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092A -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092A
KR20190068092A KR1020170168140A KR20170168140A KR20190068092A KR 20190068092 A KR20190068092 A KR 20190068092A KR 1020170168140 A KR1020170168140 A KR 1020170168140A KR 20170168140 A KR20170168140 A KR 20170168140A KR 20190068092 A KR20190068092 A KR 20190068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bar
area
page
user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104B1 (ko
Inventor
김효
윤수진
김지환
최지호
이윤석
최성은
손희정
김효정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1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브라우징에 사용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툴바를 이용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웹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툴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과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툴바 영역에 상기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WEB BROWSER DISPLAY APPARATUS AND WEB BROWSER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웹 브라우징에 사용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툴바를 이용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컴퓨터, 전자, 인터넷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각광을 받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각종 콘텐츠들도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 중이다.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중, 특히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웹 브라우저는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에 사용자가 탐색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다른 일부의 영역에 웹 페이지 간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툴바가 사용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의 툴바가 수행하는 기능이나 그 사용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웹 브라우저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제한 되어, 웹 브라우징에 유용한 모든 기능을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손 끝이나 터치용 펜을 이용하여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오래 걸릴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툴바의 위치를 변경하고 툴바의 사용 방법을 단순히 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모바일 웹 브라우저의 툴바를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은 아직 제안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10-2015-000159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웹 브라우징을 위해 사용되며 툴바에 포함되는 아이콘의 기능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툴바에 위치하며, 지정된 웹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아이콘을 간단한 제스쳐로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을 보다 간편하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웹 브라우징을 위해 사용되는 툴바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브라우징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을 보다 빠르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웹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툴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과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툴바 영역에 상기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에 따른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페이지 영역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새로운 탭이 열린 것에 대응되어 생성된 페이지이면 상기 페이지 영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과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페이지 영역에 상기 툴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웹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제1 동작과 제2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제1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툴 아이콘의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제2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툴바 영역에 상기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에 따른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을 툴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툴 아이콘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에 따른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는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 사용자의 툴바 영역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가 상기 툴바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툴바 영역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에 따른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는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 상기 페이지 영역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가 상기 페이지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페이지 영역에 상기 툴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은 웹 브라우징을 위해 사용되며 툴바에 포함되는 아이콘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은 툴바에 위치하며, 지정된 웹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아이콘을 간단한 제스쳐로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은 툴바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브라우징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와 웹 서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툴바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툴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툴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이 수행 된 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툴바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툴바의 확장 아이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페이지 영역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특징에 따라 툴바에 표시되는 아이콘이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페이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과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여 툴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을 예시한 실시 형태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와 웹 서버(1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와 웹 서버(1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와 웹 서버(12)는 네트워크(11)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11)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네트워크(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1)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11)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적어도 일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웹 서버(12)로 콘텐츠를 요청하고, 웹 서버(12)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한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웹 서버(12)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에 실장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의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로서, 스마트폰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11)에 접속하여 웹 서버(12)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웹 패드, 테블릿 PC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웹 페이지를 로드하며, 로드된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및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해 부대되는 다른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웹 서버(12)에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로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콘텐츠가 저장되며,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로 콘텐츠를 전송하고,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장치(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은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S100), 툴바 영역 선택 인식 단계(S110), 드래그 동작 인식 단계(S120) 및 툴바 영역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 변경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S100)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에 따른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20)에 표시하고,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100)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웹 서버(12)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디스플레이에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페이지 영역(20)으로 설정할 수 있고, 다른 일부의 영역을 툴바 영역(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페이지 영역(20)과 툴바 영역(100)은 분리되어 설정될 수 있다. 즉, 툴바 영역(100)은 페이지 영역(20)의 측면, 상면 또는 하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페이지 영역(20)은 웹 서버(12)로부터 수신된 콘텐츠가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처리 방식에 따라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한 웹 서버(12)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는 웹 페이지로서, 동영상, 문서, 그림, 텍스트 등 다양한 시각적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툴바 영역(100)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 간의 탐색을 보조하기 위한 툴(tool)을 실행시키기 위한 툴 아이콘이 집합되는 영역일 수 있다. 툴바에는 다양한 툴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으나, 각각의 툴 아이콘은 가시성과 선택의 용이성을 위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모든 툴 아이콘이 툴바 영역(100)에 같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S100)에서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툴 아이콘 중 일부의 툴 아이콘만 툴바 영역(100)에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S100)에서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페이지의 특징 정보에 따라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툴바 영역(100)에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1 툴바 모드와 툴바 영역(100)에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2 툴바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기본 아이콘과 링크 아이콘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페이지 영역(20)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웹 서버(12)의 콘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인 경우, 제1 툴바 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페이지 영역(20)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새로운 탭이 열린 것에 대응되어 생성된 페이지이면 제2 툴바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이처럼 페이지 영역(20)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특징에 따라 툴바 영역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달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웹 페이지로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툴바 영역 선택 인식 단계(S110)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사용자의 툴바 영역(100)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영역의 선택이라 함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중 특정한 영역을 터치하거나 클릭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영역 선택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압력이나 전기적 반응을 통해 특정한 영역의 선택을 인식할 수 있다.
