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281B1 -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281B1
KR101440281B1 KR1020140095484A KR20140095484A KR101440281B1 KR 101440281 B1 KR101440281 B1 KR 101440281B1 KR 1020140095484 A KR1020140095484 A KR 1020140095484A KR 20140095484 A KR20140095484 A KR 20140095484A KR 101440281 B1 KR101440281 B1 KR 101440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module
mooring equipment
module
abnorm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만
구정본
이성오
Original Assignee
(주)지오시스템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시스템리서치 filed Critical (주)지오시스템리서치
Priority to KR1020140095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이 발명은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류장비 내부에 구성되는 계측기기 자체의 기능적이상 뿐만 아니라, 계류장비의 자세이상에 대해서도 신속한 확인과 더불어 이상상태에 따른 효율적인 사후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계류장비 및 계측기기의 이상을 알려주기 위한 알림모듈을 듀얼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알림모듈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알림모듈을 통해 이상상태를 알려줌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원인에 대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이 발명은 이상상태별로 정확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이상상태에 따른 사후처리를 위한 관측용선박이 현장에 도착하기 이전에 해당 이상상태에 대한 적절한 대층방법을 마련하고, 현장 도착시 신속하게 사후처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양과학분야 및 해양탐사장비 분야, 특히 해저 계류장비의 운용 및 이상상황에 따른 대처와 관련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Dual type abnormal condition notification device for seebed mooring apparatus}
이 발명은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류장비 내부에 구성되는 계측기기 자체의 기능적이상 뿐만 아니라, 계류장비의 자세이상에 대해서도 신속한 확인과 더불어 이상상태에 따른 효율적인 사후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계류장비 및 계측기기의 이상발생을 알려주기 위한 알림모듈을 듀얼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알림모듈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알림모듈을 통해 이상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며, 이상이 발생된 원인에 대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자원의 이용 및 개발로 인해 해양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계측장치나 구조물 등을 이용하여 해양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들(예를 들어, 조석, 조류의 흐름, 수온변화, 탁도변화 등)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양과학분야에서 해양탐사를 위하여 해저면에 설치되는 다양한 계류장비들은, 표식부이(부표)가 연결된 상태에서 해저면에 설치된 후 원하는 데이터의 수집이 완료되면 부표를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부표와 연결된 로프를 이용하여 회수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한편, 계류장비 내부에 구성되는 다양한 계측기기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계류장비에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수집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도플러 유속계(ADCP)의 경우 자세각도가 20°이상인 경우에는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연안지역의 해저면에 설치된 계류장비의 경우, 표사에 의한 퇴적과 조석간만에 의한 침식 작용의 반복에 의한 지형변화, 그리고 저인망어선 등의 어업활동에 의해, 계류장비 자체에 움직임(예를 들어, 기울어짐)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계류장비가 전복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계류장비 내부에 구성되는 계측기기 자체의 기능적이상 뿐만 아니라, 계류장비의 자세이상에 대해서도 신속한 확인과 사후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5298호 '심해 해저면상 유속계 및 그 회수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은, 해저면상 유속계의 회수시 몸체에 수납된 부표를 방출하여 해수면으로 부상시키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은 하나의 부표 및 부표제어부에 의해 유속계의 위치를 알려주기 때문에, 부표제어부에 이상이 발생되어 동작되지 못하면 해당 유속계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은 유속계의 회수시 사용되는 것으로, 유속계의 이상여부에 대해서는 확인이 불가능하며, 유속계의 이상발생시 부표를 방출하도록 구성한다 하더라도, 유속계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된 것인지를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유속계의 이상상태에 대하여 신속한 후속조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5298호 '심해 해저면상 유속계 및 그 회수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계류장비 및 계측기기의 이상을 알려주기 위한 알림모듈을 듀얼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알림모듈이 동작되지 못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알림모듈을 통해 이상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계류장비나 계측기기에서 발생된 이상상태별로 알려줌으로써, 계류장비 내부에 구성되는 계측기기 자체의 기능적이상 뿐만 아니라, 계류장비의 자세이상에 대해서도 신속한 확인과 더불어 이상상태에 따른 효율적인 사후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계측기기가 탑재된 해저계류장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성되고, 동작제어시 해수면으로 부표를 부상시켜 이상상태별 상태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상부알림모듈과 하부알림모듈; 및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기능적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상부알림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자세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센서; 상기 자이로스코프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및 상기 상태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기울기변화에 따른 상기 상태판단부의 판단결과, 정상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기울기변화가 예각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알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기울기변화가 둔각인 경우에는 상기 하부알림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표에 구성되며, 상기 부표가 해수면으로 부상되면 무선통신으로 현재위치를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기울기변화에 따른 상기 상태판단부의 판단결과, 정상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기울기변화가 선택제어범위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의 동작가능여부 및 기울기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기울기변화가 상기 선택제어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상부알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기울기변화가 