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294A -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294A
KR20220039294A KR1020200122274A KR20200122274A KR20220039294A KR 20220039294 A KR20220039294 A KR 20220039294A KR 1020200122274 A KR1020200122274 A KR 1020200122274A KR 20200122274 A KR20200122274 A KR 20200122274A KR 20220039294 A KR20220039294 A KR 20220039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enter plate
lubricant
vehicl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수
김병환
홍태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294A/ko
Publication of KR2022003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03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grease as lubricant
    • F16C33/6607Retaining the grease in or near the b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에 결합되고 스트럿이 관통되는 제1 케이스와, 차량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케이스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트럿이 관통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케이스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센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사이에 공급되는 윤활제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사이의 윤활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케이스를 향하는 면에 상향 개구되고 상기 윤활제가 수용되는 윤활제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STRUT BEARING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마찰저항이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체와의 결합방식이나 진동제어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전방 차축의 형식에 따라 구분되는 전방 현가장치는 차체 프레임과 차축 사이를 연결하여 자동차의 중량을 지지하고, 차륜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자동차의 조향 장치가 일부 설치된다.
한편, 전방 현가장치로는 위시본 타입(Wishbone type)과 맥퍼슨 타입(Macpherson type)이 있고, 이중 맥퍼슨 타입의 경우는 위시본 타입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승차감이 우수하여 승용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이러한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는 어퍼 아암이 없으며, 그 대신 쇽 업소버가 내장된 스트럿의 하단이 조향 너클을 통해 로워 아암과 일체로 연결되어 조향시 상기 조향 너클과 스트럿이 일체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고, 스트럿이 조향 너클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스트럿의 상부는 차체나 섀시에 대해 스트럿 베어링을 매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래 스트럿 베어링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이들의 사이에 개재되는 센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플레이트와 상부케이스 사이의 윤활제에 의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차량의 조향 작동 시 하부케이스가 회전하면, 센터 플레이트와 상부케이스 사이에 구비된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센터 플레이트의 형상에 따라 윤활제의 외부 유출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윤활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9594호(2014.12.30 등록, 발명의 명칭: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센터 플레이트에 윤활제 수용홈부를 포함함으로써, 특히 센터 플레이트가 경사진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1 케이스와 센터 플레이트 사이에 윤활작용을 하는 윤활제가 유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는 차체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에 결합되고 스트럿이 관통되는 제1 케이스와, 차량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케이스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트럿이 관통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케이스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센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사이에 공급되는 윤활제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사이의 윤활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케이스를 향하는 면에 상향 개구되고 상기 윤활제가 수용되는 윤활제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윤활제 수용홈부는 상기 스트럿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터 플레이트는 상기 스트럿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윤활제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반경방향의 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된 방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윤활제 수용홈부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용홈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수용홈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용홈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터 플레이트에 윤활제 수용홈부를 포함함으로써, 특히 센터 플레이트가 경사진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1 케이스와 센터 플레이트 사이에 윤활작용을 하는 윤활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케이스와 센터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 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이음문제를 개선하고 내구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인슐레이터를 제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경사부의 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실험예이다.
도 9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플레이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와 센터 플레이트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인슐레이터를 제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경사부의 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실험예이다.
도 9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플레이트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와 센터 플레이트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10)는 제1 케이스(200)와, 제2 케이스(300) 및 센터 플레이트(400)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200)는 차체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00)에 결합되고 스트럿이 관통된다.
구체적으로 현가장치는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가 내장되고 외부에 코일 스프링이 구비되는 스트럿을 포함한다. 스트럿은 상단이 탑마운트 조립체를 통해 차체에 결합되고 하단은 너클에 결합되며, 휠의 조향에 따라 차체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탑마운트 조립체는 인슐레이터(100)와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100)는 쇼크 업소버와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러버 부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하방향은 차량의 높이 방향(스트럿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제1 케이스(200)는 인슐레이터(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200)는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공에는 스트럿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케이스(200)는 제1 후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220)는 단부(413)가 절곡되는 후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부(413)가 제1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후크(220)는 제1 케이스(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인 230은 제2 케이스(300)와 센터 플레이트(400)의 수직 부분이 삽입되게 위한 공간부이다.
