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646A - 의료영상 공유 방법 및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영상 공유 방법 및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646A
KR20190070646A KR1020170171372A KR20170171372A KR20190070646A KR 20190070646 A KR20190070646 A KR 20190070646A KR 1020170171372 A KR1020170171372 A KR 1020170171372A KR 20170171372 A KR20170171372 A KR 20170171372A KR 20190070646 A KR20190070646 A KR 20190070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mage
medical image
code informat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708B1 (ko
Inventor
김진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17017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7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의료영상 공유 방법 및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방법은, 의료기관으로부터, 환자에 대해 의료영상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 됨에 연동하여, 상기 촬영오더에 상응하는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인덱스 DB로부터 리드한 상기 환자에 관한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제1 코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되면, 참조 가능한 과거의료영상이 기록됨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영상 공유 방법 및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METHOD AND SYSTEM AND FOR SHARING MEDICAL IMAGE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의료영상 공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클라우드 내에서 의료영상을 코드 별로 분류하여, 타 의료기관에서 코드를 통해 환자의 의료영상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및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의료기관에서는 환자를 촬영한 X-ray, CT, MRI 등의 다양한 의료영상(영상기록)을 개별 저장공간에 보관해 두고, 환자가 요청할 경우에 CD와 같은 물리적 저장매체에 복사 발급하여 환자가 직접 타 의료기관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영상기록의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영상기록의 공유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의료기관 간에 전자적 영상기록의 공유가 가능하게 되면서, 환자가 요청한 영상기록을 물리적 저장매체를 이용하지 않고 네트워크 기반의 전송 시스템을 통해 타 의료기관에 바로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 전송 기술은 환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의료기관 사이에서만 영상기록의 공유가 가능하므로, 환자의 과거 기록을 종합적으로 조회하여 환자의 진료에 참조 가능한 영상기록의 유무를 판단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사 부위에 대한 기존에 촬영한 영상기록이 있더라도, 환자가 해당 영상기록의 촬영 일시, 촬영 부위, 촬영 방식 등의 정보를 일일이 기억해서 의료기관에 전송을 요청해야 하므로 불편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료의사는 진료에 참조할 수 있는 타 의료기관에서 촬영한 과거 영상기록의 유무를 알 수 없고, 알고 있더라도 환자가 요청하지 않는 한 자유로운 조회가 어렵기 때문에 매번 환자에게 추가 촬영을 요청하게 되고 이로 인한 환자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의 개입 없이 의료기관에서 자유롭게, 환자의 인덱스 파일에서 코드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진료 시 참조 가능한 과거의 영상기록의 유무를 간단히 검색해 조회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영상의 촬영오더 입력 시 코드정보를 통한 인덱스 파일의 조회를 통해, 동일 또는 관련 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의 유무를 확인하여 알림으로써, 상기 촬영오더를 대체하거나, 참고용 과거의료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영상의 촬영오더와 연관된 과거의료영상을 실시간 검색해 진료의사에게 알림하여, 의료영상의 중복 촬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방법은, 의료기관으로부터, 환자에 대해 의료영상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 됨에 연동하여, 상기 촬영오더에 상응하는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인덱스 DB로부터 리드한 상기 환자에 관한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제1 코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되면, 참조 가능한 과거의료영상이 기록됨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의료기관으로부터, 환자에 대해 의료영상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 됨에 연동하여, 상기 촬영오더에 상응하는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인덱스 DB로부터 리드한 상기 환자에 관한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제1 코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되면, 참조 가능한 과거의료영상이 기록됨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를 촬영한 의료영상을 의료기관 별 영상 DB에 보관하면서, 해당 의료영상의 코드정보를 환자의 인덱스 파일에 기록하고, 환자의 인덱스 파일을 타 의료기관에서도 접근 가능한 공통의 인덱스 DB에 유지 함으로써, 환자의 개입 없이 의료기관에서 자유롭게, 환자의 인덱스 파일에서 코드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진료 시 참조 가능한 과거의 영상기록의 유무를 간단히 검색해 알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영상의 촬영오더 입력 시 코드정보를 통한 인덱스 파일의 조회를 통해, 동일 또는 관련 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의 유무를 확인하여 알림으로써, 상기 촬영오더를 대체하거나 참고용 