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402A - 안경 렌즈 및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및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402A
KR20190069402A KR1020197008267A KR20197008267A KR20190069402A KR 20190069402 A KR20190069402 A KR 20190069402A KR 1020197008267 A KR1020197008267 A KR 1020197008267A KR 20197008267 A KR20197008267 A KR 20197008267A KR 20190069402 A KR20190069402 A KR 20190069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lens
lens
reflectance
spectacl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657B1 (ko
Inventor
마코토 아다치
히토시 가무라
다쿠미 노무라
오사무 아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6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8Lens systems mounted to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7Interference 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일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상기 렌즈 기재의 타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0% 이상이며, 또한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은 5.00% 이하인 안경 렌즈.

Description

안경 렌즈 및 안경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 렌즈는 일반적으로 렌즈 기재의 표면 위에, 안경 렌즈에 원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성막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그와 같은 기능성막으로서 렌즈 기재의 양쪽의 표면 위에 다층막을 마련하는 것이, 근래 수행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WO 2014/069250
안경 렌즈에서, 렌즈 기재의 양쪽의 표면 위에 다층막을 마련하면, 안경 렌즈의 착용감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안경 렌즈 내에 입사한 광이 2개의 다층막의 사이에서 다중 반사함으로써, 안경의 착용자가, 고스트로 불리는 이중상을 시인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 점에 관해서, 특허문헌 1에는 안경 렌즈 내에서의 다중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서, 렌즈 기재의 일방의 표면과 타방의 표면에 마련되는 다층막의 반사 특성이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의 청구항 1 참조).
그런데, 근래의 디지털 기기의 모니터 화면은 브라운관으로부터 액정으로 바뀌고, 최근에는 LED 액정도 보급되어 있지만, 액정 모니터, 특히 LED 액정 모니터는 청색광으로 불리는 단파장 광을 강하게 발광한다.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에 생기는 안정 피로나 눈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 점에 관련해, 특허문헌 1의 단락 0054에는 청색광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저감하는 것에 관한 기재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안경 렌즈는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착용감을 개선(상세하게는 고스트를 억제)한다는 관점으로부터는, 충분한 성능을 가지는 것은 아닌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 가능하면서, 착용감이 양호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일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상기 렌즈 기재의 타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0% 이상이며, 또한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全域)에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은 5.00% 이하인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경 렌즈는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이다. 이러한 평균 반사율을 가지는 표면에서 청색광을 고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경 렌즈에 의하면,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량을 저감함으로써,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청색광」이란, 380~500 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경 렌즈는 양쪽의 표면에 각각 다층막을 가지지만,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5.00% 이하이다. 양쪽의 표면에 다층막을 가지는 안경 렌즈에서는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안경 렌즈 내에 입사한 광이 다중 반사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스트가, 착용감의 저하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이것에 대해, 상기 안경 렌즈는 착용자가 시인하기 쉬운 파장 영역인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5.00% 이하이다. 즉, 400~780 nm의 파장 영역에서, 항상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는 반사율이 5.00%를 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안경 렌즈 내에서의 다중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고스트에 의한 착용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상기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착용감이 양호한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의 안경 렌즈에 대해 얻어진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의 안경 렌즈에 대해 얻어진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얻어진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비교예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얻어진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a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안경 렌즈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5b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5c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5d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5e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5f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5g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5h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5i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6a은 실시예 3~8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6b는 실시예 3~8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6c는 실시예 3~8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6d는 실시예 3~8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6e는 실시예 3~8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6f는 실시예 3~8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6g은 실시예 3~8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6h은 실시예 3~8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6i는 실시예 3~8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7a는 실시예 3~8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7b는 실시예 9~12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7c는 실시예 9~12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7d는 실시예 9~12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7e는 실시예 9~12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7f는 실시예 9~12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7g는 실시예 9~12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7h는 실시예 9~12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7i는 실시예 9~12의 안경 렌즈(물체측)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안경 렌즈]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일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상기 렌즈 기재의 타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0% 이상이며, 또한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은 5.00% 이하인 안경 렌즈이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안경 렌즈의 표면에 대해서 측정되는 반사율은 그 표면을 향해 직입사하는 광(즉 입사각도가 0°)에 대한 반사율이다. 반사율 측정은, 예를 들면 1~5 nm 피치로 수행할 수 있다. 또, 어떤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란, 그 파장 영역에서 구해진 반사율의 산술 평균이다.