상기 선택제어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하부알림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계측기기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능이상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표에 구성되며, 상기 부표가 해수면으로 부상되면 무선통신으로 상기 기능이상확인부의 의해 확인된 이상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능적이상에 대한 기능이상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표에 구성되어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동되며, 상기 기능이상정보를 저장하는 이상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부표가 해수면으로 부상되면 상기 이상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기능이상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일측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도어; 및 상기 제어모듈의 동작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부표를 부상시키는 도어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제어모듈의 동작제어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락킹(Rocking)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구는, 상기 제어모듈의 동작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판캠형 락킹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계류장비나 계측기기에서 발생된 이상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이상상태별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듀얼형 알림모듈을 구성하여 어느 하나의 알림모듈이 동작되지 못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알림모듈을 통해 이상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알림모듈별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부표를 구성하고, 계류장비의 자세이상이 발생한 경우, 계류장비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킴으로써, 현재 계류장비의 상태를 신속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해당 알림모듈의 부표를 통해 이상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관측용선박이 현장에 도착하기 이전에 해당 이상상태에 대한 적절한 대층방법을 마련하고, 현장 도착시 신속하게 사후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이 발명은 계류장비 내부에 구성되는 계측기기 자체의 기능적이상이 발생한 경우, 계류장비를 회수하여 이상이 발생한 계측기기를 교체하도록 하고, 계류장비의 자세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다이버가 잠수하여 계류장비를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이상상태별로 신속한 확인과 적절한 사후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해양과학분야 및 해양탐사장비 분야, 특히 해저 계류장비의 운용 및 이상상황에 따른 대처와 관련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황별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도어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상부알림모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는 도 8에 나타난 락킹(Rocking)구에 의해 닫힌 상태의 도어가 열리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황별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계측기기가 탑재된 해저계류장비(TRBM, Trawl Resistant Bottom Mount)의 상부에 구성된 상부알림모듈(100)과, 해저계류장비의 하부에 구성된 하부알림모듈(200) 및 제어모듈(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계측기기는 음향 도풀러 유속계(ADCP,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해저지진계(OBS, Ocean Bottom Seismome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은 각각 제1 부표(110) 및 제2 부표(210)가 내장되며, 제어모듈(300)의 동작제어에 의해 해당 부표를 해수면으로 부상시킨다.
제어모듈(300)은 해저계류장비(TRBM)에 탑재된 계측기기의 기능적이상이 발생되면,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알림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 부표(110)를 해수면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해저계류장비(TRBM)의 자세이상이 발생되면,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알림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2 부표(210)를 해수면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300)은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변화를 확인하고, 현재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가 하부알림모듈(200)의 제2 부표(210)를 방출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경우, 상부알림모듈(100)의 제1 부표(110)를 방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에서, 제1 부표(110)와 제2 부표(210)가 해수면으로 부상되면, 관측용선박에 승선한 선원(작업자)이 해저계류장비(TRBM)의 상태를 시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부표의 형상이나 색채를 다르게 하거나, 부표에 램프를 구성하고 부표별로 램프의 점멸방식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부표(110)와 제2 부표(210)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은 제1 부표(110) 및 제2 부표(210)와 더불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제1 무선통신부(120) 및 제2 무선통신부(220)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선통신부(120) 및 제2 무선통신부(220)는 제1 부표(110) 및 제2 부표(210)의 상부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300)은 해저계류장비(TRBM)의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제1 무선통신부(120) 또는 제2 무선통신부(220)를 통해 현재위치를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것으로, 자이로스코프센서(310), 상태판단부(320) 및 동작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사후처리를 위해 해상에서 정박중인 관측용선박 또는 원격지의 관측관리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300)은 제1 무선통신부(120) 또는 제2 무선통신부(220)와 음파통신을 수행하며, 제1 무선통신부(120) 또는 제2 무선통신부(220)는 수신된 음파신호를 육상무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모듈(300)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무선통신부(120) 또는 제2 무선통신부(220)와 연결되는 제1 연결와이어(111) 또는 제2 연결와이어(211) 내부에 구성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유선으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센서(310)는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해저계류장비(TRBM)가 해저면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상태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태판단부(320)는 자이로스코프센서(31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해저계류장비(TRBM)의 현재상태를 판단(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판단부(320)는 해저계류장비(TRBM)의 현재 기울기를 확인하여 동작제어부(330)에 알려줄 수 있다.