과거의료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영상의 촬영오더와 연관된 과거의료영상을 실시간 검색해 진료의사에게 알림 함으로써, 의료영상의 중복 촬영을 방지하여 환자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의료기관 사이의 의료영상 공유 과정의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하여 환자의 시간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에 의해 제공된 일부 의료영상 이외에, 여러 의료기관에서의 과거 영상기록을 진료의사가 능동적으로 자유롭게 조회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통해 환자에게 정확한 진단과 촬영 오더를 내리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에서, 의료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에서, 의료영상의 코드정보를 환자의 인덱스 파일에 기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00)는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촬영된 환자의 의료영상과 전자의무기록을 보관하고, 각 의료기관에서 동일 환자의 과거 촬영된 의료영상을 손쉽게 조회, 검색, 다운로드 가능하게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00)는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촬영된 의료영상을 의료기관 별로 보관하면서, 해당 의료영상을 식별(분류)하는 코드정보를 환자 별 인덱스 파일에 기록 함으로써, 상기 인덱스 파일을 통해 환자의 의료영상을 의료기관의 구분 없이 손쉽게 검색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담당의사(진료의)는 의료기관의 단말에서 실행되는 EMR 시스템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100)와 연동하여, 환자의 타 의료기관에서 촬영된 의료영상을 진료 도중에 바로 열람하여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고 환자에게 불필요한 의료영상을 촬영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의료영상은 병의원, 검진기관 등의 의료기관에서 촬영된 X-ray, CT, MRI, 초음파 등과 같은 환자의 진료와 관련된 영상기록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클라우드 서버(100)는 의료기관 별 영상 DB(111 내지 114) 및 인덱스 DB(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료기관 별 영상 DB(111 내지 114)는, 클라우드 서버(100)를 이용하는 의료기관에서 촬영된 의료영상이 의료기관 별로 저장(기록)되는 저장소로서, 클라우드 서버(100)는 환자의 의료영상 촬영에 따라 자동으로 의료영상을 의료기관 별 영상 DB(111 내지 114)에 기록하거나, 또는, 의료기관에서 보관이 요청된 의료영상 만을 선별해서 기록할 수 있다.
인덱스 DB(120)는, 환자 별 인덱스 파일을 유지하는 의료기관 공용의 저장소로서, 클라우드 서버(100)는 영상 DB(111 내지 114)에 기록된 모든 의료영상에 관한 코드정보를 환자 별로 구분하여 인덱스 파일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 파일은 의료영상의 코드정보를, 영상의 저장 위치에 대응시켜 기록한 일종의 색인 파일로서, 클라우드 서버(100)를 이용하는 각 의료기관에서 모두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각 영상 DB(111 내지 114)에 기록된 의료영상은, 해당 의료영상을 촬영한 의료기관에서 접근(조회, 열람,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설정해 두고, 타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상기 인덱스 파일에 대한 검색을 통해, 진료와 관련되는 의료영상을 접근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100)는 '병원 B'(102)로부터, '환자 AA'의 오른손 X-ray 의료영상이 검색 요청될 경우, 촬영부위('오른손') 및 촬영형식('단순촬영')과 연관된 제1 코드정보('G6500006')로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을 검색하여, '병원 A'(101)에서 촬영된 과거의료영상에 관한 검색 결과를 '병원 B'(102)에 제공하고, 검색 결과에서 조회 또는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해당 영상의 저장 위치를 식별하여 리드한 과거의료영상을 '병원 B'(102)에 표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클라우드 서버(100)는 '병원 A'(101)에서 '환자 AA'의 의료영상이 촬영되면, 의료영상을 환자의 전자의무기록과 함께 '병원 A'(101)에 마련된 영상 DB(111)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①).
클라우드 서버(100)는 상기 전자의무기록 내 촬영오더 또는 보험코드 등을 참조하여 상기 의료영상의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코드정보를, 영상 DB(111) 내 영상 저장 위치와 연관시켜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에 기록하고, 인덱스 파일을 환자의 환자식별코드에 연관시켜 인덱스 DB(120)에 유지할 수 있다(단계 ②).
클라우드 서버(100)는 '병원 B'(102)로부터 상기 환자의 의료영상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되면, 상기 촬영오더 내의 촬영부위 및 촬영형식에 기초하여 제1 코드정보(예, 'G6500006')를 생성하고,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제1 코드정보의 적어도 일부(예, 'G650')를 포함하는 제2 코드정보(예, 'G6501000')를 검색할 수 있다(단계 ③).
클라우드 서버(100)는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제2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저장 위치를 참조하여 '병원 A'(101)의 영상 DB(111)에 저장된 상기 환자의 과거의료영상을 '병원 B'(102)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④).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의료영상에 관한 코드 검색을 통해 진료 시 참조 가능한 과거의 영상기록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진료의 질을 높이고 불필요한 영상 촬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생성부(210), 검색부(220) 및 처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기록부(240), 인덱스 DB(250) 및 영상 DB(260)를 각각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생성부(210)는 의료기관으로부터, 환자에 대해 의료영상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 됨에 연동하여, 상기 촬영오더에 상응하는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제1 코드정보는 촬영하려는 의료영상을 분류하는 코드일 수 있다.