이하,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사 특성>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
상기 안경 렌즈는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이며, 이것에 의해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량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평균 반사율은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량을 보다 한층 저감하는 관점으로부터는, 1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4.0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5.00%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16.00% 이상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평균 반사율은, 예를 들면 30.00% 이하일 수 있고, 25.00% 이하일 수도 있고, 22.00% 이하일 수도 있고, 20.00% 이하일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평균 반사율이 높을수록,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량을 보다 한층 저감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평균 반사율은 상기의 예시한 상한을 상회해도 된다.
상기 평균 반사율을 가지는 표면은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이어도 안구측 표면이어도 되고, 양쪽의 표면이어도 된다. 안경의 착용자에 의해 한층 양호한 착용감을 부여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한면만이, 즉 물체측 표면만 또는 안구측 표면만이, 상기 평균 반사율을 나타내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의 한면만이 상기 평균 반사율을 나타내는 경우, 타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0%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7.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 또, 안경 렌즈의 한면만이 상기 평균 반사율을 나타내는 경우, 타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예를 들면 0.10% 이상일 수 있고, 1.00% 이상일 수도 있다.
(400~78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반사율)
상기 안경 렌즈는 양쪽의 표면에 각각 다층막을 갖는다. 양쪽의 표면에 다층막을 가지는 안경 렌즈에서는 통상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안경 렌즈 내에 입사한 광이 다중 반사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스트가 착용감의 저하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이것에 대해, 상기 안경 렌즈에서는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5.00% 이하이다. 이것에 의해, 안경 렌즈 내에 입사한 광이 안경 렌즈의 양쪽의 표면측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다층막의 사이에서 다중 반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다중 반사에 의해 결상하는 고스트가 안경의 착용자에게 시인되는 강도를 내릴 수 있거나, 또는 시인되지 않을 정도로 강도를 내리는 것이 가능해져, 고스트에 의한 착용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400~780 nm의 파장 영역에는 안경 렌즈의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만이 5.00% 이하인 파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 400~780 nm의 파장 영역에는 안경 렌즈의 양쪽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모두 5.00% 이하인 파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 400~780 nm의 파장 영역에서, 어떤 파장 영역에서는 안경 렌즈의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만이 5.00% 이하이며, 다른 파장 영역에서는 안경 렌즈의 타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만이 5.00% 이하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다층막이 마련된 2개의 표면이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을 5.00% 이하로 함으로써, 고스트에 의한 착용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은 보다 한층 착용감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4.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양쪽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은, 예를 들면 각각 0.01% 이상일 수 있다.
<렌즈 기재>
상기 안경 렌즈에 포함되는 렌즈 기재로서는, 안경 렌즈의 렌즈 기재로서 통상 사용되는 각종 렌즈 기재를 들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렌즈 기재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 또는 유리 렌즈 기재일 수 있다. 유리 렌즈 기재는, 예를 들면 무기 유리제의 렌즈 기재일 수 있다. 렌즈 기재로서는, 경량으로 갈라지기 어렵다는 관점으로부터, 플라스틱 렌즈 기재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렌즈 기재로서는, (메타)아크릴 수지를 비롯한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알릴 수지, 디에틸렌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CR-39) 등의 알릴카보네이트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히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으로 얻어진 우레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킨 티오우레탄 수지,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디술피드 결합을 가지는 (티오)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물(일반적으로 투명 수지로 불림)을 들 수 있다. 렌즈 기재로서는, 염색되어 있지 않은 것(무색 렌즈)을 이용해도 되고, 염색되어 있는 것(염색 렌즈)을 이용해도 된다.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예를 들면 1.60~1.75 정도일 수 있다. 다만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의 범위 내에서도, 상기의 범위를 상회해도 하회해도 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굴절률이란, 파장 500 nm의 광에 대한 굴절률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렌즈 기재는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이른바 도수 렌즈)이어도 되고, 굴절력 없는 렌즈(이른바 무-도수 렌즈)이어도 된다.