드래그 동작 인식 단계(S120)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상기 툴바 영역 선택 인식 단계(S110)에서 선택한 툴바 영역으로부터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사용자가 툴바 영역(100) 내 임의의 영역을 선택한 후, 터치나 클릭을 유지한 상태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한 후, 터치나 클릭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툴 아이콘을 선택한 후, 터치나 클릭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터치나 클릭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제1 동작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나 클릭을 유지한 상태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한 후, 터치나 클릭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제2 동작으로 이해할 수 있다.
툴바 영역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 변경 단계(S130)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가 툴바 영역에 표시되도록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변경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S100)에서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툴바 영역(100)의 제한된 크기와 툴 아이콘의 크기 때문에 툴바에 사용되는 모든 툴 아이콘을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툴바 영역 선택 인식 단계(S110)와 드래그 동작 인식 단계(S12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한 경우,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변경함으로써,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S100)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던 툴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은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S200), 페이지 영역 선택 인식 단계(S210), 드래그 동작 인식 단계(S220) 및 페이지 영역에 툴 아이콘 표시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 또는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S200)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에 따른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20)에 표시하고,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100)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S200)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페이지 영역에 새로운 탭이 열린 것에 대응되어 생성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페이지 영역 선택 인식 단계(S210)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사용자의 페이지 영역(20)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드래그 동작 인식 단계(S220)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상기 페이지 영역 선택 인식 단계(S210)에서 선택한 페이지 영역으로부터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사용자가 페이지 영역(20) 내 임의의 영역을 선택한 후, 터치나 클릭을 유지한 상태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한 후, 터치나 클릭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페이지 영역에 툴 아이콘 표시 단계(S230)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가 페이지 영역(20)에 표시되도록 페이지 영역(20)에 툴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사용자가 페이지 영역(20)을 선택하고 드래그하는 것에 대응하여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던 툴 아이콘을 페이지 영역(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새로운 탭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새로운 탭이 표시되는 페이지는 비어있는 페이지인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웹 페이지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툴바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는 페이지 영역(20)이고, 다른 일부는 툴바 영역(100)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툴바 영역(100)이 페이지 영역(20)의 하단에 위치하며,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의 형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툴바 영역(100)과 페이지 영역(20)의 상대적인 위치나 툴바 영역(100)의 크기 및 형태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고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페이지 영역(20)에서 표시되는 콘텐츠와 툴바 영역(100)에서 표시되는 툴 아이콘은 중첩되지 않은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중첩되어 표시될 수 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툴바 영역(100)에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1 툴바 모드와 툴바 영역(100)에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2 툴바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툴바 모드 영역(110)은 제1 툴바 모드에 따라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제2 툴바 모드 영역(120)은 제2 툴바 모드에 따라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정의한다.
제1 툴바 모드 영역(11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은 이전에 방문했던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이전 페이지 아이콘(111), 이후에 방문했던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이후 페이지 아이콘(112), 추가적인 기능이나 설정 창에 진입하기 위한 설정 아이콘(113), 웹 페이지를 새로고침하기 위한 새로고침 아이콘(114), 현재 활성화된 탭의 숫자와 그 목록을 보기위한 탭 아이콘(115)이 예시될 수 있다. 제1 툴바 모드 영역(11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은 기본 아이콘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기본 아이콘은 상기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툴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에서 기본 아이콘들은 그 기능에 따라 특정한 모양을 가지며, 임의의 배치 순서에 따라 배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모양이나 배치 순서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툴바 모드 영역(120)에서 표시되는 툴 아이콘은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웹 페이지로 링크되기 위한 링크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사용자가 링크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링크 아이콘에 설정된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페이지 영역(20)에 표시할 수 있다.