제2 케이스(300)는 차량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케이스(200)의 하부에 장착되되 제1 케이스(20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스트럿이 관통된다.
구체적으로 제2 케이스(300)는 차량의 조향 작동 시 제1 케이스(20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쇼크 업소버의 회전 운동에 따른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제2 케이스(300)는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케이스(300)의 상측면은 제1 케이스(200)의 하측면에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스(300)의 중공에는 스트럿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케이스(300)는 제2 후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크(311)는 제1 후크(2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후크(2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케이스(300)와 제1 케이스(200)는 결합될 수 있다. 제2 후크(311)는 단부(413)가 절곡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부(413)가 제2 케이스(30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후크(311)는 제2 케이스(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후크(220)와 제2 후크(311)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케이스(200) 및 제2 케이스(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2 케이스(300)는 열가소성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케이스(300)는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터 플레이트(400)는 제1 케이스(200)와 제2 케이스(300)의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케이스(300)에 대하여 제1 케이스(200)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센터 플레이트(400)는 제1 케이스(200)와 제2 케이스(300) 사이의 자유로운 회동을 허용하면서, 인슐레이터(100)와 제1 케이스(200)를 통해 전달된 현가장치에 가해지는 차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센터 플레이트(400)와 제1 케이스(200) 사이에는 윤활제가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된 윤활제에 의해 제1 케이스(200)와 제2 케이스(300) 사이의 자유로운 회동이 허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윤활제는 그리스(grease) 등의 윤활유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10)는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터 플레이트(400)는 접동 성능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터 플레이트(40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 이하 PBT라 함)로 이루어질 수 있다. PBT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고, 내마모성이 양호하며 자기 윤활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센터 플레이트(400)는 제2 케이스(300)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센터 플레이트(400)는 제2 케이스(300)에 압입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센터 플레이트(400)는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레이트본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본체(410)는 경사부(412)와 수직부(411)와 단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412)는 스트럿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411)는 경사부(412)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413)에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부(413)는 경사부(412)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413)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412)의 각도(θ)는 제1 케이스(200)와 제2 케이스(300) 및 센터 플레이트(400)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부(412)는 제1 케이스(200)와 제2 케이스(300) 및 센터 플레이트(400)에 작용하는 하중 분포에 따라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10)에 가해지는 응력이 최소가 되게 하는 각도(θ)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맥퍼슨 타입(Macpherson type) 현가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의 특성상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10)에 작용하는 하중은 수직방향과 더불어 횡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센터 플레이트(400)가 수직부(411)와 수평부만 포함하는 경우, 수직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우수하나, 횡 방향의 하중에 취약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품을 구성하는 제1 케이스(200) 및 제2 케이스(300)와, 센터 플레이트(400)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센터 플레이트(400)에 최적의 경사각을 부여함으로써, 수직 방향의 하중 지지력뿐만 아니라 횡 방향의 하중 지지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10)는 강도가 개선되어 마찰 저항(friction) 성능 및 내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412)의 각도(θ)는 적용되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최적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예로서, 다양한 실시예에 실험 대상인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10)의 경사부(412)의 각도만 달리하여 실험한 것이다.