일례로, 생성부(210)는 의료기관에서 실행되는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으로부터, 진료의사가 진료 중에 내리는 촬영오더(예, '오른손 X-ray')를 확인하고, 촬영오더와 함께 전자의무기록에 기록되는 보험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험코드는 의료영상에 대한 진료비 중 건강보험공단에 청구하게 되는 진료비를 식별하기 위해 의료영상 별로 부여되는 코드로서, 의료영상의 촬영부위와 촬영형식 등에 따라 구분되는 청구코드와, 환자의 나이와 의료영상의 판독자 등에 따라 구분되는 가산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생성부(210)는 상기 촬영오더에 포함되는 촬영부위 및 촬영형식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청구코드를, 상기 제1 코드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생성부(210)는 X-ray와 같은 방사선을 이용한 단순촬영일 경우 알파벳 'G'로 시작하면서 촬영부위에 따른 3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는 청구코드에 관한 테이블(311)을 도 3의 (ⅰ)과 같이 마련할 수 있고, 조영 또는 헤르니아그램(Herniogram) 등과 같은 특수촬영일 경우 알파벳 'HA'로 시작하면서 촬영부위와 촬영시간 및 촬영범위 등에 따른 3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는 청구코드에 관한 테이블(321)을 도 3의 (ⅰ)과 같이 마련할 수 있다.
생성부(210)는 촬영오더가 '요추 X-ray'일 경우, 도 3의 (ⅰ)에 도시된 단순 촬영 시 청구코드에 관한 테이블(311)에서 촬영부위('요추')에 부여된 청구코드('G450')(301)를 식별하여 제1 코드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210)는 촬영오더가 '위장 조영'일 경우, 도 3의 (ⅱ)에 도시된 특수 촬영 시 청구코드에 관한 테이블(321)에서 촬영부위('위장')에 부여된 청구코드('HA010')(304)를 식별하여 제1 코드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생성부(210)는 상기 촬영오더에, 촬영매수, 환자나이, 영상판독자 및 촬영료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가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청구코드에, 상기 부가정보에 상응하는 가산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제1 코드정보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생성부(210)는 촬영형식(단순/특수)에 따라 부가정보의 항목 별로 4자리 또는 3자리의 가산코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부가정보가 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0'으로 부여한 가산코드를, 상기 청구코드와 조합하여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생성부(210)는 '요추 X-ray'에 관한 촬영오더 내에 촬영매수('2매'), 판독자('영상의학과전문의')가 추가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 도 3의 (ⅰ)에 도시된 단순촬영 시 가산코드에 관한 테이블(312)에서 촬영매수('2매')에 부여된 가산코드('2')(302)와, 판독자('영상의학과전문의')에 부여된 가산코드('6')(303)를 식별하고,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는 가산코드를 '0'으로 부여하여, 청구코드('G450')(301)의 뒷단에 가산코드(302, 303)를 추가 함으로써, 제1 코드정보('G4502006')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210)는 '위장 조영'에 관한 촬영오더 내에 판독자('외부병원필름판독')이 추가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 도 3의 (ⅱ)에 도시된 특수촬영 시 가산코드에 관한 테이블(322)에서 해당되는 항목에 가산코드('1')(305)을 식별하고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는 가산코드를 '0'으로 부여하여, 청구코드('HA010')(304)의 뒷단에 가산코드(304)를 추가 함으로써, 제1 코드정보('HA010001')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은, 상기 의료영상에 대한 촬영형식 및 촬영부위를 포함하는 촬영오더와, 촬영일시, 상기 환자의 병명, 보험정보, 의료기관정보 및 진료의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210)는 상기 촬영오더 내의 촬영형식에 따라, 촬영부위를 나타내는 청구코드의 자리수를 상이하게 결정하되, 상기 부가정보를 나타내는 가산코드의 자리수를 조절하여, 상기 코드정보의 총 자리수를 동일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기록부(240)는 생성된 코드정보를 상기 환자의 인덱스 파일에, 상기 영상 DB(260) 내 상기 의료영상의 영상 저장 위치에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210)는 동일한 2n 자리수의 코드정보를 생성하되, 단순촬영인 경우와 특수촬영인 경우 서로 다른 문자(G, H)로 시작하도록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210)는 상기 의료영상에 대한 촬영형식이 단순촬영인 경우, 촬영부위를 나타내는 n 자리수(상기 n은 자연수)의 청구코드 및 촬영매수를 포함한 n 자리수의 가산코드를 조합하여, 총 2n 자리수의 상기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210)는 상기 촬영형식이 특수촬영인 경우, 촬영부위를 나타내는 n+1 자리수의 청구코드와, n-1 자리수의 가산코드를 조합하여, 총 2n 자리수의 상기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검색부(220)는 인덱스 DB(250)로부터 리드한 상기 환자에 관한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제1 코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한다.