동작제어부(330)는 상태판단부(320)의 판단(확인)결과에 따라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상상태를 외부에 알려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상태판단부(320) 및 동작제어부(330)의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저계류장비(TRBM)에 탑재되는 계측기기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대한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능이상확인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능이상확인부(340)는 계측기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데이터가 정상데이터인지 이상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태판단부(320)는 자이로스코프센서(310)의 감지신호와 기능이상확인부(34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중 이상데이터를 확인하여, 현재 발생된 이상상태가 어떠한 이상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태판단부(320)는 상기와 같이 확인된 이상상태에 대한 정보, 특히 기능이상확인부(340)를 통해 확인된 이상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능적이상에 대한 정보(기능이상정보)를, 제1 무선통신부(120) 또는 제2 무선통신부(220)를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은, 제1 부표(110) 및 제2 부표(210)에 각각 구성되어 제1 무선통신부(110) 및 제2 무선통신부(220)와 각각 연동되는 제1 이상정보저장부(130) 및 제2 이상정보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상정보저장부(130) 및 제2 이상정보저장부(230)는 기능이상확인부(340)에서 확인된 기능이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알림모듈(100)이 동작된 경우, 제1 무선통신부(110)는 제1 부표(110)가 해수면으로 부상되면, 제1 이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기능이상정보를 호출하여 육상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무선통신부(110)의 동작은 제2 무선통신부(120)의 동작과 유사 내지 동일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난 이 발명의 제어모듈(300)은 상부알림모듈(100) 또는 하부알림모듈(200)과 음파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부표의 분리전 해당 알림모듈의 이상정보저장부에 기능이상정보를 미리 저장함으로써, 음파통신을 위한 구성이 없더라도 해저계류장비(TRBM)에 탑재된 계측기기의 기능이상을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모듈(300)의 상태판단부(320)는 자이로스코프센서(310) 및 기능이상확인부(340)를 통해 이상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33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태판단부(320)의 판단결과를 확인한 후(단계 S101), 기능적이상인 경우(단계 S102)에는 해저계류장비(TRBM)의 자세는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부알림모듈(100)을 동작제어를 할 수 있다(단계 S103).
만약, 기능적이상이 아니면서(단계 S102) 해저계류장비(TRBM)의 자세이상인 경우(단계 S104), 동작제어부(330)는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변화를 확인한 후, 정상상태를 기준으로 기울기변화가 예각인 경우(단계 S105)에는 도 2의 (a)와 동일 내지 유사한 상태로 판단하고 상부알림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S103).
또한, 동작제어부(330)는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변화가 둔각인 경우(단계 S105)에는 도 2의 (b)와 동일 내지 유사한 상태로 판단하고 하부알림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S106).
도 6은 도 4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제어부(330)는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변화에 따른 상태판단부(320)의 판단결과를 확인하고(단계 S201), 정상상태를 기준으로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변화가 선택제어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202). 여기서, 선택제어범위는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이 모두 부표를 방출하여 부상시킬 수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제어범위는 정상상태의 수평면에 수직방향인 90°를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330)는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변화가 선택제어범위에 포함된 경우(단계 S202)에는,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의 동작가능여부 및 기울기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작제어부(330)는,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의 동작가능여부를 확인(단계 S203)한 후, 하부알림모듈(200)에 이상이 발생되어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부알림모듈(100)을 동작제어할 수 있고(단계 S204), 상부알림모듈(100)에 이상이 발생되어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하부알림모듈(200)을 동작제어할 수 있다(단계 S205).
또한, 동작제어부(330)는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이 모두 동작가능한 상태인 경우(단계 S203)에는,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변화에 기초하여 동작제어할 알림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단계 S206). 예를 들어,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변화가 선택제어범위 내에서, 90°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부알림모듈(100)을 동작제어할 수 있고, 90°보다 큰 경우에는 하부알림모듈(200)을 동작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330)는 해저계류장비(TRBM)의 기울기변화가 선택제어범위보다 작은 경우(단계 S202)에는 상부알림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단계 S206), 기울기변화가 선택제어범위보다 큰 경우(단계 S202)에는 하부알림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S206).