링크 아이콘의 형태는 지정된 웹 페이지의 대표 아이콘이나 도메인의 첫 글자를 포함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다른 아이콘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툴 아이콘들이 툴바 영역(100)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나열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툴바 영역(100)이 페이지 영역(20)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툴 아이콘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도 있다.
도 5는 툴바 영역(10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30)이 툴바 영역(100)을 선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툴바 영역(100)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30)이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의 종류에 따라 손가락(30)이 아닌 터치용 펜을 이용한 터치나 커서를 이용한 클릭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툴바 영역(100)에 대한 선택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적어도 툴바 영역(100)이 선택된 후, 적어도 소정의 시간 이상 터치가 유지되어야 툴바 영역(100)을 선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툴바 영역(10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으로 인하여 일정한 시간이상 터치가 유지되면,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를 진동시킴으로써 툴바 영역 선택 단계(S110)가 수행됐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툴바 영역(100)에 대한 선택을 인식하기 위하여 유지되어야 하는 터치 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툴바 영역(100)의 탭 아이콘(115)을 통해 툴바에 대한 선택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탭 아이콘(115)을 통해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변경하는 경우,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탭 아이콘(115)에 대한 사용자의 짧은 터치에 대응하여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탭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탭 아이콘(115)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후,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툴바에 링크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과 달리,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툴바 영역(100)의 일단에 대응되는 영역을 통해 툴바에 대한 선택을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툴바 영역(100) 중 우측이나 좌측의 일단에 대응되는 영역을 툴바의 선택을 위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선택된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툴바의 선택을 위한 영역은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툴바의 선택을 위한 영역은 다른 툴바 영역(100)과 구분되기 위한 다른 형태나 모양, 색채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툴바의 선택을 위한 영역을 툴바 영역(100) 내에서 한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히 툴바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툴바 영역(100)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사용자의 툴바 영역(100)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 진 후, 사용자의 손가락(30)이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에서 드래그 동작은 좌측 방향으로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드래그 동작은 다양한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는 시작점은 툴바 영역(100) 내 임의의 지점이지만, 드래그 동작이 종료되는 지점은 시작점이 아닌 다른 임의의 지점일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이 수행 된 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툴바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툴바 영역(100)에 제2 툴바 모드 영역(120)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제2 툴바 모드 영역(12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은 전환 아이콘(121), 링크 아이콘(122 내지 124), 사용자 추가 아이콘(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환 아이콘(121)은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툴바 영역(100)의 표시를 제1 툴바 모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전환 아이콘(121)을 선택한다면, 툴바 영역(100)의 표시는 상기한 도 4와 같은 제1 툴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전환 아이콘(121)은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제1 툴바 모드에서도 툴바 영역(100)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툴바 모드에서 표시되는 전환 아이콘(121)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제2 툴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링크 아이콘(122 내지 124)은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지정된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도 7에서 링크 아이콘(122 내지 124)는 영문 이니셜로 표시되어 있으나, 링크 아이콘의 생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링크 아이콘(122 내지 124)를 선택하면, 선택된 링크 아이콘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가 로드되어 페이지 영역(2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추가 아이콘(125)은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링크 아이콘을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추가 아이콘(125)을 선택하면,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별도의 창 또는 메뉴를 통하여 링크 아이콘을 추가하거나 나열된 링크 아이콘 간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툴바 모드 영역(12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들이 배치되는 순서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달리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는 다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5 및 도 6과 달리,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들이 이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경우, 드래그 동작이 수행된 것을 인식하면,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제1 툴바 모드에서 바로 제2 툴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하지만,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은 드래그 동작의 인식에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면, 툴바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드래그 동작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는 툴 아이콘 중 일부의 툴 아이콘을 툴바 영역(100)에 표시하며, 툴바 영역(100)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드래그 동작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여기서 툴 아이콘은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툴 아이콘을 툴바에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추가 아이콘(125)일 수 있다. 사용자 추가 아이콘(125)은 나열되는 툴 아이콘 중 마지막 순서에 배치될 수 있고,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추가 아이콘(125)까지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면 툴 아이콘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30)이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이러한 이동을 인식하여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툴 아이콘들을 연속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제1 툴바 모드에서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는 아이콘과 제2 툴바 모드에서 툴바 영역(100)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서로 이어지는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드래그 동작이 종료되는 것을 인식하면, 툴 아이콘의 이동을 멈추고, 이동된 툴 아이콘을 선택 가능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드래그 동작이 수행된 후, 사용자가 손가락(30)의 터치 상태를 해제하면, 도 9의 툴바 영역(100)과 같은 상태로 툴바가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툴바에서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짧은 드래그 동작을 통하여 배열 순서가 앞선 링크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드래그 동작이 종료된 것을 인식하면,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툴 아이콘의 이동 속도를 점차 감소시킴으로써 서서히 툴 아이콘을 멈추게 할 수 도 있다. 