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512Y1 -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512Y1
KR200389512Y1 KR20-2005-0004617U KR20050004617U KR200389512Y1 KR 200389512 Y1 KR200389512 Y1 KR 200389512Y1 KR 20050004617 U KR20050004617 U KR 20050004617U KR 200389512 Y1 KR200389512 Y1 KR 200389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low rate
control
gas ran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이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동 filed Critical 이규동
Priority to KR20-2005-0004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5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4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way in which the rate of flow varies during the actuation of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5Regulating fuel supply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레인지에 적용되어 가스레인지에 공급되는 연속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가스레인지에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조절은 수동으로 조작하는 가스조절 코크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수동으로 조작하는 가스조절 코크의 경우 가스의 유량을 정밀히 조절할 수가 없고 자동으로 시간에 따른 가스유량의 조절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수동조작 가스코크는 향후 보급이 확대될 홈네트워킹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가스량 제어 또한 불가능하다.
본 고안은 전자식 가스레인지의 적용되어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가스의 유량이 정밀하게 제어되는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로서, 가스유로의 개방, 폐쇄 가스유량의 조절을 전자식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는 향후 전 세계적으로 확대 적용될 홈네트워킹 기술에 의한 가전제품의 원격제어의 필수적이며,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는 마이컴프로그램에 의해서 유량이 정확히 제어가 되므로, 조리종류에 따른 열량을 정확히 시간에 따라 조절하여 최적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가스의 낭비를 줄이는 한편, 과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Gas flow control equipment for gas range}
본 고안은 조리기기용 가스레인지에 공급되는 가스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시장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가스레인지의 가스유량제어조절은 수동에 의한 코크의 회전각도로 가스의 유량조절 또는 유로의 차단을 수행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10-0441130)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등록특허를 들어 종래기술을 설명하겠다.
도 1에 상기등록특허에 대한 단면도를 도해했다.
전체적인 구조를 먼저 설명하면, E자(字)형태로 형성된 전자석(25)과, 상기 전자석(25) 상부에 밀착되어 설치된 슬라이드판(24)과, 상기 슬라이드 판 (24) 상부에 밀착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는 막대자석(23)과, 중앙 상부에 인입구(22)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판과, 막대자석을 수납하는 밸브몸체(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자석(25)에 통전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전자석의 자극의 방향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막대자석(23)이 흡입력과 척력이 작용하여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막대자석(23)의 상부와 밸브몸체(21)사이에 이동거리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가변저항 접점(39)과 저항값을 출력하는 출력단자(36)가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막대자석의 이동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막대자석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자석(23) 중앙에는 중앙통공(23a)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중앙통공(23a)의 상부에 밀착 설치된 오리피스(33)와 상기 오리피스(33)에 형성된 오리피스공(34a)과의 통과 단면적이 변화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 대로 슬라이드 판(24)과 막대자석(23)사이의 밀착에 의한 가스폐쇄를 수행하므로 접촉면사이의 평탄도가 정밀하여야 하며,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위하여 실링그리스를 도포하여야한다. 따라서 상기 막대자석과 슬라이드 판(24)과의 슬라이딩 작용이 원활하나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실링그리스의 점도의 증가로 인하여 막대자석의 추진력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막대자석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된다. 따라서 막대자석의 이동에 따른 가스유량조절작용이 불가능하게 되고, 가스차단이 안되는 경우, 가스누설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점(35)의 마모에 의해 저항값의 감지가 부정확하게 되며, 이에 따른 위치제어기능이 저하되므로 유량조절기능이 부정확하게 되는 것이 종래기술의 단점이다. 또한 상기 전자석과 막대자석 간의 흡입력으로 막대자석과 슬라이드 판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막대자석의 이동을 방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마찰력보다 더 큰 자력을 전자석에서 발생시켜야 하므로, 상기 전자석의 상당히 큰 전력(약 20W)을 인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많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고, 상기 전자석을 구동시키는 구동회로의 용량도 증가하여 구동회로의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되었다.