또, 렌즈 기재에는 안경 렌즈의 렌즈 기재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각종 첨가제의 1종 이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렌즈 기재를,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성형하는 경우, 이러한 경화성 조성물에, 예를 들면 일본 특개 평7-063902호 공보, 일본 특개 평7-104101호 공보, 일본 특개 평9-208621호 공보, 일본 특개 평9-255781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중합 촉매, 일본 특개 평1-163012호 공보, 일본 특개 평3-281312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내부 이형제, 산화 방지제, 형광 증백제, 블루잉제 등의 첨가제의 1종 이상을 첨가해도 된다. 이들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량, 및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해 렌즈 기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는 단초점 렌즈, 다초점 렌즈, 누진 굴절력 렌즈 등의 각종 렌즈일 수 있다. 렌즈의 종류는 렌즈 기재의 양면의 면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 렌즈 기재 표면은 철면(凸面), 요면(凹面), 평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통상의 렌즈 기재 및 안경 렌즈에서는 물체측 표면은 철면, 안구측 표면은 요면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의 일방의 표면 위와 타방의 표면 위에 각각 다층막을 갖는다. 이러한 다층막은 렌즈 기재의 표면 위에 직접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한층 이상의 다른 층을 통해서 렌즈 기재의 표면 위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다층막과 렌즈 기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층에 관해서는 안경 렌즈에 관한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층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편광층, 조광층, 하드 코트층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층막과 렌즈 기재의 사이에 하드 코트층을 마련함으로써, 안경 렌즈의 내구성(강도)을 높일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층일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12-128135호 공보의 단락 0025~0028, 0030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렌즈 기재와 다층막의 사이에는 밀착성 향상을 위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12-128135호 공보의 단락 0029~0030을 참조할 수 있다.
<다층막>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의 일방의 표면 위와 타방의 표면 위에 각각 다층막을 갖는다. 이들 다층막이 존재하는 것이,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이며, 또한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5.00% 이하인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안경 렌즈에 후술하는 각종 특성을 부여하는 것에도 다층막이 기여할 수 있다. 다층막의 층 구성은 원하는 특성(반사 특성 등)을 가지도록 공지된 방법(광학적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막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층 구성의 다층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성막 조건(성막 재료의 종류, 조합 및 다층막을 구성하는 각층의 두께)을 결정하고, 결정된 성막 조건에서 성막을 수행함으로써, 렌즈 기재 표면 위에 다층막을 형성할 수 있다.
다층막의 성막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성막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성막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는, 성막은 증착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층막을 구성하는 각층은 증착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막이란, 증착에 의해서 성막된 막을 의미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의 「증착」에는 건식법,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패터링법 등이 포함된다. 진공 증착법으로는 증착 중에 이온 빔을 동시에 조사하는 이온 빔 어시스트법을 이용해도 된다.
원하는 반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층막은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이 교호로 적층된 다층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에 관한 「고」, 「저」란, 상대적인 표기이다. 즉, 고굴절률층이란, 동일한 다층막에 포함되는 저굴절률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층을 말한다. 환언하면, 저굴절률층이란, 동일한 다층막에 포함되는 고굴절률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층을 말한다. 고굴절률층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예를 들면 1.60 이상(예를 들면 1.60~2.40의 범위)이며, 저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저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예를 들면 1.59 이하(예를 들면 1.37~1.59의 범위)일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에 관한 「고」, 「저」의 표기는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고굴절률 재료 및 저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굴절률 재료 및 저굴절률 재료로서는 무기 재료, 유기 재료 또는 유기·무기 복합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성막성 등의 관점으로부터는, 무기 재료가 바람직하다. 즉, 다층막은 무기 다층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굴절률 재료로서는, 지르코늄 산화물(예를 들면 ZrO2), 탄탈 산화물(예를 들면 Ta2O5), 티탄 산화물(예를 들면 TiO2), 알루미늄 산화물(예를 들면 Al2O3), 이트륨 산화물(예를 들면 Y2O3), 하프늄 산화물(예를 들면 HfO2), 및 니오브 산화물(예를 들면 Nb2O5)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저굴절률 재료로서는, 규소 산화물(예를 들면 SiO2), 불화 마그네슘(예를 들면 MgF2) 및 불화 바륨(예를 들면 BaF2)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물 또는 불화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시에서는 편의상, 산화물 및 불화물을 화학량론 조성으로 표시했지만, 화학량론 조성으로부터 산소 또는 불소가 결손 혹은 과다의 상태에 있는 것도,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층은 고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이며, 저굴절률층은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이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막에서 가장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은 막의 질량에 대해서 50 질량% 정도~100 질량%, 나아가서는 90 질량% 정도~100 질량%를 차지하는 성분이다. 상기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막 재료(예를 들면 증착원)를 이용하여 성막을 수행함으로써, 그와 같은 막(예를 들면 증착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막 재료에 관한 주성분도, 상기와 동일하다. 막 및 성막 재료에는 불가피적으로 혼입하는 불순물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고, 또 주성분이 완수하는 기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면 다른 무기 물질이나 성막을 보조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공지된 첨가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안경 렌즈의 렌즈 기재의 각 표면 위에 마련되는 다층막에서, 예를 들면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의 총 층수는 10층 이하, 9층 이하, 8층 이하 또는 7층 이하일 수 있고, 또 4층 이상 또는 5층 이상일 수 있다. 층 구성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안경 렌즈의 최표면측을 향하여,
제1층(저굴절률층)/제2층(고굴절률층)/제3층(저굴절률층)/제4층(고굴절률층)/제5층(저굴절률층)/제6층(고굴절률층)/제7층(저굴절률층),
제1층(고굴절률층)/제2층(저굴절률층)/제3층(고굴절률층)/제4층(저굴절률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층 구성의 예시에서, 「/」라는 표기는 「/」의 왼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과 오른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이 인접하는 경우와, 「/」의 왼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과 오른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의 사이에, 후술하는 도전성 산화물층이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되고 있다.