도 8에서 실험예1은 경사부(412)의 각도(θ)가 0°이고, 실험예2는 경사부(412)의 각도(θ)가 15°이고, 실험예3은 경사부(412)의 각도(θ)가 30°이다. 그리고 도 8은 각 실험 조건에서 제1 케이스(C, 200)와 센터 플레이트(D, 400)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응력분포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C, 200)와 센터 플레이트(D, 400)에 작용하는 응력은, 경사부(412)의 각도(θ)가 15° 인 경우에 응력이 최소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터 플레이트(400)에 경사부(412)를 적용하면 경사부(412)가 없는 경우에 비해 응력이 작아질 수 있고, 실험을 통해 최적의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실험예와 이에 따른 경사각은 일례이며, 현가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특히 하중의 방향)에 따라 경사부(412)의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300)는 플레이트본체(410)에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수직 파트(310)와, 경사 파트(320)와, 수평 파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파트(310)는 수직부(411)에 밀착되도록 스트럿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 파트(320)는 수직 파트(310)에서 경사지게 연장되고 경사부(412)에 밀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 파트(320)의 경사진 각도는 경사부(412)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파트(330)는 경사 파트(320)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단부(413)에 밀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케이스(300)는 플레이트본체(410)에 밀착되게 구비됨으로써, 센터 플레이트(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센터 플레이트(400)가 제2 케이스(300)에 대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스(200)는 케이스본체(210)를 포함한다. 케이스본체(210)는 센터 플레이트(400) 및 제2 케이스(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되, 센터 플레이트(400)와 이격되어 윤활제가 공급되는 윤활제 공간부(21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케이스본체(210)는 센터 플레이트(400)와 마주하는 부분(211)이 센터 플레이트(4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200)와 제2 케이스(300)는, 센터 플레이트(400)와 제1 케이스(200)의 사이에 공급되는 윤활제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플레이트(400)는 이러한 윤활제를 유지하기 위해 윤활제 수용홈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 수용홈부(420)는 센터 플레이트(400)는 센터 플레이트(400)와 제1 케이스(200)의 사이의 윤활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케이스(200)를 향하는 면에 윤활제가 수용되도록 상향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센터 플레이트(400)와 제1 케이스(200)의 사이에 공급되는 윤활제에 의해 제1 케이스(200)와 제2 케이스(300)가 상대 회전하게 구비된다. 그런데 차량의 조향 작동 시 제2 케이스(300)가 회전하면, 센터 플레이트(400)와 제1 케이스(200) 사이에 구비된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플레이트(400)는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412)를 포함하므로, 윤활제의 외부 유출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센터 플레이트(400)에 윤활제 수용홈부(420)를 포함함으로써, 특히 센터 플레이트(400)가 경사진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1 케이스(200)와 센터 플레이트(400) 사이에 윤활작용을 하는 윤활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케이스(200)와 센터 플레이트(400) 사이의 마찰 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이음문제를 개선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윤활제 수용홈부(420)는 제1 수용홈(421)과 제2 수용홈(423)을 포함한다.
제1 수용홈(421)은 스트럿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용홈(421)은 센터 플레이트(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수용홈(421)은 센터 플레이트(400) 상에서, 스트럿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수용홈(421)은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홈(421)은 방지턱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지턱부(422)는 경사부(412)에 의해 윤활제가 유출되지 않도록 반경방향의 단부(413)에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용홈(423)은 센터 플레이트(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용홈(423)은, 센터 플레이트(400) 상에 스트럿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용홈(423)은 센터 플레이트(400)의 상면에 하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홈(423)은 센터 플레이트(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수용홈(423)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제1 수용홈(421)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수용홈(421)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홈(421)은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2 수용홈(423)은 제1 수용홈(421)에 의해 단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트럿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이 동심원을 이루며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제2 수용홈(423) 중 일부인 1군의 수용홈은 어느 하나의 가상의 원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제2 수용홈(423) 중 나머지인 2군의 수용홈은 다른 가상의 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1군의 수용홈과 2군의 수용홈은 전체적으로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케이스(300)는 돌기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313)는 제2 케이스(300)에 센터 플레이트(400)가 압입되게 결합되도록, 센터 플레이트(400)가 결합되는 결합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터 플레이트(400)는 제2 케이스(300)와 일체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제2 케이스(300)와 센터 플레이트(400) 사이에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제2 케이스(300)와 제1 케이스(200)의 접촉 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조립 시에 조립 위치를 맞춰야 하므로 생산성 면에 불리하다. 