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650A - 볼 조인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650A
KR20190070650A KR1020170171381A KR20170171381A KR20190070650A KR 20190070650 A KR20190070650 A KR 20190070650A KR 1020170171381 A KR1020170171381 A KR 1020170171381A KR 20170171381 A KR20170171381 A KR 20170171381A KR 20190070650 A KR20190070650 A KR 2019007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ircumferential surface
ball
case
insert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3575B1 (ko
Inventor
이병관
손광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17017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575B1/ko
Priority to PCT/KR2018/015791 priority patent/WO2019117627A1/ko
Publication of KR2019007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4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of the joint being open on two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체는, 볼 조인트 조립체는, 구형의 볼과 볼의 상방으로 연장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볼 스터드, 볼이 수용되는 베어링, 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내주면, 베어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베어링의 외주면과 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충진되고 케이스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와 베어링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베어링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인서트 몰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볼 조인트 조립체{BALL JOINT ASSEMBLY}
본 개시는 볼 조인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 장치는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현가 장치는 일반적으로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스프링의 작동을 조절하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 및 차륜의 작동을 제어하는 현가암 또는 현가링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현가 장치는 차륜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식에 따라 스윙 암식(swing arm type), 위시본식(wishbone type) 또는 맥퍼슨 스트럿식(Macpherson strut type)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시본식 현가 장치는 차륜과 체결된 너클을 차체에 연결하는 현가암(로워 컨트롤 암)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현가암의 일단은 차체를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나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고, 현가암의 타단은 볼 조인트를 통해 너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볼 조인트는 볼과 로드를 가지는 볼 스터드, 볼을 수용하는 베어링 및 볼과 베어링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베어링의 상부 외주면과 케이스의 상부 내주면 사이에는 인서트 몰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현가암은 차륜을 차체에 지지시키고,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차륜의 토우 인(toe-in)을 적절히 제어하여, 차량의 직진 주행성과 조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어링의 상부 외주면과 케이스의 상부 내주면 사이에 인서트 몰딩부가 사출 될 때, 인서트 몰딩부의 사출 압력에 의해 베어링이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거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또는 회전은 볼 조인트의 제조시 불량률을 향상시키고, 볼 조인트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베어링 내에 볼 조인트를 사용했을 때 볼 조인트의 내구성까지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서트 몰딩부의 사출 시에도 베어링이 케이스에 대하여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볼 조인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예들은 볼 조인트 조립체에 관련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체는, 구형의 볼과 볼의 상방으로 연장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볼 스터드; 볼이 수용되는 베어링과, 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내주면; 베어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베어링의 외주면과 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충진되고 케이스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와 베어링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베어링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인서트 몰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에는 복수 개의 절결부가 베어링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결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서트 몰딩부는 복수 개의 절결부에 충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는 케이스의 내주면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의 내경은 볼의 최대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의 상단의 내경은 볼의 최대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은 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리브의 각각은 베어링의 최대 외경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수직 연장부와 맞닿는 수직 원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은 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리브 중 인접하는 제1 가이드 리브의 사이에서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오목부와 복수 개의 볼록부가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체에 의하면, 베어링의 외주면이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베어링의 상단이 케이스의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므로, 인서트 몰딩부의 사출 압력에 의해 베어링이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거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볼 조인트 조립체의 제조 시 불량률이 낮아져서 볼 조인트 조립체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베어링 내에서 볼 조인트 조립체의 사용 시, 볼 조인트 조립체의 내구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 조인트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베어링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베어링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베어링의 평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볼 스터드의 로드가 볼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로드와 볼은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이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체(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 조인트 조립체(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체(100)는 볼 스터드(110), 베어링(120), 케이스(130) 및 인서트 몰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스터드(110)는 구형의 볼(111)과 로드(rod)(112)를 포함한다. 