다층막은 이상 설명한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에 더하여,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도전성 산화물층),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증착원을 이용하는 증착에 의해 형성된 도전성 산화물의 증착막의 한층 이상을, 다층막의 임의의 위치에 포함할 수도 있다. 도전성 산화물층에 관해서 기재하는 주성분이라는 말이란, 상기와 동일한 의미로 이용된다.
도전성 산화물층으로서는 안경 렌즈의 투명성의 관점으로부터, 막 두께 10.0 nm 이하의 산화 인듐 주석(tin-doped indium oxide;ITO)층, 막 두께 10.0 nm 이하의 주석 산화물층, 및 막 두께 10.0 nm 이하의 티탄 산화물층이 바람직하다. 산화 인듐 주석(ITO)층이란, ITO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층이다. 이 점은 주석 산화물층, 티탄 산화물층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다층막에 도전성 산화물층을 포함함으로써, 안경 렌즈가 대전해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다층막에 포함되는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으로서는 막 두께 10.0 nm 이하의 산화 인듐 주석(ITO)층, 막 두께 10.0 nm 이하의 주석 산화물층, 및 막 두께 10.0 nm 이하의 티탄 산화물층은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이들 층의 한층 이상이 다층막에 포함되는 경우이어도, 이들 층은 「고굴절률층」 또는 「저굴절률층」으로는 간주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막 두께 10.0 nm 이하의 상기의 도전성 산화물층의 막 두께는, 예를 들면 0.1 nm 이상일 수 있다. 도전성 산화물층에 관해서 기재하는 막 두께는 물리막 두께이다.
또한, 다층막상에는 추가적인 기능성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기능성막으로서는 발수성 또는 친수성의 방오막, 방담막 등의 각종 기능성막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능성막에 대해서는 모두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안경 렌즈의 각종 특성>
(청색광에 대한 반사 특성)
상기 안경 렌즈는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이다.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안경 렌즈의 일방의 표면에 대해서만 구해지는 상기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이어도 되고, 양쪽의 표면에 대해서 구해지는 상기 평균 반사율이 모두 10.00% 이상이어도 되며, 일방의 표면에 대해서만 구해지는 상기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인 표면에서는 430~45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평균 반사율 1」이라고 기재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청색광의 주된 발생원인 LED가, 청색광의 파장 영역 중에서도, 특히 430~450 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강하게 발하기 때문이다. 이 관점으로부터,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인 표면에서, 430~45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평균 반사율 1)은 10.0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4.0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5.00%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평균 반사율 1은, 예를 들면 35.00% 이하, 32.00% 이하, 30.00% 이하 또는 25.00% 이하일 수 있지만, 430~450 nm의 파장 영역의 광이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광량을 보다 한층 저감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상기의 예시한 상한을 상회해도 된다.
한편, 청색광에 대해서 높은 반사율을 나타내는 안경 렌즈는 일반적으로 눈부심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것에 대해, 청색광의 파장 영역 중에서, 평균 반사율 1을 규정하는 파장 영역(430~450 nm)보다 장파장측의 반사율이, 평균 반사율 1을 규정하는 파장 영역에서의 반사율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안경 렌즈에 눈부심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점으로부터,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인 표면에서, 460~48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평균 반사율 2」이라고 기재함)은 평균 반사율 1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반사율 1과 평균 반사율 2의 차분(평균 반사율 1 - 평균 반사율 2)은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9.00%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10.00% 이상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다. 또, 상기 차분(평균 반사율 1-평균 반사율 2)은, 예를 들면 17.00% 이하 또는 12.00% 미만일 수 있지만, 눈부심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이것을 상회해도 된다. 또, 평균 반사율 2는, 예를 들면 1.00~15.00% 또는 1.00~10.00%의 범위일 수 있고, 2.00~10.00% 또는 3.00~10.00%의 범위일 수도 있다.
