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658A - 붐 인출 인입 장치 - Google Patents

붐 인출 인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658A
KR20190068658A KR1020170168254A KR20170168254A KR20190068658A KR 20190068658 A KR20190068658 A KR 20190068658A KR 1020170168254 A KR1020170168254 A KR 1020170168254A KR 20170168254 A KR20170168254 A KR 20170168254A KR 20190068658 A KR20190068658 A KR 20190068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wire
stage
sheav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781B1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to KR102017016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7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3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flexible elements, e.g. cables, chain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5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hydraul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신축식 붐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하여 각 단의 붐을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붐 인출 인입 장치로서, 다단 붐 설치 차량의 일반적인 구조인 기단대, 1단 붐, 2단 붐, 3단 붐 외에, 상기 2단 붐을 상기 1단 붐의 내부로 수납하거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작동되는 붐 신장 실린더; 상기 1단 붐의 후방단부 내측 상부에 설치된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 상기 붐 신장 실린더의 실린더 말단부 상측 좌우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전방 와이어 시브; 상기 붐 신장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출입측 실린더 단부의 전방 하측 좌우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후방 와이어 시브; 상기 1단 붐의 전방단부 외측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후방 와이어 시브보다 전방측에 구비된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 양단이 각각 상기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 및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 및 후방 와이어 시브와 맞물리되, 상기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 상기 후방 와이어 시브 및 상기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의 경로순서대로 맞물리거나 결합되는 한 쌍의 와이어; 및 일측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와 후방 와이어 시브 사이 경로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3단 붐의 후방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붐견인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붐 인출 인입 장치{Boom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본 발명은 붐의 인출 인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소작업차 등에 사용되는 다단 신축식 붐의 인출 및 인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단 신축식 붐, 즉 텔레스코픽 붐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기중기, 사다리차, 고소작업차 등 많은 특수 차량에서 널리 사용되는 길이가변식 붐의 한 종류이다.
차량탑재 이동식 크레인 장비나 고소작업차 같은 경우에는 대략 각관 형태로 형성된 다양한 사이즈의 붐들로 다단 신축식 붐을 만드는 것이 통상적인데, 이러한 다단 신축식 붐의 신장 및 수축은 다단 신축식 붐 내부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 와이어로프, 체인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여러 개의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거나, 하나의 유압 실린더와 와이어로프의 조합에 의하거나, 체인 하나만으로 붐의 신장 및 수축 메커니즘을 구성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와 체인의 조합으로 다단 신축식 붐을 인입 및 인출시키는 장치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7761호(특허문헌1)에 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하나의 유압 실린더와 와이어로프를 조합한 메커니즘이 제작비용의 경제성 측면이나 유지보수의 용이함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유압 실린더는 다단 신축식 붐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면 와이어로프와 와이어로프에 의한 붐의 신장 또는 수축을 제어하기 위한 시브(sheave)는 다단 신축식 붐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역시 제작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고소작업차 중에서 붐과 바스켓이 절연체로 제작되어 전신주 등 전기적인 위험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작업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절연고소작업차(절연작업차, 활선차라고도 지칭됨)의 경우에는, 고소작업차의 붐에 설치된 전기선, 와이어로프, 유압릴 등이 전신주 사이에 연결된 전선과 접촉할 경우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으므로, 제작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하게 되더라도 이들을 붐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기존에 다단 신축식 붐의 신장과 수축을 위한 슬라이딩 메커니즘과 유압 실린더가 필수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다단 신축식 붐 내부에 전기선, 와이어로프, 유압릴 등의 구성을 다 집어넣는 경우 조립이 용이하지 않아 제작비용과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선, 와이어로프, 유압릴 등의 구성을 모두 다 다단붐 내부에 배치하면서도 제작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7761호(2012.11.13.) “텔레스코픽 붐의 인입 인출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다단 신축식 붐의 붐 인출 인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붐 인출 인입 메커니즘을 규격화 및 모듈화하여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다수의 다단 신축식 붐을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조립시에 다단 신축식 붐 조립체의 각 개체별 조립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단 신축식 붐의 붐 인출 인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는, 다단 신축식 붐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하여 각 단의 붐을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붐 인출 인입 장치로서, 차량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기단대; 