로, HCC-oAd-WNTi/MSC는 종양 보유 마우스의 전신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기존의 oAd 용량 범위(~2x1010VP)보다 낮은 용량으로 투여되었으나 여전히 강력한 항 종양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MSC 안으로 oAd를 로딩시키는 것이 전신투여된 바이러스의 치료 효능을 크게 증가시키면서 투여량과 관련된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시험예 2-12. 생체 내에서의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에 의한 간수치 변화 관찰
간암 동소 이식 모델에서 Ad-MSC의 종양 치료 효과에 의한 간기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인 Ha2bm-d19-k35/sLRP6를 5 MOI로 MSC에 18시간 동안 감염시키고, 상기 Ad 탑재된 중간엽 줄기세포(1X106 세포)를 간암 동소 이식 모델(누드마우스)에 꼬리정맥을 통해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 PBS, 200㎕의 바이러스를 감염시키지 않은 동량의 MSC(1X106 세포) 및 naked Ad(MSC에 감염시키지 않은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Ha2bm-d19-k35/sLRP6, 5x108 VP)를 각각 꼬리 정맥으로, 9일 및 13일에 두 번 투여하였다. 두 번째 주입하고 3일 후에 네 그룹의 마우스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알라닌 트랜스아미나아제(ALT) 및 아스파 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AST)의 혈청 수준과, 대조군으로서 비-종양 정상 마우스도 함께 평가하여 간독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혈액 0.5~1 mL를 채취한 후 상온에서 20~30분 경과한 뒤 3000rpm에서 30분동안 원심분리를 진행한다. 혈청인 상층액을 따서 독성검사기관에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HCC-oAd-WNTi로 처리된 마우스는 가장 높은 AST 수준을 나타내었다(PBS-처리된 그룹보다 1.6 배 더 높음; P <0.05). 반대로, 정상 마우스군과 관련하여, HCC-oAd-WNTi/MSC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AST 수준의 유의한 증가를 관찰하지 못하였다. 오히려, AST 수준이 정상 마우스와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MSC-매개된 oAd의 종양-특이적 전달이 전통적으로 전신 투여된 Ad와 관련된 간 손상과 함께 HCC 종양에 의한 간손상의 문제도 예방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시험예 2-13. 생체 내에서의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의 전신투여에 따른 생체 내 분포(biodistribution) 분석
Naked oAd는 Kupffer 세포 및 응고 인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정맥 주사 후 간에서 신속하고 비특이적으로 격리되어 간 독성 및 제한된 항종양 효과를 일으킨다. 따라서, HCC-oAd-WNTi/MSC가 oAd의 종양 내 축적을 강화시키면서 간세포 격리를 회피할 수 있는지 여부를 더 조사하기 위해, 전신투여된 MSC, HCC-oAd-WNTi 또는 HCC-oAd-WNTi/MSC의 생체 내 분포 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동소 이식 모델에서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를 탑재한 MSC를 전신 투여 후 나타나는 생체 내 분포(biodistribution)를 분석하기 위해, Hep3B-Luc 간암 동소 이식 모델을 제작한 후 PBS, MSC(1x106 세포), Ha2bm-d19-k35/sLRP6(HCC-oAd-WNTi, 5x108 VP), 또는 5x108 VP의 Ha2bm-d19-k35/sLRP6 아데노바이러스로 18시간 동안 감염된 MSC(Ad-MSC, 1x106 세포)를 종양 이식 후 9일 및 13일에 각각 꼬리 정맥 내 투여하였다. 