툴 아이콘이 점차 속도가 줄어들어 멈추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툴 아이콘의 이동을 부드럽게 관찰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툴바 사용에 대한 안정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툴바의 확장 아이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툴바 영역(100)에 다른 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된 영역(131)을 제공하는 확장 아이콘(130)을 표시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확장 아이콘(130)을 툴바 영역(100)의 일단 또는 양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확장 아이콘(130)이 툴바 영역(100)의 우측에 설정된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가 확장 아이콘(130)을 선택하면 확장된 영역(131)이 추가로 생성되고, 확장된 영역(131)에는 툴바에 표시되지 않았던 다른 툴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서 확장된 영역(131)은 툴바 영역(100)과 인접하여 위치하지만, 확장된 영역(131)의 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위치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페이지 영역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특징에 따라 툴바에 표시되는 아이콘이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페이지 영역(20)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웹 서버(12)의 콘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인 경우, 제1 툴바 모드를 제공하고, 페이지 영역(20)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새로운 탭이 열린 것에 대응되어 생성된 페이지이면 제2 툴바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일반적인 웹 페이지를 로드하고 해당 웹 페이지의 콘텐츠가 페이지 영역(20)에 표시된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제1 툴바 모드에 따라 툴바 영역(100)의 제1 툴바 모드 영역(110)을 통하여 상기한 기본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새로운 탭을 열었을 때에 대응하여 페이지 영역(20)에 새 탭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웹 이러한 경우, 브라우저 표시 장치(10)는 제2 툴바 모드에 따라 툴바 영역(100)의 제2 툴바 모드 영역(120)을 통하여 상기한 전환 아이콘, 링크 아이콘 또는 사용자 추가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새 탭 페이지에는 검색어 입력을 위한 창(40)이 위치할 수 있고, 추가적인 페이지의 존재 여부나 현재 페이지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는 아이콘(41)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페이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과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여 툴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페이지 영역(20)에 새 탭 페이지가 표시될 때, 사용자가 페이지 영역(20)을 선택하고,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5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10)가 사용자의 페이지 영역(20) 선택을 인식하고, 드래그 동작을 인식했을 때, 페이지 영역(20)에 툴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툴바에 포함되는 툴 아이콘 모음(140)이 디스플레이의 툴 아이콘 모음 영역(21)에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툴 아이콘 모음(140)은 툴바에 포함되는 툴 아이콘들 중, 상기한 링크 아이콘과 상기한 사용자 추가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툴 아이콘 모음 영역(21)은 상기한 페이지 영역(20)과 같은 영역일 수 있고, 페이지 영역(20)과 툴바 영역(100)을 모두 포함하여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페이지 영역(20)에 새 탭 페이지가 표시될 때 사용자의 선택과 드래그를 인식하여 툴 아이콘 모음(140)을 표시하도록 화면을 전환함으로써 툴바에 포함되는 링크 아이콘들을 보다 확장된 영역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웹 페이지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11: 네트워크
12: 웹 서버 20: 페이지 영역
100: 툴바 영역

Claims (28)

  1.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웹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툴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과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툴바 영역에 상기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툴 아이콘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툴바 영역의 일단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툴바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툴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툴 아이콘으로부터 드래그되는 동작을 인식하여 상기 툴바 영역에 상기 툴 아이콘들 중 상기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툴 아이콘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웹 브라우저에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탭을 표시하기 위한 탭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툴바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다른 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된 영역을 표시하는 확장 아이콘을 상기 툴바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장 아이콘을 상기 툴바 영역의 일단 또는 양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툴바 영역을 소정 시간 이상 선택하는 것을 인식한 후,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툴바 영역을 소정 시간 이상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툴바 영역에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1 툴바 모드와 상기 툴바 영역에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2 툴바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툴바 모드와 상기 제2 툴바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툴바 영역의 일단 또는 양단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툴바 모드와 상기 제2 툴바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페이지 영역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새로운 탭이 열린 것에 대응되어 생성된 페이지이면, 상기 제2 툴바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면, 상기 툴바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기 툴 아이콘 중 일부의 툴 아이콘을 상기 툴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툴바 영역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툴 아이콘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툴 아이콘을 상기 툴바에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추가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동작이 종료된 것을 인식하면, 상기 툴 아이콘의 이동을 멈추고, 이동된 상기 툴 아이콘을 선택 가능한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동작이 종료된 것을 인식하면, 상기 툴 아이콘의 이동 속도를 점차 감소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18.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에 따른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페이지 영역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새로운 탭이 열린 것에 대응되어 생성된 페이지이면 상기 페이지 영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과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페이지 영역에 상기 툴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영역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20.