한편,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은 그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제1 부표(110) 및 제2 부표(210)를 방출함에 있어, 별도의 방출수단을 구성하지 않고, 제1 부표(110) 및 제2 부표(210)의 자체부력에 의해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1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난 도어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상부알림모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알림모듈(100) 및 하부알림모듈(200)은 각각 제1 도어제어부(140) 및 제2 도어제어부(240)에 의해 개방되는 도어가 구성되고, 제어모듈(300)의 동작제어부(330)에 의해 해당 도어가 개방되면, 제1 부표(110) 또는 제2 부표(210)가 부력에 의해 도어를 밀어올리면서 수면으로 부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알림모듈(110)은 일측방향(도 8에서 상부방향)으로 개방부(미부호)가 형성된 중공의 제1 하우징(160), 제1 하우징(160)의 개방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도어(170) 및 제어모듈(300)의 동작제어에 의해 제1 도어(170)를 개방하여 제1 부표(110)를 부상시키는 제1 도어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표(110)는 제1 하우징(16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롤러(111a)에 감겨진 제1 연결와이어(111)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도어(170)는 일측에 제1 걸림홈(17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어제어부는, 제어모듈(300)의 동작제어에 의해 제1 걸림홈(171)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제1 락킹(Rocking)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락킹구(150)는 제1 도어(170)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기는 하나, 상부알림모듈(100)의 구조적 단순화와 소형화를 위하여 하기와 같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락킹구(150)는 제어모듈(300)의 동작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제1 모터(151) 및 제1 모터(151)에 의해 회동되는 판캠형의 제1 락킹편(15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캠형은 중심축과 가장자리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형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캠(판캠)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락킹구(150)의 동작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9 및 도 10는 도 8에 나타난 락킹(Rocking)구에 의해 닫힌 상태의 도어가 열리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락킹편(152)은 장지름(중심축에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긴 지름, 도 9에서 좌측상부)과 단지름(중심축에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짧은 지름, 도 9에서 우측하부)이 하나의 방향(도 9에서는 좌측상부방향에서 우측하부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락킹편(152)의 장지름부분이 하우징(160)의 관통홀(미부호)을 통과하여 제1 도어(170)의 제1 걸림홈(171)에 끼워지면, 상부알림모듈(100)의 제1 도어(17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락킹편(152)이 제1 모터(151)에 의해 회동되면, 제1 락킹편(152)의 장지름부분이 제1 걸림홈(17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제1 도어(170)가 상부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락킹편(152)이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도 10에 나타난 바 와 같이 제1 락킹편(152)의 단지름부분이 하우징(160)의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모터(151)와 제1 락킹편(152)으로 구성된 제1 락킹구(150)의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상부알림모듈(100)의 제1 도어(17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한 상부알림모듈(110)의 구성 및 그 동작방법은 하부알림모듈(210)에도 동일 내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상부알림모듈
110 : 제1 부표 120 : 제1 무선통신부
130 : 제1 이상정보저장부 140 : 제1 도어제어부
150 : 락킹(Rocking)구 151 : 모터
152 : 락킹편 160 : 하우징
170 : 도어 171 : 걸림홈
200 : 하부알림모듈
210 : 제2 부표 220 : 제2 무선통신부
230 : 제2 이상정보저장부 240 : 제2 도어제어부
300 : 제어모듈
310 : 자이로스코프센서 320 : 상태판단부
330 : 동작제어부 340 : 기능이상확인부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계측기기가 탑재된 해저계류장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성되고, 동작제어시 해수면으로 부표를 부상시켜 이상상태별 상태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상부알림모듈과 하부알림모듈; 및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기능적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상부알림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자세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센서;
    상기 자이로스코프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및
    상기 상태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기울기변화에 따른 상기 상태판단부의 판단결과, 정상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기울기변화가 예각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알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기울기변화가 둔각인 경우에는 상기 하부알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표에 구성되며, 상기 부표가 해수면으로 부상되면 무선통신으로 현재위치를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기울기변화에 따른 상기 상태판단부의 판단결과, 정상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해저계류장비의 기울기변화가 선택제어범위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의 동작가능여부 및 기울기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기울기변화가 상기 선택제어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상부알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기울기변화가 상기 