각 군에 두 번째 투여를 하고 24시간 후에, 마우스를 마취시켜 혈액을 채취한 후 희생(sacrifice) 시키고, 간암조직, 정상 간조직, 위, 비장, 폐, 췌장, 심장 그리고 신장을 적출하고, DNA를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장기를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동결시킨 후, 막자와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된 장기 20 mg을 새로운 튜브에 넣고 장기를 용해 버퍼(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용해(lysis)시키고 DNA를 획득하였다. 상기 DNA의 농도를 극미량 분광광도계(nanodrop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이중 100 ng의 DNA를 이용하여 QIAamp DNA 혈액 미니 키트(Qiagen)를 이용해서 추출하고, 실시간 정량 PCR(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각 시료에서 바이러스 게놈의 수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서 바이러스 게놈의 수는 내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분포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도 3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으로 흡수된 HCC-oAd-WNTi/MSC는 naked HCC-oAd-WNTi와 비교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또한, 중요한 것은 HCC-oAd-WNTi/MSC가 naked HCC-oAd-WNTi보다 4,824.2-배 높은 종양 내 축적을 보였다는 것이다(P <0.001). 이러한 결과는 MSC가 전신 순환 중에 효과적으로 oAd를 보호 할 수 있고, oAd의 본래의 간으로의 방향성(hepatic tropism)을 감소시킴으로써, 종양으로 향하는 MSC의 특성으로 인해 바이러스의 효율적인 종양 내 축적을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는 MSC-매개 oAd의 종양 내 위치화는 낮은 바이러스 용량에서도 전신 순환하는 동안 MSC에서 그리고 종양 조직에서 바이러스의 복제를 허용함으로써 강력한 항종양 효과를 유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HCC-oAd-WNTi/MSC의 종양와 간의 비율은 naked HCC-oAd-WNTi의 것보다 6,480.8-배 더 높았으며, 이는 MSC 기반의 종양살상 Ad의 전달이 바이러스의 치료효율 및 안전성 프로파일을 개선하기 위한 전신 투여의 장애물을 극복하여, 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시험예 2-14. 생체 내에서의 간암 표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탑재 줄기세포에 의한 간암 조직학적 변화 관찰
간암 동소 이식 모델에서 Ad-MSC의 종양 치료 효과를 조직학적으로 확인하였다. oAd를 탑재한 MSC는 각각 간암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인 Ha2bm-d19-k35/sLRP6(HCC-oAd-WNTi)를 5 MOI로 24시간 동안 MSC에 감염시켜 준비하였다.
간암세포를 간암 동소 이식 모델(누드마우스)에 이식하고 9일 후 및 13일 후에 후에 1X106의 MSC를 간암 동소 이식 모델(누드마우스)에 꼬리정맥을 통해 투여하였다(Ad-MSC 처리군; HCC-oAd-WNTi/MSC). 대조군으로 PBS(PBS 처리군; PBS)와 바이러스를 감염시키지 않은 동량 MSC(MSC; 1X106 cell), 또는 MSC에 감염시키지 않은 동량의 Ad(5X108 VP)(Ad 처리군; HCC-oAd-WNTi)를 꼬리 정맥으로 투여하였다(n=군당 6마리).
마지막 투여 3일 후에, PBS, MSC, Ad, 그리고 Ad-MSC 네 그룹의 마우스에서 간조직을 확보하였다. 간조직은 10% 포르말린으로 고정되었고, 파라핀에 심어, 5 ㎛ 두께로 절단되었다. 슬라이드에 부착한 후 자일렌(xylene), 100%, 95%, 80%, 70% 에탄올 용액에 차례로 담가 파라핀을 제거(deparafinization)하였고 H&E 염색(hematoxylin and eosin stain)과 콜라겐 섬유질(collagen fibrils)을 염색할 수 있는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진행하였다. 다음, 동일한 조직으로 인간 MSC의 표지자인 CD90과 세포증식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PCNA(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 staining)을 진행하였다. 