상기한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가스유량조절장치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시간사용에 따른 특성변화가 없고, 마이컴의 디지털 신호에 의해 간단하고 정밀하게 제어가 가능하며, 소비전력과 작동소음이 극히 낮은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를 제시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한 것으로,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전하는 스테핑모터의 회동에 의해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며, 상기 스테핑모터의 회동력 일부를 안전차단수단을 작동시키며, 안전차단부를 유지하는 유지전류를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열전대를 사용하여 소비전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이하, 제시된 도면을 들어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대한 외관 사시도로서 하부 일측면에 형성된 입구(54)와 상부에 형성된 출구(53)를 갖는 바디(50)와, 상기 바디(50) 상부에 구비된 스테핑모터(1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대한 단면도로서,
상부에 구비된 스테핑모터(10)와, 상기 스테핑모터(10) 하부에 형성된 모터샤프트(11)와, 상기 모터샤프트(11)와 형합되어 스테핑모터의 회동력을 하부로 전달하는 구동샤프트(13)와, 상기 구동샤프트(13)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샤프트(13)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일정각도씩 회동하면서 유량을 제어하는 조절판(30)과, 상기 조절판(30) 하부에 밀착 설치되어 회동력을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리프터(40)와, 상기 리프터(4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스의 안전차단을 수행하는 흡착유니트(60)와, 상기 흡착유니트(60)에 자기력을 전달하는 코아(72) 및 프레임(71)으로 형성된 솔레노이드(70)와, 상기 부품들을 수납하며 가스의 이동통로를 안내하는 바디(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로서 회동력을 원천적으로 제공하는 스테핑모터(10)와, 구동샤프트(13)로 구성된 회동력 전달부(100)와;
상기 회동력 전달부(100) 하부에 설치되어 일정각도씩 회전변위하며 유량을 제어하는 조절판(30)과, 베이스(20)로 구성된 조절부(200)와;
상기 조절판(30)과의 상대적 회동에 대해 일정거리 하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이동되는 리프트부(300)와;
상기 리프트부(300)에 의해 개방된 유로를 유지해주는 안전차단부(400)와;
상기 부품을 수납 또는 고정지지 하며 유로를 안내하는 바디(50) 및 커버(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의 단면을 보여준 것으로서, 상부로부터 스테핑모터(10)와 구동샤프트(13)로 이루어진 회동력전달부(100)을 구성하며, 상기 구동샤프트(13)는 상기 스텝핑모터(10)의 하부에 구비된 모터샤프트(11)와 등속회전 결합되도록 상부중앙에 샤프트삽입홈(14)이 형성되어있고, 상단 일측부에 형성된 회전스토퍼(15)는 베이스(20)에 형성된 고정스토퍼(22a,22b)에 맞닿아 회전이 구속되어 정지되게 된다.
상기 구동샤프트(13)는 베이스(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절판(30)에 회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20)는 바디(50)의 상단에 삽입되어 조절판(30)의 상대적인 회동각도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며, 상기 구동샤프트(13)와 베이스(20) 사이에 제1실링(16)이 설치되어 바디내부의 가스가 누설되지 않고 구동력을 조절판(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샤프트(13)의 하부에는 단면이 십자(十字)형상의 십자요홈(17)과, 조절판(30) 상단에 형성된 십자(十字)형상의 십자돌기(32)가 상호 슬라이드 되어 결합하여 회동력이 조절판(30)으로 전달되면서, 조절판이 베이스(20) 하단의 고정밀폐면(27)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절판(30)에 형성된 조절통공(33)은 상기 베이스(20)의 하단의 고정밀폐면(27)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바 대로 상기 고정밀폐면(27)에는 조절홈(26), 조절통공(26a)이 동일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절통공(33)이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교차되는 조절홈(26)와 조절통공(26a)의 통과단면에 따라 유량이 결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판(30)의 하단에 형성된 제1나선면(34)은 상기 조절판(30)의 하부에 설치된 리프터(40)의 제2나선면(44)과 항상 밀착되어 회동하므로, 회전각도에 따라 제1나선면(34)이 리프터(40)에 형성된 제2나선면(44)을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리프터(40)에는 십자(十字)형상의 슬라이드돌기(42)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슬라이드돌기(42)는 바디(50)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55)에 상호 슬라이드 되도록 삽입되어 있어, 상기 리프터(40)가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제1스프링(49)은 상기 바디(50)에 형성된 제1스프링 지지홈(56)와 리프터(4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40)가 항상 상측 방향으로 탄지되어 제2나선면(43)과 제1나선면(34)이 항상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또한 조절판(30)의 회전밀폐면(31)이 베이스(20)의 고정밀폐면(27)에 밀착되게 한다.