후방단부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기단대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1단 붐; 양단부가 각각 상기 기단대와 상기 1단 붐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장 또는 수축됨으로써 상기 기단대에 대하여 상기 1단 붐을 밀어올리거나 끌어내리도록 구성된 붐 업다운 실린더; 상기 1단 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1단 붐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1단 붐의 (전방단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1단 붐 내측에 상시 수납되는 후방단부와 상기 1단 붐 외측으로 상시 돌출되어 있는 전방단부를 구비한 2단 붐; 상기 2단 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2단 붐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2단 붐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2단 붐 내측에 상시 수납되는 후방단부와 상기 2단 붐 외측으로 상시 돌출되어 있는 전방단부를 구비하며, 후방단부 하측이 부채꼴 형상으로 전방을 향하여 절개되어 있는 3단 붐; 피스톤 말단부가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 출입측 실린더 단부가 2단 붐의 상기 후방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2단 붐을 상기 1단 붐의 내부로 수납하거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작동되는 붐 신장 실린더; 상기 1단 붐의 상기 후방단부 내측 상부에 설치된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 상기 붐 신장 실린더의 실린더 말단부 상측 좌우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전방 와이어 시브; 상기 붐 신장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출입측 실린더 단부의 전방 하측 좌우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후방 와이어 시브; 상기 1단 붐의 상기 전방단부 외측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후방 와이어 시브보다 전방측에 구비된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 양단이 각각 상기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 및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 및 후방 와이어 시브와 맞물리되, 상기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 상기 후방 와이어 시브 및 상기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의 경로순서대로 맞물리거나 결합되는 한 쌍의 와이어; 및 일측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와 후방 와이어 시브 사이 경로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3단 붐의 후방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붐견인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일단부가 1단 붐의 후방단부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3단 붐의 후방단부 내측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붐 신장 실린더의 실린더 말단부의 전방을 우회하여 상기 타단부까지 연결되어, 1단 붐 후방단부에서 3단 붐 후방단부까지 전기케이블 또는 유압호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다단 신축식 붐의 신장 또는 수축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케이블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붐 신장 실린더의 실린더 말단부 좌우양측에 고정되되,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 말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시브고정홀을 가지며, 상기 시브고정홀보다 상측에서 상측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의 외주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말단부에 이탈방지롤러홀을 가지는 롤러고정연장부를 구비한 한 쌍의 전방 시브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는 상기 시브고정홀에 외측에서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탈방지롤러홀에는 외측에서 와이어 이탈방지 롤러가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이탈방지 롤러의 외주부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의 외주부 간의 거리가 상기 와이어 두께의 1/2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에 의하면, 다단 신축식 붐의 구동을 위한 주요 부품들, 즉 붐 인출 인입 장치 부분이 모듈화되어 다단 신축식 붐의 조립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붐 인출 인입 장치가 모듈화되는 동시에 규격화되어 작업자에 따른 조립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다단 신축식 붐을 구비한 차량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의 정면도로서, 케이블베이어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의 정면도로서, 케이블베이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 중 붐 신장 실린더의 평면도(A) 및 정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가 완전히 수축된 상태(A), 반쯤 신장된 상태(B), 그리고 완전히 신장된 상태(C)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가 붐 구조물 내에 조립된 것을 각각 완전 수축된 상태(A), 반쯤 신장된 상태(B), 그리고 완전히 신장된 상태(C)로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다단 신축식 붐을 구비한 차량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의 정면도로서, 케이블베이어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의 정면도로서, 케이블베이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의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 중 붐 신장 실린더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가 완전히 수축된 상태(A), 반쯤 신장된 상태(B), 그리고 완전히 신장된 상태(C)를 각각 나타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가 붐 구조물 내에 조립된 것을 각각 완전 수축된 상태(A), 반쯤 신장된 상태(B), 그리고 완전히 신장된 상태(C)로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단 신축식 붐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하여 각 단의 붐을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붐 인출 인입 장치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붐 인출 인입 장치는 다단 신축식 붐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단 신축식 붐은 일반적으로 차량(100)의 후방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기단대(110)와, 상기 기단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1단 붐(120), 1단 붐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2단 붐(130), 2단 붐(130)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3단 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다단 붐이 3단 붐인 경우이며, 4단 이상의 다단 붐인 경우에는 4단 붐 등이 추가될 것이다.