조직 슬라이드로 자일렌(xylene), 100%, 95%, 80%, 70% 에탄올 용액에 차례로 담가 파라핀을 제거(deparafinization)하고 0.5% NP40 용액에 담가 조직의 투과성(permeability)을 높여준 후 CD90 항체(Abcam, Ltd., Cambridge, UK) 또는 PCNA 항체(DAKO, Glostrup, Denmark)와 4℃에서 하룻밤 동안(overnight) 반응시키고 다음날 ABC-peroxidase kit(ChemMate DAKO Envision kit; DAKO, Carpinteria, CA)를 이용하여 이차 항체반응을 진행한 후 헤마톡실린(hematoxylin)으로 염색하고 마운팅(mounting) 용액으로 마운팅하여 조직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PBS) 또는 MSC 또는 Ad 처리 그룹에서는 간조직 내에 넓은 범위에 분포된 종양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세포외 기질의 주요성분으로 종양조직의 형성과 성장을 도와주는 콜라겐 섬유질(파란색으로 염색)이 암조직 경계부분 및 암조직 내에 넓게 분포된 것을 확인하였으나, Ad-MSC(HCC-oAd-WNTi/MSC)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종양조직 및 콜라겐 섬유질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으며 정상적인 간조직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MSC의 표지자인 CD90의 염색을 통하여 MSC의 존재여부를 확인한 결과, MSC로 처리한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 CD90은 양성이었고, HCC-oAd-WNTi 또는 HCC-oAd-WNTi/MSC로 처리한 간 조직에서은 CD90은 음성이었다. MSC 만을 투여한 그룹에서만 MSC가 간조직에 잔존하여 오래 머무르고 있는 것은, 유전자전달을 완료한 MSC는 그에 탑재된 Ad에 의하여 깨끗하게 제거되었음을 의미하며, 잔존하는 MSC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Ad 탑재된 줄기세포는 치료제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포증식정도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PBS)과 MSC 또는 Ad 투여 그룹에서만 암세포 특유의 과도한 세포증식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본 발명의 Ad-MSC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종양세포가 관찰되지 않았다. PBS, MSC 또는 HCC-oAd-WNTi처리와 비교하여 HCC-oAd-WNTi/MSC 처리는 증식하는 세포의 수준을 현저히 낮추고, HCC 종양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강력한 항 종양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15. HCC - oAd - WNTi / MSC의 향상된 약물 동태( pharmacokinetic ) 프로필 확인
HCC 종양을 전신 투여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표적 종양 조직에 oAd 전달을 위해 oAd의 혈액 보유 시간을 연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HCC를 표적하는 oAd-탑재 MSC의 혈액 내 잔존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마우스의 혈액에서 Ad가 제거되는 속도를 평가하기 위해, oAd-처리된 마우스의 전혈 시료를 이용해서 실시간 정량 PCR(Q-PCR)을 수행하였다. 5x108 VP의 naked HCC-oAd-WNTi 또는 동량의 HCC-oAd-WNTi/MSC(MSC에 탑재된 Ad의 총 수는 5x108 VP)를 전신 주입한 후 5분, 10분, 30분, 1시간, 6시간, 24시간 또는 48시간 째에 마우스의 안와정맥총(retro-orbital plexus)에서 전혈 100μL를 채취하였다(n = 3). QIAamp DNA 혈액 미니 키트(Qiagen, Hilden, Germany)를 사용하여 전혈 표본(aliquot)으로부터 총 DNA를 추출하였다. Ad 게놈의 수는 Q-PCR(Applied Biosystems)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는 3번 분석되었고, 실험결과는 SDS 19.1 소프트웨어 패키지(Applied Biosystems)로 처리하였다.
naked HCC-oAd-WNTi(MSC에 탑재되지 않은 Ad)는 혈액으로부터 급속하게 제거되었다. 대조적으로, HCC-oAd-WNTi/MSC는 주사 후 1시간 및 24시간째에 naked HCC-oAd-WNTi보다 혈중 농도가 각각 12-배 및 3,200-배 높게 유지되었는바(P <0.001), 이는 전신 순환 동안 MSC가 HCC-oAd-WNTi를 효과적으로 보호함을 의미한다.