로드(112)는 볼(11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하고 볼(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12)의 하단이 볼(111)의 상단에 연결되고 로드(112)의 상단이 차량의 너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베어링(120)은 볼 스터드(110)의 볼(11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120)의 내주면(121)은 볼 스터드(110)의 볼(111)과 맞닿도록 부분적인 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20)의 상단(123)의 내경(ID1)은 볼(111)의 최대 외경(OD1)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볼(111)이 베어링(1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30)는 내주면(131)과 스토퍼(13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0)의 내주면(131)은 베어링(120)의 외주면(12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130)의 내주면(131)과 베어링(120)의 외주면(122)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132)는 베어링(120)의 상단(123)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인서트 몰딩부(140)의 용융된 상태로 베어링(120)의 하부를 향해 고압으로 사출되더라도, 베어링(120)은 스토퍼(132)에 의해 지지되므로, 케이스(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 조인트 조립체(100)의 사용 시 베어링(120)은 스토퍼(132)의 지지에 의해 지지되므로, 베어링(120)이 케이스(13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140)는 용융된 상태로 베어링(120)의 하방으로부터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20)의 외주면(122)과 케이스(130)의 내주면(131) 사이의 이격 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인서트 몰딩부(140)는 베어링(120)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주입되고 경화되므로, 베어링(120)을 볼(111)에 대하여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볼(111)과 베어링(120) 사이에는 균일한 마찰력이 작용하고, 볼(111)이 베어링(120)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볼 조인트 조립체(100)의 저토크 사양을 실현할 수 있다.
인서트 몰딩부(140)는, 케이스(130)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와 베어링(120)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베어링(120)을 케이스(130)에 고정할 수 있다. 인서트 몰딩부(140)는 용융된 상태로부터 경화되어 베어링(120)을 케이스(130)에 고정하거나 베어링(120)과 케이스(13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인서트 몰딩부(140)와 케이스(13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인서트 몰딩부(140)와 케이스(130)의 하부에는 상보적인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20)에는 복수 개의 절결부(124)가 베어링(120)의 상단(123)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결부(124)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절결부(124)가 베어링(120)의 상단(123)에 형성되므로,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제작된 베어링(120)이 베어링(120)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볼(111)이 베어링(120)의 상단(123)을 통해 내부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V-V선은 마주보는 2개의 절결부(124) 상에 위치한다. 도 6은 도 5의 부분확대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몰딩부(140)는 복수 개의 절결부(124)에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 몰딩부(140)는 베어링(120)의 내주면(121)과 동일한 곡면을 이루고 인서트 몰딩부(140)의 상단(141)이 베어링(120)의 상단(132)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복수 개의 절결부(124)에 충진된다. 이에 더하여, 복수 개의 절결부(124)에 충진되는 인서트 몰딩부(140)의 상단(141)은 케이스(130)의 스토퍼(132)에 맞닿는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베어링(120)의 상단(123)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인서트 몰딩부(140)의 상단(141)이 스토퍼(132)에 맞닿는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베어링(120)과 인서트 몰딩부(140)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 베어링(120)과 인서트 몰딩부(140)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몰딩부(140)가 단속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절결부(124)에 충진되므로, 베어링 조립체(100)의 사용 시, 베어링(120)이 인서트 몰딩부(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32)는 케이스(130)의 내주면(131)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링 형상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32)의 내경(ID2)은 볼(111)의 최대 외경(OD1)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볼 스터드(110)가 베어링(12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볼(111)이 링 형상의 스토퍼(1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케이스(130)가 볼(111)의 최대 외경(OD1)보다 작은 내경(ID2)을 가지는 링 형상의 스토퍼(132)를 포함하므로, 케이스(130)가 볼(111)을 구속하는 최대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볼 조인트 조립체(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30)는 탄소강 또는 크롬-몰리브덴강을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스(130)는 단조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30)는 파이프 소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여, 케이스(130)의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베어링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베어링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베어링의 평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20)은 베어링(120)의 외주면(122)으로부터 돌출하고 외주면(122)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리브(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리브(125)는 인서트 몰딩부(140)의 사출 성형 시 베어링(120)이 케이스(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리브(125)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3개 이상의 제1 가이드 리브(125)가 베어링(120)의 외주면(12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리브(125)는 판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리브(125)는 베어링(120)의 최대 외경부(120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연장부(125a)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120)의 최대 외경부(120a)는 베어링(120)의 최대 외경(OD2)에 대응한다. 