3단 다단 붐의 구조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1단 붐(120)은 후방단부(123)가 제1 회전축(127)을 중심으로 상기 기단대(110)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1단 붐(120)은 유압실린더인 붐 업다운 실린더(113)에 의해 상하로 회전된다. 즉, 붐 업다운 실린더(113)는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기단대(110)와 상기 1단 붐(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장 또는 수축됨으로써 상기 기단대(110)에 대하여 상기 1단 붐(120)을 밀어올리거나 끌어내리도록 작동한다.
2단 붐(130)은 상기 1단 붐(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1단 붐(120)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1단 붐의 전방단부(125)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작동한다. 2단 붐(130)의 후방단부(133)는 1단 붐(120)과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1단 붐(120)의 내측에 상시 수납되는 형태이고, 이와 달리 2단 붐(130)의 전방단부(135)는 상기 1단 붐(120) 외측으로 상시 돌출되어 있다.
3단 붐(140)은 상기 2단 붐(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2단 붐(130)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2단 붐(13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3단 붐(140) 역시 후방단부(143)는 상기 2단 붐(130) 내측에 상시 수납되는 형태이고, 전방단부(145)는 상기 2단 붐(130) 외측으로 상시 돌출되어 있다. 한편, 3단 붐(140)의 후방단부 하측은 부채꼴 형상으로 전방을 향하여 절개되어 있다. 이 부채꼴 절개부(147)는 3단 붐이 완전히 수축되어 1단 내지 3단 붐(120 내지 140)이 포개졌을 때, 3단 붐(140)과 후술하는 후방 와이어 시브(36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다단 붐의 내부에는 다단 붐의 신장 또는 수축 동작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켜 붐 구조물에 전달하는 유압실린더인 붐 신장 실린더(200)가 구비된다.
붐 신장 실린더(200)의 피스톤 말단부(215)는 상기 제1 회전축(12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붐 신장 실린더(200) 중 피스톤(210)이 수납되는 실린더부(220)의 피스톤 출입측 단부(225)는 2단 붐(130)의 상기 후방단부(133)에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붐 신장 실린더(200)는 상기 2단 붐(130)을 상기 1단 붐(120)의 내부로 수납하거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작동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붐 신장 실린더(200)가 직접 작동시키는 것은 2단 붐(130)에 한정되며, 3단 붐(1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출 와이어(330) 또는 인입 와이어(340)에 의해 견인되어 작동된다.
상기 1단 붐(120)의 상기 후방단부(123) 내측 상부에는 한 쌍의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310)가 구비된다.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310)는 인출와이어(330)의 일단부와 맞물려서 상기 인출와이어(330)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인출와이어(330)의 일단부는 잡아당기거나 풀어준 다음 다시 고정시켜서 상기 인출와이어(33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이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통상적인 와이어 장력조정장치와 동일하다.
상기 붐 신장 실린더(200)의 실린더 말단부(235) 상측 좌우측에는 한 쌍의 전방 와이어 시브(35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붐 신장 실린더(200)의 실린더 말단부(235) 하측 좌우측에는 슬라이딩 가이드 롤러(29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슬라이딩 가이드 롤러(290)는 붐 신장 실린더(200)의 신장, 수축시에 3단 붐(140)의 저면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붐 신장 실린더(200)의 상기 피스톤 출입측 실린더 단부(225)의 전방 하측 좌우측에는 한 쌍의 후방 와이어 시브(36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어, 후방 와이어 시브(36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단 붐(130)의 양측면 벽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1단 붐(120)의 상기 전방단부(125) 외측 하부에는 한 쌍의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320)가 설치된다. 상기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320)는 상기 후방 와이어 시브(360)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320) 역시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310)와 마찬가지로 인입와이어(340)의 일단부와 맞물려서 상기 인입와이어(340)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인입와이어(340)의 일단부는 잡아당기거나 풀어준 다음 다시 고정시켜서 상기 인입와이어(34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이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통상적인 와이어 장력조정장치와 동일하다.