선택제어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하부알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계측기기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능이상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표에 구성되며, 상기 부표가 해수면으로 부상되면 무선통신으로 상기 기능이상확인부의 의해 확인된 이상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능적이상에 대한 기능이상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표에 구성되어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동되며, 상기 기능이상정보를 저장하는 이상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부표가 해수면으로 부상되면 상기 이상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기능이상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알림모듈 및 하부알림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일측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도어; 및
    상기 제어모듈의 동작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부표를 부상시키는 도어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제어모듈의 동작제어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락킹(Rocking)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구는,
    상기 제어모듈의 동작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판캠형 락킹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KR1020140095484A 2014-07-28 2014-07-28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KR10144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484A KR101440281B1 (ko) 2014-07-28 2014-07-28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484A KR101440281B1 (ko) 2014-07-28 2014-07-28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281B1 true KR101440281B1 (ko) 2014-09-18

Family

ID=5176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484A KR101440281B1 (ko) 2014-07-28 2014-07-28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2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564B1 (ko) * 2014-12-26 2015-05-06 (주)지오시스템리서치 해저면상 유속계와 이의 위치이탈 경고 시스템
KR101565583B1 (ko) * 2015-05-20 2015-11-13 (주)지오시스템리서치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
KR101585843B1 (ko) * 2015-04-21 2016-01-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양 관측 기지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98B1 (ko) 2007-04-12 2008-09-01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심해 해저면상 유속계 및 그 회수방법
KR20100058054A (ko) * 2008-11-24 2010-06-03 한국해양연구원 해류 관측용 해저면 계류장치
KR20120105723A (ko) * 2011-03-16 2012-09-26 한국해양연구원 자동지향성 해양관측장비
KR20130074478A (ko) * 2011-12-26 2013-07-04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98B1 (ko) 2007-04-12 2008-09-01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심해 해저면상 유속계 및 그 회수방법
KR20100058054A (ko) * 2008-11-24 2010-06-03 한국해양연구원 해류 관측용 해저면 계류장치
KR20120105723A (ko) * 2011-03-16 2012-09-26 한국해양연구원 자동지향성 해양관측장비
KR20130074478A (ko) * 2011-12-26 2013-07-04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완충형 계류식 유속 및 파랑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564B1 (ko) * 2014-12-26 2015-05-06 (주)지오시스템리서치 해저면상 유속계와 이의 위치이탈 경고 시스템
KR101585843B1 (ko) * 2015-04-21 2016-01-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양 관측 기지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는 시스템
KR101565583B1 (ko) * 2015-05-20 2015-11-13 (주)지오시스템리서치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0103B2 (en) Intelligent/autonomous thermocline mapping and monitoring for marine and freshwater applications
KR101440281B1 (ko) 해저계류장비용 듀얼형 이상상태 알림장치
JP7023494B2 (ja) 波浪観測通知システム
KR100981990B1 (ko) 부표를 이용한 연안 선박의 위치 및 궤적 추정을 통한 안전관제장치 및 그 방법
KR101686043B1 (ko) 해양 구조물의 선박 충돌 모니터링 시스템
JP6406831B2 (ja) 水中係留物監視システム
Ang et al. An autonomous sailboat for environment monitoring
CN109866885A (zh) 一种无人船防搁浅与自力脱浅方法
JP6212941B2 (ja) 計測センサ、計測システムおよび計測方法
CN103744083A (zh) 一种浮标式声纳导航系统装置
KR101462100B1 (ko) 해저용 위치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위치확인시스템
KR101517564B1 (ko) 해저면상 유속계와 이의 위치이탈 경고 시스템
EP4006679A1 (en) Watercraft alignme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KR102399994B1 (ko) 수중 방사소음 측정장치
Jorge et al. VITA1: A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prototype for operation in underwater tunnels
CN112591010B (zh) 一种自适应海况的航标
EP3772663B1 (en) A system for detecting plastics, macro-plastics, micro-plastics and nano-plastics in a maritime, estuary or river environment
KR102166842B1 (ko) 소형 수환경 측정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수환경 자료 관리 시스템
JP2019035672A (ja) ブイ式潮流計測装置及び潮流計測方法
KR101467283B1 (ko) 자세제어형 해저계류장비
CN203204151U (zh) 浮标式声纳导航系统装置
Jin et al. Intelligent buoy system (inbus): Automatic lifting observation system for macrotidal coastal waters
KR101273660B1 (ko) 자동지향성 해양관측장비
US20230182875A1 (en) Topside buoy system
JP6725811B2 (ja) ブイ式波高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