(시감 반사율)
안경 렌즈의 외관 품질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안경 렌즈의 착용감의 추가적인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외관 품질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착용감의 추가적인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1.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 및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각각, 예를 들면 0.10% 이상, 0.20% 이상, 0.30% 이상, 0.40% 이상, 또는 0.50% 이상일 수 있지만, 상기의 하한은 예시로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위 및 안구측 표면 위에 마련되는 다층막의 막 설계에 의해서, 상기 시감 반사율을 실현할 수 있다. 막 설계는 공지된 방법에 의한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시감 투과율」은 안경 렌즈의 측정 대상 표면측으로부터, JIS T 7333:2005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다.
(500 nm 초과 780 nm 이하의 파장 영역에서의 반사율)
상기 안경 렌즈는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5.0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500 nm 초과 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양쪽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모두 5.00% 이하인 것, 즉 500 nm 초과 780 nm 이하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양쪽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모두 5.0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안경 렌즈의 양쪽의 표면의 색미를 크게 상위시키지 않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안경 렌즈의 양쪽의 표면의 색미가 가까운 것은 안경 렌즈의 외관 품질상, 바람직하다.
(주파장)
상기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으로서 청색광을 강하게 반사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안경 렌즈의 상기 평균 반사율을 가지는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바람직하게는 청색광의 파장 영역 내의 400.0~500.0 n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한편, 안경 렌즈의 외관 품질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양쪽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크게 상이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으로부터, 상기 안경 렌즈의 타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400.0~600.0 n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400.0~500.0 n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주파장」이란, 사람의 눈으로 느끼는 광의 색 파장을 수치화한 지표이며,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주파장」이란, 안경 렌즈의 측정 대상 표면측으로부터, JIS Z 8781-3:2016의 부속서 JA에 따라서 측정되는 값이다. 렌즈 기재의 각 표면 위에 각각 마련되는 다층막의 막 설계에 의해서, 상기 주파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500 nm 초과 780 nm 이하의 파장 영역에서의 반사율을 제어하는 것을, 안경 렌즈의 양쪽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의 일례로서 들 수 있다.
(DEI값(Digital Eyestrain Value))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청색광에 의한 부담의 경감에 관해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식 1에 의해 산출되는 DEI값이 10.0% 이상인 안경 렌즈에 의하면, 청색광의 주된 발생원인 LED로부터 발생되는 청색광이 눈에 부여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하기 식 1에 의해 구해지는 DEI값은 LED로부터 발생되는 청색광 및 청색광 장해 함수에는 각각 파장에 의한 분포가 있는 것에 주목하고, 이들 분포를 고려한 지표에 의하면, LED로부터 발생되는 청색광이 눈에 부여하는 영향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는, 본 발명자들의 새로운 지견에 근거하여 알아낸 수치이다.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대한 LED로부터 발생되는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보다 한층 경감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DEI값은 1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6.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또, 안경 렌즈의 DEI값은, 예를 들면 10.0% 미만일 수 있지만, DEI값이 높을수록, LED로부터 발생되는 청색광에 의한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대한 부담을 보다 한층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안경 렌즈의 DEI값은 상기의 예시한 상한을 하회해도 된다.
[수 1]
(식 1)
Figure pct00001
식 1 중, τ(λ)는 파장 λnm에서의 투과율(%)을 나타낸다. 투과율은 안경 렌즈에 대해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측으로부터 광을 입사시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식 1 중, E(λ)는 파장 λnm의 LED 발광 강도 계수를 나타내고, B(λ)는 파장 λnm의 청색광 장해 함수를 나타낸다. 각 파장의 LED 발광 강도 계수는 본 발명자들이, 일반적인 LED 액정 디스플레이로부터의 발광의 분광 스펙트럼에 근거하여 강도 계수를 산출해 결정한 값이며, 각 파장의 청색 장해 함수는 JIS T 7330:2000 부속서 A에 기재되어 있는 값이다.