즉, 검색부(220)는 영상 DB(260)에 저장된 환자의 기 촬영된 과거의료영상의 제2 코드정보를 기록한 인덱스 파일에서, 현재 촬영(또는 검색)하려는 의료영상의 제1 코드정보와 일치하거나, 제1 코드정보의 앞단(청구코드에 해당)이 같은 제2 코드정보를 찾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기록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록부(240)는 임의의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환자를 촬영한 의료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의료영상을, 과거의료영상으로서, 상기 임의의 의료기관에 관해 마련한 영상 DB(260)에 기록하고, 상기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상기 의료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정보를, 상기 환자의 인덱스 파일에, 상기 영상 DB(260) 내 상기 의료영상의 영상 저장 위치에 대응하여 기록한다.
여기서, 환자의 의료영상은, 해당 의료영상을 촬영한 의료기관 별로 구분되어 영상 DB(260)에 기록되고, 환자의 의료영상에 대한 코드정보를 기록한 환자 별 인덱스 파일은 다른 의료기관에서 접근, 검색 가능하도록 클라우드 공통의 저장 공간인 인덱스 DB(250)에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기록부(240)는 인덱스 DB(250)로부터 환자의 인덱스 파일이 리드되지 않으면(환자의 인덱스 파일이 기 생성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코드정보를, 영상 DB(260) 내 상기 의료영상의 영상 저장 위치에 대응하여 기록한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인덱스 파일을, 상기 환자의 환자식별코드에 대응시켜 인덱스 DB(250)에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록부(240)는 의료기관 별 영상 DB(260)에 환자의 의료영상과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기록 시, 의료영상을 식별할 수 있는 코드정보를, 병명코드와 영상 DB(260) 내 영상 저장 위치와 함께 텍스트 형태의 환자의 인덱스 파일에 함께 기록할 수 있다. 이후, 환자가 다른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때 진료의사가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를 입력할 경우, 검색부(220)는 환자의 인덱스 파일을 조회하여 유사한 촬영오더에 따른 기 촬영된 의료영상이나 같은 부위의 촬영영상의 유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료의사는 촬영오더를 중지하고 과거에 촬영한 의료영상으로 대체하거나, 비교/참고용으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기록부(240)는 '병원 A'에서 '환자 AA'의 의료영상(401)이 촬영 됨에 따라 수신되는 의료영상(401)을 '병원 A'의 영상 DB(260)에 기록하고, '병원 B'에서 '환자 AA'의 의료영상(402)이 촬영 됨에 따라 수신되는 의료영상(402)을 '병원 B'의 영상 DB(260)에 기록하고,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410)에 의료영상(401)에 관한 제2 코드정보(411) 및 의료영상(402)에 관한 제2 코드정보(412)를 각각의 영상 저장 위치에 연관시켜 기록할 수 있다.
일례로, 생성부(210)에 의해 상기 촬영오더에 포함되는 촬영부위 및 촬영형식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청구코드를, 상기 제1 코드정보로서 생성하고, 검색부(220)는 상기 인덱스 파일에 기록된 코드정보 중, 상기 청구코드가 적어도 일치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검색부(220)는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410)에서, 제1 코드정보('HA010001')의 앞단(청구코드 'HA010')이 일치하는 제2 코드정보('HA010006')를 검색 함으로써, 촬영하려는 의료영상과 촬영부위('위장')와 촬영형식('조영')이 같은 기 촬영된 의료영상(401)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생성부(210)는 상기 촬영오더에, 촬영매수, 환자나이, 영상판독자 및 촬영료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가 더 포함되는 경우, 검색부(220)는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부가정보에 상응하는 가산코드가 더 일치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검색부(220)는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410)에서, 제1 코드정보('G4502006')와 정확히 일치하는 제2 코드정보('G4502006')를 검색 함으로써, 촬영하려는 의료영상과 촬영부위('요추')와 촬영형식('X-ray')이 같은 기 촬영된 의료영상(401)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상기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되면, 참조 가능한 과거의료영상이 기록됨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한다.
즉, 처리부(230)는 영상 DB(260) 내에, 금번 촬영오더와 촬영부위가 유사하거나, 촬영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환자의 과거의료영상이 기록되어 있음을 실시간 알림할 수 있다.
일례로, 처리부(230)는 상기 촬영오더에서 지시하는 촬영부위와 동일 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의 기록을 의료기관의 진료의사에게 바로 알림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30)는 상기 촬영오더에서 지시하는 촬영부위와 관련 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의 기록을 의료기관에 알림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관련 부위는, 상기 촬영부위로부터 선정된 거리 이내의 다른 인체 부위일 수 있고, 예컨대 촬영부위와 연계되어 인체 활동시 함께 작동하거나, 촬영부위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의학적으로 그 원인이 되는 타 부위일 수 있다.