3단 붐(140)의 신장, 수축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와이어(300)는 양단이 각각 상기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310) 및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320)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350) 및 후방 와이어 시브(360)과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310),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350), 상기 후방 와이어 시브(360) 및 상기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320)의 경로순서대로 시브와 맞물리거나 장력조정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와이어(300)를 인출와이어(330) 또는 인입와이어(340)로 구별해서 기재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인출와이어(330)와 인입와이어(340)가 따로 존재하고 이들을 통칭하여 와이어(300)로 지칭한다는 의미가 아니며, 와이어(300)의 일단부를 잡아당겼을 때 다단 붐이 인출된다면 그 일단부 부근을 지칭할 때는 인출와이어(330)로, 다단 붐이 인입된다면 인입와이어(340)로 지칭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로로 구성된 와이어(300)에서는 상기 1단 붐(120)의 상기 전방단부(125) 외측 하부로 노출된 부분이 인입와이어(340)이고, 인입와이어(340)에는 한 쌍의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3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300)에서 상기 1단 붐(120)의 상기 후방단부(123) 내측 상부에 구비된 한 쌍의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310)에 고정된 부분은 인출와이어(330)가 된다.
상기 와이어(300)에 의해 3단 붐(140)의 신장, 수축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와이어(300) 일측에 붐견인 브래킷(370)이 고정된다. 상기 붐견인 브래킷(370)은 일측이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350)와 후방 와이어 시브(360) 사이 경로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와이어(3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3단 붐(140)의 후방단부(143) 내측에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다단 신축식 붐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붐 신장 실린더(200) 및 상기 와이어(300)가 작동될 때, 상기 붐견인 브래킷(370)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350)와 후방 와이어 시브(360) 사이에서만 움직이면서 3단 붐(140)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다단 신축식 붐에서 붐 신장 실린더(200)와 와이어(300) 및 와이어(300) 구동에 관련된 구성요소들(전후방 와이어 시브, 와이어 장력조정부 등)을 모듈화하여 준비할 경우 다단 붐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1단 붐(120)의 후방단부(123)에서 3단 붐(140)으로 연결되어 3단 붐(140) 이후에 연결되는 각종 장비들(유압 장비, 전기 장비, 물 분사 장비 등)에 필요한 유압, 전기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블베이어(40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압 호스 같은 경우는 요구되는 최소 곡률반경이 비교적 큰 편이어서 통상적인 고소작업차의 다단 붐에는 붐 외측에 설치되는 유압릴에 의해 유압을 다단 붐 말단까지 공급하고, 이러한 구조의 다단붐에서는 와이어 역시 다단 붐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절연고소작업차에서는 작업상의 안전 문제 등의 이유로 와이어 뿐 아니라 전기선이나 유압호스 등도 모두 붐 내부에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붐 내부에 설치된 전기선, 유압호스 등이 붐의 신장, 수축 동작시에 손상되지 않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붐 인출 인입 장치에서는 이를 위하여 케이블베이어(400)를 구비하였으며, 상기 케이블베이어(400)는 일단부(410)는 1단 붐(120)의 후방단부(123)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부(420)는 3단 붐(140)의 후방단부(143) 내측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일단부(410)에서 상기 붐 신장 실린더(200)의 실린더 말단부(235)의 전방을 우회하여 상기 타단부(420)까지 연결된다. 이로써, 1단 붐(120)의 후방단부(123)에서 3단 붐(140)의 후방단부(143)까지 전기케이블, 유압호스 등이 다단 신축식 붐의 신장 또는 수축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는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350)를 고정하기 위해 한 쌍의 전방 시브 브래킷(500)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시브 브래킷(500)은 상기 붐 신장 실린더(200)의 실린더 말단부(235) 좌우양측에 고정되되,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 말단부(235)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시브고정홀(510)을 가진다.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350)는 상기 시브고정홀(510)에 외측에서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전방 시브 브래킷(500)은 상기 시브고정홀(510)보다 상측에서 상측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롤러고정연장부(520)를 가지고, 상기 롤러고정연장부(520)는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350)의 외주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말단부에 이탈방지롤러홀(525)을 가진다.