[표 1]
Figure pct00002
[안경]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상기의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이 안경에 포함되는 안경 렌즈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앞에서 기재한 것과 같다. 상기 안경 렌즈는 이러한 안경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안경에 구비된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 내부에서의 다중 반사에 의해 결상하는 고스트(이중상)가 안경의 착용자에게 시인되는 강도를 내릴 수 있거나, 또는 시인되지 않을 정도로 강도를 내릴 수 있다. 프레임 등의 안경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 비교예 1, 2]
양면이 광학적으로 완성된 미리 하드 코트가 가해진, 물체측 표면이 철면, 안구측 표면이 요면인 플라스틱 렌즈 기재(무색 렌즈, 굴절률 1.67)의 철면측(물체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2에 나타내는 층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형성했다.
요면측(안구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2에 나타내는 층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형성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철면측, 요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하드 코트측)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측을 향하여, 표 2 또는 표 4의 상방에 나타내는 증착원으로부터 하방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차례로 이용하고, 제1층, 제2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표 2의 최하란에 나타내는 증착원에 의해 형성된 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불가피적으로 혼입할 가능성이 있는 불순물을 제외하면 표 2 또는 표 4에 나타내는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원을 사용해, 표 2 또는 표 4에 나타내는 층 두께(광학적 막 두께)의 각층을 차례로 형성했다. 표 2 또는 표 4에 나타내는 산화물의 굴절률은 SiO2:1.47, ZrO2:2.08, Nb2O5:2.11이다. 광학적 막 두께에 관해서, λ=500 nm이다. 예를 들면, 표 2 중, 0.110이란, 광학적 막 두께 0.110λ를 의미한다. 표 2 또는 표 4 중의 다른 광학적 막 두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비교예 1의 안경 렌즈는 특허문헌 1(WO 2014/069250)의 표 1에 나타내고 있는 실시예 1의 층 구성의 다층막을 가지는 안경 렌즈이다.
[표 2]
Figure pct00003
[각종 특성의 측정 방법]
<1. 반사율>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 표면(철면측)에서, 광학 중심에서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측정했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안구측으로부터, 안구측 표면(요면측)에서, 광학 중심에서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측정했다.
상기 측정은 올림푸스사 제 렌즈 반사율 측정기 USPM-RU를 이용해서 수행했다(측정 피치:1 nm).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에 대해 얻어진 반사 스펙트럼을 도 1~도 4에 나타내고, 측정된 반사율(단위:%)을 도 5(도 5a~도 5i)에 나타낸다.
또, 이렇게 하여 측정된 반사율로부터, 후술하는 표 3에 나타내는 각종 평균 반사율을 구했다.
<2. 시감 반사율>
상기 1.에서 얻어진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앞에서 기재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양표면에 대해서 시감 반사율을 구했다.
<3. 주파장>
상기 1.에서 얻어진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앞에서 기재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양표면에 대해서 주파장을 구했다.
[평가 방법]
<고스트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를, 암실에서, 형광등 하 30 cm의 위치에서 안구측으로부터 관찰해, 고스트(이중상)의 발생의 유무 및 정도를, 이하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관능 평가했다.
A:고스트가 관찰되지 않는다. 또는 옅은 고스트가 관찰되지만 B보다 경도이다.
B:명료한 고스트는 관찰되지 않는다. 옅은 고스트가 관찰된다.
C:명료한 고스트가 관찰된다.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의 경감에 관한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히타치 제작소 제 분광 광도계 U4100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의 물체측의 표면측(철면측)으로부터 물체측 표면의 광학 중심으로 광을 입사시켜 파장 380 nm로부터 500 nm까지 5 nm 피치로 측정했다.
측정 결과로부터 얻어진 투과 스펙트럼으로부터,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각 파장에서의 투과율 τ(λ)을 구했다. 이렇게 하여 구한 τ(λ)를 이용하여, 앞에서 기재한 식 1으로부터 DEI값을 구했다.
구해진 DEI값에 근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의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의 경감 효과를 평가했다.
A:DEI값이 13.0% 이상
B:DEI값이 10.0% 이상 13.0% 미만
C:DEI값이 10.0% 미만
<눈부심 평가>
2. 눈부심 평가
실시예 1, 2의 각 안경 렌즈를, 통상의 밝기의 실내에서 안구측으로부터 관찰해, 물체측 표면의 내측에서 반사하는 광(눈부심)의 힘을 관찰자의 눈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관능 평가했다.
A:눈부심이 관찰되지 않는다. 또는 눈부심이 조금 관찰되지만 B보다 경도이다.
