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832A -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 - Google Patents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832A
KR20190069832A KR1020170170128A KR20170170128A KR20190069832A KR 20190069832 A KR20190069832 A KR 20190069832A KR 1020170170128 A KR1020170170128 A KR 1020170170128A KR 20170170128 A KR20170170128 A KR 20170170128A KR 20190069832 A KR20190069832 A KR 2019006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fter
cover
closing cover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594B1 (ko
Inventor
이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to KR102017017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5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는, 진공저온조리기에서 기밀방수처리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냉각팬; 및 상기 케이스에서 내외부 통로인 냉각홀에 설치되며 자동으로 개폐되는 홀개폐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COOLING APPARATUS AND VACUUM HEATING COOKING UTENSIL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로서, 진공저온조리기의 내부 구성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명 수비드(Sous Vide)라고 일컫는 진공저온조리법은 저온의 온도를 이용한 조리기술로서, 1971년 퀴진 솔루션(슬로우 푸드를 위한 수비드 조리법을 발명한 연구기관)에 의해 알려진 조리법이다.
음식물의 영양소, 질감, 맛을 최초 조리 당시의 상태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는 수비드 조리법은 진공 포장지에 음식물을 담아 밀봉한 후, 이를 미지근한 물속에 넣어 오랫동안 데우는 조리법이다. 이때,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장시간 동안 음식물을 데우게 된다.
음식물을 데우는 물의 온도는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75℃ 정도를 유지하며, 일정하게 가열되어 유지되는 온도의 물에 장시간 음식물을 담아두므로 음식물의 겉과 속이 균일하게 데워지게 되며, 음식물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진공저온조리를 위해 만들어진 진공저온조리기에 있어서, 트라이악과 같은 내부의 전기제어부품이 과열 시 이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냉각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환기를 위해 케이스에 냉각홀이 형성되는데, 수용조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제외한 진공저온조리기의 부분에 물이 침투 시 내부 부품들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외부 충격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진공저온조리기가 기울어져서 가열부를 제외한 부분도 물에 입수되는 경우, 내부 부품의 손상과 함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이 있다.
PCT 국제공개번호 제 WO2016/182323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홀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는, 진공저온조리기에서 기밀방수처리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냉각팬; 및 상기 케이스에서 내외부 통로인 냉각홀에 설치되며 자동으로 개폐되는 홀개폐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홀개폐유닛은, 상기 냉각홀에 설치되며, 에어홀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홀을 개폐하는 개폐커버; 및 상기 개폐커버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개폐커버에 대한 밀어올림작동 및 밀어올림해제를 하는 리프터; 및 상기 브라켓과 개폐커버를 연결하며, 상기 개폐커버를 하강시키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폐커버의 하부에는 하면이 경사진 커버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는 솔레노이드밸브이며, 상기 리프터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저에 연결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플랜저와 연동되어 횡이동하여, 상기 커버경사부에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개폐커버를 밀어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커버경사부의 하단과 이어지는 커버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프터는 상기 커버경사부에서 슬라이드되는 상부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사부의 상단과 이어지는 상부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수평부와 상부수평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방 탄성복원력 방향과 수직인 평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부재는 솔레노이드밸브이며, 상기 리프터는 캠 형상으로서 상기 브라켓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저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상기 개폐커버의 하면에 슬라이드되게 접촉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플랜저와 연동되어 회전하여 상기 개폐커버의 하면에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개폐커버를 밀어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커버는 하부에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는 회전방향이 가이드되도록 테두리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저와 상기 리프터는 제1 링크바와 제2 링크바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바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링크바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바와 회전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리프터와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케이스를 구비하고 진공저온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진공저온조리본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냉각장치;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진공저온조리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및 상기 기울기센서 및 홀개폐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기울기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치가 설정범위를 넘어서면 상기 홀개폐유닛을 포함한 상기 진공저온조리본체의 전기부품을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는, 냉각팬에 의해 유동되는 에어가 통과되는 부분으로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홀개폐유닛이 구성됨으로써, 진공저온조리 과정에서는 자동으로 개방되어 냉각을 위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리과정에서도 기울어지거나 미사용 시에는 자동으로 폐쇄되어 외부의 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기기손상 및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가 수용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에 대한 작동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냉각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냉각장치에서 개폐커버 및 리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진공저온조리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에 대한 작동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냉각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냉각장치에서 개폐커버 및 리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가 수용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에 대한 작동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냉각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냉각장치에서 개폐커버 및 리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1000)는 냉각팬(F), 홀개폐유닛(1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냉각팬(F)은 진공저온조리기의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진공저온조리기의 외면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내부에는 진공저온조리기의 기능으로서 진공저온조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여러 가지 다른 부품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10)는 기밀방수처리되는데, 구체적인 일례로서 진공저온조리기에서 가열부(H) 부분을 제외한, 즉 수용조에 수용된 유체가 통과되는 가열부(H)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유체가 인입될 수 없도록 기밀하게 완전밀폐되어 방수처리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10)에 내장된 냉각팬(F)은 진공저온조리기에서 발열하는 내부 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일례로서 전기를 제공받아 작동 회전함으로써 에어의 유동을 통해 진공저온조리기에서 발열되는 내부의 부품들을 냉각시킨다.