베어링(120)의 최대 외경(OD2)은 볼(111)의 최대 외경(OD1)보다 크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0)는 제1 가이드 리브(125)의 수직 연장부(125a)와 맞닿는 수직 원통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볼(111)과 결합된 베어링(120)이 케이스(130)의 내부에 위치되면, 베어링(120)의 상단(123)이 케이스(130)의 스토퍼(132)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며, 수직 연장부(125a)가 케이스(130)의 수직 원통부(133)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인서트 몰딩부(140)가 용융된 상태로 베어링(120)의 하부를 향해 고압으로 사출되더라도, 베어링(120)의 상단(123)이 스토퍼(132)에 의해 지지될뿐만 아니라 제1 가이드 리브(125)가 수직 원통부(1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베어링(120)은 베어링(120)의 상단 및 하부에 있어서 케이스(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 몰딩부(140)의 사출 성형 시, 베어링(120)이 케이스(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인서트 몰딩부(140)가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리브(125), 베어링(120)의 외주면(122) 및 케이스(130)의 내주면(131)이 이루는 공간에 충진되므로, 볼 조인트 조립체(100)의 사용 시 베어링(120)이 케이스(130) 또는 인서트 몰딩부(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20)은 베어링(120)의 외주면(122)으로부터 돌출하고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리브(125) 중 인접하는 제1 가이드 리브(125)의 사이에서 베어링(120)의 외주면(122)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리브(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리브(126)는 인서트 몰딩부(140)의 사출 성형 시 용융된 상태의 인서트 몰딩부(140)가 베어링(120)의 외주면(122)으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몰딩부(140)가 용융된 상태로 베어링(120)의 하부를 향해 고압으로 사출되더라도, 베어링(120)의 외주면(122)은 사출압력을 일정하게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인서트 몰딩부(140)의 사출 성형 시, 베어링(120)이 케이스(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0)의 내주면(131)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오목부(134)와 복수 개의 볼록부(135)가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134)와 볼록부(135)가 요철부 또는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몰딩부(140)가 복수 개의 오목부(134)와 복수 개의 볼록부(135)에 맞닿도록 충진되므로, 케이스(130)의 내주면(131)과 인서트 몰딩부(140)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케이스(130)와 인서트 몰딩부(140)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120)의 내주면(121)에는 복수 개의 그루브(12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27)는 베어링(120)의 상단(123)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1 그루브(127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그루브(127a)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그루브(127)는 베어링(120)의 상단(123)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2 그루브(127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120)의 내주면(121)에는 복수 개의 제1 그루브(127a) 또는 복수 개의 제2 그루브(127b)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제1 그루브(127a) 및 복수 개의 제2 그루브(127b) 모두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그루브(127)에는 윤활 물질, 예를 들어 그리스(grease)가 주입되어, 볼(111)이 베어링(120)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도울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조립체(100)는 인서트 몰딩부(140)를 포함하도록 제조되어 각종 현가암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볼 조인트 조립체(100)는 인서트 몰딩부(140)를 포함하지 않고,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제작 시에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인서트 몰딩부가 베어링(120)을 케이스(130)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볼 조인트 조립체, 110: 볼 스터드, 111: 볼, 112: 로드, 120: 베어링, 121: 내주면, 122: 외주면, 123: 상단, 124: 절결부, 125: 제1 가이드 리브, 125a: 수직 연장부, 126: 제2 가이드 리브, 127: 그루브, 127a: 제1 그루브, 127b: 제2 그루브, 130: 케이스, 131: 내주면, 132: 스토퍼, 133: 수직 원통부, 134: 오목부, 135: 볼록부, 140: 인서트 몰딩부, 141: 상단

Claims (11)

  1. 구형의 볼과 상기 볼의 상방으로 연장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볼 스터드;
    상기 볼이 수용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내주면과, 상기 베어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충진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베어링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인서트 몰딩부
    를 포함하는 볼 조인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에는 복수 개의 절결부가 상기 베어링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절결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볼 조인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몰딩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절결부에 충진되는, 볼 조인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링 형상인, 볼 조인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내경은 상기 볼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볼 조인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상단의 내경은 상기 볼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볼 조인트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볼 조인트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리브의 각각은 상기 베어링의 최대 외경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연장부를 포함하는, 볼 조인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직 연장부와 맞닿는 수직 원통부를 포함하는, 볼 조인트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리브 중 인접하는 제1 가이드 리브의 사이에서 상기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볼 조인트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오목부와 복수 개의 볼록부가 번갈아가며 형성되는, 볼 조인트 조립체.