B:눈부심이 관찰된다.
C:눈부심이 현저하게 관찰된다.
<외관색>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를, 관찰자가 안경 렌즈의 각 표면측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고, 외관색을 확인했다.
이상의 측정 결과 및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1, 2의 안경 렌즈의 눈부심 평가 결과는 모두 「A」였다.
[표 3]
Figure pct00004
표 3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실시예 1, 2의 안경 렌즈에 의하면,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에게 양호한 착용감을 부여할(고스트에 의한 착용감의 저하 억제)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12]
안구측 표면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다층 증착막을 형성하고, 물체측 표면에 형성하는 다층 증착막의 층 구성을 표 4(표 4-1~표 4-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예 3~12의 안경 렌즈를 제작했다.
실시예 3~12의 각 안경 렌즈에 대해서, 앞에서 기재한 방법에 의해 각종 평가를 수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5(표 5-1, 표 5-2)에 나타낸다. 실시예 3~12의 각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의 반사율(단위: %)을 도 6(도 6a~도 6i), 도 7(도 7a~도 7i)에 나타낸다.
[표 4-1]
Figure pct00005
[표 4-2]
Figure pct00006
[표 4-3]
Figure pct00007
[표 5-1]
Figure pct00008
[표 5-2]
Figure pct00009
실시예 3~12의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다층 증착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예 3~12의 각 안경 렌즈의 안구측의 반사 특성은 실시예 1의 안경 렌즈의 안구측의 반사 특성과 동일하다. 실시예 3~12의 각 안경 렌즈는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적어도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5.00% 이하이다. 또, 실시예 3~12의 각 안경 렌즈는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상이기 때문이(표 5-1, 표 5-2 참조),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실시예 3~12의 안경 렌즈의 고스트 평가의 평가 결과는 모두 「A」였다.
눈부심 평가의 평가 결과는 실시예 5, 8의 안경 렌즈가 「A」, 실시예 3, 4, 6, 7, 9~12의 안경 렌즈가 「B」였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각 태양을 총괄한다.
일 태양에 의하면,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일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상기 렌즈 기재의 타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0% 이상이며, 또한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은 5.00% 이하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상기 안경 렌즈는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에게 양호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는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0% 이상이며, 타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0% 미만이며,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하인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45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 1은 12.00% 이상이다. 이러한 태양의 안경 렌즈에 의하면,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입사할 수 있는 청색광의 주된 발광원인 LED가, 청색광의 파장 영역 중에서도 특히 강하게 발광하는 430~450 nm의 파장 영역의 광이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광량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하인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45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 1과 460~48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 2의 차분(평균 반사율 1-평균 반사율 2)은 5.00% 이상이다. 이러한 태양의 안경 렌즈에 의하면, 눈부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는 500 nm 초과 이상 780 nm 이하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상기 안경 렌즈의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 및 타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은 모두 5.00% 이하이다. 이러한 태양의 안경 렌즈에 의하면, 안경 렌즈의 양쪽의 표면의 색미(色味)의 차이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DEI값은 10.0% 이상이다. 이러한 태양의 안경 렌즈에 의하면,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대한 LED로부터 발생되는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일 태양에 의하면, DEI값이 10.0% 이상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이러한 안경 렌즈에 의하면,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대한 LED로부터 발생되는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DEI값이 10.0% 이상인 안경 렌즈는, 예를 들면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 위에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일 수 있다. 또, DEI값이 10.0% 이상인 안경 렌즈는, 예를 들면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일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상기 렌즈 기재의 타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일 수도 있다. 또,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일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상기 렌즈 기재의 타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DEI값이 10.0% 이상이며, 또한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5.00% 이하인 안경 렌즈에 의하면, LED로부터 발생되는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착용자에게 양호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DEI값이 10.0% 이상인 안경 렌즈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앞에서 기재한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에 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태양은 임의의 조합으로 2개 이상을 조합할 수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안경의 제조 분야에서, 유용하다.