특히, 진공저온조리기의 내부 부품들 중에서 온도제어와 관련된 부품으로서 트라이악(triac)이라는 전기제어부품이 있는데, 이러한 트라이악이 작동 시 발열이 되어 냉각을 하지 않으면 트라이악이 터질 수 있기 때문에, 냉각팬(F)으로 트라이악을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홀개폐유닛(100)은 케이스(10)의 냉각홀(10a)에 설치되며,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냉각홀(10a)은 케이스(10)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케이스(10) 내부의 에어가 외기로 환기될 수 있는 에어유동통로이다.
이러한 냉각홀(10a)에는 홀개폐유닛(1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홀개폐유닛(100)은 자동으로 개방되고 폐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방 시에는 냉각홀(10a)을 통해 케이스(10) 내부가 환기되어 케이스(10) 내부에 위치된 부품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며, 폐쇄 시에는 냉각홀(10a)이 막힘에 따라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구성적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개폐유닛(100)은 브라켓(110), 개폐커버(120), 및 구동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브라켓(110)은 케이스(10)의 냉각홀(10a)에 설치되며, 에어홀(110a)이 형성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브라켓(110)은 케이스(10)의 냉각홀(10a)에 설치 시 케이스(10)의 설치부위에서 틈이 발생하여 에어가 새지 않도록, 테두리부분에 오링과 같은 기밀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홀(110a)은 브라켓(110)에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케이스(10)의 냉각홀(10a)을 통해 환기되는 에어는 구체적으로 냉각홀(10a) 내측에 위치된 브라켓(110)의 에어홀(110a)을 통과하여 유동한다.
참고로, 상기 브라켓(110)에는 기밀기능을 위해 개폐커버(120) 측 면에 가스켓(112)이 장착되고, 케이스(10) 측 면에 오링(113)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커버(120)는 브라켓(110)에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에어홀(110a)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개폐커버(120)는 브라켓(110)의 상부를 덮도록 브라켓(110)에 설치되어 브라켓(110)에 형성된 에어홀(110a)을 막아서 에어홀(110a)을 통한 에어유동을 차단하는데, 상승 시 브라켓(110)과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켜 에어가 에어홀(110a)을 통하여 케이스(10)의 내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30)는 이러한 개폐커버(12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는 구동부재(131), 리프터(132), 및 탄성부재(13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재(131)는 브라켓(1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프터(132)는 구동부재(131)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개폐커버(120)에 대한 밀어올림작동 및 밀어올림해제를 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133)는 브라켓(110)을 관통한 개폐커버(120)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브라켓(110)에 지지되어 개폐커버(120)를 하강시키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커버(120)는 하부에 하방돌출바(121)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10)은 바홀(110b)이 형성되어, 상기 하방돌출바(121)가 바홀(110b)을 관통하여 배치된 다음 하단부에 체결부재(134)에 의해 탄성부재(133)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33)는 브라켓(110)의 하면에 상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34)와 함께 하방돌출바(121)의 하단부를 하측으로 미는 탄성복원력을 가짐으로써, 개폐커버(120)가 브라켓(110)을 덮으면서 하방압박하여 브라켓(110)의 에어홀(110a)이 완전하게 차단하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홀개폐유닛(10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개폐커버(120)의 하부에는 하면이 경사진 커버경사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131)는 솔레노이드밸브(S)가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프터(132)는 솔레노이드밸브(S)의 플랜저(Sa)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른 개폐커버(120)의 승강원리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리프터(132)는 솔레노이드밸브(S)의 작동에 의해 플랜저(Sa)와 연동되어 횡이동하여 개폐커버(120)의 커버경사부(120a)에서 슬라이드하면서 개폐커버(120)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터(132)는 하강하지 않고 횡이동하지만 커버경사부(120a)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이동구조 측면에서는 커버경사부(120a)를 따라 하방슬라이드하는 구조를 이룬다.