상기 리프터(40)의 하단부 중앙에는 푸시돌기(45)와 제2돌기(46)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푸시돌기(45)에 하부에는 자성체인 흡착유니트(60)에 차단면(61a)이 형성되어있다. 스테핑모터(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리프터(40)가 하측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리프터 하단의 푸시돌기(45)가 흡착유니트(60)의 차단면(61a)을 밀어 내리므로, 상기 차단면(61a)이 바디에 형성된 차단리브(57)에서 이격되면서 유로가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리프터(40)의 작동으로 흡착유니트(60)가 하측 방향으로 계속 하강하여, 상기 흡착유니트(60)가 솔레노이드(70)에 맞닿게 되고, 상기 솔레노이드(70)에 전류를 흘리면, 흡착유니트(60)가 솔레노이드에 흡착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스테핑모터(10)의 회전방향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리프터(40)가 상층으로 복귀하여도, 상기 흡착유니트(60)는 솔레노이드(70)의 자력에 의해 흡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의 흡착유니트의 차단면(61a)도 상기 차단리브(57)와 이격되어 유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즉 도 10에 도해되었듯이, 상기 조절판(30)의 시계방향(150)회전상태와 반시계방향(151) 회전상태에 따른 각 회전각도 별 유량(Q)과, 리프터(40)의 이동높이(H)와, 안전차단부(400)에 흐르는 유지전류(I)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즉 조절판(30)이 시계방향(150)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리프터(40)에 의해 유로가 개방되기 시작하나, 상기 조절홈(26)이 조절판(30)에 형성된 회전밀폐면(31)에 밀폐되어 유로가 차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버너에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고 열전대(700)에 기전력이 유기되지 않으므로, 솔레노이드(70)의 자력이 인가되지 않아 흡착유니트(60)을 흡착할 수 없으므로, 흡착에 필요한 유지전류를 증폭기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70)에 인가한다. 상기 조절판(30)이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B의 위치에 오게 되면 리프터(40)의 이동이 최대가 되어, 상기한 바대로 흡착유니트(60)가 솔레노이드(70)에 흡착되어, 안전차단부(400)는 증폭기의 전류에 의해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조절판이 시계반대방향(151)으로 회전하여 C 위치로 가면, 리프터(40)은 상기 흡착유니트(60)의 차단면(61a)에서 이격되어 나선면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40)의 이동경로는, 그래프(161a)의 형태로 상승하나 상기 흡착유니트(60)와 차단면(61a)은, 그래프(161)형태로 흡착된 위치에 머물게 되어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C 위치에서 시계 반대방향(151)으로 더욱 회전하여 D 위치로 가면, 조절판의 조절통공(33)의 위치가 베이스(20)의 조절홈(26)의 겹치기 시작하여, 소량의 유량이 유출되며 흡착유니트(60)는 솔레노이드(70)에 흡착되어, 안전차단부(400)는 증폭기의 전류(162)에 의해 개방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따라서 연소버너에 점화가 되면 열전대(700)에서 열기전류(162a)가 발생하여 기존의 증폭기 전류와 합쳐서 흐르고 이때부터 증폭기의 전류(162)는 서서히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즉 열전대(700)의 열기전류(162a)는 점차 증가하는 한편 증폭기의 전류(162)는 점차 감소되도록 하여 전체 흐르는 전류가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상기 D 위치에서 시계 반대방향(151)으로 더욱 회전하여 E 위치로 가면, 조절판의 조절통공(33)의 위치가 베이스(20)의 조절홈(26)에 완전히 겹쳐서, 대량의 유량이 유출되며 흡착유니트(60)는 솔레노이드(70)에 흡착되어, 안전차단부(400)는 열전대(700)의 열기전류(162a)에 의해 개방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상기 상태에서 안전차단부(400)의 솔레노이드(70)에 역전류(162b)를 통전시키면, 열기전류가 상쇄되어 결국은 솔레노이드(70)에 흐르는 전류가 상쇄되므로 솔레노이드(70)는 흡착유니트(60)를 이탈시켜, 차단면(61a)이 제2스프링(69)에 탄지되고 차단리브(57)을 가압 폐쇄하여 유로를 차단한다. 