SEQUENCE LISTING <110>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120> RECOMBINANT ADENOVIRUS AND MESENCHYMAL STEM CELL COMPRISING THEREOF <130> P20181009KR_P18U10C1675 <150> KR 10-2017-0171539 <151> 2017-12-13 <160> 9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57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K35 Fiber <400> 1 tggaccggaa taaaccctcc acctaactgt caaattgtgg aaaacactaa tacaaatgat 60 ggcaaactta ctttagtatt agtaaaaaat ggagggcttg ttaatggcta cgtgtctcta 120 gttggtgtat cagacactgt gaaccaaatg ttcacacaaa agacagcaaa catccaatta 180 agattatatt ttgactcttc tggaaatcta ttaactgagg aatcagactt aaaaattcca 240 cttaaaaata aatcttctac agcgaccagt gaaactgtag ccagcagcaa agcctttatg 300 ccaagtacta cagcttatcc cttcaacacc actactaggg atagtgaaaa ctacattcat 360 ggaatatgtt actacatgac cagttatgat agaagtctat ttcccttgaa catttctata 420 atgctaaaca gccgtatgat ttcttccaat gttgcctatg ccatacaatt tgaatggaat 480 ctaaatgcaa gtgaatctcc agaaagcaac atagctacgc tgaccacatc cccctttttc 540 ttttcttaca ttacagaaga cgacgaataa 570 <210> 2 <211> 30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RE domain comprising 6copy of HRE <400> 2 acgcgttatc gataccgtct acctcgagcc acagtgcata cgtgggctcc aacaggtcct 60 cttgtcgagc cacagtgcat acgtgggctc caacaggtcc tcttgtcgag ccacagtgca 120 tacgtgggct ccaacaggtc ctcttgtcga gccacagtgc atacgtgggc tccaacaggt 180 cctcttgtcg agccacagtg catacgtggg ctccaacagg tcctcttgtc gagccacagt 240 gcatacgtgg gctccaacag gtcctcttgt cgacgggggg cccgctacca cgcgttatcg 300 at 302 <210> 3 <211> 36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nhancer A <400> 3 cagattgaat tatttgcctg tcatacagct aataattgac cataagacaa ttagatttaa 60 attagttttg aatctttcta ataccaaagt tcagtttact gttccatgtt gcttctgagt 120 ggcttcacag acttatgaaa aagtaaacgg aatcagaatt acatcaatgc aaaagcattg 180 ctgtgtgaac tctgtactta ggactaaact ttgagcaata acacacatag attgaggatt 240 gtttgctgtt agcatacaaa ctctggttca aagctcctct ttattgcttg tcttggaaaa 300 tttgctgttc ttcatggttt ctcttttcac tgctatctat ttttctcaac cactcacatg 360 gctacaa 367 <210> 4 <211> 19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nhancer B <400> 4 cctgattaat aattacacta agtcaatagg catagagcca ggactgtttg ggtaaactgg 60 tcactttatc ttaaactaaa tatatccaaa actgaacatg tacttagtta ctaagtcttt 120 gactttatct cattcatacc actcagcttt atccaggcca cttatttgac agtattattg 180 cgaaaacttc cta 193 <210> 5 <211> 30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AFP promoter <400> 5 tctctttgaa agatctgtag tttgaggaga atatttgtta tatttgcaaa ataaaataag 60 tttgcaagtt ttttttttct gccccaaaga gctctgtgtc cttgaacata aaatacaaat 120 aaccgctatg ctgttaatta ttggcaaatg tcccattttc aacctaagga aataccaaaa 180 gtaacagata taccaacaaa aggttactag ttaacaggca ttgcctgaaa