이처럼, 처리부(230)는 의료기관 별 영상 DB(260) 내에, 금번 촬영오더와 관련된 환자의 과거의료영상이 기록되어 있음을, 동일 부위, 유사 부위 및 관련 부위에 따라 상이하게 의료기관에 알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검색부(220)에 의해, 제1 코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제2 코드정보가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복수로 검색될 경우, 상기 가산코드가 더 일치하는 제2 코드정보의 과거의료영상을 처리부(230)를 통해 우선적으로 알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검색부(220)에 의해,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가산코드가 더 일치하는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될 경우, 처리부(230)는 상기 촬영오더와 동일한 촬영오더에 따라 기 촬영된 과거의료영상의 존재를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여, 중복 촬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처리부(230)는 촬영오더와 동일한 과거의료영상을 의료기관에 제공 시, 동일영상으로 알림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30)는 상기 알림에 따라,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영상 조회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인덱스 파일로부터, 상기 제2 코드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된 영상 저장 위치를 식별하고, 의료기관 별 영상 DB에서, 상기 영상 저장 위치에 저장된 상기 환자의 과거의료영상을, 상기 의료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230)는 상기 과거의료영상이 타 의료기관에 의해 촬영된 경우, 상기 촬영오더를 입력한 의료기관에 할당된 접근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접근권한에 따라 조회가 허용된 과거의료영상을 선별하여 상기 의료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30)는 타 의료기관에 의해 촬영된 과거의료영상을 의료기관에 제공 시, 그 영상을 촬영한 타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의료기관명, 진료의, 판독자, 포맷, 촬영형식 환경 등)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영상의 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오더와 연관된 의료영상을 실시간 검색해 알림하여, 의료영상의 중복 촬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에 의해 제공된 일부 의료영상 이외에, 여러 의료기관에서의 과거 영상기록을 진료의사가 능동적으로 자유롭게 조회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통해 환자에게 정확한 진단과 촬영 오더를 내리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230)는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검색된 상기 제2 코드정보와 연관되는 과거의료영상에 관한 결과 리스트를, 상기 촬영오더를 입력한 의료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결과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과거의료영상에 관한 다운로드 페이지를 상기 의료기관에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록부(240)는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촬영한 의료영상을 해당 의료기관의 영상 DB(260)에 보관하면서, 생성부(210)를 통해 해당 의료영상을 식별하는 제2 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인덱스 파일에 기록하고, 인덱스 파일을 환자의 환자식별코드에 대응시켜 인덱스 DB(250)에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생성부(210)는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에 기재된 환자식별코드(예, '주민번호')와 촬영오더, 촬영오더의 입력일시, 의료영상의 보험코드 및 병원식별코드(예, '요양기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영상 DB(260)에 기록한 의료영상을 식별, 분류하는 제2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검색부(220)는 의료기관으로부터 환자에 대해 의료영상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되면, 동일한 촬영 오더에 따라 상기 환자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이나 유사 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이 의료기관 별 영상 DB(260)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촬영오더에 따라 생성한 제1 코드정보로 상기 환자의 인덱스 파일을 조회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제1 코드정보의 앞단('청구코드'에 해당)을 포함하는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되면, 동일한 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에 관한 결과 리스트를 진료의사의 단말에 출력하고, 진료의사의 판단에 따라 의료영상을 새롭게 촬영하지 않고 과거의료영상을 대체해서 사용하게 될 경우 해당 과거의료영상의 다운로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처리부(230)는 입력된 촬영오더에 따라 의료영상 촬영을 그대로 진행하게 되더라도 결과 리스트 내의 과거의료영상을 비교 참고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처럼, 처리부(230)는 환자가 타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을 때에도 복잡한 절차 없이, 코드정보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환자의 기 촬영된 의료영상을 검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수의 의료기관이 서로 연계하여, 환자에 대한 진료의 질을 높일 수 있고, 의료영상의 중복촬영을 방지하여 환자의 비용부담을 낮추고, 영상 DB(260)에 영상기록의 중복을 최소화 하여 영상 DB(260)의 비대화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를 촬영한 의료영상(영상기록)을 보관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의료영상에 관한 코드 검색을 통해, 진료 시 참조 가능한 환자의 영상기록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촬영오더의 입력 만으로, 해당 촬영오더 내 촬영부위와 유사 또는 관련 부위를 촬영한 환자의 과거 의료영상을 찾아 진료 중인 담당 의사에게 실시간 알림 함으로써 불필요한 영상 촬영을 방지하거나, 금번에 촬영하게 되는 의료영상과의 비교 영상으로 참조하게 할 수 있어 진료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에서, 의료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촬영부위를 나타내는 청구코드의 자리수를 상이하게 결정하되, 부가정보를 나타내는 가산코드의 자리수를 조절하여, 의료영상의 촬영형식에 구분 없이 동일한 2n 자리수('8자리수')의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단순촬영(G)인 경우와 특수촬영(HA)인 경우 서로 다른 문자로 시작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상기 의료영상에 대한 촬영형식이 단순촬영인 경우, 촬영부위를 나타내는 n 자리수('4자리수')의 청구코드와, 촬영매수, 환자의 나이, 촬영료 및 판독자를 포함한 n 자리수('4자리수')의 가산코드를 조합하여, 총 2n 자리수의 상기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상기 촬영형식이 특수촬영인 경우, 촬영부위를 나타내는 n+1 자리수('5자리수')의 청구코드와, n-1 자리수('3자리수')의 가산코드를 조합하여, 총 2n 자리수의 상기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촬영형식(단순/특수)에 따라 부가정보의 항목 별로 4자리 또는 3자리의 가산코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부가정보가 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0'으로 부여한 가산코드를, 상기 청구코드와 조합하여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의 (ⅰ)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방사선을 이용한 단순촬영(예, 'X-ray')일 경우, 알파벳 'G'로 시작하면서 촬영부위에 따른 3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는 청구코드에 관한 테이블(311)과, 촬영매수, 환자나이, 영상판독자 및 촬영료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에 따른 가산코드에 관한 테이블(312)을 마련할 수 있다.