상기 이탈방지롤러홀(525)에는 외측에서 와이어 이탈방지 롤러(530)가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와이어(300)가 전방 와이어 시브(35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탈방지 롤러(530)의 외주부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350)의 외주부가 밀착되도록 한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조립공차 등의 문제로 두 외주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설계할 경우 실제 조립시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이탈방지 롤러(530)의 외주부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350)의 외주부 간의 거리가 상기 와이어 두께의 1/2 이하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붐 인출 인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차량 110 : 기단대
113 : 붐 업다운 실린더 120 : 1단 붐
123 : 1단 붐 후방단부 125 : 1단 붐 전방단부
127 : 제1 회전축 130 : 2단 붐
133 : 2단 붐 후방단부 135 : 2단 붐 전방단부
140 : 3단 붐 143 : 3단 붐 후방단부
145 : 3단 붐 전방단부 147 : 부채꼴 절개부
200 : 붐 신장 실린더 210 : 피스톤
215 : 피스톤 말단부 220 : 실린더부
225 : 피스톤 출입측 실린더 단부 235 : 실린더 말단부
290 : 슬라이딩 가이드 롤러 300 : 와이어
310 :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 320 :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
330 : 인출와이어 340 : 인입와이어
350 : 전방 와이어 시브 360 : 후방 와이어 시브
370 : 붐견인 브래킷 400 : 케이블베이어
410 : 케이블베이어 일단부 420 : 케이블베이어 타단부
500 : 전방 시브 브래킷 510 : 시브고정홀
520 : 롤러고정연장부 525 : 이탈방지롤러홀
530 : 와이어 이탈방지 롤러

Claims (3)

  1. 다단 신축식 붐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하여 각 단의 붐을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붐 인출 인입 장치로서,
    차량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기단대;
    후방단부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기단대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1단 붐;
    양단부가 각각 상기 기단대와 상기 1단 붐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장 또는 수축됨으로써 상기 기단대에 대하여 상기 1단 붐을 밀어올리거나 끌어내리도록 구성된 붐 업다운 실린더;
    상기 1단 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1단 붐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1단 붐의 (전방단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1단 붐 내측에 상시 수납되는 후방단부와 상기 1단 붐 외측으로 상시 돌출되어 있는 전방단부를 구비한 2단 붐;
    상기 2단 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2단 붐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2단 붐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2단 붐 내측에 상시 수납되는 후방단부와 상기 2단 붐 외측으로 상시 돌출되어 있는 전방단부를 구비하며, 후방단부 하측이 부채꼴 형상으로 전방을 향하여 절개되어 있는 3단 붐;
    피스톤 말단부가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 출입측 실린더 단부가 2단 붐의 상기 후방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2단 붐을 상기 1단 붐의 내부로 수납하거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작동되는 붐 신장 실린더;
    상기 1단 붐의 상기 후방단부 내측 상부에 설치된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
    상기 붐 신장 실린더의 실린더 말단부 상측 좌우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전방 와이어 시브;
    상기 붐 신장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출입측 실린더 단부의 전방 하측 좌우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후방 와이어 시브;
    상기 1단 붐의 상기 전방단부 외측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후방 와이어 시브보다 전방측에 구비된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
    양단이 각각 상기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 및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 및 후방 와이어 시브와 맞물리되, 상기 인출와이어 장력조정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 상기 후방 와이어 시브 및 상기 인입와이어 장력조정부의 경로순서대로 맞물리거나 결합되는 한 쌍의 와이어; 및
    일측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와 후방 와이어 시브 사이 경로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3단 붐의 후방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붐견인 브래킷;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붐 인출 인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부가 1단 붐의 후방단부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3단 붐의 후방단부 내측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붐 신장 실린더의 실린더 말단부의 전방을 우회하여 상기 타단부까지 연결되어, 1단 붐 후방단부에서 3단 붐 후방단부까지 전기케이블 또는 유압호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다단 신축식 붐의 신장 또는 수축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케이블베이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인출 인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 신장 실린더의 실린더 말단부 좌우양측에 고정되되,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 말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시브고정홀을 가지며, 상기 시브고정홀보다 상측에서 상측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의 외주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말단부에 이탈방지롤러홀을 가지는 롤러고정연장부를 구비한 한 쌍의 전방 시브 브래킷;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는 상기 시브고정홀에 외측에서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탈방지롤러홀에는 외측에서 와이어 이탈방지 롤러가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이탈방지 롤러의 외주부와 상기 전방 와이어 시브의 외주부 간의 거리가 상기 와이어 두께의 1/2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인출 인입 장치.