또한 조절판(30)을 회전시켜 B의 위치로 가도록하게 하면, 조절홈(26)이 회전밀폐면(31)에 밀폐되어 유량이 차단되므로 버너에 연소가 중지되고, 이에 따라 열전대의 열기전류가 소멸되므로 되므로, 솔레노이드(70)는 흡착유니트(60)를 이탈시켜 차단면(61a)이 제2스프링(69)에 탄지되면서 차단리브(57)를 가압 폐쇄하며 유로를 차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는, 안전차단부(400)를 개방하는 단계(A-B-C 단계)와, 지정된 각도(C~E)에서의 유량을 조절하는 단계와, 흡착유지전류를 차단하여 유로를 폐쇄하는 단계(F), 등 3단계로 유량조절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흡착유니트(60)를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당겨서 흡착하지 않고, 스테핑모터(10)의 회전구동력을 이용하여 흡착시키기 때문에, 솔레노이드에 강한 자력을 인가하지 않아도 되면, 일단 흡착유니트(60)이 솔레노이드에(70)에 흡착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극히 미소한 자력으로도 흡착이 유지되므로, 종래의 솔레노이드벨브의 소비전력(약6W) 대비 극히 미소한 전력(약 0.5W)이 초기 점화시와 소화시의 짧은 시간동안(약 4초) 소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원장치(트랜스, 정류회로 등)의 크기 및 원가도 상당히 감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터(40)가 흡착유니트 측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약 1mm/sec.정도로 상당히 느리므로, 리프트시 상호 접촉으로 인한 충격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솔레노이드의 유지전류를 차단하여 유로를 차단할 경우, 상기 고무재질의 차단면(61a)이 차단리브(57)에 부딪칠 때 발생하는 극히 낮을 충격소음을 발생시킬 뿐이다.
한편, 상기 안전차단부(400)를 리프트하여 유로를 개방을 할 경우, 베이스(20)에 형성된 조절홈(26)은 조절판(30)에 형성된 회전밀폐면(31)에 폐쇄되어 조절유로가 폐쇄되므로, 안전차단부(400)를 리프트시켜 유로를 개방중에 정전이 되어도 가스누설의 우려가 없다. 따라서 기존의 전동방식의 유량조절방식이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정전이 될 경우, 유로 개방상태가 유지되어서 가스의 누설로 인해 안전사고의 우려를 제거한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도 7 및 도 8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따른 안전차단부(400)에 대한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솔레노이드(70)의 자력에 의해 흡착되어 유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흡착유니트(60)는 자성체로 형성된 흡착판(60b)과 고무재의 폐쇄봉(61)으로 구성되며, 상기 폐쇄봉(61)에 형성된 고정홈(63)에 흡착판 중앙의 중심공(60a)이 삽입되어 흡착판을 고정한다. 상기 폐쇄봉의 하부에는 제2스프링 설치부(64)가 형성되어, 제2스프링(69)를 수납탄지하며 상기 제2스프링 설치부(64)의 외곽부에 형성된 가이드리브(65)는 솔레노이드의 코어(72) 내부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솔레노이드(70)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코일(74)과 발생된 자속을 집중시켜 흡착유니트로 전달하는 자성체로 구성된 프레임(61)과 코어(72)로 이루어져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및 방법에 따른 조절부(200)에 대한 단면도이다. 유량의 조절은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 하단에 밀착 설치되어, 일정각도로 회동하는 조절판(30)의 상대적 회전변위에 의해 유량이 조절되며, 회전 변위에 의한 유량(Q)의 특성과 리프트(40)의 변위(H)와, 유로개방유지전류(I)에 따른 특성그래프는 도 10의 하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작동에 대한 설명은 앞장에서 기술한 내용으로 같음 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따른 제어구성도로서 디지털제어신호가 마이컴에서 스테핑모터(10)로 인가되면, 조절수단을 작동시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며, 리프트부(300)을 작동시켜 안전차단부(400)를 개폐한다. 한편 버너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열전대(700)에서 열기전류가 발생하여 안전차단수단의 유지전류를 공급하며, 증폭기에 의한 유지전류 및 역전류에 대한 차단전류는 점화초기 및 소화 시 일정시간만 통전 한다.