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요추 X-ray'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될 경우, 도 3의 (ⅰ)에 테이블(311, 312)를 참조하여, 촬영부위('요추')에 부여된 청구코드('G450')(301)와, 촬영매수('2매')에 부여된 가산코드('2')(302) 및 판독자('영상의학과전문의')에 부여된 가산코드('6')(303)를 식별하고,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는 가산코드를 '0'으로 부여하여, 청구코드('G450')(301)의 뒷단에 가산코드(302, 303)를 추가 함으로써, 제1 코드정보('G4502006')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드정보('G4502006')는 환자의 요추 부위에 단순 방사선(X선)을 2회 촬영하고 이를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판독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ⅱ)를 참조하면,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방사선을 이용한 특수촬영('조영', '헤르니아그램' 등)일 경우, 알파벳 'HA'로 시작하면서 촬영부위와 촬영시간 및 촬영범위 등에 따른 3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는 청구코드에 관한 테이블(321)과, 상기 부가정보에 따른 가산코드에 관한 테이블(322)을 마련할 수 있다.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위장 조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될 경우, 도 3의 (ⅱ)의 테이블(321, 322)를 참조하여, 촬영부위('위장')에 부여된 청구코드('HA010')(304)와, 판독자('외부병원필름판독')에 관한 가산코드(305)를 식별하고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는 가산코드를 '0'으로 부여하여, 청구코드('HA010')(304)의 뒷단에 가산코드(304)를 추가 함으로써, 제1 코드정보('HA010001')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드정보('HA010001')는 환자의 위장 부위를 조영 촬영하고 이를 외부병원에서 판독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에서, 의료영상을 영상 DB에 기록 시, 의료영상의 코드정보를 환자의 인덱스 파일에 기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병원 A'에서 '환자 AA'의 의료영상(401)이 촬영 됨에 따라 수신되는 의료영상(401)을 '병원 A'의 영상 DB(260)에 기록하면서, 의료영상(401)의 제2 코드정보('G4502006', 'HA010006', 'HA040006')(411)를, 의료영상(401)의 저장 위치와 연관시켜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41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병원 B'에서 '환자 AA'의 의료영상(402)이 촬영 됨에 따라 수신되는 의료영상(402)을 '병원 B'의 영상 DB(260)에 기록하면서, 의료영상(402)에 관한 제2 코드정보(412)를,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410)에 영상 저장 위치에 연관시켜 기록할 수 있다.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병원 B'로부터, '요추 X-ray'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될 경우, 촬영오더에 따른 제1 코드정보('G4502006')의 적어도 일부('청구코드 'G450')가 일치하는 제2 코드정보(411)를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410)에서 검색하고, 검색될 경우, 같은 부위를 촬영한 의료영상의 존재를 '병원 B'에 알림하여, 중복 촬영을 방지하거나 진료 시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은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410)에서 검색된 제2 코드정보(411)의 기 촬영된 의료영상(401)에 관한 결과 리스트를 '병원 B'에 제공하고, 진료의사의 판단에 따라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의료영상(401)의 영상 저장 위치를 포함하여 다운로드 페이지를 '병원 B'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공유 방법은 상술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의료기관으로부터, 환자에 대해 의료영상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병원 A'(101)에서 '환자 AA'의 의료영상이 촬영되면, 의료영상을 환자의 전자의무기록과 함께 '병원 A'(101)에 마련된 영상 DB(111)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상기 전자의무기록 내 촬영오더 또는 보험코드 등을 참조하여 상기 의료영상의 제2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제2 코드정보를, 영상 DB(111) 내 영상 저장 위치와 연관시켜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에 기록하고, 인덱스 파일을 환자의 환자식별코드에 연관시켜 인덱스 DB(120)에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촬영 오더가 입력되는 경우, 단계(520)에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상기 촬영오더에 상응하는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단계(530)에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인덱스 DB로부터 상기 환자에 관한 인덱스 파일을 리드하고, 단계(540)에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제1 코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병원 B'(102)로부터 상기 환자의 의료영상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되면, 상기 촬영오더 내의 촬영부위 및 촬영형식에 기초하여 제1 코드정보(예, 'G6500006')를 생성하고, 인덱스 DB(120)에서 리드한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로부터, 상기 제1 코드정보의 적어도 일부(예, 'G650')를 포함하는 제2 코드정보(예, 'G6501000')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상기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되면, 참조 가능한 과거의료영상의 기록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의료기관 별 영상 DB(111) 내에, 금번 촬영오더와 촬영부위가 유사하거나, 촬영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환자의 과거의료영상이 기록되어 있음을, 동일 부위, 유사 부위 및 관련 부위에 따라 상이하게 '병원 B'에 실시간 알림할 수 있다.