KR1020170171381A 2017-12-13 2017-12-13 볼 조인트 조립체 KR102033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381A KR102033575B1 (ko) 2017-12-13 2017-12-13 볼 조인트 조립체
PCT/KR2018/015791 WO2019117627A1 (ko) 2017-12-13 2018-12-12 볼 조인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381A KR102033575B1 (ko) 2017-12-13 2017-12-13 볼 조인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650A true KR20190070650A (ko) 2019-06-21
KR102033575B1 KR102033575B1 (ko) 2019-10-18

Family

ID=6681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381A KR102033575B1 (ko) 2017-12-13 2017-12-13 볼 조인트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3575B1 (ko)
WO (1) WO20191176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975A (ko) * 2019-07-31 2021-02-10 (주)화신정공 차량용 볼조인트
WO2022149948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일진 볼조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13A (ja) * 1989-03-22 1991-01-17 Yorozu:Kk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05306A (ja) * 2004-10-06 2006-04-20 Somic Ishikawa Inc ボールジョイント
KR20170098365A (ko)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그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9749B2 (ja) * 1995-12-14 2005-07-13 株式会社オティックス ボールジョイント
JP5541010B2 (ja) * 2010-09-01 2014-07-09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ボ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ボールジョイ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13A (ja) * 1989-03-22 1991-01-17 Yorozu:Kk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05306A (ja) * 2004-10-06 2006-04-20 Somic Ishikawa Inc ボールジョイント
KR20170098365A (ko)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그 제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975A (ko) * 2019-07-31 2021-02-10 (주)화신정공 차량용 볼조인트
WO2022149948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일진 볼조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627A1 (ko) 2019-06-20
KR102033575B1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8795A2 (en) Hybrid suspension arm for vec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779786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11491837B2 (en) Suspension arm and ball joint
US8434770B2 (en) Transverse link on a motor vehicle
CN104165182B (zh) 球节和机动车控制杆
US9546679B2 (en) Bearing seat for a ball joint and a ball joint
KR20190070650A (ko) 볼 조인트 조립체
KR101779784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20220039294A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731527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11639736B2 (en) Strut bearing assembly for vehicle
CN107471946B (zh) 一种汽车控制臂
KR101958433B1 (ko) 볼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현가암
US20210086575A1 (en) Ball joint assembly for vehicle, stabilizer link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ll joint assembly for vehicle
JP2018168879A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タビリンク
KR101684957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878040B1 (ko)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
US11215221B1 (en) Ball join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and ball joint compression ring
KR20180065176A (ko)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KR20220039296A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857198B1 (ko) 볼 조인트
KR20230083573A (ko) 서스펜션용 부시
KR20130091607A (ko) 서스펜션 트레일링 암 부시 장치
KR20160118031A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