agagtataaa 240 agaatttcag catgattttc catattgtgc ttccaccact gccaataaca taagcttact 300 g 301 <210> 6 <211> 4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RE(hypoxia-response elements) domain <400> 6 ccacagtgca tacgtgggct ccaacaggtc ctcttgtcga g 41 <210> 7 <211> 17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5myc <400> 7 gtcgacggta tcgatgtcga gggatctctc cgctggggcc ctcgctggcg tccctgcacc 60 ctgggagcgc gagcggcgcg cgggcgggga agcgcggccc agacccccgg gtccgcccgg 120 agcagctgac cacgtggtac cacgtggtac cacgtggtac cacgtggtac cacgtg 176 <210> 8 <211> 77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TERT <400> 8 gtctgcgctg tcggggccag gccgggctcc cagtggattc gcgggcacag acgcccagga 60 ccgcgcttcc cacgtggcgg agggactggg gacccgggca cccgtcctgc cccttcacct 120 tccagctccg cctcctccgc gcggaccccg ccccgtcccg acccctcccg ggtccccggc 180 ccagccccct ccgggccctc ccagcccctc cccttccttt ccgcggcccc gccctctcct 240 cgcggcgcga gtttcaggca gcgctgcgtc ctgctgcgca cgtgggaagc cctggccccg 300 ggcacccccg cgaagcttag gccgattcga gatctctccg ctggggccct cgctggcgtc 360 cctgcaccct gggagcgcga gcggcgcgcg ggcggggaag cgcggcccag acccccgggt 420 ccgcccggag cagctgcgct gtcggggcca ggccgggctc ccagtggatt cgcgggcaca 480 gacgcccagg accgcgctcc ccacgtggcg gagggactgg ggacccgggc acccgtcctg 540 ccccttcacc ttccagctcc gcctcctccg cgcggacccc gccccgtccc gacccctccc 600 gggtccccgg cccagccccc tccgggccct cccagcccct ccccttcctt tccgcggccc 660 cgccctctcc tcgcggcgcg agtttcaggc agcgctgcgt cctgctgcgc acgtgggaag 720 ccctggcccc gggcaccccc gcgaagcttc gaatcgcgaa ttcgccctcg ag 772 <210> 9 <211> 268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d19 Sequence <400> 9 atgagacata ttatctgcca cggaggtgtt attaccgaag aaatggccgc cagtcttttg 60 gaccagctga tcgaagaggt actggctgat aatcttccac ctcctagcca ttttgaacca 120 cctacccttc acggactgta tgatttagac gtgacggccc ccgaagatcc caacgaggag 180 gcggtttcgc agatttttcc cgactctgta atgttggcgg tgcaggaagg gattgactta 240 ctcacttttc cgccggcgcc cggttctccg gagccgcctc acctttcccg gcagcccgag 300 cagccggagc agagagcctt gggtccggtt tctatgccaa accttgtacc ggaggtgatc 360 ggtggtggcg gaggcggggg tggctttcca cccagtgacg acgaggatga agagggtgag 420 gagtttgtgt tagattatgt ggagcacccc gggcacggtt gcaggtcttg tcattatcac 480 cggaggaata cgggggaccc agatattatg tgttcgcttt gctatatgag gacctgtggc 540 atgtttgtct acagtaagtg aaaattatgg gcagtgggtg atagagtggt gggtttggtg 600 tggtaatttt ttttttaatt tttacagttt tgtggtttaa agaattttgt attgtgattt 660 ttttaaaagg tcctgtgtct gaacctgagc ctgagcccga gccagaaccg gagcctgcaa 720 gacctacccg ccgtcctaaa atggcgcctg ctatcctgag acgcccgaca tcacctgtgt 780 ctagagaatg caatagtagt acggatagct gtgactccgg tccttctaac acacctcctg 840 agatacaccc ggtggtcccg ctgtgcccca ttaaaccagt tgccgtgaga gttggtgggc 900 gtcgccaggc