또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환자 AA'의 인덱스 파일에서 검색된 제2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저장 위치를 참조하여, '병원 A'(101)의 영상 DB(111)에 저장된 상기 환자의 과거의료영상을 '병원 B'(10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200)은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검색된 상기 제2 코드정보와 연관되는 과거의료영상에 관한 결과 리스트를 먼저 의료기관('병원 B')에 제공하고, 상기 결과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과거의료영상에 관한 다운로드 페이지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를 촬영한 의료영상(영상기록)을 보관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의료영상에 관한 코드 검색을 통해, 진료 시 참조 가능한 환자의 영상기록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촬영오더의 입력 만으로, 해당 촬영오더 내 촬영부위와 유사 또는 관련 부위를 촬영한 환자의 과거 의료영상을 찾아 진료 중인 담당 의사에게 실시간 알림 함으로써 불필요한 영상 촬영을 방지하거나, 금번에 촬영하게 되는 의료영상과의 비교 영상으로 참조하게 할 수 있어 진료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210: 생성부 220: 검색부
230: 처리부 240: 기록부
250: 인덱스 DB 260: 영상 DB

Claims (16)

  1. 의료기관으로부터, 환자에 대해 의료영상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 됨에 연동하여,
    상기 촬영오더에 상응하는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덱스 DB로부터 리드한 상기 환자에 관한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제1 코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되면, 참조 가능한 과거의료영상이 기록됨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오더에서 지시하는 촬영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의 기록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의 기록의 부재시, 상기 촬영부위로부터 선정된 거리 이내의 관련 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의 기록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오더에 포함되는 촬영부위 및 촬영형식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청구코드를, 상기 제1 코드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인덱스 파일에 기록된 코드정보 중, 상기 청구코드가 적어도 일치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오더에, 촬영매수, 환자나이, 영상판독자 및 촬영료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가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청구코드에, 상기 부가정보에 상응하는 가산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제1 코드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가산코드가 더 일치하는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될 경우,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오더와 동일한 촬영오더에 의한 과거의료영상의 기록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에 따라,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영상 조회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인덱스 파일로부터, 상기 제2 코드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된 영상 저장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의료기관 별 영상 DB에서, 상기 영상 저장 위치에 저장된 상기 환자의 과거의료영상을, 상기 의료기관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의료영상이 타 의료기관에 의해 촬영된 경우,
    상기 촬영오더를 입력한 의료기관에 할당된 접근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접근권한에 따라 조회가 허용된 상기 과거의료영상을 선별하여 상기 의료기관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제2 코드정보와 연관되는 과거의료영상에 관한 결과 리스트를, 상기 촬영오더를 입력한 의료기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 리스트 중 상기 의료기관에 의해 선택되는 과거의료영상에 관한 다운로드 페이지를 상기 의료기관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환자를 촬영한 의료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의료영상을, 과거의료영상으로서, 상기 임의의 의료기관에 관해 마련한 영상 DB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기록에 따라, 상기 의료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정보를, 상기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참조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인덱스 파일에,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영상 DB 내 상기 의료영상의 영상 저장 위치에 대응하여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의무기록은, 상기 의료영상에 대한 촬영오더와, 상기 환자의 병명, 보험정보, 의료기관정보 및 진료의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참조하여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오더 내의 촬영형식에 따라, 촬영부위를 나타내는 청구코드의 자리수를 상이하게 결정하되, 상기 부가정보를 나타내는 가산코드의 자리수를 조절하여, 상기 코드정보의 총 자리수를 동일하게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방법.