물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는 작동해제 시(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플랜저(Sa)가 역방향 횡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리프터(132)가 개폐커버(120)의 커버경사부(120a)를 따라 역방향 슬라이드하게 되면, 개폐커버(120)는 하측으로 잡아당기고 있는 탄성부재(133)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커버(120)에서 경사진 구조의 커버경사부(120a)에 의해, 리프터(132)의 횡방향 운동이 개폐커버(120)의 상하방향 운동으로 전환됨으로써, 개폐커버(120)의 승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브라켓(110)의 에어홀(110a)이 개폐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리프터(132)는 측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레일(132c)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10)은 하부에 조립된 밸브하우징(111)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레일홈(110c)이 형성되어, 상기 리프트가 횡이동 시 밸브하우징(111)의 레일홈(110c)에 돌출레일(132c)이 끼인 상태로 슬라이드함에 따라 안정적인 슬라이드이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리프터(132)가 개폐커버(120)를 상승 시킬 때에는 높은 전류(예를 들어 2A)를 공급하는 1차전원이 솔레노이드밸브(S)에 전기적으로 연계됨으로써 큰 힘으로 개폐커버(120)를 밀어올릴 수 있지만, 계속적으로 높은 전류를 공급하게 되면 솔레노이드밸브(S)가 과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커버(120)를 밀어올린 후에는 낮은 전류에서도 개폐커버(120)가 상승된 위치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와 같이 개폐커버(120)와 리프터(132)에 있어서 경사구조에 이어진 평면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커버(120)는 커버경사부(120a)의 하단과 이어지는 커버수평부(120b)가 형성되며, 상기 리프터(132)는 커버경사부(120a)에서 슬라이드되는 상부경사부(132a)가 형성되고, 상부경사부(132a)의 상단과 이어지는 상부수평부(13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수평부(120b)와 상부수평부(132b)는 탄성부재(133)의 하방 탄성복원력 방향과 수직인 평면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 상에서, 상기 리프터(132)는 일측 횡이동 시, 커버경사부(120a)를 따라 슬라이드하강된 다음 상부수평부(132b)가 커버수평부(120b)와 면접하게 됨으로써, 탄성부재(133)의 하방 탄성복원력으로 개폐커버(120)에 의해 하방압박되어 일정 이상의 힘으로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S)가 낮은 전류를 공급받더라도 충분히 개폐커버(120)를 밀어올린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동부(130)에서는 솔레노이드밸브(S)가 개폐커버(120)를 밀어올린 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예를 들어 100mA)를 공급하는 2차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제어구성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개폐유닛(100)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구조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진공저온조리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에 대한 작동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냉각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냉각장치에서 개폐커버 및 리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재(131)는 솔레노이드밸브(S)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터(132)는 캠 형상으로서 브라켓(110)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솔레노이드밸브(S)의 플랜저(Sa)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개폐커버(120)의 하부에 슬라이드되게 접촉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리프터(132)는 측부에 축홀(132e)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10)은 하부에 구비된 밸브하우징(111)에 측부축(111a)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하우징(111)의 측부축(111a)이 리프터(132)의 축홀(132e)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프터(132)가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른 개폐커버(120)의 승강원리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리프터(132)는 솔레노이드밸브(S)의 작동에 의해 플랜저(Sa)와 연동되어 회전하여 개폐커버(120)의 하면에서 슬라이드하면서 개폐커버(120)를 밀어올리게 된다.