tgtggaatgt atcgaggact tgcttaacga gcctgggcaa cctttggact 960 tgagctgtaa acgccccagg ccataaggtg taaacctgtg attgcgtgtg tggttaacgc 1020 ctttgtttgc tgaatgagtt gatgtaagtt taataaaggg tgagataatg tttaacttgc 1080 atggcgtgtt aaatggggcg gggcttaaag ggtatataat gcgccgtggg ctaatcttgg 1140 ttacatctga cctcctgtag gctagctgtt gcttttttga gttttataaa ggataaatgg 1200 agcgaagaaa cccatctgag cggggggtac ctgctggatt ttctggccat gcatctgtgg 1260 agagcggttg tgagacacaa gaatcgcctg ctactgttgt cttccgtccg cccggcgata 1320 ataccgacgg aggagcagca gcagcagcag gaggaagcca ggcggcggcg gcaggagcag 1380 agcccatgga acccgagagc cggcctggac cctcgggaat gaatgttgta caggtggctg 1440 aactgtatcc agaactgaga cgcattttga caattacaga ggatgggcag gggctaaagg 1500 gggtaaagag ggagcggggg gcttgtgagg ctacagagga ggctaggaat ctagctttta 1560 gcttaatgac cagacaccgt cctgagtgta ttacttttca acagatcaag gataattgcg 1620 ctaatgagct tgatctgctg gcgcagaagt attccataga gcagctgacc acttactggc 1680 tgcagccagg ggatgatttt gaggaggcta ttagggtata tgcaaaggtg gcacttaggc 1740 cagattgcaa gtacaagatc agcaaacttg taaatatcag gaattgttgc tacatttctg 1800 ggaacggggc cgaggtggag atagatacgg aggatagggt ggcctttaga tgtagcatga 1860 taaatatgtg gccgggggtg cttggcatgg acggggtggt tattatgaat gtaaggttta 1920 ctggccccaa ttttagcggt acggttttcc tggccaatac caaccttatc ctacacggtg 1980 taagcttcta tgggtttaac aatacctgtg tggaagcctg gaccgatgta agggttcggg 2040 gctgtgcctt ttactgctgc tggaaggggg tggtgtgtcg ccccaaaagc agggcttcaa 2100 ttaagaaatg cctctttgaa aggtgtacct tgggtatcct gtctgagggt aactccaggg 2160 tgcgccacaa tgtggcctcc gactgtggtt gcttcatgct agtgaaaagc gtggctgtga 2220 ttaagcataa catggtatgt ggcaactgcg aggacagggc ctctcagatg ctgacctgct 2280 cggacggcaa ctgtcacctg ctgaagacca ttcacgtagc cagccactct cgcaaggcct 2340 ggccagtgtt tgagcataac atactgaccc gctgttcctt gcatttgggt aacaggaggg 2400 gggtgttcct accttaccaa tgcaatttga gtcacactaa gatattgctt gagcccgaga 2460 gcatgtccaa ggtgaacctg aacggggtgt ttgacatgac catgaagatc tggaaggtgc 2520 tgaggtacga tgagacccgc accaggtgca gaccctgcga gtgtggcggt aaacatatta 2580 ggaaccagcc tgtgatgctg gatgtgaccg aggagctgag gcccgatcac ttggtgctgg 2640 cctgcacccg cgctgagttt ggctctagcg atgaagatac agattga 2687

Claims (15)

  1. 목적 유전자 및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함유하는 항암용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목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을 더 포함하는 것인, 항암용 중간엽 줄기세포(MSC).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은 서열번호 5의 AFP 프로모터 서열 또는 서열번호 8의 TERT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암용 중간엽 줄기세포(MSC).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는 0.01 MOI 초과 내지 100 MOI 미만 농도의 목적 유전자 및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로 50시간 이하로 형질감염된 것인, 항암용 중간엽 줄기세포(MSC).
