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348A -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348A
KR20190068348A KR1020170168651A KR20170168651A KR20190068348A KR 20190068348 A KR20190068348 A KR 20190068348A KR 1020170168651 A KR1020170168651 A KR 1020170168651A KR 20170168651 A KR20170168651 A KR 20170168651A KR 20190068348 A KR20190068348 A KR 2019006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fresh water
information
sea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517B1 (ko
Inventor
류광현
김진호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5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1/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producing fresh water, e.g. by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sea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3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는 해역 상에 위치하는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선박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하도록 선박에 설치되는 조수부 및 검출된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에 따라 조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FRESH WATER GENERATING APPARATUS FOR SHIP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는 청수(FW; Fresh Water)가 생활용수뿐만 아니라 보일러, 드럼 및 각종 기기의 냉각수로 반드시 필요하므로 별도의 청수탱크를 두어 상기 청수를 저장해 두고 있으며, 이때의 청수는 육상으로부터 급수하거나 혹은, 조수기(FWG:Fresh Water Generator)를 이용하여 해수(SW:Sea Water)로부터 염분을 제거하여 얻게 된다.
즉, 조수기는 해수를 이용하여 증발 혹은 필터(filter)를 거쳐 염분을 제거하여 각종 장비류에 사용되는 증류수와 식수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주로 사용되는 조수 방식에는 증발식(Evaporation type)과 RO방식(Reverse Osmosis type)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해수를 사용하여 청수를 생성하는 원리로 인해 해수의 상태가 조수기의 성능 및 유지관리 주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조수기 공급 업체마다 기준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장비 운전시 진흙이나 부유물이 많은 연안해역에서는 사용자제를 안내하고 있다. 특히, 해수를 직접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 염분을 제거하는 RO방식은 해수의 상태가 필터의 성능에 큰 영향을 끼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7182호(2012. 10. 24, 청수 생산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수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으로 청수를 생산할 수 있는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역 상에 위치하는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선박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하도록 선박에 설치되는 조수부 및 검출된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에 따라 조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조수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위치검출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감지하도록 선박에 설치되는 GPS 감지기 및 감지되는 GPS 신호에 따라 선박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정보를 특정하여 검출하는 해수정보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해수정보 중 해수의 오염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조수부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역 상에 위치하는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에 따라 조수부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수부를 제어하여 선박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조수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GPS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되는 GPS 신호에 따라 선박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정보를 특정하여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해수정보 중 해수의 오염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조수부의 작동이 중지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역 상에 위치하는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에 따라 조수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하므로, 해수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으로 청수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1000)는 위치검출부(100), 조수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위치검출부(100)는 해역 상에 위치하는 선박(10)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하는 부분으로, 조수부(200) 운전시 문제가 될 수 있는 해역 등의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선박(10)이 위치하고 있는 해역에서 해수의 염분량, 온도, 오염도 등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조수부(200)는 선박(10)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sea water)로부터 청수(fresh water)를 생산하도록 선박(10)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해수를 이용하여 증발 혹은 필터(filter)를 거쳐 염분을 제거하여 각종 장비류에 사용되는 증류수와 식수를 생산한다.
이 경우, 조수부(200)는 증발식(Evaporation type)과 RO방식(Reverse Osmosis type)일 수 있으며, 종류에 따라 해수공급수단, 증발 탱크, 응축 탱크, 멤브레인 탱크, 필터, 펌프 등의 구체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검출된 선박(10)의 위치에 따른 정보에 따라 조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조수부(200) 운전시 문제가 될 수 있는 해역 등의 정보에 따라 조수부(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수를 사용하여 청수를 생성할 때, 해수의 상태가 조수부(200)의 성능 및 유지관리 주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해수 중에 진흙이나 부유물이 많은 해역에서는 조수부(200)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조수부(20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해수 중에 염분량이 높은 해역에서는 조수부(200)에서 염분의 필터링 회수를 늘린다거나 조수부(200)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을 최소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조수부(200)에 부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1000)는 해역 상에 위치하는 선박(10)의 위치에 따른 정보에 따라 조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여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하므로, 해수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으로 청수를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1000)에서, 위치검출부(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감지기(110) 및 해수정보 검출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PS 감지기(110)는 GPS 신호를 감지하도록 선박(10)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20)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선박(10)의 해역 상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해수정보 검출기(120)는 감지되는 GPS 신호에 따라 선박(10)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정보를 특정하여 검출하는 부분으로, 특정 해역에 대한 해수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현재 위치의 해수정보를 특정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해수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선박(10)에 자체적으로 내장될 수도 있고,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위치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지국(30)을 통해 해당 해역의 해수정보가 선박(10)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1000)는 GPS 신호를 사용하여 선박(10)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장치의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1000)에서, 제어부(300)는 해수정보 중 해수의 오염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조수부(200)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설정값이란 조수부(200)를 작동하였을 때 고장 또는 파손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오염도에 대한 기준 값으로서, 각종 규정, 장비 사용 지침, 시험 데이터 등을 통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즉, 해수 중의 진흙이나 부유물 등이 많아 그 오염도가 일정 기준 이상으로 높은 경우, 조수부(200)를 작동하여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필터 등에 진흙이나 부유물 등이 다수 집적되어 조수부(200)의 작동이 불가능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하여 해수정보를 통해 파악한 후 조수부(200)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방법에서 설명되는 주요 구성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선박용 조수 방법은 해역 상에 위치하는 선박(10)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100)로부터 시작된다. 즉, 조수부(200)를 작동하기에 앞서 조수부(200) 운전시 문제가 될 수 있는 해역 등의 정보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검출된 선박(10)의 위치에 따른 정보에 따라 조수부(200)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200). 즉, 사전에 검출된 정보에 따라 가장 효과적으로 조수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수부(200)를 제어하여 선박(10)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한다(S300).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방법은 해역 상에 위치하는 선박(10)의 위치에 따른 정보에 따라 조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여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하므로, 해수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으로 청수를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방법에서, S100 단계는 GPS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110) 및 감지되는 GPS 신호에 따라 선박(10)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정보를 특정하여 검출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성(20)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선박(10)의 해역 상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특정 해역에 대한 해수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현재 위치의 해수정보를 특정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방법은 GPS 신호를 사용하여 선박(10)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장치의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방법에서, S200 단계는 해수정보 중 해수의 오염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조수부(200)의 작동이 중지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해수 중의 진흙이나 부유물 등이 많아 그 오염도가 일정 기준 이상으로 높은 경우, 조수부(200)를 작동하여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필터 등에 진흙이나 부유물 등이 다수 집적되어 조수부(200)의 작동이 불가능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하여 해수정보를 통해 파악한 후 조수부(200)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방법에서 설명되는 주요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조수 장치(100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선박 20: 위성
30: 기지국 100: 위치검출부
110: GPS 감지기 120: 해수정보 검출기
200: 조수부 300: 제어부
1000: 선박용 조수 장치