KR1020170168254A 2017-12-08 2017-12-08 붐 인출 인입 장치 KR10200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54A KR102000781B1 (ko) 2017-12-08 2017-12-08 붐 인출 인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54A KR102000781B1 (ko) 2017-12-08 2017-12-08 붐 인출 인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658A true KR20190068658A (ko) 2019-06-19
KR102000781B1 KR102000781B1 (ko) 2019-07-17

Family

ID=6710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254A KR102000781B1 (ko) 2017-12-08 2017-12-08 붐 인출 인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8881A1 (en) * 2020-12-01 2022-06-08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Extendable boom for mining vehicle and mining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5082A (en) * 1996-04-08 1997-12-09 Pioneer Engineering Crane having a readily removable outer boom section
JP2000143189A (ja) * 1998-11-12 2000-05-23 Aichi Corp 伸縮ブーム
EP1535877A1 (en) * 2003-11-28 2005-06-01 CNH Italia S.p.A. Telescopic boom arm
KR20120007761U (ko)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한국크레인 텔레스코픽 붐의 인입 인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5082A (en) * 1996-04-08 1997-12-09 Pioneer Engineering Crane having a readily removable outer boom section
JP2000143189A (ja) * 1998-11-12 2000-05-23 Aichi Corp 伸縮ブーム
EP1535877A1 (en) * 2003-11-28 2005-06-01 CNH Italia S.p.A. Telescopic boom arm
KR20120007761U (ko)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한국크레인 텔레스코픽 붐의 인입 인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8881A1 (en) * 2020-12-01 2022-06-08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Extendable boom for mining vehicle and min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781B1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3411A (en) Extensible boom
US10000368B2 (en) Hoist system for retrofitting small scissor lift to access enclosed areas in building structure
KR102000781B1 (ko) 붐 인출 인입 장치
KR101822618B1 (ko) 아웃트리거의 신축구조
CA2881002C (en) Torque stabilization for a rig mast
KR101866656B1 (ko) 고소 작업 장치
EP3473582B1 (en) Mobile crane
CN109510099A (zh) 一种电力工程安装用装置
CN115399153A (zh) 一种用于绑扎树木的快速穿绳装置及使用方法
JP2014121178A (ja) 架空光ケーブル布設方法
US11828077B2 (en) Inverted cable driven mast
KR200377476Y1 (ko)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KR20150073627A (ko) 고가사다리 장치의 신축 구조
KR102058837B1 (ko) 다단붐 와이어 인입 시스템
CN220122482U (zh) 线缆安装用紧线器
KR102048972B1 (ko) 케이블 베이어가 없는 소방차용 아우트리거
JPH082876A (ja) 多段伸縮ブームのホース保持構造
KR20170124312A (ko) 독립형 신축 붐대를 갖는 고가 사다리 장치
KR101568679B1 (ko) 다단인출붐 안전보강장치
KR102246187B1 (ko) 와이어 로프의 교체가 용이한 크레인 붐조립체
CN219620606U (zh) 一种电缆盘临时收放线装置
EP1787939A2 (en) Telescopic lift arm for farm vehicles
KR102704373B1 (ko) 붐 시스템
KR102136603B1 (ko) 케이블 베이어가 없는 경량형 붐시스템
CN218234554U (zh) 用于多段式伸缩桅杆的安全制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