  5. 목적 유전자 및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가 도입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목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을 더 포함하는 것인,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신 투여 또는 국소 투여용 인,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1 MOI 초과 내지 100 MOI 미만 농도의 목적 유전자 및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로 50시간 이하로 형질감염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9. 목적 유전자 및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가 도입된 중간엽(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목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1 MOI 초과 내지 100 MOI 미만 농도의 목적 유전자 및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로 50시간 이하로 형질감염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12. 혈청형 35의 파이버(fiber) 노브(knob)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도입능이 개선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형 35의 파이버(fiber) 노브는 서열번호 1의 서열로 이루어지는 것인,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목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발현 조절서열 및 목적 유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5'에서 3' 방향으로 (a) 6카피(copy)의 HRE(hypoxia-response elements) 도메인 서열; (b) 2카피의 AFP(Alpha-Feto Protein) 인핸서 A 서열, (c) 1카피의 AFP 프로모터의 인핸서 B 서열, 및 (d) AFP 프로모터 서열 또는 TERT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서열; 상기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linked) 목적 유전자; 및 혈청형 35의 파이버(fiber) 노브(knob)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KR1020180160424A 2017-12-13 2018-12-12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KR102167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39 2017-12-13
KR20170171539 2017-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890A true KR20190070890A (ko) 2019-06-21
KR102167934B1 KR102167934B1 (ko) 2020-10-20

Family

ID=6682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424A KR102167934B1 (ko) 2017-12-13 2018-12-12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50215B2 (ko)
EP (1) EP3725875A4 (ko)
JP (1) JP2021506267A (ko)
KR (1) KR102167934B1 (ko)
CN (1) CN111630159A (ko)
SG (1) SG11202005509YA (ko)
WO (1) WO20191176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95A1 (ko) * 2020-10-27 2022-05-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양 타겟팅 향상 및 바이러스 대량 생산을 가능한 중간엽줄기세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2663B2 (ja) * 2017-12-29 2024-01-26 ジーンメディス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遺伝子伝達用細胞シート
CN117778327A (zh) * 2022-09-27 2024-03-29 清华大学 工程化的间充质干细胞及其用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3268A (ja) * 2001-07-06 2004-11-04 クルセル ホランド ベー ヴェー 間充織幹細胞のための細胞種類特異性を有する遺伝子送達ベクタ
JP2008510493A (ja) * 2004-08-25 2008-04-10 セル ジェネシ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腫瘍細胞の形質導入強化のための線維改変アデノウイルスベクター
JP2009034109A (ja) * 2002-01-24 2009-02-19 Scripps Research Inst 効率的なターゲッティングのためのファィバーシャフト修飾
KR20090055392A (ko) * 2007-11-28 2009-06-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전달체의 유전자 전달효율 개선 및 바이러스 보존용조성물
KR20130015270A (ko) * 2010-04-26 2013-02-13 주식회사 녹십자 종양 특이적 프로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살상 바이러스 벡터
KR20140049593A (ko) * 2011-08-23 2014-04-25 도쿠리쯔 교세이 호진 이야쿠 키반 켄큐쇼 제한 증식형 아데노바이러스
KR20150136818A (ko) * 2014-05-28 2015-12-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Il-12를 발현하는 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366A (en) 1897-03-09 James b
US5352775A (en) 1991-01-16 1994-10-04 The Johns Hopkins Univ. APC gene and nucleic acid probes derived therefrom
JPH06509578A (ja) 1991-07-26 1994-10-27 ユニバーシティ・オブ・ロチェスター 悪性細胞利用による癌治療法
EP1421947A1 (en) 1992-07-22 2004-05-2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p53 vaccine
US5631236A (en) 1993-08-26 1997-05-20 Baylor College Of Medicine Gene therapy for solid tumors, using a DNA sequence encoding HSV-Tk or VZV-Tk