물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는 작동해제 시(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플랜저(Sa)가 역방향 횡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리프터(132)가 역회전하게 되면, 개폐커버(120)는 하측으로 잡아당기고 있는 탄성부재(133)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132)의 캠 형상구조에 의해, 리프터(132)의 회전운동이 개폐커버(120)의 상하방향 운동으로 전환됨으로써, 개폐커버(120)의 승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브라켓(110)의 에어홀(110a)이 개폐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리프터(132)가 개폐커버(120)를 상승 시킬 때에는 높은 전류(예를 들어 2A)를 공급하는 1차전원이 솔레노이드밸브(S)에 전기적으로 연계됨으로써 큰 힘으로 개폐커버(120)를 밀어올릴 수 있지만, 계속적으로 높은 전류를 공급하게 되면 솔레노이드밸브(S)가 과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커버(120)를 밀어올린 후에는 낮은 전류에서도 개폐커버(120)가 상승된 위치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캠 형상구조 리프터(132)의 장축 상단이 최고점을 약간 지난 지점까지 회전되게 리프터(132)가 회전운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리프터(132)가 캠 형상구조를 취하고, 캠 형상구조 리프터(132)의 장축 상단이 최고점을 약간 지난 지점까지 회전하도록 리프터(132)의 회전이 제어됨으로써, 리프터(132)는 탄성부재(133)의 하방 탄성복원력으로 개폐커버(120)에 의해 하방압박되어 일정 이상의 힘으로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S)가 낮은 전류를 공급받더라도 충분히 개폐커버(120)를 밀어올린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동부(130)에서는 솔레노이드밸브(S)가 개폐커버(120)를 밀어올린 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약 100mA)를 공급하는 2차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제어구성을 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개폐커버(120)는 하부에 가이드돌출부(120c)가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132)는 회전방향이 가이드되도록 테두리면을 따라 가이드돌출부(120c)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132d)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개폐커버(120)의 가이드돌출부(120c)는 브라켓(110)의 관통홀(110d)을 통해 브라켓(110)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된 배치되어, 브라켓(110)의 하측에 배치된 리프터(132)의 가이드홈(132d)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의 플랜저(Sa)와 리프터(132)의 연결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리프터(132)는 솔레노이드밸브(S)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솔레노이드밸브(S)의 플랜저(Sa)와 리프터(132)는 제1 링크바(138)와 제2 링크바(13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링크바(138)는 솔레노이드밸브(S)의 플랜저(Sa)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링크바(139)는 일단부가 제1 링크바(138)와 회전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리프터(132)와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저온조리기는 진공저온조리본체(B), 상술된 냉각장치(1000), 기울기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진공저온조리본체(B)는 진공저온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진공저온조리를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종래의 어떠한 조리구성도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PCT 국제공개번호 제 WO2016/182323 호에 개시된 진공저온조리기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울기센서는 케이스(10)에 내장되어 진공저온조리본체(B)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기울기센서 및 홀개폐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기울기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치가 설정범위를 넘어서면 홀개폐유닛(100)을 포함한 진공저온조리본체(B)의 전기부품을 오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진공저온조리본체(B)의 가열부(H)가 수용조의 물에 잠긴 상태에서 작동하는 과정에서, 외력 또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기울어져서 진공저온조리본체(B)에서 가열부(H)를 제외한 부분이 물에 잠기는 경우에, 냉각장치(1000)를 포함한 진공저온조리본체(B)의 전기부품이 오프됨에 따라 기기손상 및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1000)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는, 냉각팬(F)에 의해 유동되는 에어가 통과되는 부분으로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홀개폐유닛(100)이 구성됨으로써, 진공저온조리 과정에서는 자동으로 개방되어 냉각을 위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리과정에서도 기울어지거나 미사용 시에는 자동으로 폐쇄되어 외부의 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기기손상 및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케이스 10a : 냉각홀
F : 냉각팬 100 : 홀개폐유닛
110 : 브라켓 110a : 에어홀
110b : 바홀 110c : 레일홈
110d : 관통홀 111 : 밸브하우징
111a : 측부축
120 : 개폐커버 120a : 커버경사부
120b : 커버수평부 120c : 가이드돌출부
121 : 하방돌출바
130 : 구동부 131 : 구동부재
S : 솔레노이드밸브 Sa : 플랜저
132 : 리프터 132a : 상부경사부
132b : 상부수평부 132c : 돌출레일
132d : 가이드홈 132e : 축홀
133 : 탄성부재 134 : 체결부재
138 : 제1 링크바 139 : 제2 링크바
B : 진공저온조리본체 H : 가열부
1000 : 냉각장치

Claims (9)

  1. 진공저온조리기에서 기밀방수처리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냉각팬; 및
    상기 케이스에서 내외부 통로인 냉각홀에 설치되며 자동으로 개폐되는 홀개폐유닛;
    을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개폐유닛은,
    상기 냉각홀에 설치되며, 에어홀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홀을 개폐하는 개폐커버; 및
    상기 개폐커버를 승강시키는 구동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개폐커버에 대한 밀어올림작동 및 밀어올림해제를 하는 리프터; 및
    상기 브라켓을 관통한 상기 개폐커버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커버를 하강시키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의 하부에는 하면이 경사진 커버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는 솔레노이드밸브이며,