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에 따른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을 툴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툴 아이콘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21.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웹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제1 동작과 제2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제1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툴 아이콘의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제2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툴바 영역에 상기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툴바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툴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툴 아이콘으로부터 드래그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툴 아이콘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웹 브라우저에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탭을 표시하기 위한 탭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24.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에 의한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에 따른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는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
    사용자의 툴바 영역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가 상기 툴바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툴바 영역에 표시되는 툴 아이콘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는
    상기 페이지 영역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새로운 탭이 열린 것에 대응되어 생성된 페이지이면,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 아이콘을 상기 툴바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26.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에 의한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에 따른 페이지를 페이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웹 브라우징을 위한 툴 아이콘들 중 일부를 툴바 영역에 표시하는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
    상기 페이지 영역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툴 아이콘들 중 다른 일부가 상기 페이지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페이지 영역에 상기 툴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및 툴바 영역 표시 단계는
    상기 페이지 영역에 새로운 탭이 열린 것에 대응되어 생성된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2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20항 내지 제27항의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68140A 2017-12-08 2017-12-08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KR102031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140A KR102031104B1 (ko) 2017-12-08 2017-12-08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140A KR102031104B1 (ko) 2017-12-08 2017-12-08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92A true KR20190068092A (ko) 2019-06-18
KR102031104B1 KR102031104B1 (ko) 2019-10-14

Family

ID=6710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140A KR102031104B1 (ko) 2017-12-08 2017-12-08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076A1 (zh) * 2022-08-29 2024-03-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工具栏显示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17B1 (ko) * 2009-08-19 2010-10-01 주식회사 컴퍼니원헌드레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10050707A (ko) * 2008-09-01 2011-05-16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브라우저의 새로운 탭 페이지 및 북마크 툴바
KR20110117979A (ko) * 2010-04-22 201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01596A (ko) 2013-06-27 2015-01-06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웹 브라우저를 위한 몰입 모드
KR20150119253A (ko) * 2013-03-12 2015-10-23 인터그래프 코포레이션 툴바 탐색(Toolbar Navigation)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JP2017188169A (ja) * 2017-07-19 2017-10-12 Kddi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ツール画面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0707A (ko) * 2008-09-01 2011-05-16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브라우저의 새로운 탭 페이지 및 북마크 툴바
KR100984817B1 (ko) * 2009-08-19 2010-10-01 주식회사 컴퍼니원헌드레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10117979A (ko) * 2010-04-22 201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119253A (ko) * 2013-03-12 2015-10-23 인터그래프 코포레이션 툴바 탐색(Toolbar Navigation)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KR20150001596A (ko) 2013-06-27 2015-01-06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웹 브라우저를 위한 몰입 모드
JP2017188169A (ja) * 2017-07-19 2017-10-12 Kddi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ツール画面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076A1 (zh) * 2022-08-29 2024-03-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工具栏显示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104B1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71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KR1009848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EP2284728A1 (en) Web browsing method and web browsing device
CN105683895B (zh) 提供用户交互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US20170336946A1 (en) Page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079007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빠른 접근 방법및 장치
EP2521025B1 (en) Component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user device
JP4695154B2 (ja) タッチパネル表示制御システム、タッチパネル表示制御方法、タッチパネル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40114645A (ko)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WO2013023033A2 (en) Automatic zooming for text selection/cursor placement
CN109388463B (zh) 平板电脑应用软件的分屏显示方法、存储介质及平板电脑
JP201124282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3593116A (zh) 便携式终端工具栏的显示和控制方法、及其装置
KR2015009554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07048A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03106005A (zh) 整理移动设备状态栏图标的方法和装置
CN105488051B (zh) 网页处理方法及装置
KR2012000954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85523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장치,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및 방법
KR20130116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7351828B2 (ja) ウェブブラウザの表示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る端末装置
CN106598617A (zh) 一种设置网页快捷方式的方法及电子设备
JP201119217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
CN111324398A (zh) 最近内容的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90068092A (ko)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