Claims (6)

  1. 해역 상에 위치하는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상기 선박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하도록 상기 선박에 설치되는 조수부; 및
    검출된 상기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에 따라 상기 조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조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감지하도록 상기 선박에 설치되는 GPS 감지기 및
    감지되는 상기 GPS 신호에 따라 상기 선박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정보를 특정하여 검출하는 해수정보 검출기를 포함하는, 선박용 조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수정보 중 해수의 오염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수부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선박용 조수 장치.
  4. 해역 상에 위치하는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에 따라 조수부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박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로부터 청수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조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GPS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되는 상기 GPS 신호에 따라 상기 선박이 위치하는 해역 상의 해수정보를 특정하여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조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해수정보 중 해수의 오염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수부의 작동이 중지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조수 방법.
KR1020170168651A 2017-12-08 2017-12-08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 KR102027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651A KR102027517B1 (ko) 2017-12-08 2017-12-08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651A KR102027517B1 (ko) 2017-12-08 2017-12-08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348A true KR20190068348A (ko) 2019-06-18
KR102027517B1 KR102027517B1 (ko) 2019-10-01

Family

ID=6710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651A KR102027517B1 (ko) 2017-12-08 2017-12-08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5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466B1 (ko) * 2020-09-02 2022-03-04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수 담수화 선박용 해수 담수화 장치의 자동 운전 방법
KR20230099139A (ko) * 2021-12-27 2023-07-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 탑재형 해수 담수화 장치의 자동 운전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182A (ko) 2011-04-14 2012-10-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청수 생산 시스템
KR20130114514A (ko) * 2012-04-09 2013-10-18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해양환경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정적 및 동적 포지셔닝 시스템 및 방법
KR101335264B1 (ko) * 2012-05-31 2013-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방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20160061716A (ko) * 2014-11-24 2016-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수 중화 장치
KR20170061946A (ko) * 2015-11-27 2017-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Egr 유닛을 구비한 선박의 냉각 시스템 및 냉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182A (ko) 2011-04-14 2012-10-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청수 생산 시스템
KR20130114514A (ko) * 2012-04-09 2013-10-18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해양환경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정적 및 동적 포지셔닝 시스템 및 방법
KR101335264B1 (ko) * 2012-05-31 2013-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방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20160061716A (ko) * 2014-11-24 2016-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수 중화 장치
KR20170061946A (ko) * 2015-11-27 2017-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Egr 유닛을 구비한 선박의 냉각 시스템 및 냉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466B1 (ko) * 2020-09-02 2022-03-04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수 담수화 선박용 해수 담수화 장치의 자동 운전 방법
KR20230099139A (ko) * 2021-12-27 2023-07-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 탑재형 해수 담수화 장치의 자동 운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517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8348A (ko) 선박용 조수 장치 및 방법
JP2007331484A (ja) 船舶における燃料自動切替えシステム
ATE291482T1 (de) Mit druck betriebene meerwasserentsalz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mit gravitationsbetriebener laugenrückführung
Shitashima et al. Detection and monitoring of leaked CO2 through sediment, water column and atmosphere in a sub-seabed CCS experiment
CN103149888A (zh) 监测和/或控制污水系统处理流程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系统
SG192894A1 (en) Seawater desalination system and seawater desalination method
JP2005300393A (ja) 遠隔制御自動水質計測装置
KR101610485B1 (ko) 감지 조류 제거 시스템 및 방법
CN109444371A (zh) 一种液体监测系统及方法
JP2004163123A (ja) 水質監視装置
KR20120020506A (ko)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JP2011102096A (ja) 船舶の電流モーメント解析装置
KR101988742B1 (ko) 정삼투 공정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5156825A (ja) 水中係留物監視システム
KR101440281B1 (ko)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KR101618081B1 (ko) 선박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경고음이 울리는 선박경고장치
CN103308013A (zh) 内河船舶纵剖底部轮廓线测量方法
KR101395626B1 (ko) 선박평형 수 처리장치의 유량 측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KR20210085030A (ko) 고정밀 실시간 표층수온염분측정 시스템
KR101606687B1 (ko) 이종 유체 분리 배출 장치
KR101346237B1 (ko) 선박 오수 처리시스템
CN206940575U (zh) 净水设备
RU2241981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подвижного источника экологического загрязнения водной среды
EP3441131A1 (en) Water treatment devic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nd water treatment device
JP2007206880A (ja) 不審船の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