    상기 리프터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저에 연결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플랜저와 연동되어 횡이동하여, 상기 커버경사부에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개폐커버를 밀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커버경사부의 하단과 이어지는 커버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프터는 상기 커버경사부에서 슬라이드되는 상부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사부의 상단과 이어지는 상부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수평부와 상부수평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방 탄성복원력 방향과 수직인 평면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솔레노이드밸브이며,
    상기 리프터는 캠 형상으로서 상기 브라켓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저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상기 개폐커버의 하면에 슬라이드되게 접촉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플랜저와 연동되어 회전하여 상기 개폐커버의 하면에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개폐커버를 밀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하부에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는 회전방향이 가이드되도록 테두리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저와 상기 리프터는 제1 링크바와 제2 링크바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바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링크바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바와 회전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리프터와 회전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저온조리기의 냉각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케이스를 구비하고 진공저온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진공저온조리본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냉각장치;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진공저온조리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및
    상기 기울기센서 및 홀개폐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기울기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치가 설정범위를 넘어서면 상기 홀개폐유닛을 포함한 상기 진공저온조리본체의 전기부품을 오프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
KR1020170170128A 2017-12-12 2017-12-12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 KR10202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128A KR102025594B1 (ko) 2017-12-12 2017-12-12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128A KR102025594B1 (ko) 2017-12-12 2017-12-12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832A true KR20190069832A (ko) 2019-06-20
KR102025594B1 KR102025594B1 (ko) 2019-09-27

Family

ID=6710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128A KR102025594B1 (ko) 2017-12-12 2017-12-12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593A (ko) 2020-01-31 2021-08-11 전지은 진공 저온 조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632B1 (ko) * 2013-06-28 201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시스템의 온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6182323A1 (ko) 2015-05-11 2016-11-17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저온조리기
KR20170110345A (ko) * 2016-03-23 2017-10-11 주식회사 인트로팩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632B1 (ko) * 2013-06-28 201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시스템의 온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6182323A1 (ko) 2015-05-11 2016-11-17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저온조리기
KR20170110345A (ko) * 2016-03-23 2017-10-11 주식회사 인트로팩 체크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593A (ko) 2020-01-31 2021-08-11 전지은 진공 저온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594B1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8765B2 (en)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KR101820078B1 (ko) 전기밥솥의 저진공 및 진공해제장치
US20180325313A1 (en)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101929425B1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US20140373729A1 (en) Electric rice cooker
JP2016529962A (ja) 電気炊飯器
US20210113008A1 (en) Pressure Cooker Having Pressure Release Mechanism
KR20190069832A (ko)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저온조리기
KR101618846B1 (ko) 전기밥솥
CN101420892B (zh) 具有可控减压功能的可调压力烹饪器具
JP5516707B2 (ja) 炊飯器
KR101549992B1 (ko) 전기밥솥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KR101891541B1 (ko) 듀얼 히팅 방식의 전기 그릴
JP2008018096A (ja) 炊飯器
CN108937557B (zh) 基于网络的远程控制压力锅
KR20110054571A (ko) 전동형 진공흡입장치
CN201710135U (zh) 电热水壶
CN109276122B (zh) 烹饪电器、盖体及压力调节装置
CN215777453U (zh) 无压阀、上盖以及烹饪器具
CN110870687B (zh) 烹饪器具
CN213742944U (zh) 一种空气炸锅的双门锁定结构
KR200389512Y1 (ko)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KR100703178B1 (ko)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및 방법
CN215127483U (zh) 蒸汽阀及具有其的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