즉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소비되는 전력을 1W이하로 감소시키며, 가스레인지의 불꽃이 없을 경우 자동소화 될 수 있도록, 안전차단수단을 구비하며, 디지털화된 유량조절신호로 유량이 정밀하게 제어되고, 가스레인지의 버너가 연소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기 안전차단부를 개방시키는데 필요한 유지전류를 열전대(700)로부터 공급받으므로 별도의 유지전류가 필요 없고, 이에 따라 소비전류가 극히 미소한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또한 작동소음이 극히 미약하여,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한 솔레노이드 작동 소음을 완전히 제거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는 별도의 차단밸브가 없어도 가스의 폐쇄가 완벽하므로 가스레인지의 전체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는 향후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가정의 가전 통신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홈오토메이션 또는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본 기술이 적용된 가스레인지의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경우 가정 또는 업소에서의 가스기기에 의한 자동요리의 수행 및 원하는 요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통한 요리프로그램의 보급 등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적의 요리시간에 따른 최적의 열량을 가스레인지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요리시간을 단축시키는 한편, 불필요한 가스공급에 의한 요리 소손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최적 가스량 공급에 따른 가스에너지 절감도 상당한 기여가 예측이 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 조절 밸브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의 외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대한 상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중 안전 차단부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중 안전 차단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대한 조절부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대한 유량 조절부의 회전 각도별 제어특성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테핑모터 13: 구동샤프트
20: 베이스 30: 조절판
40: 리프터 49: 제1 스프링
50: 바디 60:흡착유니트
69: 제2스프링 70: 솔레노이드
80: 커버 100: 회동력 전달부
200: 조절부 300: 리프트부
400: 안전차단부

Claims (6)

  1. 마이컴 프로그램에 의해 연소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에 있어서,
    솔레노이드(70)의 자력에 의해 가스레인지에 인입되는 가스의 유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안전차단부(400)와;
    유로의 통과 단면적이 회전각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에 밀착되어 상대적으로 회동하며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판(30)으로 이루어진 조절부(200)와;
    스테핑모터(10)와 구동샤프트(13)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부(200)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회동력 전달부(100)와;
    상기 회동력 전달부(100)에서 발생한 회동력 일부를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하로 작동시켜 상기 안전차단부(400)를 개폐하는 리프트부(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0)은;
    상부에 십자돌기(32)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샤프트(13)는;
    하부에 십자요홀(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십자돌기가 십자요홀에 슬라이드 되도록 삽입되어 회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300)는;
    리프터(40)와 조절판(30)으로 구성되어 작동하며 제 1스프링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탄지되어, 베이스(20)의 고정밀폐면(27)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20)는;
    하부에 형성된 고정밀폐면(27)과, 상기 밀폐면(27)에 단면적을 달리하는 조절홈(26) 및 조절통공(26a)이 동일 원주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300)가 작동하여 안전차단부(400)를 리프트 할 때 상기 조절부(200)의 조절홈(26)과 조절통공(26a)이 회전밀폐면(31)에 의해서 폐쇄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6. 삭제
KR20-2005-0004617U 2005-02-22 2005-02-22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KR200389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17U KR200389512Y1 (ko) 2005-02-22 2005-02-22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17U KR200389512Y1 (ko) 2005-02-22 2005-02-22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05207A Division KR100703178B1 (ko) 2005-01-20 2005-01-20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512Y1 true KR200389512Y1 (ko) 2005-07-14

Family

ID=4369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617U KR200389512Y1 (ko) 2005-02-22 2005-02-22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5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82B1 (ko) 2006-04-19 2008-01-21 이규동 가스 유량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82B1 (ko) 2006-04-19 2008-01-21 이규동 가스 유량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551B2 (en) Gas control valve
EP2843277B1 (en) Gas shut-off valve
KR200389512Y1 (ko)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JP2003232462A (ja) ガスバルブ
JP2015511304A (ja) 燃焼機器用ガス‐空気混合装置
US11047501B2 (en) Normally open gas valve
KR20060084526A (ko)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 제어장치 및 방법
JP5473695B2 (ja) モータ安全弁
KR100795082B1 (ko) 가스 유량 제어장치
KR101803016B1 (ko) 가스 유량 제어장치
KR100340470B1 (ko) 가스누출차단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KR20050001716A (ko) 보일러용 3방향 유로전환밸브
WO2003033949A1 (fr) Ensemble vanne magnetique rotative
KR20040043836A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KR101924242B1 (ko) 양정 편향 시스템을 포함한 가스 밸브 유닛
WO2021077578A1 (zh) 阀结构和家用电器
JP2019011911A (ja) 燃料ガス量制御装置
KR102168176B1 (ko) 슬라이드 밸브
KR200303984Y1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CN218954107U (zh) 燃气阀体及燃气阀
KR200208536Y1 (ko) 연소기기의 가스흐름 방향제어밸브
JP5753402B2 (ja) ガス量制御装置
JP2017044347A (ja) 電動弁
KR101095098B1 (ko) 글로브 밸브 구동용 전동식 구동기
JP2019011910A (ja) 燃焼用ガス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