  11. 의료기관으로부터, 환자에 대해 의료영상 촬영에 관한 촬영오더가 입력 됨에 연동하여,
    상기 촬영오더에 상응하는 제1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인덱스 DB로부터 리드한 상기 환자에 관한 인덱스 파일에서, 상기 제1 코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제2 코드정보가 검색되면, 참조 가능한 과거의료영상이 기록됨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촬영오더에서 지시하는 촬영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의 기록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거나, 또는 상기 촬영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의 기록의 부재시, 상기 촬영부위로부터 선정된 거리 이내의 관련 부위를 촬영한 과거의료영상의 기록을 상기 의료기관에 알림하는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촬영오더에 포함되는 촬영부위 및 촬영형식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청구코드를, 상기 제1 코드정보로서 생성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인덱스 파일에 기록된 코드정보 중, 상기 청구코드가 적어도 일치하는 제2 코드정보를 검색하는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에 따라,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영상 조회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인덱스 파일로부터, 상기 제2 코드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된 영상 저장 위치를 식별하고, 의료기관 별 영상 DB에서, 상기 영상 저장 위치에 저장된 상기 환자의 과거의료영상을, 상기 의료기관에 제공하는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인덱스 파일에서 검색된 상기 제2 코드정보와 연관되는 과거의료영상에 관한 결과 리스트를, 상기 촬영오더를 입력한 의료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결과 리스트 중 상기 의료기관에 의해 선택되는 과거의료영상에 관한 다운로드 페이지를 상기 의료기관에 제공하는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임의의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환자를 촬영한 의료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의료영상을, 과거의료영상으로서, 상기 임의의 의료기관에 관해 마련한 영상 DB에 기록하고, 상기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상기 의료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정보를, 상기 환자의 인덱스 파일에, 상기 영상 DB 내 상기 의료영상의 영상 저장 위치에 대응하여 기록하는 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KR1020170171372A 2017-12-13 2017-12-13 의료영상 공유 방법 및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KR102133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372A KR102133708B1 (ko) 2017-12-13 2017-12-13 의료영상 공유 방법 및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372A KR102133708B1 (ko) 2017-12-13 2017-12-13 의료영상 공유 방법 및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646A true KR20190070646A (ko) 2019-06-21
KR102133708B1 KR102133708B1 (ko) 2020-07-14

Family

ID=6705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372A KR102133708B1 (ko) 2017-12-13 2017-12-13 의료영상 공유 방법 및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826B1 (ko) * 2021-08-04 2022-02-08 (주)비씨앤컴퍼니 치과용 임상사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08B1 (ko) * 2006-02-21 2007-03-2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의료기관간 의료정보 온라인 전송 시스템
JP2008204378A (ja) * 2007-02-22 2008-09-04 Fujifilm Corp 診療データ共有サーバ、診療データ共有方法、及び診療データファイリング装置
KR20150066130A (ko)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케이티 병원간 의료영상정보 교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08B1 (ko) * 2006-02-21 2007-03-2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의료기관간 의료정보 온라인 전송 시스템
JP2008204378A (ja) * 2007-02-22 2008-09-04 Fujifilm Corp 診療データ共有サーバ、診療データ共有方法、及び診療データファイリング装置
KR20150066130A (ko)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케이티 병원간 의료영상정보 교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826B1 (ko) * 2021-08-04 2022-02-08 (주)비씨앤컴퍼니 치과용 임상사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708B1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9334B2 (ja) 医用画像読影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000883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ttaching objects to a data repository
US20180166162A1 (en) Medical system
RU2711305C2 (ru) Связывание отчета / изображения
JP5048286B2 (ja) 画像転送方法、画像転送装置、及び画像転送プログラム
JP2006280717A (ja) 医用画像システム
JP2006223465A (ja) 医用画像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の取得方法
KR20190070646A (ko) 의료영상 공유 방법 및 의료영상 공유 시스템
JP2008234309A (ja) 症例収集システム
JP2008073397A (ja) 解剖図選択方法及び解剖図選択装置並びに医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121154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及び画像管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195331A1 (en) Apparatus for sha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4468050B2 (ja) 医療データ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る端末
JPH03211673A (ja) 画像ファイリング装置
JPH06309372A (ja) 医用データベース装置
JP2002024394A (ja) 医用画像集中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170012076A (ko) 의료 영상과 관련된 장치들 간에 송수신되는 의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5431415B2 (ja) 医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サーバ
JP2763792B2 (ja) レントゲン検査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224463B1 (ko) 병원간 의료영상정보 교류 방법 및 시스템
JP2005293104A (ja) 医用画像検索方法および医用画像検索システム
JP2005267551A (ja) 医療データ保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端末及びサーバ
US8005790B2 (en) Object clon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5099561A (ja) 画像入力装置、画像出力装置およびそれらの方法
JP2005149180A (ja) 医用画像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