Claims (5)

  1.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일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상기 렌즈 기재의 타방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0% 이상이며, 또한
    400~780 nm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상기 안경 렌즈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은 5.00% 이하인 안경 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는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0% 이상이며, 타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0% 미만이며,
    상기 안경 렌즈의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하인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45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 1은 12.00% 이상인 안경 렌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의 38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0% 이하인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45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 1과 460~48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 2의 차분(평균 반사율 1-평균 반사율 2)은 5.00% 이상인 안경 렌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0 nm 초과 이상 780 nm 이하의 파장 영역의 전역에서, 상기 안경 렌즈의 일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 및 타방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은 모두 5.00% 이하인 안경 렌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

KR1020197008267A 2017-11-24 2018-11-22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189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25708 2017-11-24
JP2017225708 2017-11-24
PCT/JP2018/043217 WO2019103105A1 (ja) 2017-11-24 2018-11-22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402A true KR20190069402A (ko) 2019-06-19
KR102189657B1 KR102189657B1 (ko) 2020-12-14

Family

ID=6663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267A KR102189657B1 (ko) 2017-11-24 2018-11-22 안경 렌즈 및 안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26030B2 (ko)
EP (1) EP3514612A4 (ko)
JP (2) JP7265983B2 (ko)
KR (1) KR102189657B1 (ko)
CN (1) CN110140079B (ko)
WO (1) WO2019103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3420A1 (de) * 2019-08-21 2021-02-24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Brillenglas mit filterwirkung für blaues licht und brille
US20230147514A1 (en) * 2020-03-26 2023-05-11 Sharp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JP2022069259A (ja) * 2020-10-23 2022-05-11 東海光学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学製品及び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
JP2023169755A (ja) * 2022-05-17 2023-11-30 東海光学株式会社 眼鏡レン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250A1 (ja) 2012-11-05 2014-05-08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光学部品の製造方法、及びゴースト光の定量方法
JP2015203856A (ja) * 2014-04-16 2015-11-16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WO2017117454A1 (en) * 2015-12-30 2017-07-06 Signet Armorlite, Inc. Ophthalmic le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989B2 (ja) 1987-09-22 1995-12-20 ホーヤ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レンズの製造方法
JPH0620752B2 (ja) 1990-03-30 1994-03-23 ホーヤ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レンズの製造方法
JP2644671B2 (ja) 1993-08-31 1997-08-25 ホーヤ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695599B2 (ja) 1993-09-29 1997-12-24 ホーヤ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レンズの製造方法
JPH09255781A (ja) 1996-01-17 1997-09-30 Mitsubishi Gas Chem Co Inc 新規なエピスルフィド化合物
JP3709901B2 (ja) 1996-01-31 2005-10-2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ゴム組成物
JP2012093689A (ja) 2010-09-29 2012-05-17 Nikon-Essilor Co Ltd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28135A (ja) 2010-12-15 2012-07-05 Seiko Epson Corp 光学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122253A1 (ja) 2012-02-17 2013-08-22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13321051B9 (en) 2012-09-28 2017-03-30 Nikon-Essilor Co., Ltd.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A2969346C (en) * 2014-12-01 2021-03-23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FR3031195B1 (fr) * 2014-12-24 2017-02-10 Essilor Int Article optique comportant un revetement interferentiel a forte reflexion dans le domaine de l'ultraviolet
CA2985168C (en) * 2015-05-11 2020-09-01 Nikon-Essilor Co., Ltd. Spectacle lens
US20170097521A1 (en) * 2015-10-01 2017-04-06 Tokai Optical Co., Ltd.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ES2964693T3 (es) * 2016-03-31 2024-04-09 Hoya Lens Thailand Ltd Lente de gafas y gafas
JP2018031975A (ja) * 2016-08-26 2018-03-01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眼鏡
WO2019065985A1 (ja) 2017-09-29 2019-04-04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CN109696754A (zh) * 2017-10-20 2019-04-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套镜以及具有该套镜的多功能眼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250A1 (ja) 2012-11-05 2014-05-08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光学部品の製造方法、及びゴースト光の定量方法
JP2015203856A (ja) * 2014-04-16 2015-11-16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WO2017117454A1 (en) * 2015-12-30 2017-07-06 Signet Armorlite, Inc. Ophthalmic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52795A (ja) 2023-04-12
CN110140079A (zh) 2019-08-16
JPWO2019103105A1 (ja) 2019-11-21
EP3514612A1 (en) 2019-07-24
JP7265983B2 (ja) 2023-04-27
US11526030B2 (en) 2022-12-13
CN110140079B (zh) 2021-02-26
EP3514612A4 (en) 2020-06-03
WO2019103105A1 (ja) 2019-05-31
US20190219841A1 (en) 2019-07-18
KR102189657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64041B2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KR101941798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189657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20190042646A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20180088683A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20190040052A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20210054576A (ko) 안경 렌즈
JP7303613B2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JP7136909B2 (ja) 眼鏡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