FR2732357B1 (fr) 1995-03-31 1997-04-30 Rhone Poulenc Rorer Sa Vecteurs viraux et utilisation pour le traitement des desordres hyperproliferatifs, notamment de la restenose
FR2740344B1 (fr) 1995-10-31 1997-11-21 Rhone Poulenc Rorer Sa Application de la proteine gax au traitement de cancers
KR100488395B1 (ko) * 2002-06-03 2005-05-10 이한식 버섯재배용 골목의 밀봉 및 살균방법
CN100361710C (zh) * 2004-06-07 2008-01-16 成都康弘生物科技有限公司 肿瘤细胞专一表达免疫调节因子gm-csf的溶瘤性腺病毒重组体的构建及其应用
CN101068933A (zh) 2004-08-25 2007-11-07 细胞基因系统有限公司 用于肿瘤细胞增强转导的纤维修饰的腺病毒载体
US20070010016A1 (en) * 2005-03-11 2007-01-11 Mccelland Alan Gene transfer with adenoviruses having modified fiber proteins
KR101232123B1 (ko) * 2010-10-08 2013-02-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조합된 유전자발현 조절서열을 가지는 종양 특이적 발현이 개선된 유전자 전달체
KR101488395B1 (ko) * 2011-01-26 2015-04-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암세포 특이적 유전자 발현을 위한 재조합 유전자발현 조절서열
JP6938774B2 (ja) 2017-11-13 2021-09-22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端末装置及びそのバッテリー安全性監視方法及び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3268A (ja) * 2001-07-06 2004-11-04 クルセル ホランド ベー ヴェー 間充織幹細胞のための細胞種類特異性を有する遺伝子送達ベクタ
JP2009034109A (ja) * 2002-01-24 2009-02-19 Scripps Research Inst 効率的なターゲッティングのためのファィバーシャフト修飾
JP2008510493A (ja) * 2004-08-25 2008-04-10 セル ジェネシ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腫瘍細胞の形質導入強化のための線維改変アデノウイルスベクター
KR20090055392A (ko) * 2007-11-28 2009-06-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전달체의 유전자 전달효율 개선 및 바이러스 보존용조성물
KR20130015270A (ko) * 2010-04-26 2013-02-13 주식회사 녹십자 종양 특이적 프로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살상 바이러스 벡터
KR20140049593A (ko) * 2011-08-23 2014-04-25 도쿠리쯔 교세이 호진 이야쿠 키반 켄큐쇼 제한 증식형 아데노바이러스
KR20150136818A (ko) * 2014-05-28 2015-12-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Il-12를 발현하는 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95A1 (ko) * 2020-10-27 2022-05-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양 타겟팅 향상 및 바이러스 대량 생산을 가능한 중간엽줄기세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6267A (ja) 2021-02-22
US11850215B2 (en) 2023-12-26
EP3725875A4 (en) 2021-10-06
US20210069253A1 (en) 2021-03-11
KR102167934B1 (ko) 2020-10-20
SG11202005509YA (en) 2020-07-29
WO2019117632A1 (ko) 2019-06-20
EP3725875A1 (en) 2020-10-21
CN111630159A (zh)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16631B2 (en) Enhanced adoptive cell therapy
JP6375273B2 (ja) 腫瘍選択的e1aおよびe1b変異体
Cody et al. Armed replicating adenoviruses for cancer virotherapy
Barker et al. The secretory leukoprotease inhibitor (SLPI) promoter for ovarian cancer gene therapy
US20080213220A1 (en) Cancer-targeted viral vectors
Wu et al. Cancer gene therapy by adenovirus-mediated gene transfer
RU2394104C2 (ru) Аденовирусный/альфа-вирусный гибридный вектор для эффективного введения и экспрессии терапевтических генов в опухолевые клетки
Das et al. Cancer terminator viruses and approaches for enhancing therapeutic outcomes
JP4361708B2 (ja) 複製−コンピテント抗癌ベクター
KR102167934B1 (ko)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Zhang et al. Targeting Gene-Viro-Therapy with AFP driving Apoptin gene shows potent antitumor effect in hepatocarcinoma
WO2007068772A1 (es) Nuevos adenovirus recombinantes de replicacion condicionada (crad)
Wei et al. A double-regulated oncolytic adenovirus with improved safety for adenocarcinoma therapy
KR101488395B1 (ko) 암세포 특이적 유전자 발현을 위한 재조합 유전자발현 조절서열
Henderson et al. Development of attenuated replication competent adenoviruses (ARCAs)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Särkioja Adenoviral gene therap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Lines 443. Secretory Single-chain Antibodies as Novel Cytotoxic Agents in the Treatment of Cancer Cells
To A New Type of Adenovirus Vector That
Yan et al. DNA VIRUS VECTORS 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