또한 위치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 시에 상항 방향의 하중 작용 시 파손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2 케이스(300)에 돌기부(313)를 형성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돌기부(313)는 결합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압입돌기(313)를 포함하고, 압입돌기(313)는 제2 케이스(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케이스(3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파트(310)와, 수직 파트(310)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파트(320)와, 경사 파트(320)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파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압입돌기(313)는 수직 파트(310)의 외면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압입돌기(313)는 수직 파트(310)의 외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압입돌기(313)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센터 플레이트(400)는 제2 케이스(300)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300)는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센터 플레이트(40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 이하 PBT라 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케이스(300)와 센터 플레이트(400)의 재질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센터 플레이트(400)가 제2 케이스(300)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터 플레이트(400)는 제2 케이스(300)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센터 플레이트(400)와 제2 케이스(300)를 조립 시에 압입함에 의해, 센터 플레이트(400)는 압입돌기(313)가 형성된 부분이 변형되면서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센터 플레이트(400)의 수직부(411)를 제2 케이스(300)의 수직 파트(310)에 끼울 때,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은 센터 플레이트(400)가 압입돌기(313) 부분에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 압입돌기(313)가 센터 플레이트(400)의 외면에 함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조향 동작 시에, 센터 플레이트(400)와 제2 케이스(300) 사이에 회전 또는 슬립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유격 방지를 통해 이음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시에 조립위치를 정렬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터 플레이트에 윤활제 수용홈부를 포함함으로써, 특히 센터 플레이트가 경사진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1 케이스와 센터 플레이트 사이에 윤활작용을 하는 윤활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케이스와 센터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 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이음문제를 개선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100: 인슐레이터
200: 제1 케이스
210: 케이스본체
220: 제1 후크
300: 제2 케이스
310: 수직 파트
311: 제2 후크
313: 압입돌기
320: 경사 파트
330: 수평 파트
400: 센터 플레이트
410: 플레이트본체
411: 수직부
412: 경사부
413: 단부
420: 윤활제 수용홈부
421: 제1 수용홈
422: 방지턱부
423: 제2 수용홈

Claims (5)

  1. 차체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에 결합되고 스트럿이 관통되는 제1 케이스;
    차량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케이스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트럿이 관통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케이스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센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사이에 공급되는 윤활제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사이의 윤활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케이스를 향하는 면에 상향 개구되고 상기 윤활제가 수용되는 윤활제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수용홈부는 상기 스트럿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플레이트는 상기 스트럿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윤활제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반경방향의 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된 방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수용홈부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용홈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수용홈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용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20200122274A 2020-09-22 2020-09-22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20220039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274A KR20220039294A (ko) 2020-09-22 2020-09-22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274A KR20220039294A (ko) 2020-09-22 2020-09-22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94A true KR20220039294A (ko) 2022-03-29

Family

ID=8099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274A KR20220039294A (ko) 2020-09-22 2020-09-22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92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2160A1 (en) * 2019-05-17 2022-10-20 Iljin Co., Ltd. Top moun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4014940A1 (ko) * 2022-07-15 2024-01-18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2160A1 (en) * 2019-05-17 2022-10-20 Iljin Co., Ltd. Top moun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4014940A1 (ko) * 2022-07-15 2024-01-18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8887B2 (en) Synthetic resin-made thrust sliding bearing
US7293918B2 (en) Sliding bearing
US7993061B2 (en) Sliding bearing
US6918701B2 (en) Synthetic resin-made sliding bearing
US7273317B2 (en) Thrust sliding bearing
CN1764793B (zh) 支柱滑动轴承
US9267544B2 (en) Thrust sliding bearing and mounting structure of a strut-type suspension using the thrust sliding bearing
US20100202716A1 (en) Synthetic resin-made thrust sliding bearing
KR20220039294A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11491837B2 (en) Suspension arm and ball joint
US20140119682A1 (en) Thrust sliding bearing
US20140355915A1 (en) Thrust sliding bearing
US10344799B2 (en) Sliding bearing
KR20220039295A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779784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20210114427A1 (en) Ball joint, suspension arm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39296A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JPS6246933Y2 (ko)
KR102663539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의 부시 장치
WO2023189287A1 (ja) 滑り軸受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
EP3385555B1 (en) Synthetic resin sliding bearing
KR101454906B1 (ko) 토션 바 지지유닛 및 그 제작방법
KR20200012513A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KR20240010330A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2497031B1 (ko) 리프스프링 마운팅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